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47B1 -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47B1
KR102177547B1 KR1020140137394A KR20140137394A KR102177547B1 KR 102177547 B1 KR102177547 B1 KR 102177547B1 KR 1020140137394 A KR1020140137394 A KR 1020140137394A KR 20140137394 A KR20140137394 A KR 20140137394A KR 102177547 B1 KR102177547 B1 KR 10217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ube
steering
housing memb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273A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4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4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는,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과,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재와,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하우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힌지부재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과 하우징부재를 관통하여, 하우징부재를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볼트부와, 힌지볼트부를 둘러싸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접하는 힌지튜브부와, 힌지튜브부와 하우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부재의 회전시 하우징부재와 마찰되는 힌지부시부와, 힌지부시부와 힌지튜브부 사이에 위치하여, 힌지부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STEERING COLUMN IN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면, 스티어링 휠의 회전력을 차량의 바퀴에 전달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장치에 해당하며,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틸트 기능과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진다.
일반적인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는 전방에 2점, 후방에 1점의 3점 고정을 적용하여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된다. 다만, 스티어링 장치는 조향, 차체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하여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므로, 힌지부재의 축방향 이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 장치의 파손 등이 발생되며, 힌지튜브부와 힌지부시부 사이의 압입력 차이에 따른 작동력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31944호(2010.03.25 공개, 발명의 명칭: 스티어링 컬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소음의 발생,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고, 작동력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는: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상기 하우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과 상기 하우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재를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볼트부; 상기 힌지볼트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접하는 힌지튜브부; 상기 힌지튜브부와 상기 하우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부재와 마찰되는 힌지부시부; 및 상기 힌지부시부와 상기 힌지튜브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부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은,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튜브부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브라켓측부; 상기 제1브라켓측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튜브부의 타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브라켓측부; 및 상기 제1브라켓측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2브라켓측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브라켓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와 상기 제2브라켓측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는 하우징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튜브부는,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는 제1힌지튜브; 및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며, 타단부는 상기 제1힌지튜브와 결합되는 제2힌지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힌지튜브는,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는 제1튜브바디; 및 상기 제1튜브바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튜브에 삽입되는 제1튜브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힌지튜브는,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측부에 접하는 제2튜브바디; 및 상기 제2튜브바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제1힌지튜브가 삽입되는 제2튜브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시부는,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1튜브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1힌지부시; 및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2튜브부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2힌지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힌지부시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힌지부시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힌지부시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힌지부시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부는, 웨이브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는, 탄성부가 구비되어 힌지부재를 탄성 지지하므로, 힌지부재의 축 방향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여 장치의 파손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의 탄성력, 형상 등을 변경하여 틸트 작동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틸트 작동력의 산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를 이용하여 하우징부재의 비틀림에 따른 회전축의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부재의 틸트 작동 강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에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에서 힌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서 힌지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서 힌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10)는 차량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카울크로스바(50)에 장착된다.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미도시)을 회전시키면, 구동축(미도시)이 회전되면서 차량의 진행방향을 변경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에서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에서 힌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10)에서 카울크로스바(50) 기준 후방(도 2 기준 우측 방향)은 볼트로 예시되는 고정부(60)에 의하여 결합되고, 카울크로스바(50) 기준 전방(도 2 기준 좌측 방향)은 후술할 힌지부재(30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서 힌지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에서 힌지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1)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 하우징부재(200) 및 힌지부재(300)를 포함한다.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은 카울크로스바(5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은 카울크로스바(50)에 용접되거나, 카울크로스바(50)와 일체로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은 제1브라켓측부(110), 제2브라켓측부(130) 및 브라켓상부(150)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측부(110)는 후술할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되는 제1볼트삽입홀(111)이 형성되고, 후술할 힌지튜브부(330)의 일단부(도 5 기준 좌측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브라켓측부(110)는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면에 힌지튜브부(330)가 접한다.
