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203B1 - 교반 및 탈포 장치 - Google Patents

교반 및 탈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203B1
KR100509203B1 KR10-2003-0077121A KR20030077121A KR100509203B1 KR 100509203 B1 KR100509203 B1 KR 100509203B1 KR 20030077121 A KR20030077121 A KR 20030077121A KR 100509203 B1 KR100509203 B1 KR 100509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otor
transmission shaft
rotat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730A (ko
Inventor
김영만
이건의
Original Assignee
김영만
이건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만, 이건의 filed Critical 김영만
Priority to KR10-2003-007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2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9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전 및 자전하는 용기에 담긴 피처리물을 교반 및 탈포하기 위하여 용기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교반 및 탈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엄감속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 담긴 용기의 자전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워엄감속기의 워엄휠의 회전방향을 제1피동기어어 맞물리는 자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때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도 자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수 있어 자전모터의 용량이 작아도 높은 토르크를 갖고 회전속도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교반 및 탈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공전용모터(10)와, 상기 공전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 공전축(20)과, 상기 공전축에 고정 연결된 암(30)과,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암의 선단에 용기(41)가 동기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자전축(40)과, 상기 공전축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동축(50)과, 상기 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된 전달축(60)과, 상기 전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축에 고정된 제1구동기어(70)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80)와,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고정된 제2구동기어(90)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자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전축에 고정된 제2피동기어(100)와, 자전용모터 (110)와, 상기 자전용모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축(5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은 워엄(211)과 워엄휠(212)을 구비한 워엄감속기(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반 및 탈포 장치{DEVICE FOR STIRRING AND DEFOAMING LIQUID}
본 발명은 공전 및 자전하는 용기에 담긴 피처리물을 교반 및 탈포하기 위하여 용기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교반 및 탈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엄감속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 담긴 용기의 자전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워엄감속기의 워엄휠의 회전방향을 제1피동기어어 맞물리는 자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자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때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 도 자전속도를 줄이거나 멈출수 있어 자전모터의 용량이 작아도 높은 토르크를 갖고 회전속도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교반 및 탈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나 분체와 같은 피처리물을 섞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피처리물을 용기에 담아 상기 용기를 공전시킴과 동시에 자전시킴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 및 탈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 특허공보 제2711964호,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3213735호에는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교반 및 탈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공보 제2711964호, 및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3213735호에 개시된 교반 및 탈포 장치는, 상기와 같이 공전속도와 자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자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암을 구비한 공전축을 공전용모터로 회전시켜 상기 자전축에 설치된 용기를 공전시키며, 상기 공전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상기 공전축과 동심으로 설치된 전동축을 자전용모터(또는 제3213735호의 경우 브레이크제어기)를 제어하여 상기 전동축으로부터 상기 자전축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전동수단이나 벨트전동수단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자전축을 회전시켜 용기를 자전시킨다. 상기 교반 및 탈포 장치는 상기 자전용모터는 공전되지 않지만 상기 공전축과 동심으로 설치된 전동축을 통해 상기 암과 일체로 공전되는 동력전달수단 및 자전축에 자전을 위한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그런데, 일본 특허공보 제2711964호, 및 일본 특허공보 특허제3213735호에 개시된 교반 및 탈포 장치는, 공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용기, 자전축 및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암과 일체로 전동축의 주위를 회전(공전)하기 때문에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전동축에 연결된 자전축과 용기는 상기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자전)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상기 전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태양기어(구동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와 맞물려 상기 공전축 및 암과 일체로 공전하는 유성기어로 된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공전축의 회전으로 유성기어는 상기 태양기어의 주위를 회전(공전)하면서 상기 암에 대하여 회전(자전)하기 때문에 상기 유성기어에 연결된 자전축은 반드시 자전된다. 