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3228A -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228A
KR20240053228A KR1020220133088A KR20220133088A KR20240053228A KR 20240053228 A KR20240053228 A KR 20240053228A KR 1020220133088 A KR1020220133088 A KR 1020220133088A KR 20220133088 A KR20220133088 A KR 20220133088A KR 20240053228 A KR20240053228 A KR 20240053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frame
control mechanism
point
electric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장대진
남기태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2013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3228A/ko
Publication of KR20240053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3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등받이; 상기 의자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받이 구동부; 및 상기 등받이 구동부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상에서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Back of Chair Control Mechanism for Electric Wheelchair and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등받이가 시트를 기준으로 각도 조절이 되며, 등과 엉덩이가 쓸리는 문제를 해결한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중증 피간호인 및 장애인 등 자력으로 거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피간호인의 경우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침대에 눕거나 이동이 어려운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전동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동보조장치이다.
이러한 전동 휠체어는 시트, 등받이, 발판 그리고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바퀴를 움직일 필요 없는 전동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전동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이용해 바퀴를 구동시키며 이동하는 형태의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4658 B1 (2008.08.21)호에서는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 및 편 하중 발생 방지 구조를 갖는 휠체어를 개시하고 있으나, 등받이가 의자의 시트를 기준으로 눕혀질 때(리클라인),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가 쓸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받이가 눕혀질 때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가 쓸리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은 등받이 위치 조절이 용이한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등받이; 상기 의자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받이 구동부; 및 상기 등받이 구동부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상에서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에 의하면, 등받이가 눕혀질 때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가 쓸리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은 등받이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이 설치된 전동 휠체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일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타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연결 프레임의 개략도이며, 도 6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연결 링크의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슬라이딩 구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 확대 측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등받이; 상기 의자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받이 구동부; 및 상기 등받이 구동부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상에서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구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고정 지점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고정 지점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연결 링크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지점을 잇는 선분이 제1 각을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 및 상기 고정 지점을 잇는 선분이 상기 제1 각과 다른 제2 각을 형성하는 제2 슬라이등 거리 조절 지점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고정 지점에 연결되되 장공을 형성하는 장공부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지점과의 이격 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연결 지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이 설치된 전동 휠체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일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타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연결 프레임의 개략도이며, 도 6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연결 링크의 개략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슬라이딩 구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이나, 도 1에 도시한 일 측면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의자 제어 매커니즘 중 일부를 형성하는 매커니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의자를 구성하는 시트(B), 등받이(C), 발판(D)의 제어를 구현하는 매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 중 등받이(C)를 제어하는 매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우선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에 대해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제1 축(X1)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100),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200) 및 제2 축(X2)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는 소정의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소정의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진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소정의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일단이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F1),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F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은 상기 바퀴 및/또는 상기 본체(A)와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사용자의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1 축(X1)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축되는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일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1 지점(P1)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2 구동부(2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되는 커버 프레임(F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200)에 의해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의 타단은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의 일단은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3 구동부(3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의자 프레임(F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의자 프레임(F4)은 의자의 시트(B)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2 축(X2)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구동부(300)의 타단은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축되는 경우, 상기 의자 프레임(F4)은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하측으로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ㄷ"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F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의도치 않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구동부(10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하측으로 개방된 포위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하측으로 개방된 상기 포위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ㄷ"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포위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F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의 타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컴팩트 한 배치로 인해, 지면을 기준으로 의자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등받이 프레임(F5) 및 제3 축(X3)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 구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등받이(C)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3 축(X3)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소정의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부(400)가 수축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구동부(400)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발판 프레임(F6) 및 제4 축(X4)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발판(D)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4 축(X4)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소정의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5 구동부(500)가 수축되는 경우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타단이 상기 발판 프레임(F6)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상기 의자 프레임(F4)과 상기 커버 프레임(F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의자 프레임(F4)과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의해 의도치 않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컴팩트한 배치로 인해, 지면을 기준으로 의자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구동부(100), 상기 제2 구동부(200), 상기 제3 구동부(300), 상기 제4 구동부(400) 및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만 구동(신축)될 수도 있고, 적어도 2개가 동시에 구동(신축)될 수도 있어 다양한 의자 자세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의자 제어 매커니즘(10)과 중복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겠다.
