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216B1 - 농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216B1
KR102478216B1 KR1020210178412A KR20210178412A KR102478216B1 KR 102478216 B1 KR102478216 B1 KR 102478216B1 KR 1020210178412 A KR1020210178412 A KR 1020210178412A KR 20210178412 A KR20210178412 A KR 20210178412A KR 102478216 B1 KR102478216 B1 KR 102478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llecting
collecting plate
water supply
dry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영
Original Assignee
박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수 filed Critical 박남수
Priority to KR102021017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농산물을 건조시킴으로, 기름이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와,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와,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건조장치{agricultural products drier}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춧가루를 비롯한 농산물을 건조시킬 때 사용되는 농산물 건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기본체(1)와, 상기 건조기본체(1)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기본체(1)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기(2)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본체(1)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케이스(1a)와, 상기 건조케이스(1a)의 내부에 구비되며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선반(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풍기(2)는 기름이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기본체(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농산물이 담겨진 선반(1b)을 건조케이스(1a)의 내부에 적재하고, 상기 열풍기(2)를 작동시켜 건조기본체(1)의 내부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상기 선반(1b)에 담겨진 농산물이 건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농산물 건조기는 기름이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함으로, 연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31457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농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기본체(A)와, 상기 건조기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기본체(A)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B)과, 상기 건조기본체(A)와 가열수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6)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기본체(A)는 상기 건조기본체(A)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케이스(11)와,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건조실(11a)과 열교환실(11b)로 구획하는 격벽(12)과, 상기 건조실(11a)의 내부에 구비되며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13)과,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실(11a)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11b)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14)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수단(B)은 상기 열교환실(11b)의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21)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된 집열판(22)과, 상기 열교환기(21)와 집열판(22)을 연결하는 급수관(23) 및 리턴관(24)과,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리턴관(2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관(24)을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1 리턴부(24a)와 상기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2 리턴부(24b)로 구획하는 온수탱크(25)와, 상기 제2 리턴부(24b)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열교환기(2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26)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27)와, 상기 급수관(2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23)을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1 급수부(23a)와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2 급수부(23b)로 구획하는 분기탭(28)과, 상기 분기탭(28)과 제1 리턴부(24a)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9)과, 상기 제2 급수부(23b)와 바이패스관(29)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제2 급수부(23b) 또는 바이패스관(29)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와,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온도센서(33)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34)와, 상기 집열판(22)에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3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순환팬(14)과 급수펌프(26)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센서(33)에 의해 측정된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수펌프(26)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온도센서(34)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값에 비해 높게 설정된 제2 온도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27)를 on시키며, 상기 제3 온도센서(35)에 의해 측정된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를 제어하여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29)을 통해 제1 리턴부(24a)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급수부(23b)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31)의 후방에 연결된 급기수단(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3 온도센서(3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1 제어밸브(31)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37)을 구동시켜 제2 급수부(23b)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2 급수부(23b)와 집열판(22)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상기 온수탱크(25)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집열판(22)은 상면이 개방된 집열케이스(22a)와,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단에 상기 급수관(23)과 리턴관(24)이 연결된 집열관(22b)과,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상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22c)을 포함하고, 상기 집열판(22)의 내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광도와 집열판(22) 외부의 광도를 각각 측정하는 내외부 광도센서(38,39)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에 구비되어 투명판(22c)을 세척하는 세척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단(40)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연결관(42)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25)에 연결되며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공(41a)이 형성된 급수파이프(41)와, 상기 연결관(42)에 구비된 보조펌프(43)와, 상기 투명판(22c)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5)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투명판(22c)의 상면을 닦아내는 세척부재(4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내외부 광도센서(38,39)의 신호를 수신하여 집열판(22) 내부와 외부의 광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차이가 발생될 경우, 상기 보조펌프(43)와 슬라이드구동수단(45)을 구동시켜 투명판(22c)의 상면을 닦아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농산물을 건조시킴으로, 기름이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와,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와,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집열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세척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세척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건조장치는 내부에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기본체(A)와, 상기 건조기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기본체(A)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B)과, 상기 건조기본체(A)와 가열수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6)으로 구성된다.
