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936B1 - 대상물 혼합 장치 - Google Patents

대상물 혼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936B1
KR102180936B1 KR1020190140379A KR20190140379A KR102180936B1 KR 102180936 B1 KR102180936 B1 KR 102180936B1 KR 1020190140379 A KR1020190140379 A KR 1020190140379A KR 20190140379 A KR20190140379 A KR 20190140379A KR 102180936 B1 KR102180936 B1 KR 102180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irring
contact
central axi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화순
Original Assignee
변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화순 filed Critical 변화순
Priority to KR1020190140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9/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9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 B01F15/00129
    • B01F15/00259
    • B01F15/00487
    • B01F15/0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4Measuring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을 가열 및 교반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이 투입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교반부, 교반부가 삽입되는 바디부 및 교반부와 바디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촬상부는 제2 중심축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봉부 및 둘레면이 교반부의 외주면 및 바디부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봉부에 관통되는 롤러부를 더 포팜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교반 과정을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만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상물에 대한 교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물 혼합 장치{APPARATUS FOR MIXING OBJECT}
본 발명은 대상물 혼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대상물을 보다용이하게 교반하고, 교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대상물의 교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연구 또는 산업 현장, 또는 가정에서, 대상물에 포함된 여러 구성물을 혼합하기 위해 상기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종래의 혼합용 믹서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대상물을 관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고, 진공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상물을 꺼내어 탈포 및 교반이 완료되었는지 도중에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종래의 혼합용 탈포 믹서기는 경험에 기반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작동되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92033호 (2005.08.11. 등록)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5161호 (2005.05.17.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혼합되고 있는 대상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내부로의 전력 공급이 용이하고, 전력 공급의 제어를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대상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대상물을 가열 및 교반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이 투입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교반부, 교반부가 삽입되는 바디부 및 교반부와 바디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상부를 포함하고, 촬상부는 제2 중심축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봉부 및 둘레면이 교반부의 외주면 및 바디부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봉부에 관통되는 롤러부를 더 포팜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교반 과정을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만 대상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에 대한 교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 바디부 및 촬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 및 진동 방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 및 단자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 진동 방지부, 절연부 및 회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에 따른 단자부 및 진동 방지부의 연결 상태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대상물(m)”은 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구비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물 등의 첨가제와 섞여 교반되는 주체를 뜻한다. 또한, “상측 방향”, “하측 방향” 등의 방향을 의미하는 용어는 도면을 기반으로 설명하거나, 후술할 바디부(110)가 지면에 직립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는 대상물(m)을 섞는 교반부(120), 교반부(12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바디부(110), 바디부(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교반부(120)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상부(130), 교반부(120)의 온도를 높이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혼합 장치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120), 바디부(110) 및 촬상부(1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바디부(110)는 교반부(120)가 회전 과정에서 과도하게 큰 진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할 촬상부(130)가 용이하게 교반부(120)의 내부를 촬영하도록 보조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1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교반부(120)가 위치한다. 여기서, 바디부(110) 및 교반부(120)는 서로 동일한 제1 중심축(z1)을 공유하고, 바디부(110)의 내주면은 교반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 길이(d1)의 반경을 갖는다.
교반부(120)는 대상물(m)을 교반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교반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개폐수단을 통해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교반부(120)는 제2 길이(d2)의 반경을 갖고,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회전(s1, 도 2 및 도 3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하여 교반을 위한 액상의 유체 및 대상물(m)을 서로 교반함으로써 교반을 실시한다. 또한, 교반부(12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동력부와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제1 회전(s1)을 실시한다. 또한, 보다 용이한 대상물(m)의 교반을 위해, 교반부(120)는 히팅부(121) 및 차단부(122)를 포함한다.