제2브라켓측부(130)는 제1브라켓측부(110)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되고, 힌지튜브부(330)의 타단부(도 5 기준 우측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브라켓측부(130)는 대략 수직하게 위치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브라켓측부(110)와의 사이에 힌지튜브부(330), 힌지부시부(350) 및 후술할 하우징고정부(230)가 개재된다.
브라켓상부(150)는 제1브라켓측부(110)의 상단부와 제2브라켓측부(130)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하우징부재(2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의 단면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우징부재(200)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삽입되며, 스티어링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재(200)는 하우징부(210) 및 하우징고정부(23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210)는 스티어링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부(210)는 스티어링 샤프트(20)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티어링 샤프트(20)와의 사이에 베어링 등이 구비되어 스티어링 샤프트(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고정부(230)는 하우징부(2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1브라켓측부(110)와 제2브라켓측부(130) 사이에 위치하며,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됨으로써, 힌지볼트부(310)를 중심으로 회전 되도록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고정부(230)에는 대략 카울크로스바(50)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우징홀부(231)가 형성되며,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된다.
힌지부재(300)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하우징부재(2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재(300)는 힌지볼트부(310), 힌지튜브부(330), 힌지부시부(350) 및 탄성부(370)를 포함한다.
힌지볼트부(310)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과 하우징부재(200)를 관통하여, 하우징부재(200)를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힌지튜브부(330)는 힌지볼트부(310)를 둘러싸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삽입되고, 양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100)에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튜브부(330)는 제1힌지튜브(331) 및 제2힌지튜브(335)를 포함한다.
제1힌지튜브(331)는 일단부에 제1돌출부(334)가 형성되어 제1브라켓측부(110)에 접하며,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튜브(331)는 제1튜브바디(332), 제1튜브삽입부(333) 및 제1돌출부(334)를 포함한다.
제1튜브바디(332)는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되며, 일단부가 제1브라켓측부(110)에 접한다. 제1튜브삽입부(333)는 제1튜브바디(332)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2힌지튜브(335)에 삽입된다. 제1돌출부(334)는 제1튜브바디(332)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부(370)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튜브바디(332), 제1튜브삽입부(333) 및 제1돌출부(334)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체로서 형성된다.
제2힌지튜브(335)는 일단부에 제2돌출부(338)가 형성되어 제2브라켓측부에 접하며, 타단부는 제1힌지튜브(331)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힌지튜브(335)는 제2튜브바디(336), 제2튜브돌출부(337) 및 제2돌출부(338)를 포함한다.
제2튜브바디(336)는 힌지볼트부(310)가 삽입되며, 일단부에 제2돌출부(338)가 형성되어, 제2브라켓측부(130)에 접한다. 제2튜브돌출부(337)는 제2튜브바디(336)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제1힌지튜브(331)가 내측에 삽입된다. 제2돌출부(338)는 제2튜브바디(336)의 일단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탄성부(370)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튜브바디(336), 제2튜브돌출부(337) 및 제2돌출부(338)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일체로서 형성된다.
힌지부시부(350)는 힌지튜브부(330)와 하우징부재(200) 사이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부시부(350)는 제1힌지부시(351) 및 제2힌지부시(353)를 포함한다.
제1힌지부시(351)는 하우징부재(200)와 제1힌지튜브(331)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제1힌지튜브(331)를 힌지볼트부(310) 측으로 가압한다. 제2힌지부시(353)는 하우징부재(200)와 제2힌지튜브(335)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제2힌지튜브(335)를 힌지볼트부(310) 측으로 가압한다. 제1힌지부시(351)와 제2힌지부시(353)는 하우징부재(200)를 틸트시킬 때, 하우징부재(200)와 마찰되는 부위에 해당한다.
도 7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370)는 힌지부시부(350)와 힌지튜브부(330) 사이에 위치하여, 힌지부시부(350)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370)는 제1탄성부(371) 및 제2탄성부(373)를 포함한다.
