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082B1 - 난방용수관 구조 - Google Patents

난방용수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082B1
KR102180082B1 KR1020190087749A KR20190087749A KR102180082B1 KR 102180082 B1 KR102180082 B1 KR 102180082B1 KR 1020190087749 A KR1020190087749 A KR 1020190087749A KR 20190087749 A KR20190087749 A KR 20190087749A KR 102180082 B1 KR102180082 B1 KR 102180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ust pocket
pipe
foreign matt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택
Original Assignee
(주)드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드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8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0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8Drai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난방용 온수의 순환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난방용수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밸브(4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용수에 포함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일정주기로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면,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이 난방용수와 함께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가라앉은 이물질에 의해,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에 의해 난방되는 하층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난방용수관 구조{heating pipe structure}
본 발명은 내부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난방용 온수의 순환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난방용수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층으로 구성된 건축물에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된 난방용수관으로 구성된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를 상기 난방용수관을 통해 순환시킴으로써, 건축물을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난방용수관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공급측 입상관(10) 및 순환측 입상관(20)과, 양단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과 순환측 입상관(20)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관(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30)은 상호 상하방향으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과 순환측 입상관(2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0)의 지름은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의 지름이 가장 작고, 상측에 위치된 연결관(30)의 지름은 크게 구성되어, 각각의 연결관(30)을 통해 흐르는 난방용수의 유량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의 지름은,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의 지름에 대응되도록 점차 지름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난방용수는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을 통해 공급된 후, 상기 연결관(30)을 통해 각 층을 단방하고, 상기 순환측 입상관(20)을 통해 보일러로 순환된다.
그런데, 이러한 난방장치에서 사용되는 난방용수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시간이 경과되면 난방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가장 하측에 위치된 연결관(30)으로 공급되는 난방용수의 흐름이 나빠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에 의해 난방되는 하층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3170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쌓인 이물질에 의해 난방용 온수의 순환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난방용수관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공급측 입상관(10)과,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관(30)을 포함하는 난방용수관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이물질이 저장되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밸브(40)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제어식밸브를 이용하고,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수단(5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을 개폐하는 보조밸브(60)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더스트포켓(1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80)와, 상기 이물질감지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출밸브(40)가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감지수단(50)은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회전축(51)의 내측단에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비된 회전바(53)와, 상기 회전바(53)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52)에 의해 회전축(51)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바(53)에 작용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수단(5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52)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바(53)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저항이 작용되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조밸브(60)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70)을 작동시켜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수단(100)은 상면에 배기구(101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난방용수를 저장하며 일측에는 막음판(101b)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01a)가 형성된 저장통체(101)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공급측입상관(10)과 연결관에 각각 연결된 순환관(102a)이 구비된 가열판(102)과, 상기 순환관(102a)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측입상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가 상기 순환관(102a)을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103)와, 상기 막음판(101b)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04)과,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체(101)로 배출된 후 건조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하는 스크랩퍼(105)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저장통체(101)로 배출되도록 한 후, 상기 펌프(103)를 구동시켜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를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습도센서(10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104)을 작동시켜 막음판(101b)을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랩퍼(105)를 작동시켜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남은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관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밸브(4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용수에 포함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일정주기로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면,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이 난방용수와 함께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가라앉은 이물질에 의해,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에 의해 난방되는 하층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용수관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난방용수관의 공급측 입상관과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3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의 제3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수관 구조를 대한 것으로, 상기 난방용수관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공급측 입상관(10)과,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관(30)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연결관(30)의 지름은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의 지름이 가장 작고, 상측에 위치된 연결관(30)의 지름은 크게 구성되어, 각각의 연결관(30)을 통해 흐르는 난방용수의 유량의 밸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에는 지름이 작은 배출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배출부(11a)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밸브(40)는 전자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배출부(11a)를 개폐하는 전자제어식밸브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난방용수관 구조에 따르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밸브(40)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난방용수에 포함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다.
그리고, 관리자가 일정주기로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이 난방용수와 함께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으로 가라앉은 이물질에 의해, 가장 하측의 연결관(30)에 의해 난방되는 하층의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수단(5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을 개폐하는 보조밸브(60)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더스트포켓(1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80)와, 상기 이물질감지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출밸브(40)가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이물질감지수단(50)은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회전축(51)의 내측단에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비된 회전바(53)와, 상기 회전바(53)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52)에 의해 회전축(51)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바(53)에 작용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수단(54)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51)은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된 관통공(11b)을 통해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11b)에는 회전축(51)과 관통공(11b)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도시 안된 패킹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52)는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1)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일정주기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축(51)을 정해진 시간동안 일방향(본 실시예의 경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바(53)는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51)이 결합되는 결합공(53a)이 형성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51)의 단부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홈(41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53)의 결합공(53a)에는 상기 오목홈(41a)에 삽입되는 삽입핀(53b)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53)가 일정각도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은 상기 오목홈(41a)의 반시계방향쪽 내측면에 구비되는 로드셀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바(53)에 작용되는 저항에 의해 삽입핀(53b)이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회전축(51)에 가해지는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로 회전축(51)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을 통해 상기 회전바(53)에 가해지는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의 양이 증가될수록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저장된 난방용수의 점도는 증가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바(53)에 가해지는 저항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를 구동시켜 상기 회전축(51)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을 통해 상기 회전축(51)에 가해지는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어느 정도의 이물질이 쌓였는지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밸브(60)는 상기 배출밸브(40)와 동일한 전자제어식밸브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에 위치되는 협경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밸브(60)는 상기 협경부(12)의 중간부에 구비된다.
