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35B1 -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 - Google Patents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35B1
KR102179735B1 KR1020157021588A KR20157021588A KR102179735B1 KR 102179735 B1 KR102179735 B1 KR 102179735B1 KR 1020157021588 A KR1020157021588 A KR 1020157021588A KR 20157021588 A KR20157021588 A KR 20157021588A KR 102179735 B1 KR102179735 B1 KR 10217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lded
shaped body
sli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133A (ko
Inventor
사토시 이가라시
마나부 치에다
타쿠로 후쿠다
준이치 카루베
Original Assignee
다키론 씨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론 씨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론 씨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10Bending or folding of blown tubular films, e.g. gusse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bstract

본 발명은, 흐림 방지 도막(防曇塗膜)이 형성된 농업용 필름의 접음부에서의 균열이 발생되기 어렵게 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필름을 얻을 수 있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일정 폭의 띠형상체(19)로 하는 편평화 공정과,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는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과,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띠형상체(19)의 하측 필름(23) 또는 상측 필름(21) 중의 일방(一方)을 폭방향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7)을 넣어 컷팅하는 컷팅 공정과, 띠형상체(19)를, 슬릿(37)이 내측이 되도록 슬릿(37)을 따라 네 겹으로 접어 개는 절첩(折疊) 공정과,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를 롤 형상으로 감는 권취(卷取)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METHOD FOR MANUFACTURING AGRICULTURAL FILM, AND AGRICULTURAL FILM}
본 발명은, 하우스 재배나 터널 재배에 사용되는 접은 주름(crease)의 파손에 대한 내성이 뛰어난 광폭(廣幅)의 장기 전개확장형(long-term stretching)의 농업용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이른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농업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인플레이션법(inflation method)에 의해 성형된 농업용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의 농업용 필름은, 10m 이상의 광폭의 생산이 가능하여, 폭을 이을 필요가 없고 이음부의 융착(融着) 부족 등의 문제도 없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으로 농업용 필름에는, 흐림 방지성(防曇性, antifogging)을 부여하기 위한 흐림 방지제(防曇劑)가 다량으로 첨가되거나, 흐림 방지 도포제가 도포되거나 하고 있다. 그런데, 농업용 필름은, 투명성을 부여하기 위해 표면이 평활하기 때문에 필름끼리 밀착되기 쉬우며, 특히 여름철에 성형된 필름은 그러한 경향이 현저하다. 이에, 필름간 밀착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농업용 필름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상기 농업용 필름은, 실시예에 있어서, 소르비탄계, 글리세린계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흐림 방지제를 배합하여 공지된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통(筒) 형상으로 제조되어, 거싯 폴딩(gusset folding)된다. 거싯 폴딩은, 개구를 필름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접음폭의 중앙 부근에 형성하는 예컨대 대문 접기가 된다. 그리고, 필름끼리의 접촉면에는 에어가 주입된다. 에어의 주입은, 개구로부터 에어 노즐 등을 삽입하고, 접은 주름 방향을 향해 에어를 주입한다. 또한, 필름 외면(外面)이 접어 넣어진 부분도 필름끼리가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필름 외면으로부터 에어 노즐 등을 접어 넣음부에 삽입하여,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오프닝(opening)이나 전개확장시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35546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11-127700호
그러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농업용 필름에 흐림 방지 도막(防曇塗膜)을 형성하고, 수속 보정서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싯 폴딩(gusset folding)으로 한 경우, 흐림 방지 도막이 필름의 내측으로 접히는 계곡접기부(valley-fold part)가 형성되는 부위(箇所)가 있으며, 이 접은 주름에서 흐림 방지 도막이 균열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균열 후에 박리 등을 일으켜 흐림 방지 성능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한 농업용 필름의 접음부에서의 균열이나 박리 등의 문제가 발생되기 어렵게 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필름을 얻을 수 있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길이가 긴(長尺)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일정 폭의 띠형상체(帶體; 19)로 하는 편평화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는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과,
상기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상기 띠형상체(19)의 하측 필름(23) 또는 상측 필름(21) 중의 일방을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에서 상기 띠형상체(19)의 성형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7)을 넣어 컷팅하는 컷팅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19)를, 상기 슬릿(37)이 외측이 되도록 양 슬릿 단부(端部) 가장자리(61,61)를 정렬하여, 네 겹으로 접어개는 절첩(折疊, folding) 공정과,
상기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를, 롤 형상으로 감는 권취(卷取, winding)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통형상의 농업용 필름(11)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되며, 그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이 형성된다. 띠형상체(19)는, 폭방향 대략 중앙에 넣어진 슬릿(37)을 따라, 슬릿(37)이 외측이 되어 접어 개어짐으로써, 반절 접기(half-folding)된 띠형상체(19)가 된다.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mountain-folding part; 45)가 상하로 포개지며,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 하나의 산접기부(45)와 슬릿 단부 가장자리(61)가 포개진다. 즉,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대략 M자 형상으로 접어 개어져 4층이 된다. 이 때문에, 폭이 넓은 농업용 필름이라 하더라도, 권취 상태가 컴팩트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일정 폭의 띠형상체(19)로 하는 편평화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는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과,
상기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상기 띠형상체(19)의 하측 필름(23) 또는 상측 필름(21) 중의 일방을 폭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7)을 넣어 컷팅하는 컷팅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19)를, 상기 슬릿(37)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슬릿(37)을 따라 네 겹으로 접어 개는 절첩 공정과,
