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029B1 -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029B1
KR102177029B1 KR1020180001548A KR20180001548A KR102177029B1 KR 102177029 B1 KR102177029 B1 KR 102177029B1 KR 1020180001548 A KR1020180001548 A KR 1020180001548A KR 20180001548 A KR20180001548 A KR 20180001548A KR 102177029 B1 KR102177029 B1 KR 102177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pet
composition
derived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743A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벨벳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벨벳케어 filed Critical (주)벨벳케어
Priority to KR102018000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0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4Esters of carboxylic acids, e.g. fatty acid monoglycerides, medium-chain triglycerides, parabens or PEG fatty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유산균 함유군과 효소 함유군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에 식물성오일 함유량에 따라 점도를 최적화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에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겔을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하여 침에 의해 겔 유도형 조성물 성분이 녹을 때 자연스럽게 약제가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맛의 유산균으로 거부감을 줄이고 효소 부가로 소화흡수를 높이며, 동물병원에서 제조된 정량의 분말약제혼합과 혼합시 원하는 점도를 갖춘 맞춤형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GEL-INDUCIBLE COMPOSITION FOR PET MEDICATION AID AND METHOD OF ADMINISTR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유산균 함유군과 효소 함유군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에 식물성오일 함유량에 따라 점도가 최적화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조성물에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키고, 상기 형성된 겔을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하여 침에 의해 겔 유도형 조성물 성분이 녹을 때 자연스럽게 약제가 흡수되도록 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애완동물이라 함은 사람과 더불어 반려동물이며, 개와 고양이가 대표적이며, 사람의 주변에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어, 사람으로부터 동물이상의 관심과 보살핌을 받으며 자라게 된다.
그러므로, 반려동물인 애완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생겨 아플 때는 동물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고 약물을 복용하게 되나, 이러한 약물은 대부분 고형으로 형성되어 경구를 통하여 투여하게 되는데, 이때, 후각이 뛰어난 애완동물들은 약 냄새에 의해 약물의 복용을 거부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경구를 통한 약물의 투여가 불편하고 투여함량에 못 미치게 되어 개선점이 요구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액체 상태의 약제나 영양제 등을 애완 동물에게 보다 간편하게 먹일 수 있도록 애완동물용 약액 경구투입 용기(특허문헌1)가 고안되었으며, 약물을 갈아 물과 섞은 후 액체화시켜 약 주입용 스푼 또는 주사기를 통해 애완동물의 경구에 강제적으로 투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애완동물들은 경구를 통해 투여되는 약물의 냄새와 쓴 맛에 의해 제대로 삼키지도 못하고 투여되는 약물을 다시 뱉어내게 되어 사실상 약물치료가 어렵고 특히, 주사기로 투약할 때, 개나 고양이가 쓴 약을 경험하면 두 번째부터는 주사기만 들어도 다가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다른 시도로는 애완동물용 사료 내에 수납공간부가 형성되어 고형, 캡슐 또는 분말형태의 약물을 수납할 수 있게 하여, 사료를 섭취함과 동시에 사료 내부에 수납된 약물을 복용하게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거부감 없이 약물을 복용하도록 고안(특허문헌2)하거나 약물과 쨈이나 꿀을 섞어서 투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당도가 너무 높아 몸에 해로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속이 빈 공간에 약물을 투여한 캡슐제제를 동결시켜 애완동물에게 경구투여가 가능하도록 제안된바 있다(특허문헌3)
그러나 아직까지 애완동물에게 조제약의 투약 시 약물을 기피하는 문제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하여, 적정함량 투약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애완동물용 유산균 및 효소를 함유하는 기재 조성물에 식물성오일에 의해 점도가 최적화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겔 유도형 조성물에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투입 혼합하면, 겔 유도형 조성물과 분말약제간의 층분리없이 혼합되고 흘러내림없이 손가락으로 떴을 경우 혼합물 전체가 애완동물 입 천장에 부착되고, 침에 의해 겔 유도형 조성물 성분이 녹을 때 자연스럽게 약제가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실용실안등록공보 제0329124호 (2003.09.26) 실용실안공개공보 제2017-0000112호 (2017.01.09) 미국특허공개 제2012-0321703호 (2012.12.20)
본 발명의 목적은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이용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엔테로코쿠스 파에키움(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써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복합유산균 함유군 및 효소 함유군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 및 상기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오일 5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어 점성물로 성형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점성물의 바람직한 점도는 온도 25℃에서 회전형 점도계의 회전수 140 내지 200rpm으로 측정한 결과, 700cP 이하를 충족하는 것이다.
