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93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937B1
KR102008937B1 KR1020130007316A KR20130007316A KR102008937B1 KR 102008937 B1 KR102008937 B1 KR 102008937B1 KR 1020130007316 A KR1020130007316 A KR 1020130007316A KR 20130007316 A KR20130007316 A KR 20130007316A KR 102008937 B1 KR102008937 B1 KR 10200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level
leakage
leak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814A (ko
Inventor
배흥희
윤다은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9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감지된 냉매의 누설정도가 제 1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에 구비되며, 냉매의 누설 정도를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로부터 냉매의 누설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은 경우부터 큰 경우까지 순차적으로 레벨화한 기준 레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설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현재의 누설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누설 레벨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누설감지수단의 오감지에 따라 불필요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으면, 공기 조화기가 정지되지 않고, 재기동을 반복하므로, 공기 조화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하여, 냉매의 누출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더라도 냉매의 누설이 계속하여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 경우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의 누설 정도가 크면,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위험을 원척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렇게 냉매의 누설 정도를 레벨화 하고, 각 레벨에 따라 유연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한 구동 중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실내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 조화기를 작동시키는 매질로는 냉매가 사용되고, 상기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상기 공기 조화기는 난방사이클 또는 냉방사이클로 구동된다.
한편, 상기 공기 조화기를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공기 조화기가 오랜 시간 동안 구동되는 경우, 설치 시의 오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배관에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성능 또는 냉방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구동 과정에서 압축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냉매가 실내공간으로 누출될 경우,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누설감지수단이 구비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81484호에 개시되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 냉매의 누출이 감지되면,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중지시켜 냉매의 순환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종래 공기 조화기의 경우, 냉매 누설감지수단의 오감지에 의해 냉매가 누설된 것으로 판단하더라도 일률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므로, 불필요하게 공기 조화기의 사용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누설 정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냉매의 누설 정도를 레벨화하고, 결정된 레벨에 따라서 공기 조화기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감지된 냉매의 누설정도가 제 1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에 구비되며, 냉매의 누설 정도를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로부터 냉매의 누설 정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 및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은 경우부터 큰 경우까지 순차적으로 레벨화한 기준 레벨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설감지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현재의 누설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누설 레벨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누설감지수단의 오감지에 따라 불필요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으면, 공기 조화기가 정지되지 않고, 재기동을 반복하므로, 공기 조화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하여, 냉매의 누출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더라도 냉매의 누설이 계속하여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 경우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의 누설 정도가 크면,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위험을 원척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렇게 냉매의 누설 정도를 레벨화 하고, 각 레벨에 따라 유연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한 구동 중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정도 감지방법의 플로챠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외기(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300,400)와, 상기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300,400)를 연통하는 순환배관(500)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압축기(100), 유동전환밸브(120), 실외 열교환기(130), 실외 팽창밸브(140), 실외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0), 유동전환밸브(120), 실외 열교환기(130), 실외 팽창밸브(140)는 상기 순환배관(500)에 의해 연통된다.
상기 압축기(100)는 흡입 측 순환배관(500)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 측 순환배관(500)으로 토출한다.