상기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를, 롤 형상으로 감는 권취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통형상의 농업용 필름(11)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되고, 그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이 형성된다. 띠형상체(19)는, 폭방향 대략 중앙에 넣어진 슬릿(37)을 따라, 슬릿(37)이 내측으로 접어 개어짐으로써,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가 된다.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 하나의 산접기부(45)가 된다. 즉,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4층이 된다. 흐림 방지 도막은, 이들 산접기부(45)의 각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산접기부(45)의 농업용 필름(11)을 사이에 끼고 내측이 되는 부분, 즉, 계곡접기부(47)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계곡접기부(47)에 있어서, 흐림 방지 도막이 있는 면이 대면(對面)하여 포개짐에 따른 전개 후의 균열 등이 발생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절첩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띠형상체(19)의 접는 위치를, 상기 슬릿(37)을 따르는 동시에, 슬릿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0~10㎝인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절곡(折曲; 접어 구부림) 위치를 슬릿(37)의 위치로부터 0~10㎝ 어긋난 위치로 하고 있고,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는 4층이 되며,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는 필름이 포개져 이중(二重)의 산접기부(45, 46)가 되는 동시에 상기 폭방향의 타단측(51)에는 이중의 계곡접기부(47,48)가 형성된다. 슬릿(37)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위치(절곡 단부 가장자리(57))까지의 되접어 꺾은 부분은 플랩(flap) 형상 가장자리부(59)가 되며, 전개 후의 농업용 필름(11)으로서의 예비 단부 가장자리 부분이 되어, 농업용 하우스 등에 전개 확장시켰을 때의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2 또는 3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절첩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체(19)의 폭방향 양측의 양 단부 가장자리(53,55)를 소정량 어긋나게 하여 접어 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서로 포개진 양 단부 가장자리(53,55)의 길게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의 단부 가장자리(53)를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하여, 타방측의 단부 가장자리(55)에 대해 떼어내도록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서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소정량이, 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어긋남량이 1㎜ 이하인 경우의 손으로 잡는 부분의 양의 부족이 생기지 않는 동시에, 어긋남량이 30㎜ 이상이 되어 어긋남부가 접히거나,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 단부 가장자리(53)와 타방측 단부 가장자리(55)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하여 반대로 떼어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은,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19)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19)의 절첩부(折疊部)가 되는 부위를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을 외측으로 컷팅 단부 가장자리(61,61)를 정렬하도록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고,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통형상의 필름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되고, 절첩부가 되는 부위인 폭방향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되어 슬릿(37)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37)이 외측이 되도록 접어 개어짐으로써,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가 된다. 상기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 하나의 산접기부(45)와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61,61)가 포개진다. 즉,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대략 M자 형상으로 이른바 대문 접기식의 세 번 접기가 되어 4층이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은,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19)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19)의 절첩부가 되는 부위를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을 절첩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컷팅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고,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이 형성된 통형상의 필름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되고, 절첩부가 되는 부위인 폭방향 대략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되어 슬릿(37)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37)이 절첩 중심으로서 내측이 되도록 접어 개어짐에 따라,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가 된다. 상기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 하나의 산접기부(45)가 된다. 즉,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이른바 대문 접기식의 세 번 접기가 되어 4층이 된다. 흐림 방지 도막은, 외주면에 형성되며, 이들 산접기부(45)의 각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산접기부(45)를 사이에 끼고 내측이 되는 부분, 즉, 계곡접기부(47)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계곡접기부(47)에 있어서, 흐림 방지 도막이 있는 면이 대면(對面)하여 포개짐에 따른 전개 후의 균열 등이 발생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은,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19)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19)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19)의 절첩부가 되는 부위를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0~10㎝의 위치를 절첩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컷팅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고,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통형상의 필름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된 후에, 폭방향 대략 중앙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위치를 절곡 위치로 하고, 이 절곡 위치로부터 0~10㎝ 어긋나게 한 위치가 컷팅 부분이 되어 슬릿(37)이 형성되어 있다.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는 4층이 되며,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는 필름이 포개져 이중의 산접기부(45,46)가 되는 동시에 상기 폭방향의 타단측(51)에는 이중의 계곡접기부(47,48)가 형성된다. 슬릿(37)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절곡 위치(절곡 단부 가장자리(57))까지의 되접어 꺾은 부분은 플랩 형상 가장자리부(59)가 되며, 전개 후의 농업용 필름(11)으로서의 예비 단부 가장자리 부분이 되어, 농업용 하우스 등에 전개 확장시켰을 때의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은,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으로서,