히팅부(121)는 보다 용이한 대상물(m)의 교반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히팅부(121)는 교반부(120)에 내설된다. 상세하게, 히팅부(121)는 3차원 나선 형상으로 구비되어 교반부(120)의 측면에 내설된다. 여기서, 히팅부(121)는 상하방향으로의 높이에 따라 후술할 차단부(122)에 의해 구획된다. 상세하게, 히팅부(121)의 사이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차단부(122)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122)는 3차우너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히팅부(121)의 상하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상하방향에 위치한 히팅부(121) 사이에서의 열전도를 방지한다. 이에 따라, 히팅부(121)는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구획되고,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은 순차적으로 높은 온도를 갖는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차단부(122)의 두께는 제1 구역에서 제3 구역을 향할수록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의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부(122)의 두께는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제1 구역 및 제2 구역의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부(122)의 두께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대상물(m)의 히팅 및 교반을 동시에 수행할 때, 비교적 높은 온도로 구비되는 하측 방향의 대상물(m) 및 액상의 교반수가 보다 용이하게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류를 돕기 위함이다. 즉, 고온의 대상물(m) 및 교반수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점차 두께가 감소하는 차단부(122)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저온의 대상물(m) 및 교반수는 이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열 대류를 보다 활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촬상부(130)는 교반부(120)의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대상물(m)의 교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촬상부(130)는 바디부(110) 및 교반부(1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에 위치한 카메라부(134)를 통해 교반부(120)의 내부를 촬영한다. 또한, 촬상부(130)는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제1 회전(s1)함으로써 촬영을 실시한다. 보다 용이하고 명확한 대상물(m)의 촬영을 위해, 촬상부(130)는 봉부(131), 진동 방지부(132) 및 롤러부(133)를 포함한다.
봉부(131)는 촬상부(130)의 제1 회전(s1) 및 카메라부(134)의 지속적인 대상물(m) 측정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봉부(131)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바디부(110) 및 교반부(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봉부(131)는 후술할 롤러부(13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하측 방향에는 후술할 진동 방지부(132)가 구비되며, 상측 방향에는 선술한 카메라부(134)가 구비된다. 봉부(131)의 제1 회전(s1)을 통한 공전을 통해, 카메라부(134)는 제1 회전(s1)하는 교반부(120)에 대응하여 대상물(m)을 지속적으로 촬영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대상물(m)의 형태를 보다 용이하고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다.
진동 방지부(132)는 봉부(131)가 제1 회전(s1)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진동 방지부(132)는 봉부(1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진동 방지부(132)의 하면은 바디부(110)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진동 방지부(132)가 지속적으로 바디부(110)와 면접촉을 이룸에 따라, 봉부(131)가 제1 회전(s1) 과정에서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바디부(110)는 가이드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1)는 진동 방지부(132)의 회전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가이드부(111)는 진동 방지부(132)가 미리 지정된 경로만을 따라 제1 중심축(z1)을 중심축으로 제1 회전(s1) 및 공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11)는 바디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원 테 형상으로 형성되어 진동 방지부(132)의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진동 방지부(132)의 공전 경로 상에 형성된다. 즉, 진동 방지부(132)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이에 따라, 진동 방지부(132)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가이드부(111)를 따라 공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봉부(131)의 의도치 않은 떨림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어 대상물(m)의 보다 명확한 촬영이 가능하다.
롤러부(133)는 회전 운동을 통해 봉부(131)를 공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롤러부(133)는 하나 이상 구비되고 제2 회전(s2)을 통해 봉부(131)를 제1 회전(s1)시킨다. 이를 위해, 롤러부(133)는 롤러 형태로 구비되어 봉부(13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외주면이 바디부(110)의 내주면 및 교반부(120)의 외주면과 동시에 접하도록 상기 소정의 간격(d3)만큼의 직경을 갖는다. 이를 통해, 롤러부(133)는 교반부(120)의 외주면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교반부(120)의 제1 회전(s1)에 대응하여 봉부(131)의 중심축인 제2 중심축(z2)을 중심으로 제2 회전(s2, 도 3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뜻함)한다. 여기서, 봉부(131)는 한 쌍의 가이드부(111)에 삽입된 진동 방지부(132)와 연결되기 때문에, 롤러부(133)와 일체로 제2 회전(s2)하지 않고 제1 중심축(z1)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롤러부(133)가 구비됨으로써, 카메라부(134)를 교반부(12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롤러부(133)는 교반부(1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교반부(120)의 속도와 관계 없이 지속적으로 선명한 대상물(m)의 촬영이 가능하다.