상기와 같은 공전축의 회전으로 반드시 수반되는 자전축의 자전은 상기 전동축이 상기 공전축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용기가 자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전동축을 공전축과 같은 방향으로 기어비에 맞추어 동일하게 회전시켜야 하고, 또 상기 용기의 회전수를 감소한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자전용모터 또는 파우더 브레이크로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자전용모터 또는 파우더 브레이크로 회전을 제어하는 경우에 용기에 수용된 피처리물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는 자전용모터와 파우더 브레이크에 설정된 값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마찰되는 면에서 슬립이 일어나서 자전속도를 정확히 제어하기 어려워 에러가 발생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워엄감속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 담긴 용기의 자전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워엄감속기의 회전방향을 자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동기어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전모터의 용량이 작아도 높은 토르크를 갖고 회전속도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교반 및 탈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워엄감속기는 워엄휠에서 워엄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워엄이 회전되지 않아서 브레이크기능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공전용모터와, 상기 공전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 공전축과, 상기 공전축에 고정 연결된 암과,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자전축과, 상기 공전축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전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동축과, 상기 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된 전달축과, 상기 전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축에 고정된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고정된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자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전축에 고정된 제2피동기어와, 자전용모터와, 상기 자전용모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워엄과 워엄휠을 구비한 워엄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상기 워엄감속기는 워엄의 리드각이 워엄휠의 치면의 마찰각보다 작아서 워엄휠의 토르크이 워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반 및 탈포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공전용모터(10)와, 상기 공전용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 공전축(20)과, 상기 공전축에 고정 연결된 암(30)과,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선단에 용기(41)가 동기적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자전축(40)과, 상기 공전축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동축(50)과, 상기 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된 전달축(60)과, 상기 전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축에 고정된 제1구동기어(70)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80)와,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고정된 제2구동기어(90)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자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전축에 고정된 제2피동기어(100)와, 자전용모터(110)와, 상기 자전용모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축(50)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00)은 워엄과 워엄휠을 구비한 워엄감속기(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지지 구조인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된 하우징(2)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2)과 상기 자전용모터(110) 및 공전용모터(10)가 설치되며, 하부에는 상기 교반 및 탈포 장치를 이동시키기 편리하도록 바퀴(3)가 설치된다. 상기 자전용모터(110)와 공전용모터(10)는 각각 상기 베이스(1) 상부에 고정된 모터설치용브라켓(4,5) 각각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에는 상기 전동축(50)과 상기 공전축(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흡진부재(6,7)가 상기 베이스(1)와 상기 하우징(2) 사이에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흡진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흡진부재(6,7)가 하우징(2)에 의해 2중으로 설치된 것이다. 상기 흡진부재(6,7)로는 탄성재질의 고무패킹이나 스프링 및 댐퍼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전동축(50)은 상기 하우징(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동축(50)은 상기 하우징(2)에 고정된 베어링고정용 부쉬(8,9) 각각에 외륜이 압입 고정된 베어링(8a,9a)의 내륜에 압입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동축(50)의 하단부에는 벨트풀리(51)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벨트풀리(51)는 상기 자전용모터(110)의 도시되지 않은 모터축에 워엄가 고정되고, 이 워엄에 치합된 워엄휠기어에 설치된 워엄감속기(210)에 결합된 벨트풀리(220)와 벨트(230)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축(50)은 상기 자전용모터(110)의 회전에 의해 워엄감속기(210)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벨트풀리(220)에 의해 벨트풀리(51)로 전달되어 회전된다.
상기 공전축(20)은 상기 공전용모터(10)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전동축(50)과 동심으로 설치된다. 상기 공전축(20)에는 상기 용기(41)가 설치된 암(30)이 고정되며, 상기 용기(41)는 상기 공전축(20)의 회전으로 공전된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상기 전동축(50)의 중앙에 중공(50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전축(20)은 상단부가 상기 중공(50a)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중공(50a)에 삽입되어 상기 전동축(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암(30)은 상기 공전축(20)의 상단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동축(50)과 공전축(20)은 동심으로 설치되면서 겹쳐지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전체 길이가 작아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전축(20)은 전동축(5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중공(50a)에 동심으로 삽입되어 베어링(310,320)에 의해 상기 전동축(5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상기 공전축(20)이 하단부가 상기 전동축(50)의 중공(50a) 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동축(50)의 중공(50a)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전동축(50)의 중공(50a) 하부로 노출된 상기 공전축(2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바란스휠(3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란스휠(330)은 일반적으로 무게가 무겁고, 상기 공전축(20)의 축선에 회전중심이 위치되도록 상기 공전축(20)에 고정된 질량체로서 회전 관성력을 발생시켜 공전축(20)의 회전속도를 균일하게 한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전축(20)의 하단부에는 벨트풀리(340)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벨트풀리(340)는 상기 공전용모터(10)의 모터축(11)의 벨트풀리(350)와 벨트(360)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전축(20)은 상기 공전용모터(10)의 회전으로 회전된다.
