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292B1 -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292B1
KR102483292B1 KR1020210062173A KR20210062173A KR102483292B1 KR 102483292 B1 KR102483292 B1 KR 102483292B1 KR 1020210062173 A KR1020210062173 A KR 1020210062173A KR 20210062173 A KR20210062173 A KR 20210062173A KR 102483292 B1 KR102483292 B1 KR 10248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elasticity
support
adjusting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523A (ko
Inventor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이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환 filed Critical 이경환
Priority to KR1020210062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2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는,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들이 구비된 신체 지지부와,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슬랫의 각 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을 구비한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양쪽 상기 연결체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슬랫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체의 저면에서 연결공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일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와 상기 걸림홈 사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서 타단까지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위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연결공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 나사부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직선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상기 연결체가 상기 조절부재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슬랫의 곡률을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ELASTICITY ADJUST DEVICE OF SLAT TYPE BED}
본 발명은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을 발생시키는 각 슬랫들의 탄성을 개벌적이고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션베드의 탄력을 자신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사람이 취침할 수 있도록 만든 가구를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침대는, 침대 프레임과, 탄성체를 구비하여 프레임에 설치되는 매트리트 등으로 구성되며, 침대 프레임에 탄성체가 구비된 종류도 개시되어 있다.
침대 프레임에 탄성체가 구비된 종류의 침대는, 침대 프레임을 가로 질러 탄성을 갖도록 곡선행태로 휘어진 갈비살(슬랫 또는 Wood-flex Plate)가 배치되고, 이 갈비살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슬랫형 침대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173호(공고일 : 2006.01.25)에는 갈비살 받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갈비살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100)과, 금속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과, 금속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300)과, 각 갈비살(30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완충결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갈비살 받침대에 의하면, 매트리스를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어으나, 갈비살(300)의 탄성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7173호(공고일 : 2006.01.25)
본 발명의 목적은,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탄성을 발생시키는 각 슬랫의 탄성을 개별적이고 선택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곽에 장식부재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들이 구비된 둔부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상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체 지지부와,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슬랫의 각 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을 구비한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양쪽 상기 연결체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슬랫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체의 저면에서 연결공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일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와 상기 걸림홈 사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서 타단까지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위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연결공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 나사부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체가 상기 조절부재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슬랫의 곡률을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 사이에는, 상기 결합단의 일면이 상기 노브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외곽에 장식부재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들이 구비된 둔부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상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체 지지부와,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슬랫의 각 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을 구비한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양쪽 상기 연결체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슬랫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체의 저면에서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공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일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상기 노브 쪽과 중간부 및 타단 쪽에 제1 걸림홈, 제2 걸림홈 및 제3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홈과 제3 걸림홈 사이에는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관통공 내에서만 자전하도록 상기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에 결합되는 회전 지지링; 및 상기 제3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단이 상기 조절부재의 타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체가 직선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슬랫의 곡률을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가 양쪽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에, 어느쪽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에 의해 양쪽의 각 상기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양쪽의 상기 나사부는 서로 연결되고,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랫의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단부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격 억제용 리브들이 돌출 형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랫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양쪽의 연결체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슬랫들의 곡률을 가변시키거나, 슬랫들의 변형을 허용하거나 변형을 제한할 수 있음으로써 슬랫 자체의 탄력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슬랫들 탄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따라 탄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슬랫형 모션베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 슬랫의 탄력이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4의 (a) 및 (b)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 슬랫의 탄력이 조절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는, 슬랫형 모션베드(10)에 구비되어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슬랫(30)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슬랫형 모션베드(10)는, 외곽에 장식부재(12A)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12)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30)들이 구비된 둔부 지지부(14A), 하체 지지부(14B) 및 상체 지지부(14C)를 포함하는 신체 지지부(14)와, 신체 지지부(14)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16)과, 메인 프레임(12)에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16)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신체 지지부(14)의 둔부 지지부(14A), 하체 지지부(14B) 및 상체 지지부(14C)들은, 다수개의 슬랫(30)과 슬랫(30)의 단부가 각각 끼움 결합되는 연결체(40)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연결체(40)들은 탄력조절수단(60)을 통하여 지지 프레임(16)에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16)은, 둔부 지지부(14A), 하체 지지부(14B) 및 상체 지지부(14C)용으로 각각 구분되는 것으로, 사각링 형태를 갖는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즉, 지지 프레임(16)은 하체 지지부(14B)용 지지 프레임과 상체 지지부(14C)용 지지 프레임 및 둔부 지지부(14A)용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각 지지 프레임들들 중에서, 하체 지지부(14B)용 지지 프레임과 상체 지지부(14C)용 지지 프레임은 각각 둔부 지지부(14A)용 지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경첩 등으로 결합된다. 이는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체 지지부(14C)와 하체 지지부(14B)가 둔부 지지부(14A)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50)는, 신체 지지부(14)를 각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체용과 하체용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몸체는 메인 프레임(12)에 축 결합되고, 가동단은 하체 지지부(14B)용 지지 프레임 및 상체 지지부(14C)용 지지 프레임에 축 결합된다. 이러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50)가 가동단을 전후진 시킴에 따라 하체 지지부(14B)와 상체 지지부(14C)의 각도가 둔부 지지부(14A)를 기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연결체(4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슬랫(30)의 양단을 지지 프레임(16)에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연결체(40)의 상단에는 슬랫(30)의 각 단부(32)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42)이 형성된다. 끼움 결합홈(42)의 내측면 둘레에는, 슬랫(30)의 단부(32)가 삽입되었을 때 단부(32)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격 억제용 리브(42A)들이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유격 억제용 리브(42A)들은 자체 탄성을 갖으므로 단부(32)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단부(32)와 끼움 결합홈(42)의 내측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단부(3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슬랫(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각 단부(32)의 끝면과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 사이에는 여유공간(S)이 형성된다. 이 여유공간(S)은 슬랫(30)이 하향으로 눌려 양쪽으로 늘어날 때 단부(32)가 내측 끝면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전술한 연결체(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30)의 양 단부(32)에 각각 끼움 결함된다. 즉, 슬랫(30)의, 양쪽 단부(32)에 두 개의 연결체(40)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연결체(4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결합홈(42)과 결합단(44) 사이에 완충부(41)가 형성된다. 이 완충부(41)는 슬랫(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합성수지재로 된 연결체(40)의 끼움 결합홈(42)과 결합단(44) 사이에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완충부(41)를 형성함으로써 슬랫(3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의 일부를 완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41)는 연질의 고무재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체(40)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홈(42)은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슬랫(30)이 한 조를 이루어 끼움 결합되도록 2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3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1개의 연결체(40)로 다수개의 슬랫(30)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슬랫(3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을 곡률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소정 폭을 갖는 목재판, 합성수지판 또는 금속판 등으로 구성된다. 슬랫(3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만곡진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곡률이 커지도록 변형되면서 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슬랫(30)은 양쪽 단부(32)가 각각 연결체(40)에 의해 지지 프레임(16)의 양쪽에 각각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체(40)와 지지 프레임(16)에는, 슬랫(30)의 양 단부(32)를 지지 프레임(16)에 연결하여 결합하는 양쪽의 각 연결체(40) 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슬랫(30)이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의 크기를 가변시켜 슬랫(30)의 탄력을 조절하거나, 양쪽의 연결체(40)로 슬랫(30)의 단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접 가압하여 슬랫(30)을 곡률을 가변시켜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60)이 마련된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탄력조절수단(60)은 각각의 연결체(40)와 해당 연결체(40)가 결합되는 각 지지 프레임(16)의 해당 영역에 각각 구비된다.
전술한 탄력조절수단(60)은, 연결체(40)의 저면에서 연결공(44A)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44)과, 체결공(62A)을 구비하여 지지 프레임(16)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62)와, 일단에는 노브(64A)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걸림홈(64B)이 형성되며, 노브(64A)와 걸림홈(64B) 사이에는 지지부(64C)가 형성되고, 걸림홈(64B)에서 타단까지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64D)가 형성된 조절부재(64)와, 결합단(44)이 지지부(64C)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걸림홈(64B)에 결합되는 위치 고정링(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단(4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0)의 저면 일측에서 소정의 폭으로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단(44)의 연결체(40)의 저면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것은, 도 4의 (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체(40)가 탄력조절수단(60)에 의해 지지 프레임(16)에 결합되었을 때 결합단(44)의 측면이 지지 프레임(16)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하고 저면이 지지 프레임(16)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슬랫(30)에 하중이 가해지고 완충부(41)가 변형될 때 연결체(40) 전체가 변형되면서 그 저면이 지지 프레임(16)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슬랫(3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단(44)에는 수평방향으로 연결공(44A)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부재(62)는, 지지 프레임(16)의 내부 폭과 같거나 더 길게 형성되는 일종의 너트로서,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6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재(62)는, 지지 프레임(16)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내부에 고정 결합(용접 또는 압입)된다. 이러한 체결부재(62)의 체결공(62A)은 결합단(44)이 지지 프레임(16)의 내측면에 위치할 때 연결공(44A)과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치된다.
