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016B1 - 수평형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수평형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016B1
KR102211016B1 KR1020200091350A KR20200091350A KR102211016B1 KR 102211016 B1 KR102211016 B1 KR 102211016B1 KR 1020200091350 A KR1020200091350 A KR 1020200091350A KR 20200091350 A KR20200091350 A KR 20200091350A KR 102211016 B1 KR102211016 B1 KR 10221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ump
flow rate
rain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태혁
Original Assignee
선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태혁 filed Critical 선태혁
Priority to KR1020200091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장 내부의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평형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개폐댐퍼(40)를 하강시켜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좁힘으로써,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비해 낮아지더라도, 효과적으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평형 배수펌프{horizontal drainage pump}
본 발명은 배수장 내부의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평형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 등이 저장되는 배수장에 설치된 배수펌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배치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에서 배수장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관체(21)와, 상기 펌프본체(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본체(10)는 측방향을 향하는 흡수구(11a)와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구(11b)가 형성된 펌프하우징(11)과, 상기 펌프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2)와, 상기 펌프하우징(11)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임펠러(12)의 흡수구(11a)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2)에는 관리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22a)이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22a)을 조작하여 배수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펌프본체(10)를 구동시키며, 이에 따라,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흡수구(11a)로 흡입된 후 배수구(11b)를 통해 배수관체(21)로 배출된 후, 배수관을 따라 배수장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수평형 배수펌프는 상기 흡수구(11a)가 펌프하우징(11)의 측면에 형성됨으로,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상기 흡수구(11a)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아질 경우 흡수구(11a)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흡수구(11a)의 상단높이보다 낮아질 경우, 우수를 배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평형 배수펌프는 펌프본체(10)의 흡수구(11a)에 필터망(14)이 구비되어,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펌프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우수를 배출할 때, 필터망(14)에 걸린 비닐 등과 같은 이물질에 의해 필터망(14)이 막혀서, 우수가 펌프본체(10)로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수평형 배수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필터망(14)을 막고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516701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장 내부의 우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평형 배수펌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배치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에서 배수장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관체(21)와, 상기 펌프본체(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본체(10)는 측방향을 향하는 흡수구(11a)와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구(11b)가 형성된 펌프하우징(11)과, 상기 펌프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2)와, 상기 펌프하우징(11)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12)의 흡수구(11a)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14)이 구비된 수평형 배수펌프에 있어서, 후단부는 상기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하측둘레부가 상기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 연장관체(3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4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댐퍼(4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30)를 전방의 제1 흡입부(31)와 후방의 제2 흡입부(32)로 구획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개폐밸브(50)와, 상기 제2 흡입부(32)에서 상기 배수장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관(61)과, 상기 배수장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에 연결된 배출펌프(62)와, 상기 배출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거유닛(63)과, 상기 배수관체(21)의 중간부와 상기 제1 흡입부(31)를 연결하는 리턴관(64)과, 상기 리턴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유량조절밸브(65)와, 상기 배수관체(21)에 구비되어 배수관체(21)을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1 유속측정수단(66)과, 상기 연장관체(30)에 구비되어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2 유속측정수단(67)과, 상기 개폐댐퍼(4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댐퍼(40)는 상승되면 상기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개방하고 하강되면 상기 흡입구를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막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펌프본체(10)의 구동모터(13)를 구동시켜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배수관체(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속측정수단(66)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관체(21)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이물질에 의해 필터망(14)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13)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밸브(50)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를 밀폐한 후, 상기 배출펌프(62)를 구동시켜 상기 배수관체(21) 내부의 우수가 역류하여 필터망(14)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승강구동수단(41)을 제어하여 개폐댐퍼(40)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속측정수단(67)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최소유속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65)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배수펌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개폐댐퍼(40)를 