상기 암(30)은 상기 공전축(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공전축(10)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공전시 편심에 의한 진동을 방지되도록 상기 암(30)이 상기 공전축(1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된 양단부 각각에 자전축(40) 및 용기(41) 등이 대칭적으로 설치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암(30)에는 상기 자전축(40) 및 용기(41) 등이 비대칭적으로 설치되고, 그에 따른 편심을 웨이트밸런스를 상기 자전축(40) 및 용기(41)의 반대측에 설치하여 없애는 기술은 당업자에게 당연한 사항이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암(30)은 연결플랜지(370)에 의해 상기 공전축(20)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상기 자전축(40)은 상기 암(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암(30)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전축(40)은 상기 암(30)에 고정된 베어링부쉬(31)에 외륜이 압입 고정된 베어링(31a)의 내륜에 압입 고정되어 상기 암(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자전축(40)의 상단부에는 용기(41)가 고정 설치된다. 특히, 상기 자전축(40)은 상기 용기(41)에 수용된 피처리물(도면에 미도시)이 공전에 의한 원심력을 상기 용기(41)의 바닥면 방향으로 받도록 상부가 공전중심으로 모아지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상기 용기(41)는 상기 자전축(4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전축(40)에 고정된다. 상기 용기(41)에는 교반 및(또는) 탈포 처리되기 위한 용액이나 액체와 같은 피처리물(도면에 미도시)이 수용된다. 상기 용기(41)에 수용된 피처리물은 상기 용기(41)의 공전으로 강한 원심력을 상기 용기(41)의 바닥면 방향으로 받아 상기 용기(41)의 바닥면으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피처리물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기포는 상기 용기(41)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여 상기 피처리물의 표면에서 터짐으로써 상기 피처리물은 탈포 처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전에 의해 상기 용기(41)의 바닥면으로 원심력을 받아 상기 용기(41)의 바닥면에 밀착된 피처리물은 상기 용기(41)의 자전으로 슬리브(Slive)현상에 의해 점도가 풀리고 점도가 풀린 피처리물은 상기 용기(41)의 중심으로 쏠리고 점도가 덜 풀린 피처리물은 상기 용기(41)의 바닥 측면에서 바닥으로 원심력을 받는 작용이 반복되면서 상기 피처리물은 교반된다.
상기 공전축(20)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암(30)과 함께 전달축(60)이 상기 공전축(20)을 중심으로 공전하면 상기 전동축(50)과 상기 공전축(20)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전동축(50)에 연결된 전달축(60)은 상기 암(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축(60)의 공전은 반드시 자전을 수반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전용모터(10)은 회전하고 상기 자전용모터(110)가 정지된 상태를 가정하면, 상기 공전용모터(10)의 회전으로 상기 공전축(20)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암(30) 및 상기 전달축(60)이 상기 전동축(5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런데, 상기 자전용모터(110)는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전동축(50)도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전동축(50)에 연결된 상기 공전축(20)과 상기 전동축(50)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 변위가 발생되고, 상기 전동축(50)에 제1구동기어(70)와 제1피동기어(80) 및 제2구동기어(90)가 연결된 전달축(60)은 상기 암(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공전용모터(10)만 작동하면 공전축(20)이 회전하게 되고, 이 공전축(20)의 회전은 연결플랜지(370)에 의해 암(30)으로 전달되어 상기 전달축(60)을 공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전달축(60)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80)가 제1구동기어(70)와 치합되면서 회전하게 되며, 이 제1피동기어(80)와 전달축(60)에 설치된 제2구동기어(90)도 회전하면서 제2피동기어(100)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용기(41)가 공전하면서 치차비에 따른 자전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전용모터(10)는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피엘씨(PLC)와 인버터 (INVERTER)로부터 필요한 회전수에 맞는 입력값을 입력하여 출력값을 받아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41)에 자전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자전용모터(110)를 작동하면되는데, 이때 상기 자전용모터(110)도 공전용모터 (10)와 같이 공지의 피엘씨(PLC)와 인버터 (INVERTER)로부터 필요한 회전수에 맞는 입력값을 입력하여 출력값을 받아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자전용모터 (110)의 회전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서 전동축(50)을 통해 제1구동기어(70)로 전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비가 10:1인 워엄감속기(210)와, 이 워엄감속기의 워엄휠에 동기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풀리(220)와, 상기 전동축에 고정된 벨트풀리(51)와, 상기 풀리(220)와 벨트풀리(51)에 연결된 벨트(230)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암(30)은 상기 연결플랜지(370)와 고정되는 기어조립판(31)과, 이 기어조립판의 양측벽에 수직으로 세워진 보조플레이트 (32)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전용모터(110)에 일정한 값이 입력되어 회전하면 상기 워엄감속기(210)에 의해 감속된 토르크이 벨트풀리(51)를 통해 전동축(5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전동축(50)의 상부에 고정된 제1구동기어(70)가 공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용기(41)의 자전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전용모터(110)의 회전에 의해서 용기(41)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은 상술한 피엘씨와 인버터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해두고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에 입력하게 되면 설정치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용기(41)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기어(70)의 회전방향이 상기 제1피동기어(80)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큰 부하가 걸리지 않으면서도 감속이 용이하게 되므로 자전용모터(110)의 용량이 작아도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전달축(60)과, 제1구동기어(70)와, 제1피동기어(80)와, 