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433B1 - 키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433B1
KR102176433B1 KR1020197022562A KR20197022562A KR102176433B1 KR 102176433 B1 KR102176433 B1 KR 102176433B1 KR 1020197022562 A KR1020197022562 A KR 1020197022562A KR 20197022562 A KR20197022562 A KR 20197022562A KR 102176433 B1 KR102176433 B1 KR 102176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ght guide
button
key switch
switch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5503A (ko
Inventor
가즈히라 이자와
마미코 나카
겐시 나가타
시게노부 기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8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the contacts or the contact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01H13/24Driving mechanisms with means for introducing a predetermined time de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중앙 부분에 개구부(10)를 갖는 베이스(1)와, 개구부(10)에 배치되도록 베이스(1)에 지지되어, 탄성체 받침부(26)를 갖는 도광체(2)와, 베이스(1)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도광체(2)를 덮는 버튼(3)과,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와 버튼(3)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베이스(1)에 대하여 버튼(3)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와, 고정 접점(47)을 갖고, 베이스(1)에 설치되는 고정 접촉편(41)과, 베이스(1)에 대하여 버튼(3)을 접근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고정 접점(47)에 폐쇄하는 가동 접점(58)을 갖는 가동 접촉편(4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키 스위치 장치
본 개시는 주로,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키 스위치 장치로서, 예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통 형상의 가이드 포스트를 돌출시켜, 이 가이드 포스트의 내경측에서 도광체를 가이드하고, 외경측에 배치한 코일 스프링으로, 버튼을 압입 가능하게 탄성 지지한 구성의 키보드 스위치가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중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4851727호 명세서
그러나, 상기 종래의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가이드 포스트가 필요하고, 그만큼 평면에서 본 점유 면적이 커진다. 또한, 도광체가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높이 치수가 크다.
본 개시는, 평면에서 본 점유 스페이스를 억제함과 함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중앙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탄성체 받침부를 갖는 도광체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를 덮는 버튼과,
상기 탄성체 받침부와 상기 버튼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고정 접점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 접촉편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접근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에 폐쇄되는 가동 접점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가동 접촉편을
구비하는, 키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도광체를 베이스의 개구부에 배치하여, 탄성체를 도광체의 탄성체 받침부에 직접 압접시키도록 했으므로, 키 스위치 장치의 평면에서 보아 점유 면적을 억제하면서,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키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버튼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키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3의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의 도광체를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도광체를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의 버튼을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b의 버튼을 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3의 고정 접촉편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고정 접촉편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3의 가동 접촉편의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가동 접촉편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3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슬라이더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하는 키 스위치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키 스위치 장치의 사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를 들어, 「상」, 「하」, 「측」, 「단」을 포함하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것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개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그것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개시,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고,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키 스위치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버튼(3)을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키 스위치 장치는 베이스(1), 도광체(2), 버튼(3), 코일 스프링(4), 접점 개폐 기구(5), 슬라이더(6) 및 승강 기구(7)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저부(8)와 사각형 프레임부(9)를 구비한다.
저부(8)에는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의 개구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의 내주면에는 상하 방향의 중앙 부분에 환상의 걸림 고정 받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 받침부(1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2)의 걸림 고정 클로(29a)가 걸림 고정된다.