상기 유동전환밸브(120)는 공기 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순환배관 내에 흐르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동전환밸브(120)는 사방 밸브(four-way valve)일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는 실외에서 상기 실외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게 한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는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로는 전자 팽창밸브(EEV)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는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가 완전히 열리는 경우, 순환냉매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팬(150)은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도록 실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내기(200,300,400)는 제 1 실내기(200)와, 제 2 실내기(300)와 제 3 실내기(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내기(200)는 실내 배관(210)과, 실내 팽창밸브(220)와, 실내 열교환기(230)와, 냉매 누설감지부(240)와, 상기 실내 배관(210)의 흡입 측 및 토출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와, 실내 팬(27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실내기(300) 및 제 3 실내기(400)에 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내 배관(210)은 상기 순환배관(500)와 연통되며, 상기 실내기(200)를 순환하는 냉매를 안내한다. 상기 실내 배관(210) 상에는, 상기 제 1 밸브(250), 실내 팽창밸브(220), 실내 열교환기(230), 제 2 밸브(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는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로는 전자 팽창밸브(EEV)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는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가 완전히 열리는 경우, 순환냉매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는 실내에서 상기 실내기(2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는 냉매가 서로 열교환되게 한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 및 실외 열교환기(130)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기 쉬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열교환기(130)(230) 및 순환 배관(500)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 배관(210) 및 실내 열교환기(230)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나, 상기 순환배관(500) 및 실내 배관(210)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순환배관(500)과, 후술할 제 1 분지배관(510) 또는 제 2 분지배관(520)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배관이 서로 용접되는 부분이거나, 인접한 배관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제 1 실내기(200)와 이격되어, 실내 공간의 어느 일 지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 정도를 감지한다. 상기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600, 도 2 참조)로 누설 신호를 전달하거나, 냉매의 누설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간접적으로 감지하여, 냉매의 누설 여부 또는 냉매의 누설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2개의 전극과, 2개의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의 유전율과 냉매의 유전율은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2개의 전극 사이로 냉매가 유입되면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값이 변화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출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 감지부(240)는 측정된 상기 임피던스 값을 이용하여 냉매의 누설 여부 또는 냉매의 누설량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온도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충분한 냉매가 공급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의 누출을 의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통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출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 감지부(240)는 산출된 상기 온도 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냉매의 누설 여부 또는 냉매의 누설량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위와 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는 상기 순환배관(500)으로부터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흡입 또는 토출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밸브(250)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냉매 흡입 측 배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260)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냉매 토출 측 배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밸브(250)는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팽창밸브(140)(220)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140)(220) 중 하나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흡입 또는 토출되는 냉매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밸브를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의 실외 팽창밸브(140) 또는 실내 팽창밸브(220)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실내 팬(270)은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도록 실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순환배관(500)은 제 1 분지배관(510)과, 제 2 분지배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지배관(510) 및 제 2 분지배관(520)은 상기 제 1 실내기의 실내 배관(21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배관(500)을 흐르는 냉매가 상기 실내 배관(210)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실내 배관(210)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분지배관(510)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및 실내 열교환기(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지배관(520)은 상기 압축기(110) 및 실내 열교환기(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200,300,400)에는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실내기에 복수개의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실내기(200)와, 제 2 실내기(300)와, 제 3 실내기(400)는 동일한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하나의 실내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실내기 제어부(600)와, 메모리부(610)와, 타이머(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 제어부(600)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와, 메모리부(600)와, 타이머(62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받아 상기 압축기(110), 제 1 밸브(250), 제 2 밸브(260) 및 실내기 팬(2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 감지부(240)로부터 누설 여부 또는 누설량에 대한 누설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설 감지부(240)에서 누설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610)에 "누설 횟수"를 저장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부(610)에 누적하여 저장된 누설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누설 감지부(240)에서 누설량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감지된 누설량에 따라서 상기 압축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610)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운전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610)에는 냉매의 누설 정도와 관련하여 미리 결정된 설정 범위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610)에는 상기 설정 범위에서 누설 정도가 작은 경우부터 큰 경우까지 순차적으로 레벨화한 "기준 레벨"과, 냉매의 누설이 지속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110)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기준 누설시간"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준 레벨은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간헐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제 1 레벨"과, 상기 공기 조화기(10)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 2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조화기(10)를 간헐적으로 구동한다는 의미는, 상기 압축기(110)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킨다는 것이다. 상기 제 1 레벨은 상기 설정 범위의 하한값이고,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설정 범위의 하한값일 수 있다.
