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96B1 - 전동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전동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96B1
KR102177096B1 KR1020190010030A KR20190010030A KR102177096B1 KR 102177096 B1 KR102177096 B1 KR 102177096B1 KR 1020190010030 A KR1020190010030 A KR 1020190010030A KR 20190010030 A KR20190010030 A KR 20190010030A KR 102177096 B1 KR102177096 B1 KR 10217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mattress
motor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728A (ko
Inventor
이희택
Original Assignee
(주)다보스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보스티엔지 filed Critical (주)다보스티엔지
Priority to KR102019001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flu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분절동작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저면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상체 지지프레임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엑츄에이터; 및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매트리스 프레임 및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매트리스와 일체인 전동 매트리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매트리스{electronic mattress}
본 발명은 전동침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매트리스 프레임과 이의 구동수단이 매트리스 내에 내장된 전동 매트리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위하여 등받이가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등받이 회동기구는 보호자가 조작핸들을 돌려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동식이 있는 반면, 구동모터 또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전동식이 있다.
수동식은 별도의 장치가 매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교적 저렴한 이점이 있으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소요되기 때문에 거동 자체가 불편한 환자들은 보호자가 없는 경우 사용자체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수동식보다는 전동식이 선호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214호(공개일자 :2017년 12월 26일)에는 전동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전동침대는 매트리스를 설치하는 매트리스-테이블의 등판, 허벅지판 및 다리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각도조절은 매트리스와는 별도로 구성되는 침대의 외형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달성되고, 매트리스는 매트리스-테이블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동침대는 각도조절장치 등을 체결 및 지지하기 위해 매트리스 외부의 침대 프레임이 필수적이며 매트리스의 크기 보다 더 큰 프레임을 갖추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동침대는 부피가 커서 전동침대를 운반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가하는 일인가구에 의해 원룸 등 공간이 작은 곳에서는 부피가 큰 전동침대를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고, 엑츄에이터 등의 등받이 등의 각도 조절수단이 매트리스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전동침대의 설치 및 이동에 숙련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한편 전동침대는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침대 프레임 및 침대 다리에 의해 지면에서 매트리스까지 높이차가 발생하여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에 오르거나 내릴때 낙상의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921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지지판, 둔부지지판, 대퇴부 지지판 및 하지지지판으로 구성된 매트리스 프레임 및 이 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매트리스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침대 외형 프레임 없이 매트리스만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전동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분절동작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과, 둔부 지지프레임 저면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상체 지지프레임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엑츄에이터; 및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매트리스 프레임 및 엑츄에이터는 매트리스와 일체인 전동 매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엑츄에이터는 상체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제1엑츄에이터의 일단은 대퇴부 지지프레임에 인접한 둔부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1모터힌지 브라켓(56)에 힌지 결합되는 제1모터(50); 일단은 제1모터(5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1실린더(52); 제1실린더(52)에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제1모터(5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둔부 지지 프레임에 인접한 상체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1힌지 브라켓(55)에 힌지 결합된 제1피스톤 로드(53)를 포함하고, 제2 엑츄에이터는 일단은 상체 지지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2모터힌지 브라켓(66)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모터(60); 일단은 상기 