상기 건조기본체(A)는 상기 건조기본체(A)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케이스(11)와,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건조실(11a)과 열교환실(11b)로 구획하는 격벽(12)과, 상기 건조실(11a)의 내부에 구비되며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13)과,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실(11a)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11b)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1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12)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연통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순환팬(14)은 상측의 연통공(12a)에 구비되어, 순환팬(14)을 구동시키면, 건조실(11a) 내부의 공기가 하측의 연통공(12a)으로 흡입되어 열교환실(11b)을 따라 상승된 후, 상측의 연통공(12a)을 통해 건조실(11a)로 배출된다.
상기 가열수단(B)은 상기 열교환실(11b)의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21)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된 집열판(22)과, 상기 열교환기(21)와 집열판(22)을 연결하는 급수관(23) 및 리턴관(24)과,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리턴관(2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관(24)을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1 리턴부(24a)와 상기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2 리턴부(24b)로 구획하는 온수탱크(25)와, 상기 제2 리턴부(24b)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열교환기(2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26)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27)와, 상기 급수관(2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23)을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1 급수부(23a)와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2 급수부(23b)로 구획하는 분기탭(28)과, 상기 분기탭(28)과 제1 리턴부(24a)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9)과, 상기 제2 급수부(23b)와 바이패스관(29)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제2 급수부(23b) 또는 바이패스관(29)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와, 상기 제2 급수부(23b)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31)의 후방에 연결된 급기수단(37)과,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온도센서(33)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34)와, 상기 집열판(22)에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35)로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21)는 상기 열교환실(11b)의 중간부를 막도록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집열판(22)을 통과하여 가열된 고온의 물이 통과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열교환실(11b)을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기(21)를 통과하는 물과 열교환되어 가열되도록 한다.
상기 집열판(22)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집열케이스(22a)와,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단에 상기 급수관(23)과 리턴관(24)이 연결된 집열관(22b)과,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상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22c)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집열판(22)은 건축물의 농산물 건조장치가 설치되는 공장의 지붕에, 상면이 태양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태양광이 조사되면, 상기 투명판(22c)을 통과한 태양광이 상기 집열관(22b)을 가열하여, 집열관(22b)을 통과하는 물을 고온으로 가열한다.
상기 급수관(23)과 리턴관(24)은 상기 열교환기(21)의 양단과 상기 집열관(22b)의 양단을 연결한다.
상기 온수탱크(25)는 둘레부가 단열처리되어, 내부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펌프(26)는 일반적인 물펌프를 이용하는 것으로, 작동되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온수가 상기 제2 리턴부(24b)를 통해 열교환기(21)로 공급된 후, 상기 급수관(23)을 통해 상기 집열판(22)으로 공급되어 가열되고, 상기 제1 리턴부(24a)를 통해 온수탱크(25)로 리턴된다.
상기 히터(27)는 일반적인 전기히터(27)를 이용하는 것으로, on되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는 상기 제어수단(36)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급수관(23)과 바이패스관(29)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상기 급기수단(37)은 급기관(37a)을 통해 상기 제2 급수부(23b)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36)은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36a)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온도센서(33,34,35)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순환팬(14)과 급수펌프(26)와 히터(27)와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와 급기수단(37)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산물 건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기 선반(13)에 건조할 농산물을 적재한 후, 상기 입력수단(36a)을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순환팬(14)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수펌프(26)를 구동시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고온의 물이 상기 열교환기(21)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순환팬(14)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선반(13)에 올려진 농산물이 건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밸브(31)는 개방되고, 제2 제어밸브(32)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열교환기(21)를 통과하여 공기와 열교환된 물이 상기 급수관(23)을 통해 집열판(22)으로 공급되어 가열된 후, 상기 제1 리턴부(24a)를 통해 온수탱크(25)로 공급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1 온도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수펌프(26)를 정지시켜, 열교환기(21)로 더 이상 고온의 온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 온도값은 농산물을 건조시키기에 적당한 온도인 50~70도로 설정된다.
