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63B1 -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 Google Patents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63B1
KR102177063B1 KR1020180105883A KR20180105883A KR102177063B1 KR 102177063 B1 KR102177063 B1 KR 102177063B1 KR 1020180105883 A KR1020180105883 A KR 1020180105883A KR 20180105883 A KR20180105883 A KR 20180105883A KR 102177063 B1 KR102177063 B1 KR 10217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ehumidifying
desorption
cooling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153A (ko
Inventor
이현재
이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to CN201880075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372670A/zh
Priority to PCT/KR2018/014673 priority patent/WO2019107863A1/ko
Publication of KR20190062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이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 농축하는 동시에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농축 탈착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형성하는 제습 부재, 상기 유입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제습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농축하기 위한 제습 로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영역은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이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 부재로부터 에너지 회수를 극대화하여 탈착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Low Energy Consumption Concentrating Rotor For Treating Dehumidifie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의 중의 습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습기를 흡착 농축하는 동시에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습기에서 수분의 흡착 및 탈착을 위하여 도 1과 같은 원통형의 제습 부재(10)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세라믹 파이버, 글래스 파이버 및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시트를 절곡하여 하니컴(벌집) 모양으로 성형한 후 실리카겔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제습제를 코팅하여 구성된다. 동작 시 제습 부재(10)는 흡착영역(12), 탈착영역(14) 및 냉각영역(16) 등 기능적으로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흡착농축수단에서 탈착영역(14)과 냉각영역(16)의 면적에 대한 기술적 고려가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659호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의 제습부재를 구성하는 기능 영역들의 면적이 제습장치의 에너지 회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에너지 회수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제습 로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가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농축 탈착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형성하는 제습부재, 상기 유입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제습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 농축하기 위한 제습 로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영역은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이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은 1.05 : 1 내지 3 : 1 비율,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 비율은 1.1 : 1 내지 3 : 1 비율인 것이 좋다. 또, 이 때 상기 탈착영역에 대한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 비율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흡착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은 3 : 1 내지 30 : 1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 로터에는 상기 제습 부재의 탈착영역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 부재는, 상기 유입 공기 유입측의 전단부 부재; 및 유입 공기 유출측의 후단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단부 부재는 고흡수성 제습제를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 부재는 낮은 상대습도에서도 수분 제거가 가능한 흡수성 제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단부 부재는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에어로겔 및 초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제습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 부재는 친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착 공기는 상기 후단부 부재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 농축하기 위한 제습 로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습 로터는,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농축 탈착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형성하는 제습 부재, 상기 유입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제습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영역은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은 탈착영역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 부재로부터 에너지 회수를 극대화하여 탈착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대규모의 설비뿐만 아니라 소형의 가정용 제습기에도 적용되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습 로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로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제습 부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로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제습 로터(100)는 제습 부재 및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습 로터(100)는 복수의 분리된 가스 유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내부의 제습 부재를 관통하는, 유입 공기 흐름(①), 제습 부재에 농축된 수분을 탈착하기 위한 탈착 공기 흐름(③) 및 탈착 후 가열된 제습 부재의 영역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 흐름(②)이 제공되도록 적절한 유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습 로터(100)에는 적절한 가스 유입구들, 가스 유출구 및 하우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습 부재를 관통하는 복수의 유로들은 서로 간의 가스 흐름이 간섭하지 않도록 적절한 밀봉 수단에 의해 분리 및/또는 구획된다. 