제2모터(6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2실린더(62); 제2실린더(62)에 삽입되며 일단은 제2모터(6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둔부 지지 프레임에 인접한 대퇴부 지지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2힌지 브라켓(65)에 힌지 결합된 제2피스톤 로드(63)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체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저면에 하중 보강프레임(12, 22, 42)을 더 포함하며,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프레임 내부에 늑골 형상 프레임(14,24,34,44)을 더 포함하며, 늑골 형상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은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의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늑골 체결 브라켓(15, 25, 35, 45)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늑골 형상 프레임(14, 24, 34, 44)의 저면에 위치하되 늑골 형상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는 중앙 프레임(13, 23, 33, 43)을 더 포함하며 순차적인 결합은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이 회전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되 각 프레임은 내부가 공동으로, 회전 브라켓의 회전축이 공동 내에 위치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한편 상체 지지프레임은 제1모터(5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제1모터의 일단에 연결된 제1피스톤 로드(53)가 연장되어 힌지 결합된 제1힌지 브라켓(55)을 미는 힘에 의해 상승각도 조절되며, 대퇴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모터(6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제2모터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2피스톤 로드(63)가 연장되어 힌지 결합된 제2힌지 브라켓(65)을 미는 힘에 의해 상승각도 조절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며, 대퇴부 지지프레임이 상승각도일 때, 대퇴부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하지 지지프레임은 회전 브라켓에 의해 회전되면서 같이 상승되되, 최대 상승각도인 경우에도 하지 지지프레임의 끝단은 지면과 닿아 있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프레임의 상하부를 감싸 구성되되, 매트리스 프레임 상부에는 쿠션감이 있고, 매트리스 프레임 하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 및 매트리스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체지지판, 둔부지지판, 대퇴부 지지판 및 하지지지판으로 구성된 매트리스 프레임 및 이 들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수단이 매트리스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침대 외형 프레임 없이 매트리스만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동침대의 설치가 가능하며, 전동침대를 사용치 아니하는 때는 세워두거나 부피가 작은 면으로 침대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원룸 등 협소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도 조절 구동 수단이나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 매트리스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일반 소비자가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외형 프레임 없어 지면에서 매트리스까지의 높이가 높지 않아 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이동하기에 불편함이나 위험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의 동작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의 매트리스 합체 전 매트리스 프레임의 동작 전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상체 지지판과 하체지지판의 각도를 조절한 동작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동작상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저면 사시분해도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의 동작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는 동작 전에는 통상의 일자형태를 가진 매트리스이나, 전원을 인가하여 가동하면 매트리스가 부분적으로 상승하여 도 1에서와 같은 'S'자 형태가 된다. 매트리스의 상승 부분을 기준으로 매트리스에 신체가 안착되는 부분을 설명하면, 상체를 지지하고 매트리스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체지지판(10), 둔부를 지지하고 전원인가하여 가동 시에도 상승하지 않고 지면에 안착되어 있는 둔부 지지판(20), 신체의 대퇴부가 안착되며 매트리스의 동작 시 대퇴부와 하지가 만나는 오금부분이 상승한 결과 대퇴부 지지판(30)과 하지 지지판(40)은 산(山)의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의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매트리스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동작 전 상태 사시도이다. 상체 지지판(10), 둔부 지지판(20), 대퇴부 지지판(30) 및 하지 지지판(40)은 각 사각 형상이되 각 판이 인접하는 부분의 폭 방향 프레임의 양단이 길이방향 프레임의 양단 말단에 미치지 못하여 즉, 각 지지판의 인접하는 부분의 프레임은 H 형상인 상체 지지프레임(11), 둔부 지지프레임(21), 대퇴부 지지프레임(31) 및 하체 지지프레임(41)으로 구성되며, 각 프레임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결합 시 각 판(10, 20, 30, 40)의 인접하는 부분의 각 길이방향 프레임은 회전 브라켓((11a, 11b), (31a, 31b), (41a, 41b))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된다. 각 길이방향 프레임은 내부가 빈 공동의 프레임으로 상기 회전 브라켓((11a, 11b), (31a, 31b), (41a, 41b))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 즉 공동의 프레임 내부에 회전축을 위치시켜 부하 시 힘이 어긋나지 않고 충분히 힘을 지지하도록 구조화하였다. 또한 회전 브라켓((11a, 11b), (31a, 31b), (41a, 41b))을 이 상기 공동의 프레임 내부에 위치시켜야 하므로 회전 브라켓을 소형화하였다.