반대로,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가 제1 온도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제어수단(36)은 급수펌프(26)를 구동시켜 열교환기(21)로 고온의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는 제1 온도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2 온도센서(34)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27)를 on시켜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이때, 상기 제2 온도값은 상기 제1 온도값에 비해 높은 80~90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구름이 짙게 끼어 상기 집열판(22)을 통과하는 물이 제2 온도값 , 즉, 80~90도 이상으로 가열되지 못할 경우에도,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80~90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 온도센서(35)에 의해 측정된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1 제어밸브(31)를 밀폐하고, 제2 제어밸브(32)를 개방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29)을 통해 제1 리턴부(24a)로 공급되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후 상기 히터(27)에 의해 가열되도록 한다.
즉,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의 이하로 낮아질 경우, 물이 상기 집열판(22)을 통과하더라도 물이 더 이상 가열되지 못하고, 역으로 물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음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를 제어하여 물이 바이패스관(29)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물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3 온도센서(3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어밸브(31)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37)을 구동시켜 제2 급수부(23b)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2 급수부(23b)와 집열판(22)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모두 상기 온수탱크(25)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구름이 낀 겨울철 등과 같이, 기온이 0도 이하이면서 ??빛이 비치지 않은 날씨에서 상기 집열판(22)의 집열관(22b)의 내부에 물이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고, 이에 따라, 집열관(22b)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얼어 집열판(22)이 파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제어밸브(31)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37)을 구동시켜 제2 급수부(23b)로 공기를 공급하면, 제2 급수부(23b)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2 급수부(23b)와 집열관(22b)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밀려나가 상기 온수탱크(25)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더라도, 상기 집열관(22b)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이 얼어 집열판(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산물 건조장치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이와 같이 가열된 물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농산물을 건조시킴으로, 기름이나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와,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와,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물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급기수단(37)을 구동시켜 집열판(22) 내부의 물이 모두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겨울철에 집열관(22b)에 저장된 물이 얼어 집열판(2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집열판(22)의 내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광도와 집열판(22) 외부의 광도를 각각 측정하는 내외부 광도센서(38,39)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에 구비되어 투명판(22c)을 세척하는 세척수단(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내외부 광도센서(38,39)는 상기 집열판(22)의 투명판(22c) 상면 일측과, 집열케이스(22a)의 내부 바닥면에 각각 구비되어, 투명판(22c)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와, 상기 투명판(22c)을 통과한 빛의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투명판(22c)에 눈이나 먼지 등이 쌓여 있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투명판(22c)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내외부 광도센서(38,39)에는 유사한 값의 광도가 측정된다.
반대로 투명판(22c)의 상면에 눈이나 먼지가 쌓여 있을 경우, 빛이 투명판(22c)을 통과할 때 손실이 발생되어 내부 광도센서(38)에 측정된 광도와 외부 광도센서(39)에 의해 측정된 광도에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내외부 광도센서(38,39)에 측정된 광도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차이가 발생될 경우, 상기 투명판(22c)의 상면에 눈이나 먼지가 쌓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단(40)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연결관(42)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25)에 연결되며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공(41a)이 형성된 급수파이프(41)와, 상기 연결관(42)에 구비된 보조펌프(43)와, 상기 투명판(22c)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5)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투명판(22c)의 상면을 닦아내는 세척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부재(44)는 금속재의 지지바(44a)와,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44b)로 구성되어, 상기 밀착부재(44b)가 상기 투명판(22c)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5)은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세척부재(44)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레일(45a)과,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집열케이스(22a)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중간부는 상기 지지바(44a)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드스크류(45b)와, 상기 리드스크류(45b)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45b)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45c)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45c)로 리드스크류(45b)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척부재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펌프(43)를 구동시키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온수가 상기 급수파이프(41)의 배수공(41a)을 통해 투명판(22c)의 상면으로 공급되며,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5)을 구동시키면, 상기 제척부재가 측방향으로 왕복되도록 슬라이드되어, 투명판(22c)의 상면에 쌓인 눈이나 먼지 등을 측방향으로 밀어내어 제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산물 건조장치는 상기 제어수단(36)이 내외부 광도센서(38,39)의 신호를 수신하여, 투명판(22c)의 상면에 눈이나 먼지 등이 쌓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척수단(40)을 제어하여 눈이나 먼지를 제거함으로, 눈이나 먼지 등에 의해 집열판(22)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건조기본체 B. 가열수단