개구부(10)의 근방에는 제1 설치대(12)와 제2 설치대(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설치대(12)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걸림 고정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8)에는 제1 걸림 고정 홈(14)에 연속해서 하면에 연통하는 제1 단자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설치대(12)는 상면이 볼록형인 원호면으로 구성된 제1 걸림 고정 돌조(16)를 구비한다. 제2 설치대(13)도 제1 설치대(12)와 동일한 구성으로, 제2 걸림 고정 홈(17) 및 제2 걸림 고정 돌조(18)를 구비하고, 저부(8)에는 제2 걸림 고정 홈(17)에 연통하는 제2 단자 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설치대(12)에는 고정 접촉편(41)이 고정되고, 제2 설치대(13)에는 가동 접촉편(42)이 고정된다. 또한 저부(8)의 일측부 상면에는, 중앙부에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8)의 네 구석에는 오목부(2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b)의 저면에는, 버튼(3)을 압하한 때, 후술하는 버튼(3)의 맞닿음부(36)의 하단이 맞닿고, 저부(8)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버튼(3)의 그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각형 프레임부(9)는 대향하는 2조의 측면벽(21a, 21b)으로 구성되고, 그것들의 외측에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는, 후술하는 승강 기구(7)의 지지에 사용된다. 대향하는 측면벽(21a)의 외측에서는, 플랜지부(22)의 외측에 압출 방지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압출 방지벽(23)은 제1 암(67) 및 제2 암(68)이 측방으로 압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대향하는 측면벽(21a)의 외면 중앙부에는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는 측면벽(21a)의 상반부가 폭이 좁은 홈부(24a)로 구성되고, 하반부가 홈부(24a)보다도 넓어진 릴리프 오목부(24b)로 구성되어 있다. 홈부(24a)의 폭 치수는, 후술하는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절첩한 상태로 삽입 관통 가능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2)는, 투광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를 성형 가공한 것으로, 원뿔대 형상의 도광 본체(25)와, 이 도광 본체(25)의 하단부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탄성체 받침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도광 본체(25)의 상면에는 복수의 볼록 렌즈(25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 렌즈(25a)에 의해, 광원인 LED(Light Emitting Diode)(25b)(도 5b 참조)로부터의 광이 확산된다.
탄성체 받침부(26)는 플랜지상이고, 상반부(즉, 도광 본체(25)에 가까운 부분)의 받침부 본체(27)와, 하반부(즉, 도광 본체(25)로부터 먼 부분)의 통 형상체(2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 받침부(26)는 주위 방향 3개소 등분으로 노치부(26a)가 형성되고, 거기에는 클로부(2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 본체(27)와 통 형상체(28)는 노치부(26a)에 의해 3개의 원호상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받침부 본체(27)는 베이스(1)의 개구부(10)보다도 외경 치수가 크고, 그 하면이 저부(8)의 상면에 맞닿는다. 통 형상체(28)의 외면은 개구부(10)의 내면에 맞닿고, 베이스(1)에 대하여 도광체(2)를 직경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한, 받침부 본체(27)의 하면과 통 형상체(28)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LED(25b)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30)로 되어 있다. 클로부(29)는 통 형상체(28)와 마찬가지로 하방측으로 연장되고, 선단 부분에는 외경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고정 클로(29a)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고정 클로(29a)는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형성한 걸림 고정 받침부(11)에 걸림 고정되어, 도광체(2)가 개구부(10)로부터 상방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3)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을 갖고, 평판부(31)와, 평판부(31)의 대향하는 2변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부(32)와, 평판부(31)의 대향하는 남은 2변으로부터 각각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3a, 33b)를 구비한다.
평판부(31)의 하면(즉, 베이스(1)에 대향하는 면) 중앙부에는 통 형상의 스프링 가이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31)의 하면에는 3변을 따라 가이드벽(35)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벽(35)의 양측 대향벽은 양단 부분에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된 맞닿음부(36)가 형성됨과 함께, 양단부를 제외하고 내측으로 밀어내고 있다. 또한, 가이드벽(35)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맞닿음부(36)의 대향 부분에는, 슬라이더(6)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36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36a)을 구성하는 한쪽의 측벽은 상하 단부를 제외하고 절제되고, 하단부에는 리프트용 돌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용 돌기부(37)는, 상방을 향해 서서히 경사지는 하방측의 경사면(37a)과, 상방측의 평탄면(37b)을 구비한다.
측벽부(32)에는, 더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양단 부분에 베어링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각 베어링 구멍(38)에는 후술하는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가 각각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쪽의 연장부(33a)에는 3개소에 오목상의 원호면을 갖는 돌기(39)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31)의 측연과 돌기(39)의 원호면으로, 도시하지 않은 밸런스 바를 지지하는 지지부(40)가 구성되어 있다.