하강시켜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좁힘으로써,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비해 낮아지더라도, 효과적으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평형 배수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수평형 배수펌프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개폐댐퍼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개폐밸브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회로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배수펌프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배수펌프를 도시한 것으로,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배치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에서 배수장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관체(21)와, 상기 펌프본체(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펌프본체(10)는 측방향을 향하는 흡수구(11a)와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구(11b)가 형성된 펌프하우징(11)과, 상기 펌프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2)와, 상기 펌프하우징(11)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로 구성되며, 상기 임펠러(12)의 흡수구(11a)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22)에는 관리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입력수단(22a)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후단부는 상기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하측둘레부가 상기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 연장관체(3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4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댐퍼(4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30)를 전방의 제1 흡입부(31)와 후방의 제2 흡입부(32)로 구획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개폐밸브(50)와, 상기 제2 흡입부(32)에서 상기 배수장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관(61)과, 상기 배수장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에 연결된 배출펌프(62)와, 상기 배출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거유닛(63)과, 상기 배수관체(21)의 중간부와 상기 제1 흡입부(31)를 연결하는 리턴관(64)과, 상기 리턴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유량조절밸브(65)와, 상기 배출관(61)에 구비되어 배출관(61)을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1 유속측정수단(66)과, 상기 연장관체(30)에 구비되어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2 유속측정수단(67)과, 상기 개폐댐퍼(4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연장관체(30)는 상기 흡수구(11a)의 지름에 대응되는 원형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중간부가 전방으로 하향되도록 절곡되어, 전단부가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댐퍼(40)는 상승되면 상기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개방하고 하강되면 상기 흡입구를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막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형성된 흡입구의 양측에는 가이드부재(33)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재(33)의 인접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33a)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개폐댐퍼(40)는 사각판형태로 구성되어 양측면이 상기 가이드홈(33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41)은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된 지지대(34)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41a)가 상기 개폐댐퍼(40)의 상면에 연결된 실린더기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축에 따라, 상기 개폐댐퍼(4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밸브(5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밸브축(51)과, 상기 밸브축(51)에 결합된 디스크형상의 밸브체(52)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축(51)에 연결되어 밸브축(51)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동구동장치(53)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동구동장치(53)는 상기 밸브축(51)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축(51)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기어드모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동구동장치(53)로 상기 밸브체(52)가 연장관체(30)의 연장방향으로 밸브축(51)을 회동시키면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모터(13)로 상기 밸브체(52)가 연장관체(30)의 연장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밸브축(51)을 회동시키면 밸브체(52)에 의해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가 밀폐된다.
이러한 개폐밸브(50)는 일반적인 버터플라이밸브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관(61)은 상기 연장관체(30)의 제2 흡입부(32)에서 분기되어 상기 배수장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펌프(62)는 상기 배수장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61)에 연결된다.
상기 제거유닛(63)은 상기 배출관(61)에서 배출펌프(62)가 연결된 위치의 전방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펌프(62)가 구동되어 배출관(61)을 통해 우수와 이물질이 배출되면, 이물질을 걸러냄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우수만이 배출펌프(62)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65)는 상기 제어수단(22)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리턴관(64)을 통과하는 우수의 유량을 0~100까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유속측정수단(66)과 제2 유속측정수단(67)은 상기 배수관체(21)와, 연장관체(30)의 제2 흡입부(32)의 내부에 구비되어, 배수관체(21)와 연장관체(30)의 제2 흡입부(32)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70)은 상기 개폐댐퍼(40)의 외측면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승강가이드(71)와, 상기 승강가이드(7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부력체(72)와, 상기 승강가이드(71)에 구비되어 부력체(72)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는 리미티스위치(7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장관체(30)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높이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상기 수위감지수단(70)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22)으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형 배수펌프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댐퍼(40)는 상승되고, 