카메라부(134)는 교반부(120)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m)을 촬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부(134)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추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133)의 내부를 나타내는 평면 방향의 단면도이다.
롤러부(133)는 원통형의 주행부(1331), 상기 주행부(1331)의 내주면에 접하고 봉부(131)의 외주면에 접하는 복수의 완충부(13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롤러부(133)의 회전이 용이해지고, 진동으로 인한 대상물(m)의 촬영 장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카메라부(134)의 이동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행부(1331)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부(133)의 바디부(110) 및 교반부(120)와의 마찰이 증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진동으로 인한 대상물(m)의 촬영 장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촬상부(130)의 이동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주행부(1331)의 외주면은 탄성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부(133)의 바디부(110) 및 교반부(120) 사이에서의 마찰이 증가하는 효과를 도출하여, 헛도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140) 및 단자부(14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력공급부(140)는 외부에 별도 구비되는 전력 공급수단을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카메라부(1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전력공급부(140)는 봉부(13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봉부(131)를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봉부(131)와 일체화된다. 한편, 전력공급부(140)는 후술할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접촉 시에만 카메라부(134)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자부(141)는 후술할 접촉부(151)와의 접촉을 통해 통전되어 공급되는 전력을 카메라부(134)로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단자부(141)는 전력공급부(140)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여 일단이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향하고 타단이 봉부(131)를 향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단자부(14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양 단자 및 음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자부(141)는 후술할 접촉부(151)와 접함으로써 외부 전력을 공급받고, 카메라부(134)는 이를 통해 교반부(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대상물(m)을 지속적으로 관찰 및 촬영할 수 있다.
접촉부(151)는 선술한 단자부(141)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외부 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접촉부(151)는 바디부(11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접촉부(151)는 바디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되, 단자부(141)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접촉부(151)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통해, 봉부(131)가 제1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과정에서, 단자부(141)는 접촉부(151)와 지속적인 면접촉을 이루면서 지속적으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카메라부(134)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절연부(142)는 한 쌍의 단자부(141)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절연부(142)는 전력공급부(140)의 외주면으로부터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향하는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절연부(142)는 통전되지 않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부(142)가 구비됨으로써, 단자부(141)가 외력에 의해 서로 접근하더라도 상기 절연부(142)에 가로막혀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누전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부(142) 및 회전부(15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회전부(150)의 회전에 따른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연결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회전부(150)는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접촉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지속적인 접촉 시, 대상물(m)의 관측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도 카메라부(134)에는 외부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회전부(150) 구성을 개시한다.
회전부(150)는 바디부(110) 및 접촉부(15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회전부(150)는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150)의 내측 방향에는 선술한 접촉부(151)가 구비되되, 상기 접촉부(151)는 단자부(141)와 동일하거나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전부(150)가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제3 회전(s3)함으로써 접촉부(151)는 상기 회전부(1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하고, 이로 인해 단자부(141)는 접촉부(151)와 접촉이 해제되며 카메라부(134)로 향하는 외부 전력의 공급이 해제된다.
회전부(150)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일면에는 음각홈(152)이 더 구비된다. 음각홈(152)은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접촉 해제 시, 단자부(141)의 위치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단자부(141)는 탄성체(143)에 의해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향해 접근하는 과정에서 음각홈(152)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단자부(141)가 무분별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절연부(142)의 둘레면은 제3 회전(s3)하는 접촉부(151)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접촉부(151)에 대응하여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51)의 보다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접촉부(151) 간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력공급부(140)는 마킹부(160) 및 측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킹부(160) 및 측정부(170)는 회전부(150)의 회전에 따른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접촉 해제를 인식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마킹부(160) 및 측정부(170)는 전력공급부(140)의 내부에 위치한다.
