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831B1 -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 Google Patents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831B1
KR102179831B1 KR1020190088812A KR20190088812A KR102179831B1 KR 102179831 B1 KR102179831 B1 KR 102179831B1 KR 1020190088812 A KR1020190088812 A KR 1020190088812A KR 20190088812 A KR20190088812 A KR 20190088812A KR 102179831 B1 KR102179831 B1 KR 10217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oil
epoxidized soybean
polymer composite
biodegradable polymer
cellulos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831B1/ko
Priority to PCT/KR2019/009124 priority patent/WO20210153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1Compounds containing epoxy groups or precurso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Abstract

본 발명은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수지에 대한 분산성과 수지와의 혼화성이 향상된 개질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가공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METHOD FOR PREPARING EPOXIDIZED SOYBEAN OIL MODIFIED CELLULOSE FIBER AND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E COMPRISING THE MODIFIED CELLULOSE FIBER}
본 발명은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화 대두유로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이 개질되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복합재를 형성할 때 분산성과 계면 접착력이 향상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가공성과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고분자는 석유유래 생분해성 및 바이오유래 생분해성 고분자로 분류할 수 있는데 친환경적이며 재생 가능한 바이오유래 고분자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다. 지구 환경 속에서 완전 생분해성을 가지는 고분자는 주쇄 구조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가능한 작용기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서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생분해 특성의 조절이 용이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은 옥수수 전분을 발효하여 얻어지는 락트산(lactic acid)을 토대로 합성되는 바이오유래 생분해성 고분자이며, 전 세계 약 10만 톤 규모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식품 포장재 및 용기, 전자제품 케이스 등의 일반 플라스틱 사용분야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유산 수지는 성형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성이 부족하여 박막제품의 경우 쉽게 파손되고 온도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 외부온도가 섭씨 60 oC 이상 상승하면 성형 제품의 형태에 변형이 일어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석유유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인 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는 지방족과 방향족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수지로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다양한 가공성을 가지고 있으나, 구조적인 강도가 약한 단점과 높은 제조원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언급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단점인 낮은 물성 개선과 비생분해성 고분자 제조원가 대비 고가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친환경 소재인 천연 섬유 등을 포함시켜 복합재료화 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제안되어 왔다. 셀룰로오스(cellulose)는 β-D-글루코오스가 β-글루코시드 결합(1-4 글루코시드 결합)을 통해 선형구조를 갖는 다당류의 천연 고분자들 중 하나이며, 선형구조의 셀룰로오스 고분자들은 상호 수소 결합력에 의해 나무와 같은 식물 세포벽을 형성한다. 그 중 셀룰로오스 섬유는 식물 세포벽으로부터 분해된 것으로, 그 원재료로는 목재펄프, 각종 식물, 미생물 또는 그들의 유래가 되는 원재료를 기계적, 물리적 처리 방법을 통해 형성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가벼운 특징이 있고, 천연 섬유임에도 합성 재료와 대응하게 인장 강도가 높아 석유, 섬유기반의 고분자들과 복합재 제조에 응용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셀룰로오스 섬유의 응집력과 친수성 특성으로 인해 복합재 제조 또는 소수성 고분자들과 중합시 혼합물 내에서 분산이 잘 되지 않아 물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437788호에서 셀룰로오스 섬유 상에 실란을 제공하여,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의 표면과 상기 실란 사이에 실록산 결합을 생성하여 1차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는 단계; 및 1차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 상에 무수 말레인산-그라프트-올레핀수지를 제공하여, 상기 실란의 말단 반응기와 무수 말레인산 사이의 결합을 생성하여 2차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개질 방법을 제시한 바 있으나, 반응 단계가 복잡하고, 친환경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에 적합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2011-0051575호에는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폴리프로필렌, 트리아세틴, 리그닌 등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복합소재가 개시되어 있으나, 여러 종류의 원료가 필요하고, 산업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생분해성과 기계적 특성이 충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778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1-005157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폴리에스테르에 셀룰로오스 섬유를 용융혼합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의 분산성 및 수지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분해성이 있는 바이오매스 물질인 에폭시화 대두유를 이용하여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한 분산성과 수지와의 혼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유기 용매에 에폭시화 대두유가 용해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셀룰로오스 섬유를 부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분산된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에폭시화 대두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반응이 이루어진 용액을 냉각한 