개폐밸브(50)는 개방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65)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관리자가 상기 입력수단(22a)을 조작하여 배수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펌프본체(10)의 구동모터(13)를 구동시켜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배수관체(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제1 유속측정수단(66)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관체(21)을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이물질에 의해 필터망(14)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밸브(50)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를 밀폐한 후, 상기 배출펌프(62)를 구동시켜 상기 배수관체(21) 내부의 우수가 역류하여 필터망(14)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배출펌프(62)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밸브(50)를 개방한 후, 상기 구동모터(13)를 구동시켜 상기 배수관체(21)를 통해 우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수위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수위감지수단(70)보다 낮아질 경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41)을 제어하여 개폐댐퍼(40)를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개폐댐퍼(40)가 하강되면, 상기 연장관체(30)의 흡입구의 상단의 높이가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상기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연장관체(30)의 흡입구 상단의 높이보다 낮아지더라도, 우수가 연장관체(30)로 흡입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제2 유속측정수단(67)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최소유속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65)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즉, 상기 개폐댐퍼(40)가 하강되면, 상기 연장관체(30)의 흡입구가 좁아지는 효과가 발생되어, 연장관체(30)로 흡입되는 우수의 유량과 상기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상기 펌프본체(10)는 작동시 일정한 양의 우수를 흡입하여 상기 배수관체(21)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 우수의 유속이 줄어들 경우, 구동모터(1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체(30) 내부의 압력은 상기 배수관체(21) 내부의 압력에 비해 낮은 상태를 유지함으로, 상기 유량조절밸브(65)를 개방하면, 상기 배수관체(21) 내부의 우수가 상기 리턴관(64)을 통해 연장관체(30)의 내부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량과 유속이 증가되어, 구동모터(13)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밸브(65)는 상기 개폐댐퍼(40)가 하강됨에 따라 점차 개방량이 증가되어, 연장관체(30)의 흡입구가 줄어드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연장관체(30)의 내부로 점차 많은 양의 우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형 배수펌프는 평상시에는 상기 필터망(14)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지면 개폐댐퍼(40)를 하강시켜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좁힘으로써,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비해 낮아지더라도, 효과적으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0. 연장관체 40. 개폐댐퍼
50. 개폐밸브 60. 배출관
62. 배출펌프 63. 제거유닛
64. 리턴관 65. 유량조절밸브
66,67. 제1 및 제2 오속측정수단 70. 수위감지수단

Claims (1)

  1. 상기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배치되는 펌프본체(10)와,
    상기 펌프본체(10)에서 배수장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관체(21)와,
    상기 펌프본체(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본체(10)는
    측방향을 향하는 흡수구(11a)와 상측으로 연장된 배수구(11b)가 형성된 펌프하우징(11)과,
    상기 펌프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된 임펠러(12)와,
    상기 펌프하우징(11)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2)에 연결된 구동모터(13)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12)의 흡수구(11a)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망(14)이 구비된 수평형 배수펌프에 있어서,
    후단부는 상기 펌프하우징(11)의 흡수구(11a)에 연결되고 전단부는 하측둘레부가 상기 배수장의 바닥면(1)에 밀착되도록 배치된 연장관체(3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구동수단(4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연장관체(30)의 전단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댐퍼(40)와,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관체(30)를 전방의 제1 흡입부(31)와 후방의 제2 흡입부(32)로 구획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개폐밸브(50)와,
    상기 제2 흡입부(32)에서 상기 배수장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출관(61)과,
    상기 배수장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에 연결된 배출펌프(62)와,
    상기 배출관(61)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거유닛(63)과,
    상기 배수관체(21)의 중간부와 상기 제1 흡입부(31)를 연결하는 리턴관(64)과,
    상기 리턴관(64)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22)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유량조절밸브(65)와,
    상기 배수관체(21)에 구비되어 배수관체(21)을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1 유속측정수단(66)과,
    상기 연장관체(30)에 구비되어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을 측정하는 제2 유속측정수단(67)과,
    상기 개폐댐퍼(4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댐퍼(40)는 상승되면 상기 연장관체(30)의 흡입구를 개방하고 하강되면 상기 흡입구를 상측부터 순차적으로 막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22)은 상기 펌프본체(10)의 구동모터(13)를 구동시켜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가 상기 배수관체(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속측정수단(66)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관체(21)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속도 이하로 저하되면 이물질에 의해 필터망(14)이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13)를 정지시키고, 상기 개폐밸브(50)를 제어하여 상기 연장관체(30)의 중간부를 밀폐한 후, 상기 배출펌프(62)를 구동시켜 상기 배수관체(21) 내부의 우수가 역류하여 필터망(14)에 부착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배출관(6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수장에 저장된 우수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상기 승강구동수단(41)을 제어하여 개폐댐퍼(40)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2 유속측정수단(67)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연장관체(30)를 통과하는 우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최소유속 이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유량조절밸브(65)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형 배수펌프.