예시적으로 실리콘 수지, 내열성 고분자 또는 금속이나 세라믹 재료를 상기 하우징과 제습 부재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각 유로를 흐르는 가스 흐름을 분리 및 구획할 수 있다. 도 2는 제습 로터의 흡착영역(A), 냉각영역(C) 및 탈착영역(D)이 분리 구획됨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영역(C)을 통과한 공기 흐름(②)은 탈착수단(200)을 거쳐 추가 가열되어 탈착영역(D)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착수단(200)은 제습 로터(100)의 일부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분리된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가스 유로들(①, ②, ③)에서 가스 흐름에 대해 예시적 방향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각 유로의 가스 흐름 중 적어도 하나가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유입 공기 흐름(①)과 탈착 공기 흐름(③)은 반대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습 부재(11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는 제습 부재(110)의 측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부재(110)는 소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습 부재(110)에는 상기 제습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직결식 구동 장치와 벨트나 체인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나 체인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는 체인 및 체인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습 부재의 외주면에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형 금속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체인과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기어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체인의 운동이 제습 부재 외곽으로부터 전달되어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제습 부재가 회동하게 된다. 물론, 이와 달리,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축(130)을 회전시켜 제습 부재(100)를 회전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습 부재(110)는 흡착 기능과 함께 열교환 매체로 작용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습 부재(110)는 축열성 및 가스 흡착성을 갖는 적절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습 부재는 세라믹스 섬유, 유리 섬유, 코디어라이트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금속판을 절곡한 지지체 모재에 수분 흡착력이 우수한 제습제를 코팅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습 부재(110)의 수분 제습제로는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A형, 산화 알루미늄-규산염 (aluminum oxide-silicate) 혹은 규산 티타늄 (titanium silicate)/티탄-규산알루미늄 (titanium-aluminum silicate)과 같은 실리케이트 에어로겔, 초흡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 부재는 구상제습제, 무정형제습제, 실린더형제습제 및 하니컴형 제습제를 이용하여 충전식으로 하거나 절곡, 압출 및 시트형 제습제를 이용하여 적층형 제습제를 성형하여 통기성과 접촉면적을 향상시킨 하니컴 형상의 제습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한 가스 유로에 대응하여 제습 부재 부분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고, 이 영역들은 전술한 밀봉 수단에 의해 격리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습 부재(110)는 복수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유로(①, ②, ③)를 흐르는 가스 흐름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의 면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역의 면적은 제습 로터 축방향에 수직인 단면적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은 예시적으로 수분흡착영역(A), 탈착영역(D) 및 냉각영역(C)과 같은 기능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분 흡착영역(A)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 부재(110)의 전체 면적의 40% 내지 90%를 차지할 수 있다.
종래의 제습 로터에서 수분 흡착영역(A)은 탈착영역(D) 또는 냉각영역(C) 보다 큰 영역 면적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탈착영역(D)과 냉각영역(C)이 동일한 영역 면적을 갖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일부의 경우 탈착영역(D)이 냉각영역(C)보다 크게 설계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영역(C)은 탈착영역(D)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수분 흡착영역 면적 > 냉각영역 면적 > 탈착영역 면적의 관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냉각영역 면적/탈착영역 면적 비율은 1.05 이상 또는 1.1 이상 또는 1.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적 비율의 상한선은 1.5, 2.0 또는 3.0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를 초과하는 과도한 면적 비율은 에너지 회수 효율의 증가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경제성 관점에서 불리하다.
