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173Y1 - 갈비살받침대 - Google Patents

갈비살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173Y1
KR200407173Y1 KR2020050031173U KR20050031173U KR200407173Y1 KR 200407173 Y1 KR200407173 Y1 KR 200407173Y1 KR 2020050031173 U KR2020050031173 U KR 2020050031173U KR 20050031173 U KR20050031173 U KR 20050031173U KR 200407173 Y1 KR200407173 Y1 KR 2004071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coupling
buffer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원금속
Priority to KR2020050031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1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1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47C19/027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rame from sagg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8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for joining separate bedstead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갈비살(Wood-flex Plate)받침대에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 상기 금속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금속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 및, 상기 갈비살의 양측 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금속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프레임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횡방향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종방향프레임은 수직지지면;과 수평지지면;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ㄴ'형태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결합부는, 탄성력을 구비한 합성수지로서, 상기 갈비살이 삽입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1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1완충부; 상기 제1완충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2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2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2완충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면의 결합구에 삽결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금속프레임, 지지기둥, 갈비살, 보강살, 슬라이딩튜브, 완충결합부

Description

갈비살받침대{Wood-flex Plate Supporter}
도1은 종래의 갈비살받침대의 갈비살이 금속프레임에 안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a)(b)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로서 조립과정(a)과 배열형태(b)를 도시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완충결합부의 구체적 실시예이다.
도4는 보강살이 더 포함된 구체적 실시예로서 조립과정(a)과 작동원리(b)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금속프레임
110:종방향프레임
111:수직지지면 112:수평지지면
120:횡방향프레임
130:중앙프레임
131:수직판 132:수평판
200:지지기둥
300:갈비살
350:보강살 355:슬라이딩튜브
400:완충결합부
410:제1완충부
411:제1공간부 412:제1테두리부
420:제2완충부
421:제2공간부 422:제2테두리부
430:결합홈부
440:결합돌기부
450:상부연결편
460:하부연결편
90:결합구
11:캡 22:외장재
33:벨트
기술분야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갈비살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 상기 금속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금속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 및, 상기 갈비살의 양측 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종래기술
종래의 갈비살받침대는 곡선행태로 휘어진 갈비살(300)의 양측 단부에 고무소재의 캡(11)이 삽결된 후 금속프레임(100)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1(a)에 도시된 종래의 갈비살받침대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프레임(100)의 상부에 캡(11)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돌기가 삽결되고, 금속프레임(100)의 외부 둘레에는 별도의 외장재(22)가 결합되어 캡(11)의 외측 단부가 외장재(22)의 내측에 접촉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갈비살(300)이 하중을 받게 되면 휘어진 갈비살(300)이 펼쳐지면서 그 양측 단부에 결합된 캡(11)이 외장재(22)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어 금속프레임(100)과 결합된 외장재(22)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재(22)와 캡(11)이 접촉되지 않는 구조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구조도 갈비살(300)이 하중을 받게 되면 휘어진 갈비살(300)이 펼쳐지면서 그 양측 단부에 결합된 캡(11)이 금속프레임(100)에 압착되어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갈비살의 개별적 유동이 가능한 갈비살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갈비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외장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갈비살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갈비살이 하중을 받아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갈비살(Wood-flex Plate)받침대에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 상기 금속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금속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 및, 상기 갈비살의 양측 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금속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프레임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횡방향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종방향프레임은 수직지지면;과 수평지지면;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ㄴ'형태의 단면을 형성하 고, 상기 수평지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결합부는, 탄성력을 구비한 합성수지로서, 상기 갈비살이 삽입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1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1완충부; 상기 제1완충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2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2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2완충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면의 결합구에 삽결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의하면, 본 고안은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갈비살(Wood-flex Plate)받침대에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100), 금속프레임(100)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200), 금속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300), 및 갈비살(300)의 양측 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금속프레임(100)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종방향프레임(110)과 2개의 횡방향프레임(120)으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한다.
종방향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고, 횡방향프레임(120)은 종방향프레임(110)에 직각으로 배열된다.
종방향프레임(110)은 수직지지면(111)과 수평지지면(112)을 구비하여 전체적 으로 'ㄴ'형태의 단면을 형성한다.
수평지지면(1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90)가 구비되어 완충결합부(400)의 결합돌기부(44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지지기둥(200)은 종방향프레임(110)과 횡방향프레임(120)이 만나는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방향프레임(110), 횡방향프레임(120), 및 지지기둥(200)은 쉽게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핀, 스크류 또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조립된다.
완충결합부(400)는 탄성력을 구비한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결합홈부(430), 제1완충부(410), 제2완충부(420), 및 결합돌기부(440)로 구성된다.
또한, 종방향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마주보는 상기 횡방향프레임(120)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130)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중앙프레임(130)은 수직판(131), 및 수직판(131)의 하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수평판(13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수평판(132)의 양측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9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중앙프레임(130)이 더 구비되는 경우 갈비살(300)의 일측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400)의 결합돌기부(440)는 수평지지면(112)에 구비된 결합구(90)에 삽결되고, 갈비살(300)의 타측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400)의 결합돌기부(440)는 수평판(132)에 구비된 결합구(90)에 삽결된다.
