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434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434B1
KR102120434B1 KR1020130066469A KR20130066469A KR102120434B1 KR 102120434 B1 KR102120434 B1 KR 102120434B1 KR 1020130066469 A KR1020130066469 A KR 1020130066469A KR 20130066469 A KR20130066469 A KR 20130066469A KR 102120434 B1 KR102120434 B1 KR 102120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unit
indoor
valv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479A (ko
Inventor
문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043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6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leakage of heat-exchang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기를 가지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냉매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누설 감지부 및 상기 냉매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냉매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밸브가 배치되는 누설감지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감지 키트의 내부는, 누설된 냉매가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동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 공간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 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를 순환하는 냉매는 상기 공기조화기가 오랜 시간 동안 구동되는 경우, 설치 시의 오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배관에서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냉매가 누설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성능 또는 냉방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구동 과정에서 압축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냉매가 실내공간으로 누출될 경우, 사용자에게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081484호에 개시되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경우, 냉매의 누출을 감지하고, 냉매의 누출이 감지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중지시켜 냉매의 순환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경우, 냉매 누설감지수단의 오감지에 의해 냉매가 누설된 것으로 판단하더라도 일률적으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므로, 불필요하게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미 누설된 냉매는 실내 공간에 잔존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신체에 침투하여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매가 누설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냉매 누설감지수단은, 냉매 누설이 실제로 발생되어야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미 누설된 냉매에 의해 실내기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더라도 실내기 또는 실내 공간에 누설된 냉매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면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상기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단계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기를 가지는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냉매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누설 감지부 및 상기 냉매배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 냉매의 이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 1 밸브가 배치되는 누설감지 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감지 키트의 내부는, 누설된 냉매가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냉매 누설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는 누설감지 키트를 설치하여 누설된 냉매가 실내 공간 또는 실내기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될 때 다수의 밸브를 단계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의 오감지에 의해 불필요하게 공기조화기의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가 순환하는 순환배관 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는 배관 측의 밸브부터 차단함으로써 누설 차단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감지 키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외기(10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200, 300, 400)와, 상기 실외기(100) 및 실내기(200, 300, 400)를 연통하는 순환배관(700)을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0)는, 압축기(110), 유동전환밸브(120), 실외 열교환기(130), 실외 팽창밸브(140) 및 실외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00), 유동전환밸브(120), 실외 열교환기(130), 실외 팽창밸브(140)는 상기 순환배관(700)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흡입 측 순환배관(700)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 측 순환배관(700)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밸브(12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순환배관 내에 흐르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동전환밸브(120)는 사방 밸브(four-way valve)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동전환밸브(12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는 실외에서 상기 실외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는 냉매를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는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로는 전자 팽창밸브(EEV)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는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가 완전히 열리는 경우, 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실외 팬(150)은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를 통과하도록 실외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내기(200, 300, 400)는 제 1 실내기(200)와, 제 2 실내기(300)와 제 3 실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실내기의 개수가 3대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나 상기 실내기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실내기(200)는 실내 배관(210)과, 실내 팽창밸브(220)와, 실내 열교환기(230)와, 냉매 누설감지부(240)와, 상기 실내 배관(210)의 흡입 측 및 토출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와, 실내 팬(27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실내기(300) 및 제 3 실내기(400)에 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실내 배관(210)은 상기 순환배관(700)과 연통되며, 상기 실내기(200)를 순환하는 냉매를 안내한다. 상기 실내 배관(210) 상에는, 상기 제 1 밸브(250), 실내 팽창밸브(220), 실내 열교환기(230), 제 2 밸브(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는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를 통과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로는 전자 팽창밸브(EEV)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는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가 완전히 열리는 경우, 순환냉매는 팽창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를 통과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는 실내에서 상기 실내기(200)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는 냉매를 열교환 시킬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기(200)가 구비된 공간에 냉매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을 직접적으로 감지하거나,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는 상기 순환배관(700)으로부터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흡입 또는 토출되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밸브(250)는 솔레노이드 밸브이고, 상기 제 2 밸브(260)는 팽창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밸브(260)가 팽창밸브로 구성되면,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는 냉매가 이동되는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밸브(260)가 상기 실내 팽창밸브(220)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밸브(250) 및 상기 제 2 밸브(26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밸브(250)와 상기 제 2 밸브(260)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밸브(250)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냉매 흡입 측 배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밸브(260)는 냉방 모드에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냉매 토출 측 배관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밸브(250)는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1 밸브(2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 또는 실내 팽창밸브(220)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흡입 또는 토출되는 냉매를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밸브를 추가할 필요없이, 기존의 실외 팽창밸브(140) 또는 실내 팽창밸브(220)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실외 팽창밸브(140) 및 실내 팽창밸브(220)는 통칭하여 '팽창밸브'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실내 팬(270)은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를 통과하도록 실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순환배관(700)은 제 1 분지배관(710)과, 제 2 분지배관(7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지배관(710) 및 제 2 분지배관(720)은 상기 제 1 실내기의 실내 배관(210)과 연결되어, 상기 순환배관(700)을 흐르는 냉매가 상기 실내 배관(210)으로 유입되거나, 상기 실내 