마킹부(160)는 단자부(141)의 위치 변동에 가변하여 이동한다. 상세하게, 마킹부(160)는 탄성체(143)를 통해 단자부(141)와 연결되고,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마킹부(160)는 후술할 측정부(170)가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색되어 구비될 수 있다.
측정부(170)는 마킹부(160)를 촬영한 결과에 따라 단자부(141)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측정부(170)는 마킹부(160)의 내측 방향에 구비되고 위치 고정된다. 또한, 측정부(170)는 측정 및 연산수단으로 구비되어 외측 방향에 위치한 마킹부(160)를 촬영하고, 촬영된 마킹부(160)의 원 단면의 넓이(a1)를 산출한다. 또한, 측정부(170)는 미리 저장된 기준 넓이(a0)와 산출된 마킹부(160)의 넓이(a1)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마킹부(160)와 일체로 이동하는 단자부(141)의 음각홈(152) 삽입 여부 및 회전부(150)의 제3 회전 여부를 판단한다.
도 9a 및 도 10a는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가 서로 접촉하는 경우로서, 외부 전력이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를 통과하여 카메라부(134)로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는 서로 접촉되며, 한 쌍의 단자부(141) 및 한 쌍의 접촉부(151) 각각은 절연부(142)에 의해 접촉이 방지된다. 또한, 탄성체(143)를 통해 단자부(141)와 연결된 마킹부(160)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전력공급부(140)의 내부에서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측정부(170)가 측정 및 산출한 마킹부(160)의 단면 넓이(a1)는 기준 넓이(a0)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
도 9b 및 도 10b는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카메라부(134)로의 전력 공급이 중지되는 경우이다. 상세하게, 회전부(150)가 제3 중심축(z3)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접촉부(151)는 상기 회전부(150)와 일체로 제3 회전(s3)한다. 여기서, 회전부(150) 및 접촉부(151)가 90도만큼 제3 회전(s3)할 경우, 단자부(141) 및 접촉부(151) 간의 접촉이 해제되고 단자부(141)는 탄성체(143)의 복원력에 의해 음각홈(152)에 삽입된다. 또한, 마킹부(160)는 단자부(141)와 일체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 상태의 측정부(170)가 촬영하여 산출된 상기 마킹부(160)의 단면 넓이(a1)는 기준 넓이(a0)보다 작도록 구비된다. 이에 측정부(170)는 마킹부(160)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단자부(141)가 접촉부(151)와 접촉 해제되어 음각홈(152)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추가적으로, 측정부(170)는 별도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연결되어 카메라부(134)를 향하는 전력의 차단을 알림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전력 공급 파악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단자부(141), 접촉부(151), 절연부(142), 및 회전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대상물(m)을 보지 않을 경우 회전부(150)를 제3 회전(s3)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음각홈(152)이 구비됨으로써 단자부(141)가 회전부(150) 및 접촉부(151)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게 위치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7)

  1. 대상물(m)을 가열 및 교반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m)이 투입되고,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대상물(m)을 교반하는 원통 형상의 교반부(120);
    상기 교반부(120)가 삽입되는 바디부(110); 및
    상기 교반부(120) 및 바디부(11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교반부(120)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상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촬상부(130)는,
    제2 중심축이 구비되는 원통 형상의 봉부(131); 및
    둘레면이 상기 교반부(120)의 외주면 및 상기 바디부(11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상기 봉부(131)에 관통되는 롤러부(133);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120)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할 시,
    상기 롤러부(133)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2 회전함에 따라 상기 촬상부(130)는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120)에 내설되는 3차원 나선 형상의 히팅부(12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부(121)는 상하방향으로의 높이에 따라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130)는,
    상기 봉부(13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하면과 접하는 진동 방지부(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방지부(132)의 외측 방향 및 내측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환 형상의 가이드부(1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방지부(132)는 상기 가이드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13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촬상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외부전력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전력공급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140)로부터 상기 바디부(110)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단자부(141);
    상기 바디부(1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단자부(141)와 대응되도록 접하는 접촉부(151); 및
    상기 한 쌍의 단자부(141)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부(141) 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절연부(1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의 내주면 및 상기 접촉부(151)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접촉부(151)를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제3 회전시키는 회전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150)의 상기 제3 회전 시, 상기 접촉부(151) 및 단자부(141)와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외부전력의 공급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물 혼합 장치.