도 3으로 돌아가, 코일 스프링(4)은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와, 버튼(3)의 스프링 가이드부(34)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1)에 대하여 버튼(3)을 상방(즉, 베이스(1)의 저부(8)에 직교하는 방향이고 또한 베이스(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접점 개폐 기구(5)는 고정 접촉편(41)과 가동 접촉편(42)을 구비하고, 이들은 평판상의 구리 합금을 프레스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촉편(41)은, 제1 평면부(43)와, 제1 평면부(43)의 하부 에지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단자부(44)와, 제1 평면부(43)의 일단측 하부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2 평면부(45)와, 제2 평면부(45)의 일단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3 평면부(46)와, 제3 평면부(46)에 마련한 고정 접점(47)과, 제1 평면부(43)의 타단 에지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고, 제3 평면부(46)에 대향하는 제4 평면부(48)를 구비한다. 고정 단자부(44)의 중앙 부분에는 제1 평면부(43)에 이르는 제1 걸림 고정 돌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고정 돌기부(49)가 베이스(1)의 제1 설치대(12)에 형성한 제1 걸림 고정 홈(14)에 걸림 고정된다. 고정 단자부(44)가 제1 단자 구멍(15)에 압입되어 저부(8)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4 평면부(48)에는 하부 에지 중앙부에 원호상으로 잘려 나간 제1 걸림 고정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고정 오목부(50)는 상기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고정 돌조(16)에 걸림 고정된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42)은, 제1 평면부(51)와, 제1 평면부(51)의 일단측 하부 에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동 단자부(52)와, 제1 평면부(51)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는 제2 평면부(53)와, 제1 평면부(51)의 타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2 평면부(53)에 부분적으로 대향하는 제3 평면부(54)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부(52)의 중앙 부분에는 제1 평면부(51)에 이르는 제2 걸림 고정 돌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평면부(53)에는 하부 에지 중앙부에 원호상으로 잘려 나간 제2 걸림 고정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걸림 고정 오목부(56)는 상기 제1 설치대(12)의 제2 걸림 고정 돌조(18)에 걸림 고정된다. 제3 평면부(54)는 상부 에지 중앙부에 단면 대략 C자상으로 굴곡된 돌출편(57)(압박 받침부의 일례)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57)은, 후술하는 슬라이더(6)의 압박부(59)에 압박되어, 제3 평면부(54)(나아가서는 제1 평면부(51))를 탄성 변형시킨다. 제3 평면부(54)의 선단 외면에는 가동 접점(58)이 마련되어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평판상을 갖고 있다. 슬라이더(6)는 중앙 부분에 압박부(59)를 구비한다. 압박부(59)는, 상단보다 소정 치수 하방측으로부터 서서히 돌출되는 제1 경사면(60)과, 제1 경사면(60)에 연속되는, 돌출 부분의 중앙이 약간 오목한 오목 곡면(61)을 구비한다. 또한 압박부(59)는, 돌출 부분의 하단측은 서서히 돌출 치수가 작아지는 제2 경사면(62)을 구비한다.
또한 슬라이더(6)는 양단부에 피가이드 돌기부(64)를 구비한다. 피가이드 돌기부(64)는 슬라이더(6)의 양단부에 마련한 평탄부(65)의 외면 중앙부를 좌우로 2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가이드 돌기부(64)는 버튼(3)에 형성한 가이드 홈(36) 내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된다. 평탄부(65)에는, 피가이드 돌기부(64)에 의해 2분된 한쪽의 하방측에 피리프트용 돌기부(66)가 형성되어 있다.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상면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돌출되는 경사면(66a)으로 구성되고, 하면은 평탄면(66b)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평탄면(66b)에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이 맞닿고, 버튼(3)이 상방 이동할 때, 함께 리프트된다.
