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127B1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127B1
KR102181127B1 KR1020200065910A KR20200065910A KR102181127B1 KR 102181127 B1 KR102181127 B1 KR 102181127B1 KR 1020200065910 A KR1020200065910 A KR 1020200065910A KR 20200065910 A KR20200065910 A KR 20200065910A KR 102181127 B1 KR102181127 B1 KR 102181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arm
bucket
photographing unit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600A (ko
Inventor
정태섭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건설기계는 건설기계의 선회 가능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와 일측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타측과 일측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암과, 상기 암의 타측과 일측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버킷과,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제3 회전축과 상기 버킷의 투스가 장착된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상기 버킷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버킷의 상기 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 범위에 포함하도록 상기 버킷 보다 상기 붐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기 암의 하측면에 설치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실시예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태치먼트가 동작 가능한 작업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땅을 파거나 토사물을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건설기계는 주행체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 선회체가 위치하며 선회체에는 운전자가 착석 가능한 캐빈이 설치된다. 캐빈에 착석한 운전자는 조작부를 조작하며 건설기계를 이용해 땅을 파거나 토사물을 적재하는 작업을 한다.
이때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의 높이가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 높이보다 높으면 캐빈에 착석한 운전자의 시야에서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을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을 확인하지 못한 채 건설기계를 조작하면 어태치먼트가 암석 또는 다른 작업 영역과 충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태치먼트의 수명 저하 또는 건설기계가 전복될 위험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복 위험과 어태치먼트의 수명 저하를 방지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캐빈에서 내려 직접 육안으로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을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을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전달하는 건설기계를 제공한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건설기계의 선회 가능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와 일측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타측과 일측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암과, 상기 암의 타측과 일측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버킷과,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제3 회전축과 상기 버킷의 투스가 장착된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상기 버킷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버킷의 상기 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 범위에 포함하도록 상기 버킷 보다 상기 붐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기 암의 하측면에 설치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버킷이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버킷이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의 전달을 중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는 건설기계의 선회 가능한 선회체와, 상기 선회체와 일측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붐과, 상기 붐의 타측과 일측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암과, 상기 암의 타측과 일측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브레이커와,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제3 회전축과 상기 브레이커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상기 브레이커의 전체 길이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커 보다 상기 붐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기 암의 하측면에 설치된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브레이커가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브레이커가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의 전달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건설기계는 상기 촬영부가 야간작업에도 촬영 가능하도록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설기계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어태치먼트의 작업 영역을 제어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표시부에 전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촬영부의 촬영범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1)는 주행체(100), 선회체(200), 붐(300), 암(400), 어태치먼트(500), 촬영부(600), 표시부(700), 그리고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설기계(101)는 제1 회전축(310), 제2 회전축(410) 그리고 제3 회전축(510)을 더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체(100)는 건설기계(101)가 작업하는 환경에 따라 휠 타입 또는 무한궤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건설기계(101)는 무한궤도 타입의 주행체(100)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구조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선회체(200)는 주행체(100)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선회체(200)에는 운전자가 착석하여 건설기계(101)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형성된 캐빈(210)이 장착된다. 또한, 선회체(200)에는 건설기계(101)의 주행체(1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붐(300), 암(400) 그리고 어태치먼트(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장치 등이 장착된다.
붐(300)은 선회체(20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붐(300)은 도시되지 않은 붐 실린더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된다.