한편 상체 지지프레임(11), 대퇴부 지지프레임(21) 및 하지 지지프레임(31)에는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저면에 하중 보강프레임(12, 22, 42)을 위치시켜 상부 부하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고 매트리스의 외적 미관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는 매트리스 프레임이 매트리스 내부에 일체화된 매트리스 내장형이다. 따라서, 노인이나 환자, 일반 이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매트리스 내부에 있는 매트리스 프레임이 외부에서 느껴지지 않도록 매트리스의 쿠션을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체 지지프레임(11), 둔부 지지프레임(21), 대퇴부 지지프레임(31) 및 상기 하지 지지프레임(41)은 각 프레임 내부에 늑골 형상 프레임(14,24,34,44)이 체결된다. 늑골 형상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은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의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되 늑골 형상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은 늑골 체결 브라켓(15, 25, 35, 45)에 의해 체결되며, 늑골 체결 브라켓(15, 25, 35, 45)은 각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의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에 결합된다. 늑골 체결 브라켓은 늑골 형상 프레임(14,24,34,44)을 한 쌍씩 체결하도록 나비 형상일 수 있다.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에는 각 늑골 형상 프레임(14, 24, 34, 44)의 저면에 위치하되 늑골 형상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는 중앙 프레임(13, 23, 33, 43)을 결합한다. 노인이나 환자, 일반 매트리스 이용자가 매트리스 사용 시 특정 부위에 반복적으로 하중이 가해져 늑골 형상 프레임(14, 24, 34, 44)이 휘거나 파괴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 프레임(13, 23, 33, 43)을 체결하여 늑골 형상 프레임(14, 24, 34, 44)의 파괴, 손상 등을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의 둔부 지지판(20) 저면에는 매트리스 프레임(1)을 구동하는 엑츄에이터(50, 60)가 체결되어 있는데,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동작상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매트리스 프레임의 저면 사시분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둔부 지지프레임 저면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상체 지지프레임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엑츄에이터가 마련되며 엑츄에이터는 상체 지지프레임(11)을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50, 51, 52, 53)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21)을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60, 61, 62, 63)로 구성된다. 제1엑츄에이터는 둔부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1모터 힌지 브라켓(56)에 힌지 결합되는 제1모터(50), 일단은 상기 제1모터(5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1실린더(52), 상기 제1실린더(52)에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제1모터(5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둔부 지지 프레임(21)에 인접한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11)에 고정결합된 제1힌지 브라켓(55)에 힌지 결합된 제1피스톤 로드(53)로 구성되며, 제2 엑츄에이터는 일단은 상체 지지프레임(11)에 인접한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21)에 고정결합된 제2모터 힌지 브라켓(66)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모터(60), 일단은 상기 제2모터(6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2실린더(62), 제2실린더(62)에 삽입되며 일단은 제2모터(6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둔부 지지 프레임(21)에 인접한 상기 대퇴부 지지 프레임(31)에 고정결합된 제2힌지 브라켓(65)에 힌지 결합된 제2피스톤 로드(63)로 구성된다. 제1엑츄에이터 및 제2엑츄에이터에 의해 상체 지지판(10) 및 대퇴부 지지판(30)이 상승구동되는 데, 제5를 참조하여 그 구동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도면에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제1엑츄에이터의 제1모터(50) 및 제2엑츄에이터(60)의 제2모터(60)는 둔부 지지판(20) 등에 마련되는 작동 버튼, 또는 별도의 리모컨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노인 또는 환자, 일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에 누워있다가 상반신을 일으키고자 하면 작동버튼(또는 리모컨)을 조작하여 제1모터(50)를 작동시킨다. 신호가 입력되면, 제1모터(5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제1피스톤 로드(53)가 서서히 전진하면서 제1힌지브라켓(55)을 밀어낸다. 제1힌지브라켓(55)은 상체 지지판(10)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피스톤 로드(53)가 제1힌지브라켓(55)을 밀면 상체 지지판(10)은 서서히 기립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노인 또는 환자, 일반 사용자의 상체를 일으켜 세우게 된다.