21. 열교환기 22. 집열판
23. 급수관 24. 리턴관
25. 온수탱크 26. 급수펌프
27. 히터 28. 분기탭
29. 바이패스관
31, 32. 제1 및 제2 제어밸브 33, 34, 35. 제1 내지 제3 온도센서
36. 제어수단 37. 급기수단

Claims (3)

  1. 내부에 농산물이 적재되는 건조기본체(A)와,
    상기 건조기본체(A)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기본체(A)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B)과,
    상기 건조기본체(A)와 가열수단(B)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6)을 포함하며,
    상기 건조기본체(A)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된 건조케이스(11)와,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건조실(11a)과 열교환실(11b)로 구획하는 격벽(12)과,
    상기 건조실(11a)의 내부에 구비되며 농산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선반(13)과,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실(11a)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11b)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팬(14)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수단(B)은
    상기 열교환실(11b)의 내부에 구비된 열교환기(21)와,
    태양광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도록 된 집열판(22)과,
    상기 열교환기(21)와 집열판(22)을 연결하는 급수관(23) 및 리턴관(24)과,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리턴관(2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턴관(24)을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1 리턴부(24a)와 상기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2 리턴부(24b)로 구획하는 온수탱크(25)와,
    상기 제2 리턴부(24b)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온수를 상기 열교환기(21)로 공급하는 급수펌프(26)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27)와,
    상기 급수관(23)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급수관(23)을 열교환기(21)에 연결된 제1 급수부(23a)와 상기 집열판(22)에 연결된 제2 급수부(23b)로 구획하는 분기탭(28)과,
    상기 분기탭(28)과 제1 리턴부(24a)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9)과,
    상기 제2 급수부(23b)와 바이패스관(29)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제2 급수부(23b) 또는 바이패스관(29)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와,
    상기 건조케이스(11)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온도센서(33)와,
    상기 온수탱크(25)에 구비되어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센서(34)와,
    상기 집열판(22)에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3 온도센서(3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순환팬(14)과 급수펌프(26)가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온도센서(33)에 의해 측정된 건조케이스(11) 내부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급수펌프(26)를 정지시키고, 상기 제2 온도센서(34)에 의해 측정된 물의 온도가 상기 제1 온도값에 비해 높게 설정된 제2 온도값 이하로 저하되면 상기 히터(27)를 on시키며, 상기 제3 온도센서(35)에 의해 측정된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상기 온수탱크(25)에 저장된 물의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밸브(31,32)를 제어하여 제1 급수부(23a)를 통과한 물이 상기 바이패스관(29)을 통해 제1 리턴부(24a)로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집열판(22)은
    상면이 개방된 집열케이스(22a)와,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내부에 구비되며 양단에 상기 급수관(23)과 리턴관(24)이 연결된 집열관(22b)과,
    상기 집열케이스(22a)의 상면에 구비된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22c)을 포함하고,
    상기 집열판(22)의 내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집열판(22) 내부의 광도와 집열판(22) 외부의 광도를 각각 측정하는 내외부 광도센서(38,39)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에 구비되어 투명판(22c)을 세척하는 세척수단(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단(40)은
    상기 집열판(22)의 상면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연결관(42)을 통해 상기 온수탱크(25)에 연결되며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배수공(41a)이 형성된 급수파이프(41)와,
    상기 연결관(42)에 구비된 보조펌프(43)와,
    상기 투명판(22c)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5)에 의해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투명판(22c)의 상면을 닦아내는 세척부재(4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내외부 광도센서(38,39)의 신호를 수신하여 집열판(22) 내부와 외부의 광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 차이가 발생될 경우, 상기 보조펌프(43)와 슬라이드구동수단(45)을 구동시켜 투명판(22c)의 상면을 닦아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급수부(23b)에서 상기 제1 제어밸브(31)의 후방에 연결된 급기수단(3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36)은 상기 제3 온도센서(3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집열판(22) 내부의 온도가 0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제1 제어밸브(31)를 밀폐하고 상기 급기수단(37)을 구동시켜 제2 급수부(23b)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제2 급수부(23b)와 집열판(22)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상기 온수탱크(25)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건조장치.