상기의 겔 유도형 조성물은 애완동물의 체중당 1일 표준먹이섭취량의 5 내지 10%로 정량화된 포장으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투입 후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키고,
상기 겔을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제된 분말약제는 5 내지 40 중량부로 투입될 때,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이 가능한 정도의 겔 점도가 충족된다. 즉, 최적의 점도로 미리 결정하여 준비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통해, 추후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제가 분말일 경우, 혼합만으로도 겔 타입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산균과 효소가 함유된 기재 조성물에 식물성오일을 부가하면서 적정 점도를 가지는 점성물로 성형하고 정량으로 포장된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함에 따라,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와 혼합시 흘러내림없이 혼합물 전체를 애완동물 입 천장에 부착되고, 침에 의해 겔 유도형 조성물 성분이 녹을 때 자연스럽게 약제가 흡수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은 애완동물이 좋아하는 맛의 유산균으로 거부감을 줄이고 효소 부가로 소화흡수를 높이며, 동물병원에서 제조된 정량의 분말약제혼합과 혼합시 원하는 점도를 갖춘 맞춤형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의 겔 제형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엔테로코쿠스 파에키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비피도박테리움롱검 및 비피도박테리움써모필리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복합유산균 함유군 및 효소 함유군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 및
상기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오일 5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어 점성물로 성형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은 젖산균이라고도 하며, 이들 균은 당류를 발효해 에너지를 획득하는 세균으로서 종류가 다양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산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엔테로코쿠스 파에키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비피도박테리움롱검 및 비피도박테리움써모필리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복합유산균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5종을 포함하는 복합유산균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복합유산균 함유군에 함유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균은 주로 식품 발효에 이용되는 유익한 균으로서, 발효과정에서 발암물질인 아프라톡신의 생성을 억제하고 특히, 소화 촉진과 정장 효과에 우수한 효능을 보인다.
또한, 엔테로코쿠스 파에키움(Enterococcus faecium)균은 인간의 체내에 원래부터 존재하는 균으로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장내구균이고 특히, 카드늄과 같은 중금속 제거에 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 계열은 소장에서 서식하며 항균물질 및 면역물질을 분비하고 변비, 설사 등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균을 사용하며 유산균의 장내 점착성 및 유산분비력 우수하고,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피도박테리움 계열은 대장에서 서식하며 대장균 억제, 장연동운동 촉진, 알레르기 질환 개선 등에 도움을 주며, 장내 유해균을 억제해 설사와 장염,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줄인다.
이에, 본 발명은 비피도박테리움롱검(Bifidobacterium longum)과 비피도박테리움써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균을 사용한다.
이상의 각각의 균들이 장내에서 저마다 발휘하는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전반적인 신체 건강을 위해서 복합유산균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복합유산균은 통상적인 투여 수준의 항생제에도 공존할 수 있는 강한 균주로서, 높은 담즙산염 농도에서도 위액과 같은 산성 조건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하고, 60~70℃ 고온의 펠렛팅 조건에서도 안정성을 유지한다.
상기 기재 조성물에서 효소 함유군에서 효소는 동물의 소화관 속에서 음식물을 고분자 유기 화합물에서 저분자 유기화합물로 가수분해시켜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도와주는 단백질로서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탄수화물 분해 효소(Alpha Amylase), 식이섬유소인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Cellulase), 지방 분해 효소(Lipase) 및 다당류인 펙틴 분해 효소(Pectinase)를 함유한다.
상기 복합유산균과 효소를 함께 함유함으로써, 생체 내 분해, 소화 및 독소배출간의 균형을 제공하여, 특히, 변이 묽거나 설사하는 개나 고양이, 장염예방, 장이 약한 노령견, 면역이 떨어진 개나 고양이에 투여할 수 있다.
이상의 기재 조성물의 성능은 전체 기재 조성물에 대하여, 복합유산균 함유군 1 내지 10중량% 및 효소 함유군 90 내지 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합유산균 함유군 2중량% 및 효소 함유군 98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복합유산균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제안된 섭취량 이상으로 섭취하더라도 기능성이 더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과량으로 섭취하면, 특정 균주가 가스를 발생시켜 설사를 유발하기 때문에 정량 급여가 중요하다.