제2모터(60)를 작동시키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2모터(6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이에 따라 제2피스톤 로드(63)가 서서히 전진하면서 제2힌지브라켓(65)을 밀어낸다. 제2힌지브라켓(65)은 대퇴부 지지판(30)에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피스톤 로드(63)가 제2힌지브라켓(65)을 밀면 상체 지지판(30)은 서서히 기립하면서 도 5에서와 같이 노인 또는 환자, 일반 사용자의 대퇴부를 일으켜 세우게 된다. 대퇴부 지지프레임(31)이 상승각도일 때, 대퇴부 지지프레임(31)에 힌지결합된 하지 지지프레임(41)은 상기 회전 브라켓에 의해 회전되면서 같이 상승되되, 최대 상승각도인 경우에도 하지 지지프레임(41)의 끝단은 지면과 닿아 있어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체 지지판(1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에는 작동버튼을 재조작하여 제1모터(50)를 반대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신호가 입력되면 제1모터(50)는 타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제1피스톤 로드(53)는 서서히 후퇴하면서 제1힌지브라켓(55)을 당긴다. 이에 따라 상체지지판(10)는 서서히 눕게된다. 대퇴부 지지판(30)을 원상태고 복귀시키는 경우 제2모터(60)의 작동원리는 제1모터(50)의 작동원리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2모터(60)의 작동에 의해 대퇴부 지지판(30)이 하강하면 대퇴부 지지판(30)에 힌지결합된 하지 지지판(40)도 하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매트리스는 수평이 된다.
한편, 제1모터(50) 및 제2모터(60)는 동시에 또는 별개로 작동시킬 수 있어, 상체 지지판(10)과 대퇴부 지지판(30) 및 하지 지지판(40)이 동시에 상승, 하강하거나, 별개로 상승,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매트리스 프레임
10 : 상체지지판 20 : 둔부지지판 30 : 대퇴부 지지판 40 : 하지지지판
11 : 상체 지지프레임 21 : 둔부 지지프레임
31 : 대퇴부 지지프레임 41 : 하지 지지프레임
12, 22, 42 : 하중 보강프레임
13, 23, 33, 43 : 중앙 프레임
14, 24, 34, 44 : 늑골 형상 프레임
15, 25, 35, 45 : 늑골 체결 브라켓
11a, 11b, 31a, 31b, 41a, 41b : 힌지 브라켓
50 : 제1모터 60 : 제2모터
51 : 제1체결 브라켓 61 : 제2모터브라켓
52 : 제1실린더 62 : 제2실린더
53 : 제1피스톤 로드 63 : 제2피스톤 로드
54 : 제1모터체결부 64 : 제2모터체결부
55 : 제1힌지브라켓 65 : 제2힌지브라켓
56 : 제1모터힌지브라켓 66 : 제2모터힌지브라켓

Claims (10)

  1.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이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분절동작 가능한 매트리스 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 저면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상체 지지프레임 및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의 상하부를 감싸 구성되되, 매트리스 프레임 상부에는 쿠션감이 있고, 매트리스 프레임 하부에는 상기 엑츄에이터 및 매트리스 프레임을 보호할 수 있는 매트리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 프레임 및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매트리스 내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프레임 내부에 늑골형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동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제1엑츄에이터; 및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을 구동하는 제2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전동 매트리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엑츄에이터는
    일단은 대퇴부 지지프레임에 인접한 둔부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1모터힌지 브라켓(56)에 힌지 결합되는 제1모터(50);
    일단은 상기 제1모터(5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1실린더(52);
    상기 제1실린더(52)에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제1모터(5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둔부 지지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1힌지 브라켓(55)에 힌지 결합된 제1피스톤 로드(53)를 포함하고, 제2 엑츄에이터는
    일단은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2모터힌지 브라켓(66)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모터(60);
    일단은 상기 제2모터(60)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연장되는 제2실린더(62);
    상기 제2실린더(62)에 삽입되며 일단은 제2모터(60)의 축과 연결되며 연장되는 타단은 상기 둔부 지지 프레임에 인접한 상기 대퇴부 지지 프레임에 고정결합된 제2힌지 브라켓(65)에 힌지 결합된 제2피스톤 로드(63)를 포함하는 전동 매트리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저면에 하중 보강프레임(12, 22, 42)을 더 포함하는 전동 매트리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늑골 형상 프레임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 지지프레임의 각 대면하는 길이방향 프레임의 상면에 늑골 체결 브라켓(15, 25, 35, 45)에 의해 결합되는 전동 매트리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 상기 둔부 지지프레임,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지 지지프레임은 각 상기 늑골 형상 프레임(14, 24, 34, 44)의 저면에 위치하되 늑골 형상 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는 중앙 프레임(13, 23, 33, 43)을 더 포함하는 전동 매트리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인 결합은 상체 지지프레임, 둔부 지지프레임, 대퇴부 지지프레임 및 하지 지지프레임이 회전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되 각 프레임은 내부가 공동으로 회전 브라켓의 회전축이 공동 내에 위치하는 전동 매트리스.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모터(5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제1모터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1피스톤 로드(53)가 연장되어 힌지 결합된 제1힌지 브라켓(55)을 미는 힘에 의해 상승각도 조절되며,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모터(60)가 일방향으로 작동하고 제2모터의 일단에 연결된 상기 제2피스톤 로드(63)가 연장되어 힌지 결합된 제2힌지 브라켓(65)을 미는 힘에 의해 상승각도 조절되는 전동 매트리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부 지지프레임이 상승각도일 때, 대퇴부 지지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하지 지지프레임은 상기 회전 브라켓에 의해 회전되면서 같이 상승되되, 최대 상승각도인 경우에도 하지 지지프레임의 끝단은 지면과 닿아 있는 전동 매트리스.