상기 급기수단(70)은 급기관(71)을 통해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상기 압력센서(80)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수단(70)을 이용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때, 상기 더스트포켓(11) 내부의 압력의 상승을 감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90)은 미리 입력된 타임테이블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의 구동모터(52)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의 양이 미리 입력된 양 이상으로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밸브(60)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70)을 작동시켜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더스트포켓(11) 내부의 기압을 감시한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포켓(11)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급기수단(70)을 정지시킨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난방용수와 함께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출밸브(40)를 밀폐하고, 상기 보조밸브(60)를 개방함으로써,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난방용수와 이물질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난방용수관 구조에 따르면, 제어수단(90)이 이물질감지수단(50)을 이용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의 양을 확인하고, 더스트포켓(11)에 규정된 양 이상의 이물질이 쌓인 것이 감지되면, 보조밸브(60)를 작동시켜 더스트포켓(11)의 상측을 밀폐하고, 급기수단(70)을 이용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며, 더스트포켓(11) 내부의 기압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높은 압력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이물질이 남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100)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건조수단(100)은 상면에 배기구(101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난방용수를 저장하며 일측에는 막음판(101b)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01a)가 형성된 저장통체(101)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공급측입상관(10)과 연결관에 각각 연결된 순환관(102a)이 구비된 가열판(102)과, 상기 순환관(102a)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측입상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가 상기 순환관(102a)을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103)와, 상기 막음판(101b)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04)과,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체(101)로 배출된 후 건조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하는 스크랩퍼(105)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06)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통체(101)는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단부가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밸브(40)가 개방됨에 따라 더스트포켓(11)에서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배출되면, 배출된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내부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구(101a)는 상기 저장통체(101)의 일측면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막음판(101b)은 상기 저장통체(101)의 외측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하강시 상기 배출구(101a)의 외측을 수밀하게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판(102)은 사각의 금속블록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저장통체(101)의 하측면에 밀착고정된 것으로, 상기 순환관(102a)을 통해 고온의 난방용수가 순환되어 가열되면, 상기 저장통체(101)로 열을 전달하여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가열되어 증발되도록 한다.
상기 펌프(103)는 상기 제어수단(90)에 의해 작동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104)은 상기 저장통체(101)의 외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막음판(101b)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막음판(101b)이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스크랩퍼(105)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하측면이 상기 저장통체(101)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된 세척부재(105a)와, 상기 저장통체(101)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척부재(105a)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세측부재가 측방향으로 전후진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105b)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저장통체(101)로 배출되도록 한 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펌프(103)를 구동시켜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를 가열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습도센서(10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되었는지를 감시한다.
