KR102182148B1 -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 Google Patents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148B1
KR102182148B1 KR1020190095651A KR20190095651A KR102182148B1 KR 102182148 B1 KR102182148 B1 KR 102182148B1 KR 1020190095651 A KR1020190095651 A KR 1020190095651A KR 20190095651 A KR20190095651 A KR 20190095651A KR 102182148 B1 KR102182148 B1 KR 10218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artition wall
air conditioner
horizontal parti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166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김용태 filed Critical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1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되는 공기 조화기용 덕트는 베이스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되어 덕트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수평 격벽, 상부 공간을 덮는 상부 하우징, 하부 공간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공기 조화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통,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물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며, 물통은 상부 하우징 및 수평 격벽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DUCT EXPOSING RESERVOIR OF DRAIN PUMP}
본 발명은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기조화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배수펌프를 내장하되 물통이 외부로 노출된 덕트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가 작동하면서, 대기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외부로 배출되지만, 공기조화기가 건물 내에 위치하는 경우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기조화기에 인접하게 배수펌프가 배치되며, 배수펌프는 파이프나 호스 등을 통해서 물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간헐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유럽특허 제1318361호는 덕트에 내장된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L-자형 덕트 내에 물통과 펌프가 일체를 이루는 일체형 펌프 조립체를 내장하는 개선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유럽특허에서 모든 펌프 조립체가 내장되어 작동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없으며, 펌프와 물통이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작동 상태를 알기 위해서 덕트를 반드시 분리해야 하며, 내장 등의 이유로 물통 등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펌프 조립체가 모두 내장되고 덕트만 외부로 노출된다는 점에서 디자인적으로 심미감을 줄 수가 없었다.
유럽특허 제1510765호 역시 덕트에 내장된 펌프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L-자형 덕트를 이용하지만, 덕트의 위치가 좌우로 변경됨에 따라 L-자형 덕트도 베이스 하우징과 커버 하우징을 변경해야 하며, 하나로 사용하더라도 방향에 따라 베이스가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펌프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물통의 교체 등을 통해 물통의 용량 등을 변경할 수 있고, 물통 등을 교체함에 있어서 덕트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배수펌프 겸용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펌프의 일부를 노출시키되 디자인적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좌우 타입에 무관하게 하나로 좌우 타입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배수펌프 겸용 덕트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되는 공기 조화기용 덕트는 베이스 하우징,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되어 덕트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수평 격벽, 상부 공간을 덮는 상부 하우징, 하부 공간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공기 조화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통,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물통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며, 물통은 상부 하우징 및 수평 격벽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통이 덕트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는 물통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용 배수펌프는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펌프의 위치 및 작동 상태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펌프가 한번 설치되면 물통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장시간 비위생적인 상태로 방치되어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가 결합된 덕트로서 한번의 설치로 덕트 및 펌프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도 펌프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가 있고, 펌프 중 물통을 분리도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원하는 시기에 물통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용 배수펌프는 펌프의 작동을 소리로만 확인할 수 있어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에서는 물통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물통을 일부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여 물통의 수위 및 펌프의 작동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덕트에서 물통을 다른 부분과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조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지양할 수 있고, 세련되고 새로운 디자인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물통이 외부에서 장착 가능하게 하고, 덕트를 형성하는 하우징에 의해서 그 용량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여 물통의 용량을 확장하는 데에 설계적인 어려움이 없다.
물통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물통에 인접하게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발광소자의 빛이 물통 또는 내부의 물에 의해서 투과, 굴절, 확산 또는 산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을 이용하여 펌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고, 물통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도 있다.