조절부재(64)는, 연결체(40)를 수평 직선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후진시켜 양쪽의 연결체(40)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4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노브(64A)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걸림홈(64B)이 형성되며 노브(64A)와 걸림홈(64B) 사이에는 지지부(64C)가 형성되고 걸림홈(64B)에서 타단까지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64D)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지지부(64C)와 노브(64A) 사이에는, 결합단(44)의 일면이 노브(64A)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조작자(사용자)가 노브(64A)를 회전 조작할 때 결합단(44)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단(64E)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부재(64)는, 체결 나사부(64D)가 연결공(44A)을 관통하여 체결공(62A)에 체결되며, 지지부(64C)는 연결공(44A) 내에 위치하게 된다.
위치 고정링(66)은, 조절부재(64)가 연결공(44A)을 관통하여 체결공(62A)에 체결된 상태에서 결합단(44)이 지지부(64C)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조절부재(64)의 회전 작동시 결합단(44)도 같이 전진 및 후진하도록 걸림홈(64B)에 결합된다. 이 위치 고정링(66)에 의해 지지부(64C)가 연결공(44A) 내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즉, 결합단(44)이 지지부(64C)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조절부재(64)와 함께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30)의 양 단부(32)가 각 연결체(40)의 끼움 결합홈(42)에 각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각 연결체(40)가 탄력조절수단(60)에 의해 지지 프레임(16)에 결합됨에 따라 각 슬랫(30)은 지지 프레임(16)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각 슬랫(30)이 양쪽의 각 연결체(40)들에 의해 지지 프레임(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슬랫(30)의 탄력을 낮추기 위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4A)를 각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브(64A)를 시계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체결 나사부(64D)가 체결부재(62)에 체결되면서 지지 프레임(16)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작동으로 결합단(44)들도 지지 프레임(16) 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양쪽의 연결체(40)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거리(L)를 넓히게 되므로 슬랫(30)의 단부(32) 끝면과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 사이에는 여유공간(S)(또는 변형될 수 있는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슬랫(30)의 변형, 즉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양쪽으로 펼쳐지는 변형이 여유공간(S) 만큼 허용된다. 그리고 슬랫(30)이 하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펼쳐지는 변형이 진행될 때 탄성이 발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64A)의 조작으로 양쪽의 연결체(40)가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서 슬랫(30)의 각 단부(32) 끝면과 각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 사이에 여유공간(S)이 형성됨으로써, 슬랫(30)은 하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여유공간(S)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랫(30)의 탄력은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슬랫(30)의 상부에 매트리스를 안착시켰을 때 부드러운 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슬랫(30)의 탄력을 높이기 위해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4A)를 풀리는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노브(64A)를 반시계 방향으로 푸는 작동에 의해 체결 나사부(64D)가 체결부재(62)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노브(64A)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 나사부(64D)가 지지 프레임(16)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작동으로 양쪽의 연결체(40) 간의 거리(L)는 좁혀지고, 슬랫(30)의 각 단부(32) 끝면과 각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 사이에 여유공간(S)이 좁아지거나 그 이동거리에 따라 슬랫(30)의 각 단부(32) 끝면과 각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이 맞닿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브(64A)의 조작으로 양쪽 연결체(40) 간의 거리(L)가 좁아져 여유공간(S)이 좁아지게 되므로, 슬랫(30)에 하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슬랫(30)의 펼쳐짐 변형이 제한 되어 슬랫(30)의 탄성은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슬랫(30)은 딱딱한 탄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양쪽의 연결체(40)가 노브(64A)의 반시계 방향 조작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여유공간(S)이 좁아지게 되므로 슬랫(30)이 펼쳐지면서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슬랫(30)에 하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큰 폭으로 변형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슬랫(30)의 탄력은 딱딱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노브(64A)의 추가 조작으로 슬랫(30)의 각 단부(32) 끝면과 각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이 맞닿게 되면 슬랫(3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슬랫(30)의 탄력은 매우 딱딱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랫(30)의 변형이 허용되지 않을 때 슬랫(30)에 가해지는 하중은 결합단(44)과 끼움 결합홈(42) 사이에 형성된 완충부(41)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또한, 노브(64A)의 조작으로 양쪽의 연결체(40)들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연결체(40)로 슬랫(30)의 양단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접 가압하여 슬랫(30)의 곡률을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양쪽의 조절부재(64)를 회전 조작하여 각 연결체(40)로 슬랫(30)의 양단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슬랫(30)의 곡률이 작아지게 되어 그 탄성력이 작게 된다. 