다시 말하면, 중앙프레임(130)이 없는 경우에는 갈비살(300)의 양측단부에 삽결된 완충결합부(400)의 결합돌기부(440)가 마주보는 2개의 종방향프레임(110)의 수평지지면(112)에 각각 삽결되고, 중앙프레임(130)이 있는 경우에는 갈비살(300)의 양측단부에 삽결된 완충결합부(400)의 결합돌기부(440)가 마주보는 종방향프레임(110)의 수평지지면(112)과 중앙프레임(130)의 수평판(132)에 구비된 결합구(90)에 각각 삽결된다.
따라서 중앙프레임(130)이 구비된 경우에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비살(300)이 2열로 배열되는 구조가 된다.
지지기둥(200)은 중앙프레임(130)의 하부에도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결합홈부(430)는 갈비살(30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갈비살(300)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있다.
제1완충부(410)는 결합홈부(43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공간부(411)와 이를 둘러싸는 제1테두리부(412)로 구성된다.
제1완충부(410)는 하중을 받으면 제1공간부(411)를 둘러싸는 제1테두리부(412)가 압착되어 변형되는 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제2완충부(420)는 제1완충부(410)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2공간부(421)와 이를 둘러싸는 제2테두리부(422)로 구성되며, 제1완충부(410)와 같은 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가 구비되어 하중을 받는 경우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갈비살(300)이 삽결되는 결합홈부(430)의 유동을 유발하게 된다.
즉,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제1완충부(410) 및 제2완충부(420)가 압착되면서 결합홈부(430)가 상하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좌우로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결합돌기부(440)는 제2완충부(420)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결합구(90)에 삽결된다.
완충결합부(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부(430)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연결편(450), 및 제2완충부(420)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연결편(460)에 의하여 2개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조를 구성하게 되면, 연결된 결합홈부(43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은 상부연결편(450)이 휘어지면서 쉽게 일어나나, 연결된 결합홈부(43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유동은 상부연결편(450) 자체가 늘어날 수 있는 범위 이내로 한정되는 성질이 있다.
즉, 결합홈부(430)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결합홈부(430)에 양측 단부가 삽결되는 갈비살(300)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갈비살(300)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비살(300)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보강살(35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보강살(350)은 갈비살(300)의 아래에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삽결되는 2개의 슬라이딩튜브(355)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튜브(355)에 의하여 갈비살(300)과 보강살(350)이 일체로 결합되는 바, 2개의 슬라이딩튜브(355) 사이에 위치하는 보강살(350) 부분만이 보강역할을 하게 되고, 슬라이딩튜브(355) 외측에 위치하는 보강살 (350) 부분은 보강역할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튜브(35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보강력이 강화되고, 슬라이딩튜브(355)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보강력이 저하되고, 슬라이딩튜브(355)가 서로 만나는 경우에는 보강효과가 거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갈비살(30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보강살(350)은 모든 갈비살(300) 각각의 하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사람의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위치에 해당하는 갈비살(300)만을 선택하여 보강살(350)을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 갈비살(300)의 상하부면을 교차로 통과하는 벨트(33)를 더 설치하여 갈비살의 강성을 보강할 수도 있다.
첫째, 갈비살의 개별적 유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갈비살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완충결합부가 제1완충부 및 제2완충부로 구성되어 하중의 방향에 따라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신체의 굴곡에 따라 갈비살이 유동하여 신체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다.
둘째, 갈비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딩튜브와 보강살이 구비되어 슬라이딩튜브의 이동만으로 보강력을 변화시켜 갈비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갈비살만을 선별하여 그 강성을 증가시킬수도 있다.
셋째, 외장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완충결합부가 외장재와 접촉되지 않고, 종방향프레임의 수평지지면에 결합되는 구조가 되어 갈비살이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더라도 외장재는 그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넷째, 갈비살이 하중을 받아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ㄴ'형태의 단면에 완충결합부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되어 갈비살의 변형에 의하여 완충결합부와 금속프레임 사이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갈비살(Wood-flex Plate)받침대에서,
    사각형의 외형을 구성하는 금속프레임;
    상기 금속프레임의 하부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상기 금속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곡선 형태로 휘어진 목재판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갈비살; 및,
    상기 갈비살의 양측 단부에 삽결되는 완충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금속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종방향프레임; 및,
    상기 종방향프레임에 직각으로 배열되는 횡방향프레임;
    으로 구성되고, 종방향프레임은 수직지지면;과 수평지지면;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ㄴ'형태의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결합부는,
    탄성력을 구비한 합성수지로서,
    상기 갈비살이 삽입되는 결합홈부;
    상기 결합홈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1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1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1완충부;
    상기 제1완충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제2공간부;와 이를 둘러싸는 제2테두리부;로 구성되는 제2완충부; 및,
    상기 제2완충부의 하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지지면의 결합구에 삽결되는 결합돌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살받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갈비살의 하부에 겹쳐지도록 보강살;이 더 구비되되,
    상기 보강살은 상기 갈비살에 겹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딩운동이 가능하도록 삽결되는 2개의 슬라이딩튜브;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살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완충결합부는,
    상기 결합홈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편; 및,
    상기 제2완충부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편;
    에 의하여 2개가 일체로 결합되어 한 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살받침대.
  4. 제3항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마주보는 상기 횡방향프레임의 중심부를 연결하는 중앙프레임;
    이 더 구비되되,
    상기 중앙프레임은,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수평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판의 양측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구가 구비되어 상기 갈비살의 일측단부에 삽결되는 상기 완충결합부의 상기 결합돌기부는 상기 수평지지면에 구비된 결합구에 삽결되고, 상기 갈비살의 타측단부에 삽결되는 상기 완충결합부의 상기 결합돌기부는 상기 수평판에 구비된 결합구에 삽결되어 상기 갈비살이 2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비살받침대.
KR2020050031173U 2005-11-03 2005-11-03 갈비살받침대 KR200407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73U KR200407173Y1 (ko) 2005-11-03 2005-11-03 갈비살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73U KR200407173Y1 (ko) 2005-11-03 2005-11-03 갈비살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173Y1 true KR200407173Y1 (ko) 2006-01-25