  3. 삭제
KR1020210178412A 2021-12-14 2021-12-14 농산물 건조장치 KR102478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12A KR102478216B1 (ko) 2021-12-14 2021-12-14 농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412A KR102478216B1 (ko) 2021-12-14 2021-12-14 농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216B1 true KR102478216B1 (ko) 2022-12-16

Family

ID=8453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412A KR102478216B1 (ko) 2021-12-14 2021-12-14 농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2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51A (ko) * 2007-04-20 2008-10-23 황요일 태양열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101135555B1 (ko) * 2012-01-31 2012-04-13 세한에너지 주식회사 태양열 온수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101314576B1 (ko) 2013-03-05 2013-10-07 서영민 원적외선을 이용한 강제순환식 농산물 건조장치
KR20150027959A (ko) * 2013-09-05 2015-03-13 김봉조 식품 건조기
KR20150039961A (ko) * 2013-10-04 2015-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20150072709A (ko) * 2013-12-20 2015-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건조 방법
KR20190080251A (ko) * 2017-12-28 2019-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추형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건조설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51A (ko) * 2007-04-20 2008-10-23 황요일 태양열을 이용한 농산물 건조기
KR101135555B1 (ko) * 2012-01-31 2012-04-13 세한에너지 주식회사 태양열 온수시스템을 이용한 다목적 건조기
KR101314576B1 (ko) 2013-03-05 2013-10-07 서영민 원적외선을 이용한 강제순환식 농산물 건조장치
KR20150027959A (ko) * 2013-09-05 2015-03-13 김봉조 식품 건조기
KR20150039961A (ko) * 2013-10-04 2015-04-1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형 고추 건조기
KR20150072709A (ko) * 2013-12-20 2015-06-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 건조 방법
KR20190080251A (ko) * 2017-12-28 2019-07-0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추형 태양광열 복합 시스템을 이용한 에너지 자립형 건조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931B2 (en) Hybrid water heating system
CN201803567U (zh) 一种冰箱除霜控制系统
US20110083462A1 (en) Device for obtaining heat
JP2007327679A (ja) 給湯システム
KR10075106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건조장치
CN204154091U (zh) 太阳能光电和热泵联合能源供热干燥系统
CN103348200A (zh) 空气调节热水供给系统
KR101309555B1 (ko) 태양열 냉방겸용 급탕시스템
KR102478216B1 (ko) 농산물 건조장치
CN106288224A (zh) 一种预热室外新风的防结霜热回收系统
JP5934661B2 (ja) 乾燥システム
US2954680A (en) Automatic defrosting apparatus
KR10095606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온수시스템
KR200422676Y1 (ko) 태양열 온수난방기의 집열기 동파방지 구조
KR101914095B1 (ko) Pvt 모듈을 이용한 신발건조장치
CN206572822U (zh) 一种冷库用蓄冷保鲜装置
KR10084963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일러
CN105361233A (zh) 一种便于安装的智能节能除湿一体式烤烟装置
KR20170025183A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냉각 및 세척장치
KR101261057B1 (ko) 쿨 튜브를 이용한 지열 히트펌프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실내의 냉난방 방법
CN203216309U (zh) 自排式闭式冷却塔
CN208091043U (zh) 一种可自动补水的冷却水系统及蒸发冷却式冷水机组
CN106532471A (zh) 一种适于雨雪天气抢修的野外用配电柜
KR102495948B1 (ko) 태양열 난방장치
JPS5947203B2 (ja) 温水昇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