제2구동기어(90), 및 제2피동기어(100)가 서로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달축(60)은 상기 암(3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전달축(60)은 상단부가 상기 암(30)의 기어조립판(31)에 외륜이 고정된 베어링(33)의 내륜에 압입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암(30)의 하부에 고정된 보강브라켓(34)에 외륜이 고정된 베어링(35)의 내륜에 압입 고정되어 상기 암(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워엄감속기(210)는 워엄의 리드각이 워엄휠의 치면의 마찰각보다 작아서 워엄휠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때 워엄이 회전하지 않아 역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즉, 공전하는 상기 제1피동기어(80)와 치합되어 자전의 방향으로 제1구동기어(70)에 토르크이 발생할 경우에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워엄휠에 전달된 토르크은 워엄의 역방향 회전방지 기능에 의해 브레이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는, 워엄감속기를 이용하여 피처리물이 담긴 용기의 자전속도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워엄감속기의 회전방향을 자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동기어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로하면서 회전속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전모터의 용량이 작아도 높은 토르크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워엄감속기는 워엄휠에서 워엄으로 전달되는 토르크에 의해 워엄이 회전되지 않아서 브레이크기능을 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반 및 탈포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사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공정용모터 20 공전축
30 암 40 자전축
41 용기 50 전동축
60 전달출 70 제1구동기어
80 제1피동기어 90 제2구동기어
100 제2피동기어 110 자전용모터
200 동력전달수단 210 워엄감속기
211 워엄 212 워엄휠

Claims (2)

  1. 공전용모터와, 상기 공전용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설치된 공전축과, 상기 공전축에 고정 연결된 암과,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자전축과, 상기 공전축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공전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전동축과, 상기 암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암에 설치된 전달축과, 상기 전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동축에 고정된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전달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설치된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전달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전달축에 고정된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자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전축에 고정된 제2피동기어와, 자전용모터와, 상기 자전용모터의 동력을 상기 전동축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교반 및 탈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워엄과 워엄휠을 구비한 워엄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엄감속기는 워엄의 리드각이 워엄휠의 치면의 마찰각보다 작게 형성되어, 워엄휠의 토르크에 의해 워엄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 및 탈포 장치.
KR10-2003-0077121A 2003-11-01 2003-11-01 교반 및 탈포 장치 KR100509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121A KR100509203B1 (ko) 2003-11-01 2003-11-01 교반 및 탈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121A KR100509203B1 (ko) 2003-11-01 2003-11-01 교반 및 탈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30A KR20030097730A (ko) 2003-12-31
KR100509203B1 true KR100509203B1 (ko) 2005-08-18

Family

ID=3238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121A KR100509203B1 (ko) 2003-11-01 2003-11-01 교반 및 탈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2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81B1 (ko) 2019-10-01 2020-03-25 박영훈 혼합용 탈포 믹서기
KR102180936B1 (ko) 2019-11-05 2020-11-19 변화순 대상물 혼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5144B (zh) * 2018-06-28 2020-10-30 长乐市丽智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烘焙食品生产用原料搅拌装置
KR20230060992A (ko) 2021-10-28 2023-05-08 김병훈 다용도 분쇄 회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181B1 (ko) 2019-10-01 2020-03-25 박영훈 혼합용 탈포 믹서기
KR102180936B1 (ko) 2019-11-05 2020-11-19 변화순 대상물 혼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730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4493B2 (ja) 攪拌脱泡装置
JPH0671110A (ja) 液体の攪拌・脱泡方法及び装置
WO2012172664A1 (ja) 攪拌・脱泡装置
JPH1043568A (ja) 混練装置
JPH07289873A (ja) 溶剤等の攪拌・脱泡装置
JP4068981B2 (ja) 攪拌脱泡装置
JP2011050814A (ja) 攪拌脱泡装置
JP4291913B2 (ja) 混合攪拌装置
WO2009020167A1 (ja) 攪拌脱泡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容器
KR100509203B1 (ko) 교반 및 탈포 장치
JP2015016403A (ja) 撹拌脱泡装置
JP6705968B2 (ja) 公転自転装置
JPH11226375A (ja) 混合脱泡装置における揺動機構
JP6647754B2 (ja) 遠心機、及び駆動機構
JP2008178850A (ja) 被攪拌材の攪拌・脱泡装置
US5190375A (en) Agitator with a rotary shaft and hollow shaft for stirring and mixing materials
JP2006263697A (ja) 超音波を用いた被攪拌材の攪拌・脱泡方法とその装置
EP2857090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rbital movement in a plane for a fluid sample
KR100486942B1 (ko) 교반 및 탈포 장치
CN208975222U (zh) 公自转齿轮传动组件及搅拌消泡机
JP2009291700A (ja) 攪拌脱泡装置
JP2011092912A (ja) 攪拌脱泡方法及び攪拌脱泡装置
CN115338045A (zh) 离心驱动装置及离心设备
JP2010260042A (ja) 被攪拌材の攪拌・脱泡装置
JP2004074130A (ja) 溶剤等の攪拌・脱泡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