발광소자는 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부 공간에서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LED가 장착된 경우, LED로부터의 물통을 통해 정면으로 가시화될 수 있다.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LED를 이용하여 펌프의 작동 상태, 고장 여부, 물통의 세척 시기, 수위 상태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덕트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 전원케이블, 배수호스 등을 벽면에 설치 및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 또는 다른 연결용 덕트를 연결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대체로 본 실시예의 덕트는 공기 조화기의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물통은 공기 조화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였다가 일정 시기 또는 일정 수위를 만족하면 펌프 모듈은 물통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덕트는 다른 연결용 덕트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개방구 및 인접한 공기 조화기와 유체 교류(fluid communication)를 위한 측면 개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개방구 및 측면 개방구는 미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치자가 공기 조화기 등을 설치하는 과정 중 공기 조화기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부 하우징 또는 베이스 하우징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 개방구 또는 측면 개방구를 위해 상부 하우징 및 베이스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설치자는 커팅 라인에 의해서 정의된 분리판을 제거하여 상부 개방구 또는 측면 개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측면 개방구는 상부 하우징 또는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자는 좌우 구분없이 공기 조화기 및 덕트의 위치를 모두 고려하여 원하는 방향에서 분리판 등을 뜯어내거나 측벽을 일부 제거하여 측면 개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 언급된 L-자형 덕트와 달리, 본 실시예의 덕트에서 베이스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은 좌우 대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좌우 타입을 별도로 준비하거나 정면과 배면을 전환할 필요 없이 다양한 공기 조화기의 배치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수평 격벽의 양측에 유입구로서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를 좌우에 치우치게 배치함으로써 좌우 타입에 따라 인접한 유입구를 사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수평 격벽의 상부에는 상부 공간에서 펌프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보호 격벽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중 어느 방향에서 파이프나 배관이 진입하여도 펌프 모듈이 파이프 등으로부터 설치 공간을 침범당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 및 공간에 설치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펌프와 함께 설치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물통이 덕트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 및 관리자는 물통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용 배수펌프는 물통이 폐쇄되거나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펌프의 위치 및 작동 상태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펌프가 한번 설치되면 물통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장시간 비위생적인 상태로 방치되어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덕트에서는 한번의 설치로 덕트 및 펌프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도 펌프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가 있고, 물통을 분리도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물통을 분리하여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에서는 물통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물통을 일부 또는 부분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하여 물통의 수위 및 펌프의 작동 상태 등을 시각적으로도 확인할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덕트에서 물통을 다른 부분과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조로운 디자인의 제품을 지양할 수 있고, 세련되고 새로운 디자인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물통이 외부에서 장착 가능하게 하고, 덕트를 형성하는 하우징에 의해서 그 용량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여 물통의 용량을 확장하는데에 설계적인 어려움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100)는 물통(140)이 펌프로부터 분리되어 덕트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덕트(100)는 베이스 하우징(110), 베이스 하우징(110)의 정면에 배치되어 덕트 내부를 상부 공간(U)과 하부 공간(L)으로 구분하는 수평 격벽(120), 상부 공간(U)을 덮는 상부 하우징(130), 하부 공간(L)에 대응하여 수평 격벽(12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평 격벽(120)에 형성된 유입구(122, 124)를 통해 공기 조화기(10)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통(140), 상부 공간(U)에 설치되어 물통(140)에 저장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 모듈(1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140)은 상부 하우징(130) 및 수평 격벽(120)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며, 물통(140)이 덕트(100)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물통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다. 