즉, 양쪽의 조절부재(64)를 조작하여 슬랫(30)의 양단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슬랫(30)이 상향으로 굽어지면서 곡률이 작아지게 되므로 탄력이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슬랫(30)의 곡률이 작아지면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탄력이 딱딱하게 된다. 그리고, 각 조절부재(64)들을 조작하여 슬랫(30)의 양 단부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던 연결체(40)들을 서로 반대 방향(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슬랫(30)이 자체 탄성에 의해 펼쳐져 곡률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슬랫(30)의 곡률이 커지게 되면 쉽게 변형되므로 탄력이 부드럽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탄력조절수단(60)은, 슬랫(30)의 곡률을 직접 가변시켜 슬랫(30)의 탄력을 조절하거나, 슬랫(30)이 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S)의 크기를 조절하여 슬랫(3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는, 탄력조절수단(60)이, 연결체(40)의 저면에서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공(44B)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44)과, 관통공(67A)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공(44B)와 일치하도록 지지프레임(16)의 내부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67)와, 일단에는 노브(64A)가 마련되고, 노브(64A) 쪽과 중간부 및 타단 쪽에 제1 걸림홈(65A), 제2 걸림홈(65B) 및 제3 걸림홈(65C)이 각각 형성되며, 제2 걸림홈(65B)과 제3 걸림홈(65C) 사이에는 연결공(44B)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65D)가 형성되는 조절부재(64)와, 조절부재(64)가 관통공(67A) 내에서만 자전하도록 제1 걸림홈(65A) 및 제2 걸림홈(65B)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 지지링(68)들과, 제3 걸림홈(64C)에 결합되어 결합단(44)이 조절부재(64)의 타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6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탄력조절수단(60)은,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조절부재(64)는 제자리에서만 회전하고 결합단(44)이 전진하거나 후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회전 지지링(68)들은, 조절부재(64)가 제자리에서만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67)의 양쪽 외측(지지 프레임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제1 걸림홈(65A) 및 제2 걸림홈(65B)에 결합된다. 따라서 조절부재(64)는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다.
이탈방지링(69)은, 조절부재(64)의 회전 작동으로 결합단(44)이 나사부(65D)의 끝단 쪽으로 이동할 때 추가 이동을 방지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력조절수단(60)은, 결합단(44)이 지지 프레임(16)의 한쪽에 위치하여 관통공(67A)과 연결공(44B)이 수평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에서, 조절부재(64)의 나사부(65D)를 관통공(67A)으로 관통시킨 후 연결공(44B)에 체결한다. 이어서 조절부재(64)를 정회전(시계방향) 또는 역회전(반시계방향)시키면 양쪽의 각 연결체(40)가 직선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한다.
양쪽의 연결체(40)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서로 반대방향으로 후진함에 따라 슬랫(30)의 곡률이 가변될 수 있고, 따라서 슬랫(30)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양쪽의 연결체(40)들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전진)시켜 슬랫(30)의 양단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슬랫(30)이 상향으로 굽어지면서 곡률이 작아지게 되므로 탄력이 작아지게 되어 슬랫(30)의 탄력은 딱딱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연결체(40)들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후진)시키면 슬랫(30)이 자체 탄성에 의해 펼쳐져 곡률이 커지게 되어 슬랫(30)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슬랫(30)은 부드러운 탄력을 갖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64)를 각각 조작하여 슬랫(30)의 곡률을 직접 가변시킬 수도 있고, 연결체(40)들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전진시켜 슬랫(30)의 각 단부(32) 끝면과 각 끼움 결합홈(42)의 내측 끝면 사이의 여유공간(S)을 줄이거나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슬랫(30)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탄력이 딱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체(4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켜 여유공간(S)이 충분히 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수직 하중에 의하여 슬랫(30)이 쉽게 변형될 수 있음으로써 슬랫(30)이 부드러운 탄력을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에 도시된 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재(64)는, 연결체(40)들이 지지 프레임(16)의 양쪽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에, 어느 한쪽의 조절부재(6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하더라도 양쪽의 연결체(4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양쪽의 조절부재(64)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화 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양쪽 조절부재(64)의 나사부(65D)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되고,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다.