KR1020190140379A 2019-11-05 2019-11-05 대상물 혼합 장치 KR102180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79A KR102180936B1 (ko) 2019-11-05 2019-11-05 대상물 혼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79A KR102180936B1 (ko) 2019-11-05 2019-11-05 대상물 혼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936B1 true KR102180936B1 (ko) 2020-11-19

Family

ID=7367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379A KR102180936B1 (ko) 2019-11-05 2019-11-05 대상물 혼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9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61Y1 (ko) 2005-03-15 2005-05-24 강남선 교반 및 탈포장치
KR100509203B1 (ko) 2003-11-01 2005-08-18 김영만 교반 및 탈포 장치
JP2014113185A (ja) * 2012-12-06 2014-06-26 Panasonic Corp 洗濯機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1483A (ko) * 2015-10-07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203B1 (ko) 2003-11-01 2005-08-18 김영만 교반 및 탈포 장치
KR200385161Y1 (ko) 2005-03-15 2005-05-24 강남선 교반 및 탈포장치
KR101680662B1 (ko) * 2010-03-15 201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13185A (ja) * 2012-12-06 2014-06-26 Panasonic Corp 洗濯機
KR20160084698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70041483A (ko) * 2015-10-07 2017-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JP2017079861A (ja) * 2015-10-23 2017-05-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524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capsule endoscope in the digestive tract of a human body
US100762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a capsule endoscope in digestive tract of a human body
JP4261188B2 (ja) 実験室用試験容器内の材料を撹拌部材により混合し均質化するための装置
KR102180936B1 (ko) 대상물 혼합 장치
US20170303895A1 (en) Ultrasonic wave generating device and procedure method using the same
CN105892218B (zh) 一种全景云台及其控制系统
KR100816005B1 (ko) 원자로 내부 육안검사 장치
US20150174539A1 (en) Apparatus for the homogenization and separation of samples
CN105627995A (zh) 摄像装置、转动装置、测距装置、测距系统和测距方法
JP2006322742A (ja) 溶出試験器
CN107361630B (zh) 底部加热的磁力搅拌机
JP2021104507A (ja) 遠心機において使用される検出器及び検出システム
KR102093181B1 (ko) 혼합용 탈포 믹서기
JP2016159187A (ja) 攪拌装置及び攪拌装置システム
JP2003057249A (ja) 攪拌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分析装置
CN105988333B (zh) 传送机构、显影装置以及图像形成设备
CN114288902B (zh) 能够自动定量分配的建筑材料混合设备及使用方法
JPH11244680A (ja) 撹拌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反応装置
CN205948797U (zh) 一种粮谷样品混匀用的混合器
TR201901195A2 (tr) Suda vakum altında pişirme fonksiyonu sağlayan bir fırın ve ilgili yöntem.
JP2010017626A (ja) 回転子及びこれを用いた攪拌装置
JP2007245000A (ja) 撹拌装置
CN213942941U (zh) 高稳定性磁力搅拌器
JP5541241B2 (ja) X線撮影装置
JPS60156538A (ja) 液体または粉体の撹拌,混合及び混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