  10. 삭제
KR1020190010030A 2019-01-25 2019-01-25 전동 매트리스 KR10217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030A KR102177096B1 (ko) 2019-01-25 2019-01-25 전동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030A KR102177096B1 (ko) 2019-01-25 2019-01-25 전동 매트리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728A KR20200092728A (ko) 2020-08-04
KR102177096B1 true KR102177096B1 (ko) 2020-11-10

Family

ID=7204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030A KR102177096B1 (ko) 2019-01-25 2019-01-25 전동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942B1 (ko) * 2020-08-28 2023-03-27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구조를 지닌 매트리스 장치
KR102453235B1 (ko) * 2020-10-28 2022-10-07 윤창한 접철구동체를 갖는 매트리스
KR102483292B1 (ko) * 2021-05-13 2023-01-02 이경환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87Y1 (ko) * 2000-02-25 2000-07-15 정순권 매트리스 지지용 침대프레임
KR101814093B1 (ko) * 2017-04-17 2018-01-30 (주)주일하드웨어 분할 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24B1 (ko) * 2012-01-20 2013-10-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케어를 위한 가변 침상
KR102198103B1 (ko) 2015-10-28 2021-01-0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기반의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218432U (ja) * 2015-11-06 2018-10-18 シャンハイ シンコー ファーニチャー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動マットレ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587Y1 (ko) * 2000-02-25 2000-07-15 정순권 매트리스 지지용 침대프레임
KR101814093B1 (ko) * 2017-04-17 2018-01-30 (주)주일하드웨어 분할 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728A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096B1 (ko) 전동 매트리스
JP5583856B2 (ja) 医療用電動折り畳みベッド
AU2006271495B2 (en) Bed assembly
US9149403B2 (en) Bed frame, mattress and bed with enhanced chair egress capability
US7730562B2 (en) Patient support having powered adjustable width
US5806115A (en) Portable, integrated, universally adjustable position control system
KR20050076623A (ko) 의자
JP2016540612A (ja) 移動式変形可能なロボティックベッド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CA2536732C (en) Bed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JP2008178491A (ja) マッサージ椅子
AU2006271500B2 (en) Bed assembly
KR20180114324A (ko) 의료용 전동침대
KR102081700B1 (ko) 조립식 전동침대
CN217390310U (zh) 一种搁脚中置的功能沙发伸展装置
KR20190001560U (ko) 틸팅형 침대
KR20190000495U (ko) 안정한 구성의 조절식 매트리스
JPH09215556A (ja) 電動リクライニングベッド
AU2017100341A4 (en) Adjustable mattress assembly
KR200288282Y1 (ko) 메트리스 지지장치
AU2017100342A4 (en) Adjustable mattress assembly
KR20240051524A (ko) 전동 휠체어의 발판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190001559U (ko) 일체형 고정축을 갖는 틸팅 침대
KR20240053228A (ko)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