일례로,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의자 프레임(F4),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F5),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등받이(C), 상기 의자 프레임(F4)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받이 구동부(400) 및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상에서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구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상기 등받이(C)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소정의 관통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C)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C)의 일부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삽입되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4 구동부(400)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는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이 상기 의자 프레임(F4)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회전 이동에 의해 엉덩이와 등이 쓸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상에서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킴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와 등이 쓸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회전량이 동일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의 구동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하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의 매커니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고정 지점(G)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을 형성하며,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610), 상기 고정 지점(G)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620) 및 일단이 상기 연결 링크(620)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C)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 링크(6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 프레임(610)은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고정 연결된 프레임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 프레임(610)은 상기 고정 지점(G)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점(G)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은 상기 연결 링크(620)가 연결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프레임(610)은 상기 연결 링크(620)가 소정의 위치에 연결되는 지점인 상기 고정 지점(G)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지점(G)은 상기 연결 링크(620)에 삽입되는 고정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은 상기 연결 프레임(610)의 일부가 관통된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 도시)를 통해 상기 연결 링크(620)가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 지점(G) 역시, 상기 연결 프레임(610)의 일부가 관통된 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 도시)를 통해 상기 연결 링크(620)가 상기 고정 지점(G)에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고정 지점(G)은 상기 연결 링크(620)가 상기 연결 프레임(610)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은 상기 연결 링크(620)가 상기 연결 프레임(610)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은 가상의 수평선(Z)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제1 각을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 및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상기 제1 각과 다른 제2 각을 형성하는 제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상의 수평선(Z)은 상기 고정 지점(G)을 지나는 지면과 평행한 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과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상기 가상의 수평선(Z)과 이루는 각은 상기 제1 각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과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상기 가상의 수평선(Z)과 이루는 각은 상기 제1 각과 다른 상기 제2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제1 각과 상기 제2 각의 차이로 인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지점(G)과 상기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 간의 거리인 제1 거리와 상기 고정 지점(G)과 상기 제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 간의 거리인 제2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제1 거리 및 상기 제2 거리를 통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링크(620)는 상기 고정 지점(G)에 연결되되 장공을 형성하는 장공부(H)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지점(G)과의 이격 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연결 지점(K)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링크(620)는 상기 연결 지점(K)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상기 고정 지점(G)에 연결되는 장공부(H)를 형성할 수 있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 링크(630)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 지점(L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공부(H), 상기 연결 지점(K) 및 상기 힌지 연결 지점(L1)은 모두 상기 연결 링크(620)의 일부가 관통된 관통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링크(630)는 일단이 상기 힌지 연결 지점(L1)과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C)에 힌지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도 7 내지 도 11에 대한 비교 설명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의 기능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도 7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장공부(H)에 상기 고정 지점(G)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연결 지점(K)이 상기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과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상기 가상의 수평선(Z)과 이루는 각은 상기 제1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가 구동되어 수축하는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눕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링크(630)는 상기 등받이(C)를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상기 시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일례로, 도 9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장공부(H)에 상기 고정 지점(G)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연결 지점(K)이 상기 제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 중 제2-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1)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1)과 상기 고정 지점(G)을 잇는 선분이 상기 가상의 수평선(Z)과 이루는 각은 상기 제2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 구동부(400)가 구동되어 수축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눕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 링크(630)는 상기 등받이(C)를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상기 시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8과 도 10을 비교하여 보면, 도 8에서 상기 고정 지점(G)과 상기 등받이(C)에 힌지 연결되는 상기 회전 링크(630)의 힌지 지점 간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도 8의 상기 제1 각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대적으로 상기 등받이(C)를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가 크며, 도 10의 상기 제2 각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대적으로 상기 등받이(C)를 상기 등받이 프레임(F5) 상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가 작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게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과 상기 연결 지점(K)을 연결시켜 상기 등받이(C)가 슬라이딩 되는 거리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장공부(H)에 상기 고정 지점(G)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연결 지점(K)이 상기 제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 중 제2-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2)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제2-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2)과 상기 고정 지점(G) 간의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도 7과 도 11을 비교하여 보면, 도 7에서 상기 고정 지점(G)과 상기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1) 간의 거리인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와 다르다.