도 3으로 돌아가, 승강 기구(7)는 제1 암(67)과 제2 암(68)을 구비한다. 제1 암(67)과 제2 암(68)은 대략 동일 형상이고, 축체(69)와, 그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암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축체(69)의 양단부에는 제1 축부(7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암부(70)의 선단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축부(72)와 제1 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암부(70)의 선단측에는, 상기 제2 축부(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는 베어링 구멍(74)과,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7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암(67)과 제2 암(68)은, 제1 암(67)의 제2 축부(72)를 제2 암(68)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하고, 제2 암(68)의 제2 축부(72)를 제1 암(67)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연결된다. 연결된 제1 암(67)과 제2 암(68)은, 절첩한 상태로, 연결 부분을 베이스(1)의 홈부(24a)에 삽입 관통되고, 릴리프 오목부(24b)에서 넓어짐으로써, 제1 돌기(73)와 제2 돌기(75)가 릴리프 오목부(24b)를 구성하는 상면에 맞닿아, 베이스(1)로부터의 탈락이 저지된다. 또한, 연결된 제1 암(67)과 제2 암(68)은, 제1 축부(71)를 버튼(3)의 베어링 구멍(38)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버튼(3)에 연결된다. 버튼(3)은,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음으로써 돌출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버튼(3)은, 맞닿음부(36)의 하단이 베이스(1)의 오목부(20b)의 저면에 맞닿음으로써 압입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 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도광체(2)를 배치한다. 도광체(2)의 통 형상체(28)를 개구부(10) 내에 삽입하고, 플랜지부(22)를 베이스(1)의 저부(8) 상면에 맞닿게 한다. 이로써, 클로부(29)의 걸림 고정 클로(29a)가 개구부(10)의 걸림 고정 받침부(11)에 걸림 고정되고, 베이스(1)에 대하여 도광체(2)가 설치된다.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배치한 도광체(2)의 주위에 코일 스프링(4)을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4)의 하단부는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에 맞닿는다.
베이스(1)의 제1 설치대(12)에 고정 접촉편(41)을 설치하고, 제2 설치대(13)에 가동 접촉편(42)을 설치한다. 고정 접촉편(41)은 고정 단자부(44)를 베이스(1)의 제1 단자 구멍(15)에 압입하고, 제1 걸림 고정 돌기부(49)를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고정 홈(14)에 걸림 고정하고, 제1 걸림 고정 오목부(50)를 제1 설치대(12)의 제1 걸림 고정 돌조(16)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베이스(1)에 고정한다. 가동 접촉편(42)은 가동 단자부(52)를 베이스(1)의 제2 단자 구멍(19)에 압입하고, 제2 걸림 고정 돌기부(55)를 제2 설치대(13)의 제2 걸림 고정 홈(17)에 걸림 고정하고, 제2 걸림 고정 오목부(56)를 제2 설치대(13)의 제2 걸림 고정 돌조(18)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베이스(1)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 접점(47)에 대하여 가동 접점(58)이 폐쇄 가능하게 대향한다.
제1 암(67)의 제2 축부(72)를 제2 암(68)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하고, 제2 암(68)의 제2 축부(72)를 제1 암(67)의 베어링 구멍(74)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 암(67)과 제2 암(68)을, 절접한 상태로 베이스(1)의 홈부(24a)를 통해 오목부(30)에 삽입하고, V자상으로 넓어진다. 또한, 버튼(3)의 가이드 홈(36)에 슬라이더(6)의 피가이드 돌기부(64)를 가이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를 버튼(3)의 베어링 구멍(38)에 삽입 관통한다. 이로써, 버튼(3)은 도광체(2)와의 사이에 배치한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다. 버튼(3)은,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음으로써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되어 키 스위치 장치는, LED(25b)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설치된다. 키 스위치 장치 설치에서는, 베이스(1)의 하면에 위치하는 도광체(2)의 오목부(30)에 LED(25b)가 들어간다. 이와 같은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도광체(2)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광체(2)를 베이스(1)로부터 상방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광체(2)의 상단, 즉 볼록 렌즈 a의 표면의 위치가, 사각형 프레임부(9)의 상단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1)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버튼(3)에는 도시하지 않은 키 캡이 장착되어, 키보드의 키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배치한 도광체(2)의 주위 근방에 고정 접촉편(41) 및 가동 접촉편(4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편(42)의 제3 평면부(46)를 따라 슬라이더(6)가 배치되어 있다. 즉, 사각형 프레임부(9)로 둘러싸인 영역에, 필요 최소한의 부품(즉, 도광체(2), 코일 스프링(4), 고정 접촉편(41), 가동 접촉편(42) 및 슬라이더(6))을 접근시킨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키 스위치 장치의 평면에서 보면 점유 면적(즉, 저부(8)의 사이즈)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도광체(2)의 통 형상체(28)를 배치하여, 클로부(29)의 걸림 고정 클로(29a)를 개구부(10)의 걸림 고정 받침부(11)에 걸림 고정함으로써, 베이스(1)에 도광체(2)를 설치한다. 