본 발명의 기재 조성물 중 효소 함유군에는 효소 이외에, 식물성오일, 닭간 파우더(Chicken liver powder) 및 첨가제가 더 함유된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카놀라유, 대두유, 옥수수유, 포도씨유, 현미유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식물성 오일이라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닭간 파우더(Chicken liver powder)는 유기농 내장성분인 간은 고품질의 단백질의 우수한 공급원으로서 비타민 A, 비타민 B 특히, 비타민 B12가 풍부하고, 철, 구리, 아연, 크롬 등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동결건조된 파우더 형태로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사계절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당(Dextrose monohydrate), 유화제, 보존제, 고결방지제 등이 함유된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은 상기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오일 5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어 최적의 점도를 가지는 점성물로 성형된 것이며, 애완동물의 체중당 1일 표준먹이섭취량의 5 내지 10%로 정량화된 포장으로 제공된다. 이때 포장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간편한 스틱 포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식물성오일은 겔 유도형 조성물 성분간 상용성 및 혼화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기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오일성분과 동일한 성분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재 조성물에 식물성오일로서 카놀라유를 사용함에 따라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채용된 오일성분 역시 카놀라유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할 것이다.
이때, 식물성오일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이 퍽퍽하여 점도가 너무 되면 조제약이 섞이지 않아 투약이 어렵고, 반면에,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너무 묽은 경우에는 손가락으로 전체가 떠지지 않아 적정한 조제약의 투여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점성물은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에,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와의 혼합할 경우, 손가락으로 떴을 때 흘러내림없이 용기에 잔류물이 남지 않고 혼합물 전체가 들어내지는 정도의 점도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최적의 점도는 온도 25℃에서 회전형 점도계를 이용한 회전수 140 내지 200rpm 측정기준으로, 700cP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700cP 점도를 충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투입 후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키고,
상기 겔을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하는 것으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각 성분간 혼합 시 퍽퍽함이나 흘러내림 없는 최적의 점도가 미리 결정하여 준비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을 통해, 추후 각 처방에 따라 조제된 약제가 분말일 경우, 혼합만으로도 겔 타입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제된 분말약제는 5 내지 40 중량부의 함량으로 투입될 때, 혼합만으로도 원하는 점도를 갖춘 맞춤형 겔 타입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 기재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제시된 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산균 함유군 2 중량% 및 효소 함유군 98중량%를 각각 준비하고 각각을 용기에 투입하여 20℃에서 60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후 숙성단계를 거쳐 기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계 2: 기재 조성물의 제조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놀라유 5 중량부를 천천히 함유하면서 혼합하여,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01521776-pat00001
<실시예 2 ∼3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놀라유 함량을 각각 10 중량부 및 2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기재 조성물에, 밀가루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놀라유 함량 3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겔 유도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점도측정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회전형 점도계(BROOKFIELD (미국), 모델번호: DV-Ⅱ+ Pro)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각 측정하고자 하는 조성물에 스핀들(Spindle)을 담그고, 스핀들의 표시된 부분까지 잠기도록 하였다. 스핀들이 잠길 때에는 약간 비스듬히 하여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온도에 따라 점도가 크게 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온도 안정화 후 하기 조건에 따라 점도를 측정하였다.
1) Spindle No. : LV-4(64)
2) 회전속도(rpm): 60, 100, 140, 200
3) 시료의 온도: 25℃
그 결과를 표 2에 제시하였다.
Figure 112018001521776-pat00002
참고로, 물의 점도가 20.2℃에서 1.0 cP, 25℃에서 0.8937 cP이고, 꿀의 점도는 온도 및 꿀의 종류에 따라 2,000∼10,000 cP이었다.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은 온도 25℃에서 회전형 점도계의 회전수 140 rpm 및 200rpm 조건을 기준으로 700cP(centi Poise, 센티포아즈)이하의 점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700cP 점도를 보였다. 이때, 상기 점도 범위를 가지는 조성물의 경우 손가락으로 떴을 때 흘러내림 없이 용기에 잔류물이 남지 않고 혼합물 전체가 들어내지는 정도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엔테로코쿠스 파에키움(Enterococcus faeci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비피도박테리움롱검(Bifidobacterium longum) 및 비피도박테리움써모필리움(Bifidobacterium thermophil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복합유산균 함유군 및
    단백질 분해 효소(Protease), 알파 아밀라아제(Alpha Amylase),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Cellulase), 지방 분해 효소(Lipase) 및 펙틴 분해 효소(Pectin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와 당, 보존제, 유화제, 닭간파우더, 고결방지제 및 카놀라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효소 함유군으로 이루어진 기재 조성물 및
    상기 기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오일 5 내지 20 중량부가 함유되어 점성물로 성형된,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로서,
    상기 점성물이 온도 25℃에서 회전형 점도계의 회전수 140 내지 200rpm 측정 기준, 550 내지 700cP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겔 유도형 조성물이 애완동물의 체중당 1일 표준먹이섭취량의 5 내지 10%로 정량화된 포장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에 처방에 따라 조제된 분말약제를 투입 후 혼합하여 겔을 형성시키고,
    상기 겔을 손가락으로 떠서 애완동물의 입 천장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조제된 분말약제가 5 내지 40 중량부로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방법.