이상 제습 부재(110)가 일단의 제습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제습 부재(110)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로터에 다단 제습 부재가 채용되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 부재(110)는 유입 공기 경로 상 전단부에 있는 전단부 부재(110A) 및 유입 공기 경로 상 후단부에 있는 후단부 부재(110B)의 2 개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단부 부재(110A) 및 후단부 부재(110B)는, 서로 상이한 조성의 제습제를 사용함으로써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전단부 부재(110A)는 실리카겔, 산화 알루미늄-규산염 (aluminum oxide-silicate) 혹은 규산 티타늄 (titanium silicate)/티탄-규산알루미늄 (titanium-aluminum silicate)과 같은 실리케이트 에어로겔, 초흡수성 폴리머와 같은 고흡수성 소재로 된 제습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단부 부재(110B)의 제습제로는 친수성 제올라이트(제올라이트 A형)와 같이 낮은 상대습도에서도 높은 제습 효율을 갖는 제습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단부 부재는 실리카 겔과 같은 고흡수성 소재에 의해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하고, 후단부 부재는 제거 수분량에 대한 기여는 적으나 제습 부재를 통과하는 공기를 낮은 습도 상태로 배출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다단 제습 부재의 경우, 탈착 공기 흐름이 후단부 부재(110B)로 유입되어 전단부 부재(110A)를 통과하여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b)는 앞서 설명한 (a)와는 전단부 제습 부재와 후단부 제습 부재의 두께를 달리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전단부 제습 부재(110A)는 후단부 제습 부재(110B)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다단 제습 부재 구조는 제습 부재 전부가 아니라 일부만을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습 로터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습기는 제습 로터(100) 및 탈착 수단(200)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원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수분은 제습 로터(100)을 통과하면서 제습 로터(100)의 제습 부재(110)의 제습제에 흡착된다. 제습 로터(100)는 바람직하게는 유입되는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한 로터 방식의 제습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습 로터(100)는 2∼20rph의 회전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출원의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상기 제습 로터(100)로 유입되어 흡착영역(A)에서 제습 부재(110)에 흡착된다. 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수분을 흡착한 제습 부재(110)는 탈착영역(B)으로 진입하고, 탈착 공기에 의해 탈착된다. 이 때, 탈착 가스는 흡착 폐가스보다 낮은 유량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착 가스 유량과 흡착 가스 유량은 1/3 ~ 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탈착영역의 제습 부재로부터 오염 성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탈착 가스는 탈착 수단(2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탈착 수단(200)으로는 버너, 히터,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플라즈마와 같은 가열 장치가 사용되거나 초음파 진동자와 같은 진동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탈착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터가 사용되어, 탈착 공기를 대략 1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한다.
탈착영역에서 탈착을 거친 제습 부재(110)는 대략 10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이며, 다음 흡착을 위해 냉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냉각영역(C)에는 냉각 가스(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냉각 가스는 예컨대 외부 공기일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원의 공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배출원 공기는 유입 공기 흐름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혼합 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냉각영역(C)을 통과한 가스는 제습 부재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영역 유출측 가스로부터 열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하여 유출측 가스는 탈착 가스의 소스로 공급될 수 있다.
배출원에서 유입된 유입 공기가 동일한 온도라고 가정하면,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의 면적 크기에 따라 냉각영역의 출구온도, 탈착영역의 입구온도, 탈착영역의 출구온도가 변화한다.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의 면적에 따라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의 입출구에서의 가스 온도 및 회수열량을 계산하였다. 표 1은 계산에 설정된 흡착영역 면적 : 탈착영역 면적 : 냉각영역 면적의 비율이고, 표 2는 계산 결과이다. 구체적인 계산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로터 회전속도(RPH) = 4
- 제습 부재 두께 : 500 mm
- 제습 부재 직경 : 3.5 m
- 냉각가스유량 = 탈착가스유량 = 120NCMM(N㎥/m}
- 배출원 유입 폐가스 온도 : 40℃
- 냉각입구 온도 : 40℃
번호 흡착:탈착:냉각 면적비
#1 8:1:1
#2 8:1:1.01
#3 8:1:1.05
#4 8:1:1.1
#5 8:1:1.2
#6 8:1:1.5
#7 8:1:2
#8 7:1:3
번호 냉각출구 탈착입구 탈착출구 회수율 냉각
회수열
탈착열 추가열 추가열
(℃) (℃) (℃) (%) (kcal/hr) (kcal/hr) (kcal/hr) 백분율
(%)
#1 150 220 62 69.60 245,520 352,656 107,136 100
#2 152 220 62 70.90 249,984 352,656 102,672 95.8
#3 156 220 62 73.40 258,912 352,656 93,744 87.5
#4 160 220 63 76.40 267,840 350,424 82,584 77.1
#5 166 220 63 80.30 281,232 350,424 69,192 64.6
#6 176 220 63 86.60 303,552 350,424 46,872 43.8
#7 182 220 63 90.40 316,944 350,424 33,480 31.3
#8 187 220 63 93.60 328,104 350,424 22,320 20.8
여기서, 냉각회수열은 냉각 가스에 의해 냉각영역의 제습 부재로부터 회수하는 열량을 의미하고, 탈착열은 탈착에 필요한 열량, 추가열은 탈착을 위해 추가로 가해주어야 할 열량 즉 (탈착열-냉각회수열)을 의미한다. 추가열 백문율은 추가열과 냉각회수율의 비율로서, #1을 100으로 할 때의 상대값을 말한다. 또한 회수율은 냉각회수율/탈착열을 백분율 나타낸 값이다.