KR1020200091350A 2020-07-23 2020-07-23 수평형 배수펌프 KR10221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50A KR102211016B1 (ko) 2020-07-23 2020-07-23 수평형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350A KR102211016B1 (ko) 2020-07-23 2020-07-23 수평형 배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016B1 true KR102211016B1 (ko) 2021-02-01

Family

ID=7457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350A KR102211016B1 (ko) 2020-07-23 2020-07-23 수평형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0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199A (ja) * 1998-09-18 2000-04-04 Torishima Pump Mfg Co Ltd 排水ポンプ
KR20100121278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516701B1 (ko) 2014-07-15 2015-05-06 (주)그린텍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JP2016044555A (ja) * 2014-08-19 2016-04-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先行待機型ポンプ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20170024339A (ko) * 2015-08-25 2017-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70060597A (ko) * 2015-11-24 2017-06-01 그런포스 홀딩 에이/에스 수직펌프용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199A (ja) * 1998-09-18 2000-04-04 Torishima Pump Mfg Co Ltd 排水ポンプ
KR20100121278A (ko) * 2009-05-08 2010-11-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여과장치
KR101516701B1 (ko) 2014-07-15 2015-05-06 (주)그린텍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JP2016044555A (ja) * 2014-08-19 2016-04-0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先行待機型ポンプ
KR20170024339A (ko) * 2015-08-25 2017-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666318B1 (ko) * 2015-09-07 2016-10-13 금장건설 주식회사 소수력 발전기능을 구비한 펌프 게이트 시스템
KR20170060597A (ko) * 2015-11-24 2017-06-01 그런포스 홀딩 에이/에스 수직펌프용 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915B1 (ko) 싸이펀작동유발부를 가지는 싸이펀장치
KR102431585B1 (ko) 스트레이너챔버에 의해 막힘을 방지한 오배수패키지 시스템
KR100936428B1 (ko) 부구장치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한 수문용 자동 전기제어장치
KR102211016B1 (ko) 수평형 배수펌프
KR100357371B1 (ko) 수문의 수위 자동조절장치
KR101186738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US51545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liquid phase floating on a surface of groundwater
KR102095211B1 (ko) 자동 유체펌프
JP2751024B2 (ja) 吸引装置の吸引調整装置
JP4345107B2 (ja) 圧送式トイレ装置
KR102211006B1 (ko) 수직형 배수펌프
JPH03275103A (ja) 沈砂排出方法および装置
KR102020394B1 (ko) 진공형 볼류트펌프
CN110898488A (zh) 一种用于环保给排水净化处理领域的污水净化方法
JPH0623756Y2 (ja) 立軸ポンプ
KR102006229B1 (ko) 하층수 방류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N110397618A (zh) 一种水泵的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102428400B1 (ko) 도로터널의 하부 용수 배수시스템
KR102431530B1 (ko) 저수지용 사전 방류장치
KR20140065986A (ko) 펌프 게이트 장치
CN210835741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湿地水位控制装置
JPH0622157Y2 (ja) 立軸ポンプ
KR102379884B1 (ko) 건축용 엘리베이터 침수 차단장치
CN114134918B (zh) 一种全自动控制式真空深井装置的使用方法
KR20240053211A (ko) 육상 수로 하부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