이때, 통 형상체(28)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30) 내에 LED(25b)가 들어간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2)의 상단이 베이스(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버튼(3)의 내면에 일단측을 압접시킨 코일 스프링(4)의 타단측을, 도광체(2)의 플랜지부(22)에 직접 압접시키고 있다. 이로써, 키 스위치 장치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키 스위치 장치의 저배화(즉, 버튼(3)의 가동 방향에 있어서의 키 스위치 장치의 사이즈의 저감)가 실현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키 스위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키 캡을 압입 조작하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버튼(3)은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즉, 코일 스프링(4)의 신축 방향이고 또한 베이스(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1 암(67)과 제2 암(68)의 각 제1 축부(71)가 제2 암(68)과 제1 암(67)의 각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아 있다. 이로써, 버튼(3)은 돌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42)은 돌출편(57)을 슬라이더(6)의 압박부(59)에 압박되고,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촉편(41)의 고정 접점(47)으로부터 개방 분리되어 있다.
키 캡을 통해 버튼(3)을,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 내리면, 함께 슬라이더(6)도 하방(즉, 코일 스프링(4)의 신축 방향이고 또한 베이스(1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 접촉편(42)의 돌출편(57)은 슬라이더(6)의 오목 곡면(61)으로부터 제1 경사면(60)으로 압접 위치를 변경한다. 이로써, 가동 접촉편(42)의 제3 평면부(46)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가, 슬라이더(6)를 하방측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 결과, 버튼(3)에 대하여 슬라이더(6)가 단독으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하단의 평탄면(66b)을 버튼(3)의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에 충돌시켜 소리를 발생시킨다. 단순히 슬라이더(6)가 자중에 의해 낙하할뿐만 아니라, 가동 접촉편(42)으로부터의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으므로, 발생하는 소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키 스위치 장치를 구비한 키보드라면, 유저는 압입 조작이 적절하게 행해진 것을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보드를 게임 등에서 사용했다고 하면, 그 압입 조작에 의해 충분한 소리를 발생시켜 사용 상황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변형되어 있던 가동 접촉편(42)이 형상을 복귀하고 곧바로 연장됨으로써,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점(47)에 폐쇄된다.
버튼(3)의 압입 조작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4)의 가압력에 의해 버튼(3)이 상방으로 이동한다. 버튼(3)은 제1 암(67)과 제2 암(68)의 제1 축부(71)가 베어링 구멍(38)의 내측 에지에 맞닿고,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슬라이더(6)는, 피리프트용 돌기부(66)의 평탄면(66b)에 버튼(3)에 형성한 리프트용 돌기부(37)의 평탄면(37b)이 맞닿아 리프트되고, 압박부(59)가 가동 접촉편(42)의 돌출편(57)을 압박하여 제3 평면부(54)(나아가서는 제1 평면부(51))를 탄성 변형시킨다. 이로써, 가동 접점(58)이 고정 접점(47)으로부터 개방 분리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체(2)에 받침부 본체(27)와 걸림 고정 클로(29a)를 마련하고,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형성한 걸림 고정 받침부(11)에 걸림 고정하는 걸림 고정 구조를 채용했지만, 이것들의 구성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도광체(2)의 하방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LED(25b)를 실장하는 프린트 기판이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도광체(2)를 프린트 기판과 스프링으로 끼움 지지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 구조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체로서 코일 스프링(4)의 예를 개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펀지, 고무 등의 다른 탄성 부품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다양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마지막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례로서, 참조 부호도 붙여 기재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중앙 부분에 개구부(10)를 갖는 베이스(1)와,
상기 개구부(10)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1)에 지지되어, 탄성체 받침부(26)를 갖는 도광체(2)와,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2)를 덮는 버튼(3)과,
상기 탄성체 받침부(26)와 상기 버튼(3)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버튼(3)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4)와,
고정 접점(47)을 갖고, 상기 베이스(1)에 설치되는 고정 접촉편(41)과,
상기 베이스(1)에 대하여 상기 버튼(3)을 접근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47)에 폐쇄되는 가동 접점(58)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가동 접촉편(42)을
구비한다.