상기 띠형상체(19)의 폭방향 양측의 양 단부 가장자리(53,55)가 소정량 어긋나게 접어 개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서로 포개진 양 단부 가장자리(53,55)의 길게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의 단부 가장자리(53)를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하고, 타방측의 단부 가장자리(55)에 대해 떼어내도록 전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서로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은, 청구항 9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11)으로서,
상기 소정량이, 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어긋남량이 1㎜ 이하인 경우의 손으로 잡는 부분의 양의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어긋남량이 30㎜ 이상이 되어 어긋남부가 접히거나,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 단부 가장자리(53)와 타방측 단부 가장자리(55)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하여 반대로 떼어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폭이 넓은 농업용 필름이라 하더라도, 성형 후에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짐에 따라, 권취 상태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한 농업용 필름의 접음부에서의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되기 어렵게 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필름을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을 전개 확장시킨 후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을 전개 확장시킬 때에, 용이하게 전개 확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포개진 양 단부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6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에 의하면, 폭이 넓은 농업용 필름이라 하더라도, 권취 상태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7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에 의하면,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한 면을 외측으로, 산접기로 하여 접어 개기 때문에, 접음부에서의 균열이나 박리가 발생되기 어렵게 하여, 작업성이 양호하며, 내구성이 뛰어나다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에 의하면, 전개 확장시킨 상태에서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을 농업용 필름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에 의하면,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을 전개 확장시킬 때에, 양 단부 가장자리가 미리 소정량 어긋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전개 확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에 의하면, 손으로 잡는 부분의 양의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어긋남부가 접히거나,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 단부 가장자리와 타방측 단부 가장자리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져 떼어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없으며, 서로 포개진 양 단부 가장자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건조 후의 띠형상체의 사시도, 도 2(b)는 하측 필름에 슬릿이 들어간 띠형상체의 정면도, 도 2(c)는 슬릿을 내측으로 하여 접어 개어지는 도중의 띠형상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전개 개시(開始)시의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감겨진 농업용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하측 필름에 슬릿이 들어간 띠형상체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 띠형상체를 접어 갤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 띠형상체를 접어 갤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에 의해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제조 장치의 개념도, 도 2(a)는 건조 후의 띠형상체의 사시도, 도 2(b)는 하측 필름에 슬릿이 들어간 띠형상체의 정면도, 도 2(c)는 슬릿을 내측으로 하여 접어 개어지는 도중의 띠형상체의 정면도, 도 3은 접어 개어진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 도 4는 전개 개시시의 농업용 필름의 정면도, 도 5는 감겨진 농업용 필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은, 편평화 공정,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 컷팅 공정, 절첩(折疊) 공정으로 대별(大別)된다. 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농업용 필름(11)은, 공지된 필름 제법(製法)인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되며, 단층 타입, 혹은 투명성, 방진성(防塵性), 유연성 및 강도 등이 향상되는 적층 타입이 된다.
[편평화 공정]
본 농업용 필름(11)은, 사용되는 장소, 예컨대 지방이나 환경, 나아가 내용년수(耐用年數) 등에 따라, 그 두께 등이 선택되는데, 일반적으로 0.05~0.3㎜의 두께가 된다. 농업용 필름(11)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α-올레핀의 단독 중합체나 α-올레핀을 주성분으로 하는 이종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이며, 예컨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에틸렌, 1-부틸렌, 1-펜텐, 1-헥센과의 공중합체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에틸렌 단독 중합체나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초산(酢酸)비닐과의 공중합체인 에틸렌계 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2종 이상을 혼합해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제조되는 농업용 필름(11)은, 우선, 압출기(押出機; 13)에 부착되어 있는 인플레이션 다이(inflation die; 15)로부터 밀려나오는 동시에, 내측으로부터 공기가 이송되어 들어와, 소정의 폭으로 팽창되며, 성형 직후에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필름원단은, 핀치 롤(pinch roll; 17)에 끼워져 인도되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눌려 일정 폭의 띠형상체(19)가 된다. 또한, 도 2~4 및 도 6~8에 나타내는 띠형상체(19)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공간을 갖는 편평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가 밀착된 상태가 된다. 즉, 띠형상체(19)는 접은 주름이 2줄이 생겨, 도면 중 좌우 위치가 되는 폭방향으로 양 단부 가장자리(53,55)가 형성되어, 상측 필름(21)과 하측 필름(23)이 포개진다. 띠형상체(19)는, 반송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롤(25)에 팽팽하게 걸쳐지며, 반송 방향 하류측이 되는 흐림 방지막 형성부, 컷팅부, 절첩부로 차례차례 반송되어, 최종 단(段)인 권취부(卷取部)에서 농업용 필름(11)으로서 감긴다.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
상기 농업용 필름(11)의 필름 한쪽 면(片面)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도포형 흐림 방지제 등의 개질제(改質劑)가 도포되어, 흐림 방지성을 갖는 도막(塗膜)이 형성된다. 인플레이션 성형시에 있어서의 내측층은, 일반적으로는, 하우스 재배에 있어서의 사용시에 외층이 된다. 즉, 흐림 방지 도막은, 인플레이션 성형시에 있어서의 외측층에 형성된다. 이러한 도포형 흐림 방지제가 도포되는 공정은, 필름을 절단하여 접어 개기 이전에 행해진다. 즉, 띠형상체(19)가 된 상태에서의 외주면이 되는 상하 양면(22, 24)에, 코로나 처리기(27)에 의한 코로나 방전 처리가 실시된 후에, 흐림 방지제 등의 개질제(改質劑)가 든 조(槽)를 구비하는 도포 장치(29)를 통과하며, 건조 장치(31)에 의해 건조시킴으로써 필름 표면에 도막을 형성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압출기(13)가 1대이지만, 3~5대의 압출기를 이용한 복층 인플레이션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흐림 방지 도막은, 무기질 콜로이드졸과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무기질 콜로이드졸을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으로서 사용한다.