암(400)은 붐(300)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암(400)은 도시되지 않은 암 실린더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붐(300)은 일측이 선회체(200)와 제1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암(400)의 일측과 제2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어태치먼트(500)는 건설기계(101)의 작업 목적에 따라 버킷, 브레이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500)는 건설기계(101)의 암(400)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어태치먼트(500)는 암(4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시되지 않은 어태치먼트 실린더에 의해 유압으로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암(400)은 일측이 붐(300)의 타측과 제2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이 어태치먼트(500)의 일측과 제3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촬영부(600)는 어태치먼트(500)가 작업 가능한 작업 영역을 촬영한다. 촬영부(600)는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건설기계(101)의 야간작업을 위해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700)는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표시부(700)에 의해 전달된 어태치먼트(500) 주변에 위치하는 암석 등의 장애물을 확인후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700)는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캐빈(2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700)는 별도의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6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600)는 암(40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부(600)는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500) 보다 붐(300)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암(40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부(600)는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촬영범위에 포함되도록 암(4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어태치먼트(500)가 버킷인 경우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촬영부(600)는 버킷의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500)가 브레이커인 경우에도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촬영부(600)는 브레이커의 전체 길이를 촬영할 수 있어 브레이커의 작업 영역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1)는 촬영부(600)가 암(400)에 설치되어 효과적으로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촬영부(600)의 촬영범위는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포함하며 이는 어태치먼트(500)가 작동되는 최대범위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촬영부(600)는 운전자의 시야를 벗어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어태치먼트(500)가 작업을 위해 제3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촬영할 수 있어 어태치먼트(500)의 최대 작업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어태치먼트(500)가 제2 회전축(410)과 제3 회전축(510)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제3 회전축(510)과 어태치먼트(500)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이외에는 촬영부(600)가 어태치먼트(500)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질 지면의 환경 또는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진행 상황 등을 작업자가 표시부(700)로 전달되는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여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표시부(70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는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의 동작을 인식하여 촬영부(600)에서 촬영한 화면을 표시부(7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암(400)의 동작을 인식후 어태치먼트(500)의 동작을 인식하거나 붐(300)의 동작을 인식후 어태치먼트(500)의 동작을 인식하여 촬영부(600)에서 촬영한 화면을 표시부(70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의 구동을 위해 공급되는 유압, 파일럿 신호, 전기신호 또는 별도의 센서 등을 부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의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어부(800)는 건설기계(101)의 작업이 이루어 지지 않는 작업 현장으로 이동 중에는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표시부(700)에 전달하지 않고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해 건설기계(101)가 작업중 이라고 판단하면 운전자에게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표시부(700)로 전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작업중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기술된 유압, 전기 신호등을 검출하여 운전자 시야 확보가 원활한 경우(버킷이 지면 보다 위에 있는 경우)에는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화면을 표시부(700)로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800)는 붐(300)과 암(400) 그리고 어태치먼트(500)의 동작을 위한 실린더의 압력 또는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파일럿 신호, 전기 신호) 또는 별도의 센서 정보를 기초로 어태치먼트(500)가 건설기계(101)의 지면보다 위에 있는지 또는 어태치먼트(500)가 건설기계(101)의 지면보다 아래에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는 버킷 또는 브레이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1)는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표시부(700)에 전달되어 작업자가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기계(101)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낮은 영역에서 어태치먼트(500)가 작업될 경우 작업자가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과 진행 상황을 표시부(700)로 확인할 수 있어 종래의 운전자가 캐빈(210)에서 내려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700)에 의해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작업자가 확인하며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를 조절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태치먼트(500) 주변에 위치하는 암석 또는 다른 작업 영역과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어태치먼트(500)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건설기계(101)의 전복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101)는 제어부(800)가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여 건설기계(101)의 작업을 판단하여 촬영부(600)에서 촬영한 화면을 