Family

ID=4175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73U KR200407173Y1 (ko) 2005-11-03 2005-11-03 갈비살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1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2769A (zh) * 2018-03-30 2018-08-17 锯斧家居科技(上海)有限公司 折叠沙发床
KR20220154523A (ko) 2021-05-13 2022-11-22 이경환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2769A (zh) * 2018-03-30 2018-08-17 锯斧家居科技(上海)有限公司 折叠沙发床
KR20220154523A (ko) 2021-05-13 2022-11-22 이경환 슬랫형 모션베드의 탄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55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KR101403230B1 (ko) 오메가 형상 강재 댐퍼를 갖는 철골 접합부 구조
US7461481B2 (en) Shock-absorbing tie brace
JP6412534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KR200407173Y1 (ko) 갈비살받침대
KR101368377B1 (ko) 앵커와 배수시트의 체결을 일원화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US10166422B2 (en) Trampoline support frame
KR20110073684A (ko) 책상용 다리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 책상
KR200484808Y1 (ko)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JP7064311B2 (ja) テーブル
KR101746345B1 (ko) 강도가 보강된 금속재 사각파이프 및 그 성형방법
KR101844645B1 (ko) 횡하중 흡수형 건축용 패널 조립체
KR200404122Y1 (ko) 조립식 박스
CN209082795U (zh) 一种楼承板钢结构架
KR101739081B1 (ko) 조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강재를 구비한 비좌굴가새
EP3295997B1 (en) Trampoline support frame
KR20060036503A (ko) 스프링 가새를 구비한 철골구조
KR200475421Y1 (ko) 휀스
KR101257315B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102249297B1 (ko) 데크 시스템
KR101880882B1 (ko) 차량용 로어암
JP4058697B2 (ja) ラック用柱脚およびそのラック用柱脚が配設されているラック
JPH10266622A (ja) 制震架構
JP4500605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CN213035762U (zh) 一种用于外围侧板与加强板之间较小钣金间隙的隔音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