무기질 콜로이드졸로서는, 예컨대 실리카졸, 알루미나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실리카졸로서는, 구(球)형상 혹은 사슬(鎖)형상의 콜로이드상(狀) 실리카 등을 들 수 있으며, 평균 입자 지름 5~200nm, 바람직하게는 l0~130nm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스노우텍스(SNOWTEX) 20, 스노우텍스 XL, 스노우텍스 UP(상품명:닛산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또, 알루미나졸로서는, 5~200nm의 콜로이드 크기를 갖는 구형상, 깃털형상, 막대형상의 알루미나 수화물(水和物)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서는, 알루미나졸-100, 알루미나졸-200(상품명:닛산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로서는, 무기질 콜로이드졸을 필름의 외측층에 고정 부착할 수 있는 것이면 되는데, 예컨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 바인더를 들 수 있으며, 특히, 수성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가 적합하다. 이러한 수성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음이온성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음이온성의 수성 우레탄 수지의 존재 하에, 히드록시기 함유 아크릴계 화합물을 중합시킨 후, 활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가 있다.
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는 분산액에는, 분산성 및 도포성의 향상을 위해, 또한 소포제(消泡劑)로서,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를 함유시켜도 무방하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폴리 에테르 변성 실리콘, 폴리 글리세린 변성 실리콘, 알킬·폴리 에테르 공변성(共變性) 실리콘을 들 수 있으며,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 알킬기나 플루오로 알케닐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상기 분산액에 대해 0.01~2중량%가 되도록 배합한다.
상기 무기질 콜로이드졸과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의 비율은, 고형분 중량비로 9:1 내지 3:7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의 비율이 적으면 흐림 방지 도막과 필름 표면간의 접착이 불충분해지며, 또 이보다 무기질 콜로이드졸의 비율이 적으면 충분한 흐림 방지성을 얻을 수가 없다.
흐림 방지 도막은, 무기질 콜로이드졸을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예컨대 침지법 혹은 그라비아 코터(gravure coater), 리버스 롤 코터(reverse roll coater)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air knife coater) 등에 의한 코팅법 등을 이용해 도포하는데, 필름 굴곡부 부근에 희석액을 공급하여, 필름의 굴곡부에 도포한 분산액을 희석함으로써 그 농도를 낮추며,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은 통형상 적층 필름의 외측층 상에 도포하고, 50~15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시켜 형성한다(희석법).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코팅법에 의해 무기질 콜로이드졸을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은 통형상 적층 필름의 외측층 상에 도포한 후, 상기 통형상 적층 필름 굴곡부에 에어를 분사하여 여분의 분산액을 불어날리고, 50~15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하여 형성(에어법)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코팅법으로 무기질 콜로이드졸을 열가소성 수지 바인더에 분산시킨 분산액을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은 통형상 적층 필름의 외측층 상에 도포한 후, 상기 통형상 적층 필름 굴곡부의 도포액을 추가로 긁어내고, 50~150℃ 정도의 온도로 열풍 건조하여 형성(다중법)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형성된 건조 후의 흐림 방지 도막의 평균 막두께는, 흐림 방지 도막의 종류나 필요로 하는 흐림 방지 성능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0.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2㎛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굴곡부의 흐림 방지 도막의 두께는, 평탄부의 평균 두께에 가능한 한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상기 평탄부의 평균 두께의 2배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필름의 장기 사용시에 있어서의 접은 주름 부위로부터의 파손의 발생을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굴곡부의 도막의 두께는, 적어도 상기 평탄부의 평균 두께의 0.5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흐림 방지 성능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의 제조시에, 이 필름 자체에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각종 흐림 방지제,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류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등의 보온제, 방무제(防霧劑),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슬립제(slip agent)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컷팅 공정]
다음으로, 흐림 방지 도막이 형성된 띠형상체(19)인 필름 원단은, 절단 절첩 장치(33)에 있어서, 반송 방향인 세로 방향을 따라,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컷터(35) 등의 절단수단을 이용하여 일부가 절단된다. 이러한 절단은,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띠형상체(19)의 하측 필름(23) 또는 상측 필름(21) 중의 일방(一方)을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 예컨대 대략 중앙에서 띠형상체(19)의 성형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배치되는 컷터(35)와 내측에 배치되는 절단 지지판(38)에 의해 슬릿(37)을 넣어 컷팅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절단 절첩 장치(33)에 있어서는, 가이드 롤(34)의 바로 앞에서 슬릿(37)이 들어간다.