후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표면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셀룰로오스 섬유를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함으로서, 고분자 복합재료 내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와 셀룰로오스 섬유간의 응집을 감소시켜 복합재료의 매트릭스 내 분산성을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고분자 복합재료에 사용한 모든 구성요소가 환경 친화적인 재료들로 구성되어 최종 구성품인 고분자 복합재료 자체도 친환경 소재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을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화 대두유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개질 공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룰로오스 섬유 개질 공정에서 에폭시화 대두유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화학 반응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FT-IR 스팩트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PBAT 복합재의 인장 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PBAT 복합재의 인장 탄성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PLA 복합재의 인장 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PLA 복합재의 인장 탄성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바이오매스 물질인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는 하이드록시 관능기가 존재하며,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상에 바이오매스인 에폭시화 대두유를 제공하여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의 하이드록실 친핵체와 옥시레인 관능기 사이의 화학결합을 생성하여 생분해성 바이오매스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은 a) 유기 용매에 에폭시화 대두유가 용해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셀룰로오스 섬유를 부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 분말가 분산된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에폭시화 대두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반응이 이루어진 용액을 냉각한 후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b) 에폭시화 대두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반응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15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화 대두유가 녹는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게 되는데, 옥시레인 관능기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므로 상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부터 150 ℃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0.1 내지 100 ㎛이고, 길이가 0.001 내지 10 mm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제조방법과 목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얻을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큰 셀룰로오스 섬유가 있을 수 있으나 순수한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것이 아닐 수 있으며 그 섬유는 리그닌이 함께 혼재되어 있는 리그노셀룰로오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이 범위보다 작은 경우는 나노셀룰로오스 섬유로 통칭되며, 현재까지 상용화된 범용 복합재 가공방법으로 제조가 어렵다. 따라서, 순수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제조에는 상기 범위의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폭시화 대두유를 용해시키는 유기 용매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나이트닐, 트리클로로벤젠, 오르쏘-다이클로로벤젠, 메타-크레졸, 피리딘 n-메틸피롤리돈(NMP),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술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메틸에틸케톤, 하이드로카본류 용매, 리파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나, 에폭시화 대두유의 용해가 가능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와의 반응에 적합한 유기 용매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을 아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는 두 가지 작용기가 예상된다.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표면에 있는 하이드록시 관능기와 에스테르 관능기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매트릭스와 분자간 결합(수소결합 또는 극성결합)으로 도메인-매트릭스 계면 혼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에폭시화 대두유 분자들 중 개질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남아 있는 옥시레인 관능기도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분자의 말단 관능기(하이드록시 관능기)와 용융가공시 화학반응이 유도되어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분자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복합재료의 계면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용융혼합된 셀룰로오스 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여 복합재를 구성할 경우, 최종 제조된 셀룰로오스 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는 100% 생분해성 복합재료로 구성되어 친환경성 고분자 복합재료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드-코-테레프팔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 terephalate; PBAT),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polybutylene succinate-co-adipate; PBSA),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polybutylene adipate; PBA),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석시네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 PBAST), 폴리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polyhyd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polydhydoxy butyrate; PHB),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생분해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중에서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은 5 내지 60 중량%인 것이 적당하며, 1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이 적은 경우 소기에 목적으로 하는 제조원가 절감 효과를 충분히 나타낼 수 없으며, 과한 첨가는 가공시 용융체의 흐름성을 악화시켜 생산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함량이 필요하다.