제1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도광체(2)를 베이스(1)의 개구부(10)에 배치하고, 탄성체(4)를 도광체(2)의 탄성체 받침부(26)에 직접 압접시킴으로써, 탄성체(4)가 평면에서 보아 도광체(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키 스위치 장치의 점유 면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2)를 탄성체(4)로 직접 가압하고 있으므로, 키 스위치 장치의 저배화가 가능해진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상기 도광체(2)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1)의 상단보다도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도광체(2)가 베이스(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저배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버튼(3)을 도광체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상기 도광체(2)는, 원뿔대 형상의 도광 본체(25)와, 상기 도광 본체(25)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체 받침부(26)를 갖는다.
본 개시의 제4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서는, 상기 도광체(2)의 하부에 LED(25b)가 배치되는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제4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도광체(2)의 내부에 LED(25b)를 넣도록 하고 있으므로, 가일층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5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는,
압박부(59)를 갖고, 상기 베이스(1)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버튼(3)의 압입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6)를, 상기 가동 접촉편(42)의 근방에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42)은, 상기 압박부(59)에 압박되는 압박 받침부(57)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6)는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박부(59)가 상기 압박 받침부(57)를 넘은 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베이스(1) 또는 버튼(3)의 일부에 충돌하여 소리가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 양태의 키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저배임에도 불구하고, 버튼(3)을 압입함으로써, 베이스(1)에 슬라이더(6)를 충돌시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 중 임의의 실시 형태 또는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각각이 갖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예끼리의 조합 또는 실시 형태와 실시예의 조합이 가능함과 함께,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 중 특징끼리의 조합도 가능하다.
본 개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이 기술의 숙련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수정은 명백하다. 그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한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관한 키 스위치 장치는 키보드 등에 채용할 수 있다.
1 : 베이스
2 : 도광체
3 : 버튼
4 : 코일 스프링(탄성체의 일례)
5 : 접점 개폐 기구
6 : 슬라이더
7 : 승강 기구
8 : 저부
9 : 사각형 프레임부
10 : 개구부
11 : 걸림 고정 받침부
12 : 제1 설치대
13 : 제2 설치대
14 : 제1 걸림 고정 홈
15 : 제1 단자 구멍
16 : 제1 걸림 고정 돌조
17 : 제2 걸림 고정 홈
18 : 제2 걸림 고정 돌조
19 : 제2 단자 구멍
20a, 20b : 오목부
21a, 21b : 측면벽
22 : 플랜지부
23 : 압출 방지벽
24 : 오목부
25 : 도광 본체
25b : LED
26 : 탄성체 받침부
27 : 받침부 본체
28 : 통 형상체
29 : 클로부
30 : 오목부
31 : 평판부
32 : 측벽부
33a, 33b : 연장부
34 : 스프링 가이드부
35 : 가이드벽
36 : 가이드 홈
37 : 경사면
38 : 베어링 구멍
39 : 돌기
40 : 지지부
41 : 고정 접촉편
42 : 가동 접촉편
43 : 제1 평면부
44 : 고정 단자부
45 : 제2 평면부
46 : 제3 평면부
47 : 고정 접점
48 : 제4 평면부
49 : 제1 걸림 고정 돌기부
50 : 제1 걸림 고정 오목부
51 : 제1 평면부
52 : 가동 단자부
53 : 제2 평면부
54 : 제3 평면부
55 : 제2 걸림 고정 돌기부
56 : 제2 걸림 고정 오목부
57 : 돌출편
58 : 가동 접점
59 : 압박부
60 : 제1 경사면
61 : 오목 곡면
62 : 제2 경사면
64 : 피가이드 돌기부
65 : 평탄부
66 : 피리프트용 돌기부
67 : 제1 암
68 : 제2 암
69 : 축체
70 : 암부
71 : 제1 축부
72 : 제2 축부
73 : 제1 돌기
74 : 베어링 구멍
75 : 제2 돌기

Claims (5)

  1. 중앙 부분에 개구부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어, 탄성체 받침부를 갖는 도광체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를 덮는 버튼과,