상기 기준 레벨을 결정하는 냉매의 누설 정도는, 냉매의 누설 빈도 또는 냉매의 누설량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준 레벨은 냉매의 누설 빈도 또는 냉매의 누설량을 기준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준 레벨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누설이 일어나는 횟수를 기준으로 누설 빈도를 단계별로 레벨화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레벨은 제 1 누설횟수가 되고, 상기 제 2 레벨은 제 2 누설횟수가 될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기준 레벨은, 냉매의 누설량을 단계별로 레벨화 하여 설정될 수 있다.이 경우 상기 제 1 레벨은 제 1 누설량이 되고, 상기 제 2 레벨은 제 2 누설량이 될 것이다.
한편, 상기 기준 레벨은 상기 제 1 레벨 및 제 2 레벨 사이에 다른 레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 누설시간은, 냉매의 누설 정도가 제 1 레벨이상이고, 제 2 레벨 미만인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압축기(110)의 구동을 정지하기 위한 기준 시간에 해당된다.
상기 타이머(620)는, 공기 조화기(10)의 구동에 관련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620)는,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시간(이하, "감지 시간")과, 상기 냉매의 누설 정도가 제 1 레벨 이상이고 제 2 레벨 미만인 시간(이하, "누설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620)는 측정 대상에 따라서 별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타이머가 여러 대상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이머(620)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600)에 포함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감지부(24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610)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현재의 "누설 레벨"을 결정하고, 상기 누설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 레벨이 기 설정된 제 1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110)를 간헐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 레벨이 기 설정된 제 2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압축기(110)를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누설 레벨이 상기 제 1 레벨 이상이고, 상기 제 2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 레벨이 증가할수록, 상기 압축기(110)의 구동 시간을 감소시키거나, 상기 압축기(110)의 정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0)는 먼저, 상기 메모리부(610)로부터 기 저장된 기준 레벨을 로드한다(S100).
다음으로, 상기 누설 감지부(240)에서 냉매의 누설 정도가 감지되고(S110),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 감지부(24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현재 누설 레벨을 결정한다(S120).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누설 레벨이 기 설정된 제 1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S130), 상기 누설 레벨이 기 설정된 제 1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누설 레벨이 제 2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40).
상기 누설 레벨이 제 2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압축기(110)를 정지시킨다(S150).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1 밸브(250)를 차단시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17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 2 밸브(260)를 차단시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잔존하는 냉매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S17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실내기 팬(270)을 정지시킬 수 있다(S180).
한편, 단계 S130에서 상기 누설 레벨이 제 1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타이머(620)에서 측정되는 누설 시간을 초기화시키고(S200), 상기 압축기(110)를 연속적으로 구동되게 할 수 있다(S190). 그리고 단계 S110으로 복귀한다.
한편, 단계 S140에서 상기 누설 레벨이 제 2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이머(620)는 냉매의 누설 시간을 누적하여 측정할 수 있다(S210). 그리고 상기 누설 시간이 상기 메모리부(610)에 저장된 기준 누설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S220),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150).
한편, 단계 S220에서 상기 누설시간이 상기 기준 누설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온/오프를 반복한다(S230). 그리고 단계 S110으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정도 감지방법의 플로챠트이다. 구체적으로, 단계 S110에서 누설 빈도에 따라 누설정도를 감지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누설 빈도에 따라 누설정도를 감지하는 방법(S110)은, 누설 횟수 및 감지시간을 초기화 하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머(620)는 감지시간을 측정하고(S112), 상기 누설 감지부(240)는 설정 주기로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한다(S113).
상기 누설 감지부(240)에서 누설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610)에 누설 횟수를 증가하여 저장시킨다(S114).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감지 시간이 누설 빈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115). 그리고 감지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단계 S120으로 진입한다.
한편, 단계 S113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단계 S115로 진입한다.
한편, 단계 S115에서, 감지 시간이 기준 시간을 경과하지 않았으면, 단계 S113으로 복귀한다.