이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난연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열안정제, 활제, 안료, 항균제, 가공조제, 정전기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에폭시화 대두유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 개질
본 발명에 사용한 셀룰로오스 섬유는 대정화금사의 제품 (길이 = 20 ~ 100 ㎛)을 진공 오븐에 50 oC에서 2일간 건조시켜서 수분을 제거한 뒤에 사용하였다. 에폭시화 대두유는 당량이 232 g/mol인 사조해표사의 E-03 제품을 부가적인 정제과정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먼저 PGMEA(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용매(약 300 mL)에 에폭시화 대두유를 20 g을 넣은 후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고속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였다. 준비된 PGMEA 용액에 셀룰로오스 섬유(100 g)를 천천히 부가하면서 교반기를 사용하여 고르게 분산시켰다. 혼합 용액을 90 oC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여 반응시킨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혼합 용액을 여과한 후 메탄올로 여러 번 반복해서 미반응 에폭시화 대두유를 제거하였다. 여과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60 oC로 고정된 대류건조기에서 건조한 후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었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 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혼합하여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PBAT[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와 PLA[poly(lactic acid)]를 각각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PBAT는 지오솔테크 (GIO-SOLTECH Co., Ltd.)사 SOLPOL-1000 (MFI=2~4 g/10 min, 밀도=1.26 g/mL)제품을 사용하였으며, PLA는 네이쳐웍스사 (NatureWorks) 2003D (MFI=6 g/10 min, 밀도=1.24 g/ml) 제품을 사용하였다.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혼합은 HAAKE Rheomix 600p 용융혼합기를 사용하여 180 oC에서 40 rpm 속도로 10분간 수행하였다. 시편성형은 Carver hydraulic hot press (Model 3912)를 사용하여 180 oC, 15 MPa 압력에서 제조된 후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재단하여 사용하였다. 수지 조성물 중의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은 각각 20 wt-%로 고정하여 셀룰로오스 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셀룰로오스 섬유의 표면 개질 확인 및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특성 분석
실시예에서 얻어진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열분석은 TA Instruments사 TGA Q50을 사용하였으며, 질소분위기하에서 20 oC/min속도로 승온하여 10 wt.% 중량감소 열분해온도를 측정하였다. 적외선 분광기는 Thermo-scientific사 Nicolet iS10 을 사용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LR30K-Plus universal testing machine (AMETEK Ltd.)을 이용하였다. 고분자 복합재 샘플을 100(L)× 5(W) × 1(T) mm로 절단한 후 20 mm/min (셀룰로오스 섬유-PBAT 복합재인 경우)와 5 mm/min (셀룰로오스 섬유-PLA 복합재인 경우)의 테스트 속도로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5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FT-IR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910 cm-1 영역에서 옥시레인(oxirane) 관능기의 특성피크가 관찰되며, 1760 cm-1 영역에서 에폭시화 대두유의 기본 관능기인 에스테르 관능기의 카보닐기의 특성피크가 관찰되었다. 이는 셀룰로오스 섬유 표면에 에폭시화 대두유 분자가 결합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도 4와 도 5는 개질 전 셀룰로오스 섬유와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중량비로 20 wt-%를 함유하는 PBAT 복합재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와 인장 탄성율(tensile modulus)를 보여주고 있다.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MFC: Microfibriled cellulose)를 사용하였을 때, 개질하지 않은 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할 때보다 모두 향상된 기계적 물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향상된 기계적물성은 셀룰로오스 섬유와 PBAT 매트릭스 계면접착력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 6과 도 7은 개질 전 셀룰로오스 섬유와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한 셀룰로오스 섬유를 중량비로 20 wt-%를 함유하는 PLA 복합재의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와 인장 탄성율(tensile modulus)를 보여주고 있다. 앞서 셀룰로오스 섬유-PBAT 복합재의 경향과 유사하게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가 PLA 복합재 제조에 대해서도 더 유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 [표 1]은 셀룰로오스 섬유-폴리에스테르 복합재(10 wt.% 중량감소)의 열분해 온도 결과이다.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폴리에스테르 복합재에 사용하여도 열적 분해온도가 감소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Pristine MFC ESO coated MFC
PBAT 329 oC 331 oC
PLA 323 oC 323 oC

Claims (9)

  1.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유기 용매에 에폭시화 대두유가 용해된 용액을 교반시키면서 셀룰로오스 섬유를 부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가 분산된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50 내지 150 ℃에서 에폭시화 대두유와 셀룰로오스 섬유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반응이 이루어진 용액을 냉각한 후 여과하고 건조시켜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얻는 단계: 및
    d)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유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석시네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는 직경이 0.1 내지 100 ㎛이고, 길이가 0.001 내지 10 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나이트닐, 트리클로로벤젠, 오르쏘-다이클로로벤젠, 메타-크레졸, 피리딘 n-메틸피롤리돈(NMP),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다이메틸술폭사이드,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 메틸에틸케톤, 하이드로카본류 용매, 리파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은 5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유산,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코-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코-석시네이트-코-테레프탈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화 대두유로 표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함량은 5 내지 6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9. 제6항에 있어서,