KR1020180001548A 2018-01-05 2018-01-05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KR102177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48A KR102177029B1 (ko) 2018-01-05 2018-01-05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48A KR102177029B1 (ko) 2018-01-05 2018-01-05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43A KR20190083743A (ko) 2019-07-15
KR102177029B1 true KR102177029B1 (ko) 2020-11-10

Family

ID=6725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48A KR102177029B1 (ko) 2018-01-05 2018-01-05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0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412A (ja) 2007-08-17 2009-03-05 Ryukakusan Co Ltd ペット用経口投与補助剤組成物
JP2013523871A (ja) * 2010-04-14 2013-06-17 アヤンダ グループ エーエス 動物用経口医薬組成物および栄養補助組成物
JP2014507946A (ja) * 2011-02-18 2014-04-03 デュポン ニュートリション バイオサイエンシス エーピーエス 飼料添加用組成物
KR101802247B1 (ko) 2017-08-16 2017-11-28 김동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124B1 (ko) 1999-11-10 2002-03-21 손재익 저압 노즐 분사식 분무건조 시스템
KR20170000112A (ko)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위치기반 솔루션 제어기를 이용한 주차관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412A (ja) 2007-08-17 2009-03-05 Ryukakusan Co Ltd ペット用経口投与補助剤組成物
JP2013523871A (ja) * 2010-04-14 2013-06-17 アヤンダ グループ エーエス 動物用経口医薬組成物および栄養補助組成物
JP2014507946A (ja) * 2011-02-18 2014-04-03 デュポン ニュートリション バイオサイエンシス エーピーエス 飼料添加用組成物
KR101802247B1 (ko) 2017-08-16 2017-11-28 김동인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애완동물용 발효콩 유산균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743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3798B (zh) 改善胃肠健康的方法和组合物
CN103997903A (zh) 用于改善胃肠菌群的组合物和方法
JP2019528763A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サケ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CN106508810A (zh) 安格斯肉牛育肥牛饲养管理方法
CA2581020C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rrhea
JP5592640B2 (ja) 乳酸菌発酵ローヤルゼリーを含有する抗ストレス剤、その製造方法、視床下部−下垂体−副腎皮質系の活動抑制剤、及び交感神経−副腎髄質系の活動抑制剤
SG172480A1 (en)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gestive tract ulcers in equines and other animals
CN101530466A (zh) 一种含有牛至油和维生素的纳米药物
CN101999554B (zh) 奶牛专用型动物营养素及其制备方法
JP6157928B2 (ja) 肝臓への脂肪蓄積抑制剤
KR102177029B1 (ko) 애완동물 조제약 투약보조용 겔 유도형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투약방법
JP5106948B2 (ja) ペット用経口投与補助剤組成物
KR102144399B1 (ko) 겔 유도형 애완동물 투약보조용 조성물
US11224574B1 (en) Gel-inducible composition for pet administration assistance
CN111821322A (zh) 一种可替代抗生素的禽用微生态口服制剂及其应用
JP2022030024A (ja) ゲル誘導型のペット投薬補助用組成物
CN104382947A (zh) 一种治疗宠物肠道感染的散剂及其制备方法
JP2020130093A (ja) 腸内酪酸産生促進用組成物
CN115177658B (zh) 一种用于降血糖的组合物
JP5717224B1 (ja) 粉末状の機能性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442716A (zh) 含有雙叉桿菌的安定組成物
JP7329768B2 (ja) 糖尿病予防治療剤、血糖値上昇抑制剤、血糖値スパイク抑制剤及びグルコース取り込み阻害剤
JP2008088087A (ja) 血糖値上昇抑制剤
JP6727051B2 (ja) 増粘剤、組成物キット及び組成物を増粘させる方法
CN104544051A (zh) 一种采用嗜酸乳杆菌的空心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