표시부(700)에 전달하여 건설기계(101)의 굴삭 또는 토사작업등을 수행할 때 촬영부(600)에 촬영한 화면을 표시부(700)에 전달되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00)가 건설기계(101)의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여 굴삭 또는 토사적재 등의 작업이 이루어 질 때 운전자의 시야각 범위 외에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500)의 작업도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되어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이 표시부(700)로 전달되어 운전자가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건설기계(101)의 작업기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00)에 의해 건설기계(101)가 굴삭 또는 토사적재 등의 작업을 수행중이라 판단되면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표시부(700)에 전달되어 어태치먼트(500)의 작업 영역을 운전자가 확인 할 수 있어 어태치먼트(500)가 작업 영역의 암석 등과 같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 할 수 있어 어태치먼트(500)의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고 건설기계(101)의 전복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붐(300), 암(400) 또는 어태치먼트(500)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건설기계(101)가 작업장으로 이동하는 것과 굴삭 또는 토사적재 작업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촬영부(60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 화면을 표시부(700)로 전달시키지 않아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주행체 101: 건설기계
200: 선회체 210: 캐빈
300: 붐 310: 제1 회전축
400: 암 410: 제2 회전축
500: 어태치먼트 510: 제3 회전축
600: 촬영부 700: 표시부
800: 제어부

Claims (5)

  1. 건설기계의 선회 가능한 선회체;
    상기 선회체와 일측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붐;
    상기 붐의 타측과 일측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암;
    상기 암의 타측과 일측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버킷;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제3 회전축과 상기 버킷의 투스가 장착된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상기 버킷의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버킷의 상기 타측 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 범위에 포함하도록 상기 버킷 보다 상기 붐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기 암의 하측면에 설치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및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버킷이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버킷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버킷이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의 전달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삭제
  3. 건설기계의 선회 가능한 선회체;
    상기 선회체와 일측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붐;
    상기 붐의 타측과 일측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암;
    상기 암의 타측과 일측이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브레이커;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연결하는 연장선과 상기 제3 회전축과 상기 브레이커의 타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장선이 직교할 때 상기 브레이커의 전체 길이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브레이커 보다 상기 붐에 상대적으로 인접한 상기 암의 하측면에 설치된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표시부; 및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브레이커가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고,
    상기 붐, 상기 암 또는 상기 브레이커 중 하나이상의 동작을 인식하고, 상기 브레이커가 상기 건설기계가 위치하는 지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정보의 전달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촬영부가 야간작업에도 촬영 가능하도록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
KR1020200065910A 2020-06-01 2020-06-01 건설기계 KR102181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10A KR102181127B1 (ko) 2020-06-01 2020-06-01 건설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910A KR102181127B1 (ko) 2020-06-01 2020-06-01 건설기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130A Division KR20140124979A (ko) 2013-04-17 2013-04-17 건설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00A KR20200066600A (ko) 2020-06-10
KR102181127B1 true KR102181127B1 (ko) 2020-11-20

Family

ID=7108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910A KR102181127B1 (ko) 2020-06-01 2020-06-01 건설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463A (ja) * 2000-10-27 2002-05-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289B1 (ko) * 2009-10-26 2012-07-05 육상조 작업상태의 확인이 가능한 포크레인의 버켓 뷰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8463A (ja) * 2000-10-27 2002-05-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モニ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600A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5840B (zh) 作业机械的周边监视装置以及作业机械的周边监视方法
WO2016013490A1 (ja) 旋回式作業機の周囲表示装置
CN114080481B (zh) 施工机械及支援基于施工机械的作业的支援装置
CN111788358B (zh) 挖土机
WO2019181159A1 (ja) 建設機械
JP2020180513A (ja) ショベル、ショベル用泥落としシステム
KR102181127B1 (ko) 건설기계
WO2021010156A1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CN217352687U (zh) 一种带旋转前臂的装载机
CN215669832U (zh) 装载机
JPH093978A (ja) 作業機械
KR20140124979A (ko) 건설기계
CN113454292A (zh) 挖土机
WO2023153202A1 (ja) 作業エリア設定システム
JP7255454B2 (ja)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JP7324852B2 (ja) 油圧ショベル
WO2023149104A1 (ja) 作業機械およ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H0660658U (ja) 建設機械における旋回速度調節装置
JPH0820975A (ja) 建設機械の監視装置
JPH082191Y2 (ja) 油圧ショベルの安全装置
JP2786716B2 (ja) 作業状態表示装置
JP2022161275A (ja) 高さ制限のある環境でアームおよびブームを用いて作業を行う装置
JP2006103594A (ja) 作業機械の視覚補助装置
JP2537512Y2 (ja) 油圧式パワーショベル
JP2022028379A (ja) 作業機の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