    난연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열안정제, 활제, 안료, 항균제, 가공조제, 정전기 방지제 및 자외선 안정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KR1020190088812A 2019-07-23 2019-07-23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KR10217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12A KR102179831B1 (ko) 2019-07-23 2019-07-23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PCT/KR2019/009124 WO2021015334A1 (ko) 2019-07-23 2019-07-24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812A KR102179831B1 (ko) 2019-07-23 2019-07-23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831B1 true KR102179831B1 (ko) 2020-11-17

Family

ID=7364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812A KR102179831B1 (ko) 2019-07-23 2019-07-23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79831B1 (ko)
WO (1) WO202101533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575A (ko) 2009-11-10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KR101437788B1 (ko) 2013-10-08 2014-09-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수 말레인산-그라프트-올레핀수지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개질방법, 이에 의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올레핀수지 복합재료
JP2018145427A (ja) * 2017-03-07 2018-09-20 花王株式会社 改質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KR20190073360A (ko) * 2016-09-01 2019-06-26 에이치에스 매뉴팩츄어링 그룹, 엘엘씨 셀룰로오스 표면의 생체기반 유도체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87503B (it) * 2008-05-08 2011-04-13 Novamont Spa Poliestere biodegradabile alifatico-aromatic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1575A (ko) 2009-11-10 2011-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플라스틱 복합소재 및 친환경 자동차 내장재
KR101437788B1 (ko) 2013-10-08 2014-09-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수 말레인산-그라프트-올레핀수지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개질방법, 이에 의해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셀룰로오스-올레핀수지 복합재료
KR20190073360A (ko) * 2016-09-01 2019-06-26 에이치에스 매뉴팩츄어링 그룹, 엘엘씨 셀룰로오스 표면의 생체기반 유도체화 방법
JP2018145427A (ja) * 2017-03-07 2018-09-20 花王株式会社 改質セルロース繊維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NG, XUJUAN 등, ACS Sustainable Chemistry&Engineering, 2017년, 5권, 페이지 1619-1627(온라인 공개 2016.12.19.) 1부.* *
MENG, XIANGTAO 등, Materials and Design, 2018년, 139권, 페이지 188-197(온라인 공개 2017.11.07.)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15334A1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075B1 (ko)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리그닌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리그닌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JP5275549B2 (ja) デンプン−植物油グラフトコポリマー及びその生物繊維複合材料、並びにその製造方法
EP2350162B1 (de) Aliphatische polyester
JP5544301B2 (ja) 可溶性デンプンベース熱可塑性組成物およびこのような組成物を調製する方法
WO2009073197A1 (en) Biodegradable thermoplasticized starch-polyester reactive blends for thermoforming applications
Wu Utilization of peanut husks as a filler in aliphatic–aromatic polyester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degradability
EP2596058A2 (en) Biodegradable plastic compounding
Muthuraj et al. Reactive compatibiliz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iscanthus biofiber reinforced poly (hydroxybutyrate‐co‐hydroxyvalerate) biocomposites
Bräuer et al. Preparation and thermoplastic processing of modified plant proteins
Zhang et al. Starch-based rehealable and degradable bioplastic enabled by dynamic imine chemistry
CN112961474A (zh) 一种聚乳酸/环氧植物油全生物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KR101526690B1 (ko) 고내열 내충격성 폴리유산 복합재료 조성물
CN107513180A (zh) 一种淀粉/聚乙烯醇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8410146B (zh) 一种可生物降解的超韧阻燃聚乳酸基复合材料的制备方法
Wu Performance and biodegradability of a maleated polyester bioplastic/recycled sugarcane bagasse system
KR102179831B1 (ko) 에폭시화 대두유로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개질된 셀룰로오스 섬유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고분자 복합재
JPH11124485A (ja) 複合樹脂組成物
CN111187495A (zh) 一种高韧高耐热透明聚乳酸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4230991B (zh) 一种改性环氧化植物油增韧的聚乳酸材料的制备方法
Lothfy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jackfruit seed powder and polyvinyl alcohol blend as biodegradable plastic
WO2011040871A9 (en) Xyloglucan films
CN111574755B (zh) 一种可生物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Enhancement effect of acylated cellulose nanocrystals on waterborne polyurethane
Jiang et al. Preparation of high‐performance 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thermoplastic starch compounds with epoxidized soybean oil as compatibilizer
CN111286164A (zh) 一种生物降解塑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