즉, 물통(140)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고 물통(140)의 상태나 펌프 모듈(160)의 작동 상태를 파악하기에도 매우 용이하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물통(140)을 덕트로부터 분리하도록 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하우징의 하부와 물통의 상부가 상호 맞물려 결함 됨으로써 상부 하우징을 분리한 후 물통을 분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용 배수펌프는 물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모두 덕트 내부에 설치되어 펌프의 위치 및 작동 상태를 판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펌프가 한번 덕트 내에 설치되면 물통의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워 고장이 발생해도 이를 바로 알 수 없으며, 펌프 고장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확인하고서야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물통 자체가 습한 환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시간 비위생적인 상태로 방치되어도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펌프 모듈(160)이 내장된 덕트(100)로서, 외부로 노출된 물통(140)을 통해서 물통(140)의 위생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물통(140)의 내부 확인이나 세척을 위해 물통(140)을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고, 물통(140)의 수위 등을 확인하여 펌프 모듈(160)의 작동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덕트(100)에 펌프 모듈(160) 및 물통(140)이 모두 구비되기 때문에, 한번의 설치로 덕트 및 펌프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용 배수펌프는 펌프의 작동을 소리로만 확인할 수 있어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덕트(100)에서는 물통(140)이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물통(140)을 일부 또는 전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물통의 수위 및 펌프의 작동 상태 등이 시각적으로도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덕트(100)에서 물통(140)을 다른 부분과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단조로운 제품에 비해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고, 단순한 덕트가 아닌 하나의 제품으로서 인식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덕트(100) 내부는 상부 공간(U)과 하부 공간(L)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 공간(U)과 하부 공간(L)의 경계는 수평 격벽(12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수평 격벽(120) 위의 상부 공간(U)은 베이스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3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으며, 내부로는 펌프 모듈(16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격벽(120) 아래의 하부 공간(L)에는 덕트의 커버가 제공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물통(140)에 의해서 응축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물통(140)은 하부 공간(L)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이나 슬롯을 이용한 결합을 통해서 덕트(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통(140)을 덕트(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물통(140)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물통(140) 내의 수위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물통(140)의 내부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청소 시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통(140)이 상부 하우징(130)과 연결된 외면을 형성하면서, 덕트(100)는 전체적으로 둥근 모서리를 갖는 낮은 셋톱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물통(140)과 상부 하우징(130) 또는 베이스 하우징(110) 간의 결합 방식을 유지하면서 물통(140)의 용량을 증가 또는 형상을 변경할 수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40)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물통(140)에 인접하게 발광소자(180)를 설치하고, 발광소자(180)의 빛이 물통 또는 내부의 물에 의해서 투과, 굴절, 확산 또는 산란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소자(180)는 LED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부 공간(L)에서 베이스 하우징(110)의 정면에 발광소자(180)를 장착할 수 있다. 발광소자(180)의 빛은 물통(140)을 통과해 정면에서 가시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발광소자(180)를 설명하고 있으며, 발광소자의 색, 밝기, 점멸 주기 또는 패턴 등을 제어하여 펌프 모듈의 작동 상태, 고장 여부, 물통의 세척 시기, 수위 상태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종류 이상의 발광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하우징(110)은 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어 공기 조화기(10)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우징(130)은 수평 격벽(120)으로 구분된 상부 공간(U) 및 그 내부에 있는 펌프 모듈(160)과 보호 격벽(170)을 수용할 수 있다.
수평 격벽(120)의 상부 중앙에는 보호 격벽(170)이 형성되며, 그 내부로 펌프 모듈(160)이 장착된다. 펌프 모듈(160)은 물통(140) 내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입수관(inlet)은 물통(140) 내의 응축수에 연결되고, 출수관(outlet)은 연결용 덕트(20)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 호수에 연결될 수 있다. 검은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펌프 모듈(160)의 작동에 의해 응축수는 입수관을 통해 흡입되며, 출구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회로는 보호 격벽(170) 내에서 펌프 모듈(160)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플로트(162)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여 펌프 모듈(160)을 작동시킬 수 있다. 펌프 모듈(160)은 솔레노이드 펌프, 피스톤 펌프 등 다양한 소형화 가능한 펌프 방식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연결용 덕트(20)를 통해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연결용 덕트(20)에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 전원케이블, 배수호스 등이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용 덕트(20) 역시 벽면에 고정되는 벽면 고정부(22) 및 벽면 고정부(22)를 덮는 커버(24)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용 덕트(100)는 공기 조화기(10)의 측면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공기 조화기(10)의 배수관(32)은 상부 하우징(130) 및 베이스 하우징(110) 사이에 형성된 측면 개방구(136)를 통해서 상부 공간(U)으로 진입하고, 그 단부는 수평 격벽(120)의 제2 유입구(124)에 연결된다.