상기 단계 S111 내지 단계 S115를 통하여, 기준시간 동안 감지된 누설 횟수를 이용하여 누설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누설 빈도는 단계 S120에서 기준 레벨과 비교하여, 현재 누설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냉매의 누설 여부만을 측정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누설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누설감지수단의 오감지에 따라 불필요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으면, 공기 조화기가 정지되지 않고, 재기동을 반복하므로, 공기 조화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조화기가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비하여, 냉매의 누출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냉매의 누설 정도가 작더라도 냉매의 누설이 계속하여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 경우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냉매 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냉매의 누설 정도가 크면, 공기 조화기를 정지시킴으로써, 위험을 원척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이렇게 냉매의 누설 정도를 레벨화 하고, 각 레벨에 따라 유연하게 공기 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충분히 보장하면서도, 불필요한 구동 중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상기 냉매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실외 열교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 및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감지된 냉매의 누설정도에 따라 현재 누설레벨을 결정하여, 결정된 누설레벨이 제 1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누설레벨이 제 1 레벨 이상이면, 현재 누설레벨이 제 1 레벨보다 큰 제 2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누설레벨이 제 2 레벨 이상이면,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키고,
    현재 누설레벨이 제 2 레벨 미만이면, 냉매의 누설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누설 시간이 기준 누설 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누설 시간이 기준 누설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압축기를 정지시키고, 상기 측정된 누설 시간이 기준 누설 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반복적으로 온/오프하는 공기 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냉매의 누설량과 관련되어 미리 결정되는 설정 범위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벨은 상기 설정 범위의 하한값이고, 상기 제 2 레벨은 상기 설정 범위의 하한값인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는,
    설정 주기로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누설 신호를 전달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설 신호를 누적하여 누설횟수로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누설횟수가 제 2 레벨을 초과하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누설횟수를 초기화하여 새로 누적하는 공기 조화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누설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압축기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는 공기 조화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유입 측 배관 및 토출 측 배관에 각각 구비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설 레벨이 기 설정된 제 2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각 밸브가 단계적으로 차단되는 공기 조화기.
KR1020130007316A 2013-01-23 2013-01-23 공기 조화기 KR10200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16A KR102008937B1 (ko) 2013-01-23 2013-01-23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316A KR102008937B1 (ko) 2013-01-23 2013-01-23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14A KR20140094814A (ko) 2014-07-31
KR102008937B1 true KR102008937B1 (ko) 2019-08-08

Family

ID=5174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316A KR102008937B1 (ko) 2013-01-23 2013-01-23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4651B (zh) * 2016-02-17 2019-05-17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冷媒含量的调节方法
CN106016621B (zh) * 2016-06-16 2018-10-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联机空调系统的泄漏检测控制方法
JP6767841B2 (ja) 2016-10-14 2020-10-14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86B1 (ko) * 1996-06-28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누설감지를통한에어콘의운전제어방법
KR100471723B1 (ko) * 2002-05-17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4412B1 (ko) * 2004-03-05 201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667A (ko) * 2009-06-30 201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386B1 (ko) * 1996-06-28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누설감지를통한에어콘의운전제어방법
KR100471723B1 (ko) * 2002-05-17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4412B1 (ko) * 2004-03-05 2011-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814A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8280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204621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detecting malfunction thereof
KR100857598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방법
JP2018115781A (ja) 遮断弁を有する冷凍装置
JP613092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A287900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charge detection
CN103884480A (zh) 冷媒泄漏检测方法、冷媒泄漏检测系统和空调器
KR101550573B1 (ko) 냉동 장치
KR102080852B1 (ko)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8937B1 (ko) 공기 조화기
EP2639516B1 (en) Heat pump hydronic heater
CN111503852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JP2005257219A (ja) 空気調和機
CN110848874B (zh) 一种空调冷媒泄漏的检测方法及装置
KR100758954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방법
KR20090099909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3654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4009974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71448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3689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1100080A1 (ja) 液面検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102120434B1 (ko) 공기조화기
KR100840940B1 (ko)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89749A (ko) 공기 조화기용 실외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60036B1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