표 2로부터 #3의 경우 5% 정도의 냉각영역 면적 증가에 의해 대략 4%의 회수율 증가가 발생함을 알 수 있고, 냉각영역 면적이 탈착영역 보다 50% 큰 경우 85%를 초과하는 회수율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즉, 탈착영역에 대한 냉각영역 면적의 비율 증가에 의해 회수열량의 대폭적인 증가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습기는 농축되어 배출되는 가스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 가스 처리 수단은 냉각과 가압을 통한 응축 회수 장치이거나, 제습제 및 흡수제를 이용한 농축 회수 장치일 수 있다.
100 제습 로터
110 제습 부재
110A 전단부 부재
110B 후단부 부재
110C 제3 부재
130 회전축
200 가열수단

Claims (15)

  1. 배출원에서 유입되는 유입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농축 탈착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형성하는 제습 부재, 상기 유입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제습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농축하기 위한 제습 로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영역은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영역으로 유입되는 냉각 가스는 배출원 공기이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이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은 1.05 : 1 내지 3 : 1 비율이고,
    상기 흡착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은 3 : 1 내지 30 : 1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 비율은 1.1 : 1 내지 3 : 1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영역에 대한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 비율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재의 탈착영역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재는,
    상기 유입 공기 유입측의 전단부 부재; 및
    상기 유입 공기 유출측의 후단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 부재는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에어로겔 및 초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제습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후단부 부재는 친수성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부 부재 및 상기 후단부 부재 중 최소한 하나는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로터.
  10. 배출원에서 유입되는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농축하기 위한 제습 로터를 포함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제습 로터는,
    유입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고 농축 탈착하기 위한 복수의 기능 영역을 형성하는 제습 부재, 상기 유입 공기에 대하여 상기 제습 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영역은 흡착영역, 탈착영역 및 냉각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영역으로 유입되는 냉각 가스는 배출원 공기이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은 탈착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 비율은 1.05 : 1 내지 3 : 1이고,
    상기 흡착영역의 면적과 상기 탈착영역의 면적은 3 : 1 내지 30 : 1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영역에 대한 상기 냉각영역의 면적 비율은 1.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재의 냉각영역으로 상기 유입 공기로부터 분기되는 분기 가스 또는 외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재의 냉각영역을 통과한 가스는 상기 탈착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부재의 탈착영역으로 유입되는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KR1020180105883A 2017-11-28 2018-09-05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KR10217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75240.4A CN111372670A (zh) 2017-11-28 2018-11-27 节能型除湿转子及包括其的除湿器
PCT/KR2018/014673 WO2019107863A1 (ko) 2017-11-28 2018-11-27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0948 2017-11-28
KR1020170160948 2017-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53A KR20190062153A (ko) 2019-06-05
KR102177063B1 true KR102177063B1 (ko) 2020-11-11

Family

ID=668445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91A KR102136290B1 (ko) 2017-11-28 2017-12-20 에너지 절감형 농축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폐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180105883A KR102177063B1 (ko) 2017-11-28 2018-09-05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91A KR102136290B1 (ko) 2017-11-28 2017-12-20 에너지 절감형 농축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폐가스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36290B1 (ko)