따라서, 흰색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물통(140)에는 공기 조화기(1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며,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다다르면, 펌프 모듈(160)이 작동하여 물통(140)에 수집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덕트(100)는 상부 개방구(132) 및 2개의 측면 개방구(13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 개방구(132) 및 측면 개방구(136)의 자리는 분리판(134, 114, 138, 118)에 의해서 차단되어 있으며, 분리판(134, 114, 138, 118)은 커팅 라인에 의해서 정의되어 있다가 설치자가 필요한 경우에 따라 상부 하우징(130) 또는 베이스 하우징(110)에 형성된 분리판을 분리하여 개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커팅 라인은 분리판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주변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거나 절취 가능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팅 라인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용 덕트(20)가 상부에 설치되며 공기 조화기(10)는 우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용 덕트(20)를 통해 진입한 파이프 등(30)은 상부 개방구(132)를 통해 상부 공간(U)에 진입하고, 상부 공간(U)을 통과해 우측의 측면 개방구(136)를 통해 공기 조화기(10)와 연결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10)에서 배수관(32)이 측면 개방구(136)를 통해 상부 공간(U)에 진입하며, 제2 유입구(124)에 연결된다.
상부 개방구(132) 및 측면 개방구(136)는 개방된 상태로 미리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설치자가 공기 조화기(10) 등을 설치하는 과정 중 본 발명의 덕트(100)를 공기 조화기(10)에 인접하게 설치하고, 상부 하우징(130) 및 베이스 하우징(1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분리판(134, 114, 138, 118)을 분리하여 나중에 상부 개방구(132) 또는 측면 개방구(13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용 덕트의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측면 개방구에 대응하는 분리판의 상부 하우징 또는 베이스 하우징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설치자는 좌우 구분 없이 공기 조화기 및 덕트의 위치를 모두 고려하여 원하는 방향에서 분리판 등을 뜯어내거나 측벽을 일부 제거하여 측면 개방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선행기술에서 언급된 L-자형 덕트와 달리, 본 실시예의 덕트에서는 베이스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30)이 좌우 대칭으로 제공되고, 펌프 모듈(160)이 중앙에 형성된 보호 격벽(170)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의 덕트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등은 상부 개방구(132)로부터 진입하여 상부 공간(U)을 통과해 좌측의 측면 개방구(136)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덕트의 설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가 덕트의 우측에 배치되고, 파이프 등을 위한 연결용 덕트가 측면 개방구를 통해 진입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상부 개방구(132)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양측에 형성된 측면 개방구(136)만 이용하여 파이프 등이 좌측의 측면 개방구(136)로부터 진입하여 상부 공간(U)을 통과해 우측의 측면 개방구(136)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역시 덕트의 설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다.