제1탄성부(371)는 제1힌지부시(351)와 제1돌출부(334) 사이에 개재되어 제1힌지부시(351)를 탄성 지지한다. 제2탄성부(373)는 제2힌지부시(353)와 제2돌출부(338) 사이에 개재되어 제2힌지부시(353)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371)와 제2탄성부(373)는 힌지볼트부(310)를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볼트부(310)와 길이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웨이브와셔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10)를 카울크로스바(50)에 조립하기 위하여, 제1힌지튜브에 제1탄성부(371) 및 제1힌지부시(351)를 결합한 후, 하우징홀부(231)의 일측(도 5 기준 좌측)에 삽입한다. 또한, 제2힌지튜브(335)에 제2탄성부(373) 및 제2힌지부시(353)를 결합한 후 제1튜브삽입부(333)를 하우징홀부(231)의 타측(도 5 기준 우측)에 삽입한다.
제2힌지튜브(335)를 제2탄성부(373) 및 제2힌지부시(353)에 결합한 상태에서 하우징홀부(231)의 타측에 삽입하면, 제1튜브삽입부(333)가 제2튜브돌출부(337)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며, 이로써 힌지튜브부(330), 힌지부시부(350) 및 탄성부(370)가 하우징고정부(230)에 가조립된다.
하우징고정부(230)에 힌지튜브부(330), 힌지부시부(350) 및 탄성부(370)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고정부(230)를 제1브라켓측부(110)와 제2브라켓측부(130) 사이로 삽입한다. 하우징고정부(230)가 제1브라켓측부(110)와 제2브라켓측부(130)에 삽입되면, 힌지볼트부(310)를 제1볼트삽입홀(111), 하우징홀부(231) 및 제2볼트삽입홀(131) 순으로 삽입하고, 힌지볼트부(310)의 삽입된 단부를 힌지너트부(320)로 고정하면, 힌지부재(300)의 장착이 완료되며, 하우징부재(200)가 힌지부재(30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1)는, 탄성부(370)가 구비되어 힌지부시부(350)를 탄성 지지하므로, 힌지부시부(350)의 축 방향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고 유격을 방지하여, 장치의 파손 및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1)는 탄성부(370)의 탄성력, 형상 등을 변경하여 틸트 작동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틸트 작동력의 산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1)는 탄성부(370)를 이용하여 하우징부재(200)의 비틀림에 따른 회전축의 변동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부재(200)의 틸트 작동 강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10: 차량용 스티어링 장치
20: 스티어링 샤프트 50: 카울크로스바
60: 고정부 100: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
110: 제1브라켓측부 111: 제1볼트삽입홀
130: 제2브라켓측부 131: 제2볼트삽입홀
150: 브라켓상부 200: 하우징부재
210: 하우징부 230: 하우징고정부
231: 하우징홀부 300: 힌지부재
310: 힌지볼트부 330: 힌지튜브부
331: 제1힌지튜브 332: 제1튜브바디
333: 제1튜브삽입부 334: 제1돌출부
335: 제2힌지튜브 336: 제2튜브바디
337: 제2튜브돌출부 338: 제2돌출부
350: 힌지부시부 351: 제1힌지부시
353: 제2힌지부시 370: 탄성부
371: 제1탄성부 373: 제2탄성부

Claims (9)

  1. 카울크로스바에 결합되는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며,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재; 및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상기 하우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과 상기 하우징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부재를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볼트부;
    상기 힌지볼트부를 둘러싸며,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삽입되고, 양단부가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에 접하는 힌지튜브부;
    상기 힌지튜브부와 상기 하우징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부재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부재와 마찰되는 힌지부시부; 및
    상기 힌지부시부와 상기 힌지튜브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힌지부시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부고정브라켓은,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튜브부의 일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브라켓측부;
    상기 제1브라켓측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고, 상기 힌지튜브부의 타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2브라켓측부; 및
    상기 제1브라켓측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2브라켓측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브라켓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튜브부는,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는 제1힌지튜브; 및
    일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며, 타단부는 상기 제1힌지튜브와 결합되는 제2힌지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와 상기 제2브라켓측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는 하우징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튜브는,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브라켓측부에 접하는 제1튜브바디; 및
    상기 제1튜브바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힌지튜브에 삽입되는 제1튜브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튜브는,
    상기 힌지볼트부가 삽입되며, 일단부에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브라켓측부에 접하는 제2튜브바디; 및
    상기 제2튜브바디의 타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제1힌지튜브가 삽입되는 제2튜브돌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시부는,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1힌지튜브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1힌지부시; 및