따라서, 도 11에서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상기 제2 거리로 인해, 상기 연결 링크(620)는 상기 연결 지점(K)이 상기 제2-2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2-2)과 오버랩되기 위해, 하측으로 더 내려오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 링크(620)의 상기 장공부(H)는 장공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62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도 상기 고정 지점(G)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1과 도 7와 비교할 때,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게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과 상기 연결 지점(K)을 연결 시켜 상기 등받이(C) 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의 슬라이딩 구현부(6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겠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구현부(600A)는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등받이(C) 프레임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600A)는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을 형성하며,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610A) 및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C)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 링크(620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프레임(610A)은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을 복수 개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은 상호 높이 방향으로 및 측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크기에 맞게 상기 회전 링크(620A)의 일단을 복수 개의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I)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함으로 인해,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상기 등받이(C) 프레임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신의 신체 치수에 맞게 상기 등받이(C)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C)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바퀴 및 상기 본체(A)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F4: 의자 프레임
F5: 등받이 프레임
C: 등받이
400: 등받이 구동부
600: 슬라이딩 구현부

Claims (7)

  1.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에 있어서,
    의자 프레임;
    상기 의자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등받이;
    상기 의자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등받이 구동부; 및
    상기 등받이 구동부에 의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상에서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딩 구현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상기 등받이를 슬라이딩 시키는 거리를 조절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최대 기립 위치에서의 상기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구현부는,
    고정 지점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을 형성하며,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
    상기 고정 지점 및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에 연결되는 연결 링크 및
    일단이 상기 연결 링크에 힌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 링크를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은,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고정 지점을 잇는 선분이 제1 각을 형성하는 제1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 및
    상기 고정 지점을 잇는 선분이 상기 제1 각과 다른 제2 각을 형성하는 제2 슬라이등 거리 조절 지점을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는,
    상기 고정 지점에 연결되되 장공을 형성하는 장공부 및
    상기 슬라이딩 거리 조절 지점에 연결되되 상기 고정 지점과의 이격 거리가 다른 복수 개의 연결 지점 구비하는,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7. 제1항 내지 제7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을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220133088A 2022-10-17 2022-10-17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240053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088A KR20240053228A (ko) 2022-10-17 2022-10-17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088A KR20240053228A (ko) 2022-10-17 2022-10-17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3228A true KR20240053228A (ko) 2024-04-24

Family

ID=90884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088A KR20240053228A (ko) 2022-10-17 2022-10-17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32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841B1 (ko) 의료용 전동 절첩침대
US5181762A (en) Biomechanical body support with tilting leg rest tilting seat and tilting and lowering backrest
US5224228A (en) Longitudinally split, motor operated butterfly bed
US5052753A (en) Adjustable sitting device
US5320412A (en) Adjustable chair
PT82522B (pt) Cama de hospital
MXPA06004682A (es) Silla reclinable y ajustable.
JP2013539710A (ja) 調節可能人間工学的椅子メカニズム
KR101799971B1 (ko)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US20170252242A1 (en) Medical chair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KR20190116733A (ko)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EP1164899B1 (en) Arrangement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EP1180338A1 (en) Chair
KR20160089640A (ko) 욕창방지용 침대
KR20240053228A (ko)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20180114324A (ko) 의료용 전동침대
KR20240051524A (ko) 전동 휠체어의 발판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GB1569807A (en) Dental chair
KR20040049039A (ko) 틸팅 가능 의자
KR102393823B1 (ko) 헤드부가 독립 제어되는 리클라이닝 베드
TWI756698B (zh) 可變姿勢移動載具
US11540958B2 (en) Modular seat apparatuses for wheelchair assemblies
CN110234307A (zh) 床系统
KR20240051523A (ko)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