배관(210)으로부터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분지배관(710)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30) 및 실내 열교환기(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분지배관(720)은 상기 압축기(110) 및 실내 열교환기(2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실내기(200, 300, 400)에는 하나의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실내기에 복수개의 실내 열교환기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실내기(200)와, 제 2 실내기(300)와, 제 3 실내기(400)는 동일한 실내공간에 구비되는 하나의 실내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내기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감지 키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내기는, 제 1 실내기(20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실내기(200)를 실내기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실내기(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0) 및 상기 하우징(410)의 일면을 지지하는 프런트 패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패널(420)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 및 상기 흡입구(미도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조화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00)는 냉매 배관에 의해 실외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내기(200)는, 실내 배관(210) 및 순환 배관(도 1의 700 참조)에 의해 상기 실외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에는, 상기 실내 배관(210)이 통과되는 공간인 배관 통과구(4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내 배관(210)은, 상기 배관 통과구(415)를 통과하여 상기 실내기(200) 내부로 냉매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기(2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실내기(200)가 배치되는 공간에 냉매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설감지 키트(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내 배관(210)은,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내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에는, 상기 실내 배관(21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 홀(5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 공간은 밀폐될 수 있다. 즉,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 공간으로 누설된 냉매가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는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 공간에는, 냉매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를 관통하는 배관이 실내 배관(210)이라면, 상기 밸브는, 제 1 밸브(25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에는,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 누설감지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가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하는 원리는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2개의 전극과, 2개의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의 유전율과 냉매의 유전율은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2개의 전극 사이로 냉매가 유입되면 상기 임피던스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의 값이 변화된다. 따라서,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출을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 2 온도 센서와, 상기 제 1 온도 센서 및 제 2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 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에서 산출된 온도 값의 차이가 기 설정된 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230)에 충분한 냉매가 공급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의 누출을 의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통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출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의 작동 원리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기(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4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이 발생되기 쉬운 배관 용접부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의 위치가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기(200)와 이격되어, 실내 공간의 어느 일 지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실내 배관(210)이 상기 실내기(200)를 통과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배관(210)이 상기 실내기(200)를 관통할 때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 있고, 상기 틈을 통해 냉매가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배관 통과구(415)와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가 이동되는 냉매 배관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냉매배관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냉매배관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용접이 수행되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실내 공간의 지면으로부터 약 200~500mm의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공기 중에 냉매가 섞이면 상기 냉매는, 지면으로부터 약 200~500mm의 높이에 가장 많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내부에는, 냉매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밸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매는, 상기 제 1 밸브(250)가 상기 실내 배관(210)에 연결될 때 발생되는 틈 사이로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상기 제 1 밸브(25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는, 폐쇄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배관(210)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가 누설되더라도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가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냉매 누설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누설 키트(500)는 폐쇄된 공간을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냉매누설 키트(500) 내부에서 누설된 냉매는, 상기 냉매누설 키트(5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누설된 냉매가 실내기(200) 또는 실내 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외면에는, 다수의 브라켓(5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브라켓(510)은,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브라켓(511) 및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브라켓(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는, 상기 다수의 브라켓(510)에 의해 천정(8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정(800)은, 상기 다수의 브라켓(510)과 지지부(4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50)은 내구성이 강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450)의 종류 및 성격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부(450)에 의해 상기 천정(8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는 상기 지지부(450)에 의해 상기 천정(800)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실내기(20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450)가 연결되기 위한 고정부(46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460)는 브라켓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고정부(46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다수의 지지부(450)에 의해 상기 누설감지 키트(500) 및 상기 실내기(200)가 상기 천정(8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600)와, 메모리부(620)와, 타이머(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냉매 누설감지부(240)와, 메모리부(620)와, 타이머(610)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받아 상기 제 1 밸브(250) 및 제 2 밸브(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냉매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하는 유동전환밸브(120)의 냉매 이동 전환 방향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인지 또는 난방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620)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부(620)에는 상기 제 1 밸브(250) 또는 제 2 밸브(260)의 동작의 기준이 되는 기준시간(t2)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610)는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는 감지시간(t1)이 측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ON)되고(S100),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조화 모드가 입력된다(S110).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입력된 모드로 운전된다(S120).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는 냉매의 누설여부를 감지한다(S130).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조화기는 계속하여 기 입력된 공기 조화 모드로 운전된다.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240)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냉방모드인 경우, 제 1 밸브(250)를 차단한다(S150). 상기 제 1 밸브(250)를 차단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도 1의 230 참조)로 유입되는 냉매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250)를 차단한 이후, 2차적으로 냉매의 누설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머(610)는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는 시간을 누적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감지시간(t1)이 기준시간(t2)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60).