즉,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증발될 때는 상기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가 상승되고,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되면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가 낮아지게 됨으로, 상기 습도센서(106)로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함으로써,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되었는지를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9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104)을 작동시켜 막음판(101b)을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랩퍼(105)를 작동시켜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남은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난방용수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건조시켜 배출됨으로, 이물질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건조수단(100)은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의 난방용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건조시킴으로, 이물질을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보일러가 필요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공급측 입상간 30. 연결관
40. 배출밸브

Claims (3)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공급측 입상관(10)과,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관(30)을 포함하는 난방용수관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은 가장 하측에 연결된 연결관(30)에 비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 내부에는 이물질이 저장되는 더스트포켓(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에는 상기 더스트포켓(11)의 하단을 개폐하는 배출밸브(40)가 구비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이물질이 저장되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저장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밸브(40)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전자제어식밸브를 이용하고,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쌓인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수단(5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상측을 개폐하는 보조밸브(60)와,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70)과,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구비되어 더스트포켓(12)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80)와,
    상기 이물질감지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출밸브(40)가 급기수단(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9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감지수단(50)은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더스트포켓(11)의 내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1)과,
    상기 회전축(51)의 외측단에 연결되어 회전축(5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2)와,
    상기 회전축(51)의 내측단에 일정각도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비된 회전바(53)와,
    상기 회전바(53)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52)에 의해 회전축(51)이 회전될 때 상기 회전바(53)에 작용되는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측정수단(54)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52)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축(51)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저항측정수단(5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바(53)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저항이 작용되면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보조밸브(60)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70)을 작동시켜 상기 더스트포켓(11)의 내부로 고압의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압력센서(8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관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수단(100)은
    상면에 배기구(101c)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급측 입상관(1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더스트포켓(11)에서 배출된 이물질과 난방용수를 저장하며 일측에는 막음판(101b)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101a)가 형성된 저장통체(101)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하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에는 양단이 상기 공급측입상관(10)과 연결관에 각각 연결된 순환관(102a)이 구비된 가열판(102)과,
    상기 순환관(102a)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측입상관을 통해 공급된 온수가 상기 순환관(102a)을 통해 상기 연결관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펌프(103)와,
    상기 막음판(101b)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104)과,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체(101)로 배출된 후 건조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하는 스크랩퍼(105)와,
    상기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통체(101)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06)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90)은 상기 배출밸브(40)를 개방하여, 상기 더스트포켓(11)에 저장된 이물질과 난방용수가 저장통체(101)로 배출되도록 한 후, 상기 펌프(103)를 구동시켜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를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습도센서(106)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통체(101)에 저장된 난방용수가 모두 증발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승강구동수단(104)을 작동시켜 막음판(101b)을 상승시키고, 상기 스크랩퍼(105)를 작동시켜 저장통체(101)의 내부에 남은 이물질이 상기 배출구(101a)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관 구조.
KR1020190087749A 2019-07-19 2019-07-19 난방용수관 구조 KR102180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49A KR102180082B1 (ko) 2019-07-19 2019-07-19 난방용수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749A KR102180082B1 (ko) 2019-07-19 2019-07-19 난방용수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082B1 true KR102180082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749A KR102180082B1 (ko) 2019-07-19 2019-07-19 난방용수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0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79U (ja) * 1993-12-31 1995-09-05 株式会社イニシ 冷暖房用配管構造
KR101031701B1 (ko) 2009-05-28 2011-04-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복사 및 대류를 이용한 주택용 냉난방시스템
KR20110113364A (ko) * 2010-04-09 2011-10-17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외기온도 연동식 난방제어장치
KR20120118981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포스코 노정벙커의 더스트 제거장치
US20180209664A1 (en) * 2017-01-26 2018-07-26 Heath Mechanical Services,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Homes and Other Building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679U (ja) * 1993-12-31 1995-09-05 株式会社イニシ 冷暖房用配管構造
KR101031701B1 (ko) 2009-05-28 2011-04-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복사 및 대류를 이용한 주택용 냉난방시스템
KR20110113364A (ko) * 2010-04-09 2011-10-17 주식회사 삼양발부종합메이커 외기온도 연동식 난방제어장치
KR20120118981A (ko) * 2011-04-20 2012-10-30 주식회사 포스코 노정벙커의 더스트 제거장치
US20180209664A1 (en) * 2017-01-26 2018-07-26 Heath Mechanical Services,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Homes and Other Build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696B1 (ko) 열회수 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산업용 건조기 및 건조 방법
KR102180082B1 (ko) 난방용수관 구조
EP2216436A1 (en) Washing/drying machine
KR101250985B1 (ko) 부스터 펌프
KR102304449B1 (ko) 드라이에이징 시스템
JP3557997B2 (ja) 空調機用ドレン排出手段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671426B1 (ko) 수질에 따라 자동 제어되는 밸브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물탱크
KR102008937B1 (ko) 공기 조화기
KR100930896B1 (ko) 세탁장치에서 스팀발생기로의 급수 제어방법 및 그세탁장치
CN111504567B (zh) 一种中空玻璃窗窗框密封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215130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옥내 소화전
KR101531016B1 (ko) 부스터 펌프 시스템
KR200447992Y1 (ko) 현지 지중열성능 측정 장치
KR102478216B1 (ko) 농산물 건조장치
KR101438180B1 (ko) 공회전방지수단을 구비한 부스터 펌프장치
CN209172977U (zh) 一种烘干系统
JP3542820B2 (ja) 地下埋設形貯湯式電気温水器
CN219302204U (zh) 一种螺杆泵定子橡胶耐磨检测工装
JPH07239152A (ja) 循環式給湯設備
JP3145900B2 (ja) 風呂給湯ユニット
JP6244947B2 (ja) 穀物乾燥機
KR102211016B1 (ko) 수평형 배수펌프
KR101003110B1 (ko) 가스 샘플링 장치
TWI595195B (zh) Air compressor condensate discharge equipment
KR200216720Y1 (ko) 롤 지지용 베어링 블럭내 오일 자동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