[절첩 공정]
슬릿(37)이 들어간 띠형상체(19)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컷팅 부분이 절첩부가 되며, 상기 컷팅 부분을 절첩 중심으로 하여 슬릿(37)이 내측이 되도록 슬릿(37)을 따라, 절곡(折曲) 지지체(39) 등에 의해 접어 개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컨대 띠형상체(19)의 반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25,34)과는 축선방향이 직교하는 핀치 롤(36)을 구비함으로써, 슬릿(37) 형성 후의 가이드 롤(34)을 통과한 후에, 슬릿(37)을 내측으로 계곡접기하면서 접어 개고, 그 접어 갠 상태에서 끼워져 반송된다. 이로써, 띠형상체(19)는, 접은 주름이 3줄이 생겨 4층으로 포개져, 이른바 대문접기식의 3번 접기가 된다. 여기서, 접어 개어지는 띠형상체(1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형상체(19)의 폭방향 양측의 양 단부 가장자리(53,55)가 소정량 어긋나게 되어 접어 개어진다. 폭방향의 양 단부 가장자리(53,55)는, 폭방향으로, 1㎜ 이상 30㎜ 이내, 바람직하게는 3㎜ 이상 20㎜ 이내로 설정되는 소정의 길이 어긋남(A)을 가진 상태로 서로 포개진다. 이로써, 서로 포개지는 필름의 일방의 단부 가장자리(53)는, 타방의 단부 가장자리(55)보다 길게 연장되어 나오게 된다.
어긋남(A)의 소정량이, 1~30㎜의 범위임에 따라, 어긋남량이 1㎜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의 손으로 잡는 부분의 양의 부족이 발생하지 않는 동시에, 어긋남량이 30㎜ 이상이 되어 어긋남부가 구부러지거나,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일방측과 타방측간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하여 반대로 떼어내기 어려워지는 일이 없다. 이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포개진 양 단부 가장자리(53,55)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진 필름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향 변경(變向, turning) 가이드 롤(26)을 통해 권취기(winder; 41)에서 종이관(43)을 중심으로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겨져 롤 형상이 된다. 이러한 롤 형상이 된 농업용 필름(11)은, 보관·수송이 행해지는 오프닝 전의 원단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농업용 필름(11)은, 농업용 하우스에 전개 확장시킬 때에, 롤 형상의 필름을 되감아 풀어내고, 그리고 어긋남(A)이 설정되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접어 개어져 서로 밀착되어 있는 필름을 서로 분리하도록 하여 오프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프닝 작업에 있어서, 농업용 필름(11)은, 어긋남(A)을 가지고 있는 가장자리 부분에 있어서, 서로 포개진 단부 가장자리의 일방(53)이, 타방(55)보다 길게 연장되어 나와 있기 때문에, 일방측의 단부 가장자리(53)를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측(55)에 대해 떼어내도록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서로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접어 개어져 있는 농업용 필름(11)을 전개 확장하는 작업을 번잡하게 하지 않고, 용이하게 농업용 하우스 등에 대해 전개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또, 접어 개어진 상태로 필름면끼리 밀착되거나, 유연한 수지 소재의 필름이거나, 필름 자체에 첨가된 각종 첨가제가 블리딩(bleeding)되어 필름 면이 달라붙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어긋남(A)을 가지고 포개진 단부 가장자리(53, 55)에 의해 용이하게 서로를 분리할 수 있어, 접어 개어진 필름을 전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전개 확장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그리고,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서는,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이 형성된 통형상의 농업용 필름(11)이, 띠형상체(19)로 편평화된다. 띠형상체(19)는, 폭방향 대략 중앙에 넣어진 슬릿(37)을 따라, 슬릿(37)이 내측으로 접어 개어짐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층의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가 된다.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19)는,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며, 즉 일방의 단부 가장자리(53)와 타방의 단부 가장자리(55)가 포개지며, 또한,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 하나의 산접기부(45)로 이루어지는 절곡 단부 가장자리(57)가 된다. 