상기 감지시간(t1)이 기준시간(t2)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260)를 차단한다(S170). 상기 제 2 밸브(260)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순환배관(700)으로부터 상기 실내기(200)로 역류하는 냉매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이상 통보수단을 통하여, 냉매가 누설되고 있음을 통보할 수 있다(S180). 상기 이상 통보수단은, 상기 공기 조화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문자, 기호 또는 그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소리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200)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S190).
상기 S140단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가 난방모드인 경우, 상기 제 2 밸브(260)를 차단한다(S151). 이하 S151, S161 및 S171 단계는, 상기 S150, S160 및 S170 단계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기 S160 단계에서 감지시간(t1)이 기준시간(t2)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밸브(250)를 개방한다(S165). 그리고 상기 S130 단계로 돌아가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한편, 상기 S161 단계에서 감지시간(t1)이 기준시간(t2)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밸브(260)를 개방한다(S166). 그리고 상기 S130 단계로 돌아가 냉매의 누설을 감지한다.
따라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될 때 다수의 밸브(250, 260)를 단계적으로 개폐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의 냉매 감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실외기 200: 실내기
240: 냉매 누설감지부 210: 실내 배관
250: 제 1 밸브 260: 제 2 밸브
410: 하우징 450: 지지부
500: 누설감지 키트 510: 브라켓
600: 제어부 610: 타이머
620: 메모리부

Claims (13)

  1. 실외 공간에 배치되는 실외기;
    상기 실외기와 냉매배관에 의해 연결되고 실내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흡입측의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및 상기 실내 열교환기의 토출측의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는 제 2 밸브를 가지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의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냉매배관을 따라 이동되는 냉매의 누설을 감지하는 냉매누설 감지부;
    누설된 냉매가 수용되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누설감지 키트;
    실내 공간의 일면에 상기 실내기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과 상기 누설감지 키트를 각각 연결하고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지지부; 및
    상기 냉매누설 감지부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면, 운전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밸브 및 상기 제 2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실내 공간의 일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설감지 키트는,
    상기 지지부에 각각 결합되는 상기 누설감지 키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누설감지 키트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의 냉매배관이 통과되는 배관 통과구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냉매누설 감지부와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누설감지 키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감지 키트는,
    상기 냉매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인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누설 감지부는,
    상기 실내기가 배치되는 실내 공간의 저면으로부터 200mm 이상 500mm 이하의 높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배관은 다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냉매누설 감지부는,
    상기 다수 개의 냉매배관이 결합하는 부분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밸브를 오프시키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또는 상기 제 2 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는 냉매 누설 시간과 관련된 기준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 모드가 냉방 모드이고,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는 감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밸브를 오프시키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모드가 난방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밸브를 오프시키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또는 상기 제 2 밸브의 개폐를 결정하는 냉매 누설 시간과 관련된 기준시간이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전 모드가 난방 모드이고, 상기 냉매 누설감지부에서 냉매의 누설이 감지되는 감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밸브를 오프시키는 공기조화기.
KR1020130066469A 2013-06-11 2013-06-11 공기조화기 KR102120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69A KR102120434B1 (ko) 2013-06-11 2013-06-1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469A KR102120434B1 (ko) 2013-06-11 2013-06-1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79A KR20140144479A (ko) 2014-12-19
KR102120434B1 true KR102120434B1 (ko) 2020-06-17

Family

ID=52674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469A KR102120434B1 (ko) 2013-06-11 2013-06-1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4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163A (ja) 2001-10-03 2003-04-18 Wako Setsubi Kk 水道配管等の漏洩検査装置
KR100471723B1 (ko) * 2002-05-17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176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구조
KR20080056936A (ko) * 2006-12-19 2008-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20085069A (ko) * 2011-01-21 2012-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누설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4163A (ja) 2001-10-03 2003-04-18 Wako Setsubi Kk 水道配管等の漏洩検査装置
KR100471723B1 (ko) * 2002-05-17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479A (ko) 2014-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8280B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08484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a refrigerant leak sensor in an indoor unit
CN110226071B (zh) 空调装置
CN105485856B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制热状态下的异常检测方法
JP6929747B2 (ja) 空気調和機
JP2018115781A (ja) 遮断弁を有する冷凍装置
WO2015190144A1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6624811B2 (ja) 冷凍空調装置
JP2005241050A (ja) 空調システム
JP6972125B2 (ja) 空気調和装置
JP6431339B2 (ja) 室内機、および、そ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JP201612569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06180166A (ja) 空気調和機
JPWO2018131085A1 (ja) 冷却倉庫
KR201801245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0441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40094813A (ko) 공기 조화기,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8937B1 (ko) 공기 조화기
KR102120434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99747A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84730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6272149B2 (ja) 空気調和装置
KR20210108241A (ko) 히트펌프 및 그 동작방법
JP2015212600A (ja) 空気調和機
JP691479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