    상기 하우징부재와 상기 제2힌지튜브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제2힌지부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힌지부시와 상기 제1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힌지부시를 탄성 지지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힌지부시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힌지부시를 탄성 지지하는 제2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부 및 상기 제2탄성부는 웨이브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KR1020140137394A 2014-10-13 2014-10-13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KR10217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94A KR102177547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394A KR102177547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273A KR20160043273A (ko) 2016-04-21
KR102177547B1 true KR102177547B1 (ko) 2020-11-11

Family

ID=55917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394A KR102177547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676B1 (ko) * 2016-12-07 2022-09-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로워 마운팅부의 노이즈 방지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22A (ja) 2003-06-18 2005-01-13 Koyo Seiko Co Ltd チルトヒンジ機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30728A (ja) 2006-06-28 2008-02-14 Nsk Ltd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49955A (ja) 2006-12-19 2008-07-03 Jtekt Corp チルトヒンジ機構
JP2008207612A (ja) 2007-02-23 2008-09-11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22050A (ja) 2007-03-13 2008-09-25 Jtekt Corp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058729A (ja) 2008-09-05 2010-03-18 Jtekt Corp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とそのヒンジ機構
JP2012035659A (ja) 2010-08-03 2012-02-23 Jtekt Corp チルトヒンジ機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101115A (ja) 2011-10-18 2014-06-05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756B1 (ko) * 2008-07-21 2012-09-0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틸트식 조향 컬럼
KR101264965B1 (ko) * 2008-11-04 2013-05-1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의 힌지 마운팅 브라켓
KR101345081B1 (ko) * 2010-10-11 2013-12-26 주식회사 만도 충격 흡수 마운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 조향 컬럼
KR20110052861A (ko) * 2009-11-13 2011-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용 마운트브라켓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022A (ja) 2003-06-18 2005-01-13 Koyo Seiko Co Ltd チルトヒンジ機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30728A (ja) 2006-06-28 2008-02-14 Nsk Ltd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149955A (ja) 2006-12-19 2008-07-03 Jtekt Corp チルトヒンジ機構
JP2008207612A (ja) 2007-02-23 2008-09-11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22050A (ja) 2007-03-13 2008-09-25 Jtekt Corp 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058729A (ja) 2008-09-05 2010-03-18 Jtekt Corp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とそのヒンジ機構
JP2012035659A (ja) 2010-08-03 2012-02-23 Jtekt Corp チルトヒンジ機構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4101115A (ja) 2011-10-18 2014-06-05 Nsk Ltd ステアリングコラム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273A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1803A1 (en) Electric steering column apparatus
US20080022796A1 (en)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ing type support yoke
KR102522461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베어링 어셈블리
US20180327017A1 (en) Steering device
KR102177547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컬럼용 고정장치
KR20110052861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컬럼조립체용 마운트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2216191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6463641B2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構造
JP3719846B2 (ja) 舵取装置
KR20180065100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로워 마운팅부의 노이즈 방지 장치
JP201401512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738379B1 (ko)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의 회전 방지 구조
KR102315464B1 (ko) 전동식 조향장치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KR101272992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의 마운팅 어셈블리
KR102346462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093984B1 (ko) 차량용 조향칼럼의 텔레스코픽 및 틸트장치
KR100348079B1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아암 장착 구조
KR102342114B1 (ko) 스티어링휠의 위치 조절 장치
KR20080015687A (ko) 자동차용 텔레스코픽 칼럼
KR20180070244A (ko) 스티어링 컬럼의 이음 저감형 회동 지지 장치
JP200511936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67620B1 (ko) 자동차의 텔레스코픽 조향 컬럼
KR20080043953A (ko) 차량의 후륜 토우각 제어장치
KR20200059860A (ko) 엠디피에스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