흐림 방지 도막은, 이들 모든 산접기부(45)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산접기부(45)의 농업용 필름(11)을 사이에 끼고 내측이 되는 부분, 즉, 계곡접기부(47)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계곡접기부(47)에 있어서, 흐림 방지 도막이 있는 면이 대면(對面)하여 포개짐에 따른 전개 후의 균열이나 박리 등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농업용 필름(11)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한 농업용 필름(11)의 접음부에서의 균열이 발생되기 어렵게 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농업용 필름(11)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컷팅 공정에 의한 슬릿(37)의 형성 위치와, 절첩 공정에 의한 절첩 위치를 같은 위치로 하고, 슬릿(37)에 의한 절단 단부 가장자리가 접는 주름이 되지 않는 대문접기식의 3번 접기에 의해 4층으로 겹쳐져 접어 개어지는 띠형상체(19)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그 컷팅 부분인 슬릿(37)의 위치와 절첩 위치를 일치시키지 않고, 띠형상체(19)의 접는 위치를 슬릿(37)을 따르게 하면서, 상기 슬릿(37)의 단부 가장자리와 접는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접어 개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화된 띠형상체(19)는, 그 폭 길이(W)의 대략 중앙이 접는 위치(C)가 되며, 그 대략 중앙의 접는 위치(C)로부터 0~10㎝, 바람직하게는 0~5㎝의 성형 폭(B)만큼 어긋난 위치에 다음 단계인 컷팅 공정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절단 지지판(38)과 커터(35)에 의해, 띠형상체(19)의 성형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37)을 성형한다. 즉 접는 위치(C)와 슬릿(37)은, 소정 폭(B)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슬릿(37)의 성형 후에는, 절첩 공정에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7)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폭(B)을 둔 위치에서, 절곡 지지체(39) 등에 의해, 슬릿(37)이 내측이 되도록 슬릿(37)을 따라 접어 개어진다. 이 접는 위치는 절곡 단부 가장자리(57)가 되며, 상기 접는 위치로부터 슬릿(37)까지의 소정 폭(B) 부분인 되접어 꺾은 부분이 플랩(flap) 형상 가장자리부(59)가 된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는 4층이 되며,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는 필름이 포개져 이중의 산접기부(45, 46)가 되는 동시에, 그 타단측(51)에는 이중의 계곡접기부(47,48)가 형성된다. 플랩 형상 가장자리부(59)가 형성되는 계곡접기부(48)는, 흐림 방지 도막끼리가 밀착하게 되지만,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를 전개시켰을 때, 가장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어, 전개 후의 농업용 필름(11)으로서의 예비 단부 가장자리 부분이 된다. 상기 플랩 형상 가장자리부(59)는, 농업용 하우스 등에 전개 확장시켰을 때의, 구조 프레임체에 대한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으로 할 수 있으며, 하우스 내면으로 표출되지 않는 부위가 되어, 즉 흐림 방지 성능을 필수로 하는 부위는 아니기 때문에, 흐림 방지 도막에 균열 등이 생겨도 문제없는 부위가 된다. 즉, 하우스에 대한 고정용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을, 미리 플랩 형상 가장자리부(59)로서 접어 갤 때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컷팅 공정 후의 절첩 공정시에, 슬릿(37)이 내측이 되도록 슬릿(37)을 따라 접어 구부려, 4층의 띠형상체(19)로 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컷팅 부분인 슬릿(37)을 외측이 되도록, 이 슬릿(37)을 따라 접어 구부려, 접어 개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7)은, 띠형상체(19)의 일방의 필름 측의 폭방향 대략 중앙이 컷팅됨으로써 형성된다. 띠형상체(19)를 컷팅한 후의 절첩 공정에서는, 절곡 지지체(39) 등에 의해, 슬릿(37)을 외측으로 하고, 상기 슬릿(37)이 형성되는 일방의 필름과 대향되는 타방의 필름측을 절첩 중심으로 하여 접어 구부려, 여기를 절곡 단부 가장자리(57)로 한다. 그리고, 폭방향 양 단부 가장자리(53,55)를 포개지도록 접어 구부려, 절곡 단부 가장자리(57)를 계곡접기부(47)로 하고, 폭방향 양 단부 가장자리(53,55)를 한 쌍의 산접기부(45, 45)로 하여 서로 포갠다. 이때의 슬릿(37)에 의한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61,61)는 정렬되게 되며, 또한, 절곡 단부 가장자리(57)의 산접기부(45)와 각각 포개진 상태가 되어, 폭방향의 타방측(51)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접어 갤 때에, 폭방향의 일방측(49)의 한 쌍의 산접기부(45)의 포갬 상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어긋남을 가지도록 서로 포개거나, 마찬가지로, 폭방향의 타방측(51)의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61,61) 및 산접기부(45)와의 각각의 포갬 상태를 소정 길이의 어긋남을 갖도록 서로 포개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어긋남을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를 전개할 때의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 할 수 있어, 떼어내는 것과 같은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농업용 필름(11)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개어진 띠형상체(19)는 4층이 되며, 폭방향의 일방측(49)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45, 45)가 상하로 포개지고, 폭방향의 타방측(51)에서는,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61,61)가 산접기부(45)를 사이에 끼고 포개지게 되어, 그 접어 개어진 상태는, 대략 M자 형상이 된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광폭으로 제조되는 농업용 필름이라 하더라도, 폭 길이를 컴팩트하게 줄여 감을 수 있게 된다.