조절부재(64)의 이러한 구조에 의해 도 7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조절부재(64)만 회전 작동시키더라도 나사부(65D)의 나사산이 서로 반대이므로 양쪽 나사부(65D)에 결합된 연결체(40)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어느 한 쪽의 조절부재(64)만 회전 조작해도 되는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모션베드 12 : 메인 프레임
14 : 신체 지지부 16 : 지지 프레임
30 : 슬랫 32 : 단부
40 : 연결체 41 : 완충부
42 : 끼움 결합홈 42A : 유격 억제용 리브
44 : 결합단 44A : 연결공
50 : 각도 조절용 엑츄에이터 60 : 탄력조조절수단
62 : 체결부재 62A : 체결공
64 : 조절부재 64A : 노브
64B : 걸림홈 64C : 지지부
64D : 체결 나사부 66 : 위치 고정링

Claims (5)

  1.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들이 구비된 둔부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상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체 지지부와,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슬랫의 각 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을 구비한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양쪽 상기 연결체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슬랫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체의 저면에서 연결공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
    체결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재;
    일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중간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노브와 상기 걸림홈 사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서 타단까지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부재; 및
    상기 결합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위치 고정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연결공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 나사부가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직선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상기 연결체가 상기 조절부재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슬랫의 곡률을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 사이에는,
    상기 결합단의 일면이 상기 노브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유지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3. 장방형의 메인 프레임과, 자체 탄성을 갖도록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다수개의 슬랫들이 구비된 둔부 지지부, 하체 지지부 및 상체 지지부를 포함하는 신체 지지부와, 상기 신체 지지부가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용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슬랫의 각 단부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끼움 결합홈을 구비한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와 상기 지지 프레임에는, 양쪽 상기 연결체간의 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슬랫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력조절수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체의 저면에서 암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공을 구비하여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단;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일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상기 노브 쪽과 중간부 및 타단 쪽에 제1 걸림홈, 제2 걸림홈 및 제3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홈과 제3 걸림홈 사이에는 상기 연결공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
    상기 조절부재가 상기 관통공 내에서만 자전하도록 상기 제1 걸림홈 및 제2 걸림홈에 결합되는 회전 지지링; 및
    상기 제3 걸림홈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단이 상기 조절부재의 타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사부가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절부재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 상기 연결체가 직선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슬랫의 곡률을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조절부재가 양쪽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경우에, 어느쪽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조작에 의해 양쪽의 각 상기 연결체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양쪽의 상기 나사부는 서로 연결되고,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슬랫의 단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단부를 탄력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격 억제용 리브들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KR1020210062173A 2021-05-13 2021-05-13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KR10248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73A KR102483292B1 (ko) 2021-05-13 2021-05-13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173A KR102483292B1 (ko) 2021-05-13 2021-05-13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23A KR20220154523A (ko) 2022-11-22
KR102483292B1 true KR102483292B1 (ko) 2023-01-02

Family

ID=84236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173A KR102483292B1 (ko) 2021-05-13 2021-05-13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2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793Y1 (ko) 2002-02-01 2002-04-19 김경일 야전용 접이침대의 시트 당김구조
KR200363310Y1 (ko) 2004-07-16 2004-10-01 (주)메리노침대 침대용 바텀플레이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73Y1 (ko) 2005-11-03 2006-01-25 주식회사 장원금속 갈비살받침대
KR102177096B1 (ko) * 2019-01-25 2020-11-10 (주)다보스티엔지 전동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2793Y1 (ko) 2002-02-01 2002-04-19 김경일 야전용 접이침대의 시트 당김구조
KR200363310Y1 (ko) 2004-07-16 2004-10-01 (주)메리노침대 침대용 바텀플레이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23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9905B2 (ja) 椅子
US7434879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spring
CN105011609B (zh) 一种座椅式家具及其金属组件
WO2015108143A1 (ja) 椅子の荷重支持部材の基板構造
US9700143B2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seat back
KR102483292B1 (ko)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JP4956781B2 (ja) 椅子
KR20190142969A (ko) 거북목 자세 교정 의자
JP4721182B2 (ja) 椅子
JP2007229058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JP2018012029A (ja) 椅子
JP6235303B2 (ja) 椅子
JP4936270B2 (ja) 椅子
JP6078290B2 (ja) 椅子
TW201932050A (zh) 椅背曲度可調裝置
KR101576968B1 (ko) 의자용 등받이 조립체
US20170273462A1 (en) Back Adjus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of Chair
JP4936269B2 (ja) 肘桿の連結構造
JP6972232B2 (ja) 椅子
JP6705879B2 (ja) 椅子
KR102513731B1 (ko) 지퍼를 활용하여 경도를 조절하는 매트리스
KR102498218B1 (ko)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JP2003189963A (ja) 椅 子
KR200342422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