이는 선행기술에서 언급된 L-자형 덕트와 달리, 본 실시예의 덕트에서는 베이스 하우징(110) 및 상부 하우징(130)이 좌우 대칭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펌프 모듈(160)이 중앙에 형성된 보호 격벽(170) 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어느 방향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의 덕트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평 격벽(120)의 양측에 유입구로서 제1 유입구(122) 및 제2 유입구(124)를 좌우에 치우치게 배치할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10)의 배수관(32)이 제1 유입구(122) 또는 제2 유입구(124)에 연결되도록 하여 방향에 무관하게 원활한 유체 교류가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하우징(110)에서 상부 개방구(132) 및 측면 개방구(136)의 입구에 인접하게 연결용 덕트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3)은 마주하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용 덕트(20)의 단부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소자(180)는 LED를 이용하여 제공되며, 하부 공간(L)에서 베이스 하우징(110)의 정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발광소자(180)의 빛은 물통(140)을 통과해 정면에서 가시화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소자(180)를 설명하고 있으며, 발광소자의 색, 밝기, 점멸 주기 또는 패턴 등을 제어하여 펌프 모듈의 작동 상태, 고장 여부, 물통의 세척 시기, 수위 상태 등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공기 조화기용 덕트 110 : 베이스 하우징
120 : 수평 격벽 130 : 상부 하우징
140 : 물통 160 : 펌프 모듈
170 : 보호 격벽 180 : 발광소자

Claims (5)

  1. 벽면형 공기 조화기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로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과시키는 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에 인접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수평 격벽;
    상기 상부 공간을 덮는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 격벽의 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평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통; 및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수평 격벽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면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격벽의 양측에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의 배수관이 상기 측면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제1 유입구 또는 상기 제2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는 상기 수평 격벽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물통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수평 격벽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항상 노출되며,
    상기 물통에 인접하게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상기 물통 또는 수집된 응축수를 통해서 상기 펌프 모듈의 작동 상태를 간접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2. 벽면형 공기 조화기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로 연결되는 파이프를 통과시키는 덕트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화기에 인접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를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분하는 수평 격벽;
    상기 상부 공간을 덮는 상부 하우징;
    상기 하부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수평 격벽의 하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평 격벽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통; 및
    상기 상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펌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연결 부위에는 상기 수평 격벽보다 높은 위치에서 측면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 격벽의 양측에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로부터의 배수관이 상기 측면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제1 유입구 또는 상기 제2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는 상기 수평 격벽의 상부에서부터 상기 물통으로 유입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수평 격벽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항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하부 공간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정면에 장착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상기 물통을 통해 외부로 가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은 좌우 대칭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격벽의 상부 및 상기 상부 공간 내에서 상기 펌프 모듈을 수용하기 위한 보호 격벽이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KR1020190095651A 2019-08-06 2019-08-06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KR102182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51A KR102182148B1 (ko) 2019-08-06 2019-08-06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51A KR102182148B1 (ko) 2019-08-06 2019-08-06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735A Division KR102046060B1 (ko) 2018-12-24 2018-12-24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166A KR20200079166A (ko) 2020-07-02
KR102182148B1 true KR102182148B1 (ko) 2020-11-23

Family

ID=715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651A KR102182148B1 (ko) 2019-08-06 2019-08-06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1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474Y1 (ko) * 2006-04-03 2006-06-21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의 스위치작동장치
JP2007309558A (ja) * 2006-05-17 2007-11-29 Toshiba Kyaria Kk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7155943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日立空調Se ドレンアッ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474Y1 (ko) * 2006-04-03 2006-06-21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에어컨용 응축수 배수펌프의 스위치작동장치
JP2007309558A (ja) * 2006-05-17 2007-11-29 Toshiba Kyaria Kk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7155943A (ja) * 2016-02-29 2017-09-07 株式会社日立空調Se ドレンアッ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166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669B1 (ko) 가습기
KR102101489B1 (ko) 가습기
CA2830444C (en) Ventilation device
EP1929926A2 (en) Dish washing machine with partition between control panel and moisture source
KR101859961B1 (ko) 가습청정장치
CN101796350A (zh) 空气调和机的室内单元
KR20150043573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182148B1 (ko)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JP2017009263A (ja) 空気調和機
KR102091877B1 (ko)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KR102046060B1 (ko)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JP2009204293A (ja) 空気調和装置
CN101498479A (zh) 空调装置
KR102046066B1 (ko) 배수펌프의 물통이 부분적으로 노출된 덕트
JP201113315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1674715B2 (en) Duct exposing reservoir of drain pump
JP514824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8334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2219068A (zh) 室外机
JP5252625B2 (ja) 洗浄機能付きレンジフード
JP6519788B2 (ja) 空気調和機
JP7207000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水洗大便器
JP7213475B2 (ja) 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CN218474454U (zh) 烹饪装置及其腔体排汽结构
CN219976581U (zh) 风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