11; 농업용 필름
19; 띠형상체(帶體)
21; 상측 필름
23; 하측 필름
37; 슬릿(slit)
61; 슬릿 단부(端部) 가장자리

Claims (10)

  1. 길이가 긴 통(筒)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일정 폭의 띠형상체(帶體)로 하는 편평화(偏平化)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防曇塗膜)을 형성하는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과,
    상기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상기 띠형상체의 하측 필름 또는 상측 필름 중의 일방(一方)을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서 상기 띠형상체의 성형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slit)을 넣어 컷팅하여 슬릿 단부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컷팅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슬릿 단부 가장자리의 형성 위치에서 상기 하측 필름 또는 상기 상측 필름 중의 타방(他方)을 절첩(折疊, folding) 중심으로 하여 상기 외주면 측을 계곡(valley)으로 하여 접고, 상기 슬릿 단부 가장자리가 외측이 되도록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계곡으로 접은 위치를 정렬하여 포개며, 상기 폭방향의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를 포개어 네 겹으로 접어 개는 절첩 공정과,
    상기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지고,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일방측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mountain-folding part)가 상하로 포개지며,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타방측에서 상기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가 하나의 산접기부를 사이에 두고 포개진 반절 접기(half-folding)된 띠형상체로 된 띠형상체를, 롤 형상으로 감는 권취(卷取, winding)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2.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일정 폭의 띠형상체로 하는 편평화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는 흐림 방지막 형성공정과,
    상기 흐림 방지 도막의 건조 후에 상기 띠형상체의 하측 필름 또는 상측 필름 중의 일방을 폭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부위에서 상기 띠형상체의 성형방향인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을 넣어 컷팅하는 컷팅 공정과,
    상기 띠형상체를, 상기 폭방향의 양 슬릿 단부 가장자리를 포개고, 상기 슬릿이 내측이 되도록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띠형상체의 하측 필름 또는 상측 필름 중의 타방을 접어 네 겹으로 접어 개어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로 하는 절첩 공정과,
    상기 네 겹으로 접어 개어진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를, 롤 형상으로 감는 권취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띠형상체의 접는 위치를, 상기 슬릿을 따르는 동시에, 슬릿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0~10㎝인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체의 폭방향 양측의 양 단부 가장자리를 소정량 어긋나게 하여 접어 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량이, 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6.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의 절첩부(折疊部)가 되는 폭방향의 중앙의 일방의 필름 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을 외측으로 하여 컷팅 단부 가장자리와 타방의 필름 측의 접음부를 정렬하고, 상기 띠형상체의 폭방향의 양 컷팅 단부 가장자리를 포개도록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며,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일방측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가 상하로 포개지고,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타방측에서 상기 양 컷팅 단부 가장자리가 하나의 산접기부를 사이에 두고 포개진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로 되어,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
  7.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의 절첩부가 되는 부위의 일방의 필름 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을 절첩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컷팅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고,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일방측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가 상하로 포개지며, 상기 절첩 중심 측의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타방측에서 내측에 상기 컷팅 부분을 둔 하나의 산접기부가 되는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로 되어,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
  8. 길이가 긴 통형상으로 성형한 필름을 평평하게 눌러 편평화하여 일정 폭의 띠형상체로 한 후, 상기 띠형상체의 외주면에 흐림 방지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띠형상체의 절첩부가 되는 부위의 일방의 필름 측을 길이방향을 따라 컷팅하며, 상기 컷팅 부분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0~10㎝의 위치를 절첩 중심으로 하여 상기 컷팅 부분을 내측으로 접어 개어 네 겹으로 성형하고,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일방측에서 한 쌍의 산접기부가 상하로 포개지며, 상기 절첩 중심 측의 접어 개어진 후의 폭방향의 타방측에서 이중(二重)의 산접기부가 되는 동시에, 상기 이중의 산접기부의 내측에 상기 컷팅 부분이 위치하는 반절 접기된 띠형상체로 되어,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상체의 폭방향 양측의 양 단부 가장자리가 소정량 어긋나게 접어 개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량이, 1~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필름.