CN (2) CN1113726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773B1 (ko) 2019-10-15 2024-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소결 자석의 제조 방법
KR102357359B1 (ko) * 2021-06-11 2022-02-08 케이씨브이씨에스 주식회사 유해가스 처리 장치
KR102364059B1 (ko) * 2021-07-16 2022-02-17 주식회사 엔바이온 저분자 유해가스 흡착 및 농축, 및 이를 포함하는 폐가스 처리장치
CN115264662B (zh) * 2022-06-21 2023-06-06 同济大学 基于温敏凝胶和间接蒸发冷却的除湿空调系统及应用方法
CN115518516A (zh) * 2022-09-22 2022-12-27 北京科技大学 一种循环式甲硫醇脱除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013A (ja) * 2002-08-30 2004-03-25 Fuji Silysia Chemical Ltd 冷房装置
JP2008012400A (ja) * 2006-07-04 2008-01-24 Nichias Corp 除湿方法及び除湿装置
JP5805978B2 (ja) * 2011-04-05 2015-11-10 株式会社西部技研 吸着式除湿装置
JP2016175014A (ja)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西部技研 ガス回収濃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155B2 (ja) 2002-07-31 2006-09-27 株式会社西部技研 吸着式除湿機
JP5240889B2 (ja) * 2005-07-13 2013-07-17 月島機械株式会社 揮発性有機化合物の濃縮装置及び濃縮方法、並びに揮発性有機化合物の回収設備及び回収方法
JP2007021363A (ja) * 2005-07-15 2007-02-01 Babcock Hitachi Kk ガス浄化装置用の吸着部材及びガス浄化装置
KR101309714B1 (ko) * 2011-01-13 2013-09-23 주식회사 엔바이온 악취 및 휘발성유기화합물 동시 처리시스템
TWI557320B (zh) * 2011-02-09 2016-11-11 布魯克機械公司 低溫泵、低溫泵的前隔板及製造低溫泵之前隔板的方法
KR20130045160A (ko) * 2012-06-29 2013-05-03 주식회사 에이티이엔지 데시칸트로터 카세트
KR101711618B1 (ko) * 2014-04-04 2017-03-03 주식회사 엔바이온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농축기
CN205119668U (zh) * 2015-11-16 2016-03-30 深圳市百瑞空气处理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除湿干燥箱
CN205925348U (zh) * 2016-07-05 2017-02-08 中微惠创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旋转式气体吸附装置
KR101717535B1 (ko) * 2016-08-29 2017-03-17 김흥석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3013A (ja) * 2002-08-30 2004-03-25 Fuji Silysia Chemical Ltd 冷房装置
JP2008012400A (ja) * 2006-07-04 2008-01-24 Nichias Corp 除湿方法及び除湿装置
JP5805978B2 (ja) * 2011-04-05 2015-11-10 株式会社西部技研 吸着式除湿装置
JP2016175014A (ja)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西部技研 ガス回収濃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090A (ko) 2019-06-05
KR20190062153A (ko) 2019-06-05
CN111372670A (zh) 2020-07-03
KR102136290B1 (ko) 2020-08-26
CN111372669A (zh)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063B1 (ko)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KR100956356B1 (ko) 에너지축열회수형 유해물질 처리설비
US8366803B2 (en) Air cleaner having regenerative filter, and method for regenerative of air cleaner filter
JP2001062242A (ja) 除湿装置
WO2005094971A1 (ja) 気体浄化装置
CN104906919B (zh) 带式吸附微波脱附有机废气净化方法及装置
TW200907258A (en) Dehumidifier and dehumidification method
US6294000B1 (en) Rotary concentrator and method of processing adsorbable pollutants
US11292737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drinkable water from air
CN107362652A (zh) 可在线测量voc浓度的voc吸附设备及其方法
CN107036192A (zh) 一种高效负压膜除湿器和高效除湿系统
JP2001038137A (ja) 清浄空気製造方法及び供給システム
CN110397999A (zh) 一种转轮除湿装置和转轮除湿系统
CN101275771B (zh) 转轮除湿机的热回收装置和使用该装置的热回收方法
JP2008224111A (ja) 脱臭装置
JPH08266853A (ja) 低露点空気供給システム
KR20050084735A (ko) 데시컨트를 이용한 가습 및 제습장치
KR101903080B1 (ko) 데시칸트 제습 장치
CN106731473A (zh) 工业有机废气净化装置
JP2002186822A (ja) 吸脱着装置
JP5861547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WO2019107863A1 (ko) 에너지 절감형 제습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JPH06320A (ja) 乾式除湿装置
JP2002159821A (ja) 有機ガス濃縮装置
CN210584336U (zh) 一种双转轮有机废气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