KR1020157021588A 2013-02-27 2014-02-25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 KR102179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7269 2013-02-27
JPJP-P-2013-037269 2013-02-27
PCT/JP2014/054449 WO2014132945A1 (ja) 2013-02-27 2014-02-25 農業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農業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133A KR20150122133A (ko) 2015-10-30
KR102179735B1 true KR102179735B1 (ko) 2020-11-17

Family

ID=5142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588A KR102179735B1 (ko) 2013-02-27 2014-02-25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962549B1 (ko)
JP (1) JP6396280B2 (ko)
KR (1) KR102179735B1 (ko)
CN (1) CN104968192B (ko)
WO (1) WO20141329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12160A (ja) * 2020-01-20 2021-08-05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農業用フィルム折畳体及び農業用フィルム折畳体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60A (ja) * 1999-06-17 2000-12-26 C I Kasei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JP2001062972A (ja) 1999-08-31 2001-03-13 Chisso Corp 施設園芸用フィルム
JP2001171914A (ja) 1999-12-20 2001-06-26 Showa Packs Kk 運搬容易なフィルムシート収束体及びその形成方法
WO2005037696A2 (en) 2003-10-09 2005-04-28 Specialty Systems Advanced Machinery, Inc. Folded roll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3963A (ja) * 1975-02-14 1976-08-18 Purasuchitsukufuirumunojidooritatamiho
US4674999A (en) * 1982-09-27 1987-06-23 Ethyl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plastic film construction
US4948638A (en) * 1982-09-27 1990-08-14 Tredegar Industries, Inc. Plastic film construction
US5108844A (en) * 1989-12-28 1992-04-28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Blended films, structures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NL1000940C2 (nl) * 1995-08-07 1997-02-11 Hyplast Nv Werkwijze voor het vouwen van een kunststof folie.
JPH10264523A (ja) * 1997-03-26 1998-10-06 Oji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H11127700A (ja) * 1997-10-31 1999-05-18 Chisso Corp 作業性の改良された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2003103630A (ja) * 2001-09-27 2003-04-09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CN2838258Y (zh) * 2005-11-08 2006-11-22 齐青格力 可风化复合农用地膜
CN101081556A (zh) * 2007-07-06 2007-12-05 上海农园绿色工程有限公司 耐久长效无滴聚酯pet薄膜
JP2009279839A (ja) * 2008-05-22 2009-12-03 C I Kasei Co Ltd 積層体と該積層体より得られる保護フィルム層付き硬化塗膜層の製造方法
IT1396041B1 (it) * 2009-09-30 2012-11-09 Soragni S R L Metodo per piegare un foglio tubolare steso o soffiettato realizzato in materiale flessibile
JP5367605B2 (ja) * 2010-02-05 2013-12-11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460A (ja) * 1999-06-17 2000-12-26 C I Kasei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JP2001062972A (ja) 1999-08-31 2001-03-13 Chisso Corp 施設園芸用フィルム
JP2001171914A (ja) 1999-12-20 2001-06-26 Showa Packs Kk 運搬容易なフィルムシート収束体及びその形成方法
WO2005037696A2 (en) 2003-10-09 2005-04-28 Specialty Systems Advanced Machinery, Inc. Folded roll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133A (ko) 2015-10-30
CN104968192A (zh) 2015-10-07
EP2962549A1 (en) 2016-01-06
WO2014132945A1 (ja) 2014-09-04
EP2962549A4 (en) 2016-10-12
CN104968192B (zh) 2019-03-08
JPWO2014132945A1 (ja) 2017-02-02
EP2962549B1 (en) 2017-12-20
JP6396280B2 (ja)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0511A (en) Plastic film construction
CZ288869B6 (cs) Způsob dvouosého roztahování nepřetržitého tenkého plochého materiál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NZ540561A (en) Laminates of film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bending in all direc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manufacture
KR102179735B1 (ko)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및 농업용 필름
US4948638A (en) Plastic film construction
JP6834840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
US99939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rd included rubber sheet
CN105682915B (zh) 无纺布和强化层叠体
JP6734157B2 (ja) ハウス展張用フィルム及びハウス展張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713746A (en) Hollow object and method of making thermoplastic seam
CN105283520A (zh) 具有包含结构粘合剂的粘合剂层的粘合带的卷及其制造方法
US4674999A (en) Method of forming a plastic film construction
JP2021112160A (ja) 農業用フィルム折畳体及び農業用フィルム折畳体の製造方法
JP4144119B2 (ja) 農業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11492177B2 (en) Bag with multi-layer seam structure
JP4902645B2 (ja) 帯紙のロール
WO2006047818A1 (en) A fabric tube, tube manufacture and tube application
JPH11129315A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の開反方法
JP7473809B2 (ja) 包装袋の製造システム
WO2005075186A1 (en) A fabric, and its manufacture and applications therefor
JP4053904B2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巻き取り方法
US11873126B2 (en) Segmented wrapping films and related methods
JP4158366B2 (ja) ラミネート方法
JPH11127700A (ja) 作業性の改良された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7369510B2 (ja) ストレッチフィルムを用いたスリーブ包装方法、スリーブ包装用ストレッチフィルム、およびスリーブ包装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