    상기 탄성체 받침부와 상기 버튼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이격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고정 접점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고정 접촉편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버튼을 접근 방향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고정 접점에 폐쇄되는 가동 접점을 갖고,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가동 접촉편을 구비하는 키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압박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버튼의 압입 조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상기 가동 접촉편의 근방에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촉편은, 상기 압박부에 압박되는 압박 받침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압박부가 상기 압박 받침부를 넘은 후, 상기 가동 접촉편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 또는 버튼의 일부에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키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의 상단보다도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키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원뿔대 형상의 도광 본체와, 상기 도광 본체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체 받침부를 갖는, 키 스위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의 하부에 LED가 배치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키 스위치 장치.
  5. 삭제
KR1020197022562A 2017-03-15 2017-12-14 키 스위치 장치 KR10217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0206A JP6708153B2 (ja) 2017-03-15 2017-03-15 キースイッチ装置
JPJP-P-2017-050206 2017-03-15
PCT/JP2017/044907 WO2018168135A1 (ja) 2017-03-15 2017-12-14 キー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5503A KR20190095503A (ko) 2019-08-14
KR102176433B1 true KR102176433B1 (ko) 2020-11-09

Family

ID=63522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562A KR102176433B1 (ko) 2017-03-15 2017-12-14 키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4628B2 (ko)
JP (1) JP6708153B2 (ko)
KR (1) KR102176433B1 (ko)
CN (1) CN110352468B (ko)
DE (1) DE112017007257T5 (ko)
TW (1) TWI687952B (ko)
WO (1) WO2018168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2239B2 (ja) 2016-06-02 2020-05-2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TWI699795B (zh) * 2019-01-28 2020-07-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
JP7375380B2 (ja) * 2019-08-30 2023-11-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入力装置
CN111916297A (zh) * 2020-07-31 2020-11-10 惠州市正牌科电有限公司 一种分体式底座的机械轴结构及光轴结构
CN112201509B (zh) * 2020-09-04 2022-08-02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组件及键盘模块
JP7212850B2 (ja) * 2020-12-09 2023-01-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0699A1 (en) 2004-07-01 2006-01-05 Alps Electric Co., Ltd. Push switch
US20140251778A1 (en) 2013-03-08 2014-09-11 Omron Corporation Switch
US20150043192A1 (en) 2013-08-09 2015-02-12 Omron Corporatio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JP2015149249A (ja) * 2014-02-07 2015-08-20 オムロン株式会社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977U (ja) * 1983-04-13 1984-10-27 ニチアス株式会社 壁配管貫通部の防炎構造体
JPS6176633U (ko) * 1984-10-26 1986-05-23
US6775380B2 (en) * 2001-11-27 2004-08-10 Shin Jiuh Corp. Switch capable of generating voices in response to a pressing action
JP2006019131A (ja) * 2004-07-01 2006-01-19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US7514643B1 (en) * 2005-07-19 2009-04-07 Judco Manufacturing, Inc. Lighted pushbutton switch assembly
JP4855872B2 (ja) 2006-08-31 2012-01-18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ノブ型表示装置
JP5729433B2 (ja) * 2013-08-09 2015-06-03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キーボード
CN204390951U (zh) * 2015-02-06 2015-06-10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顶杆式键盘开关
CN104851727A (zh) 2015-05-25 2015-08-19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小型机械开关的超薄复位机构及小型机械开关
CN204884970U (zh) * 2015-07-24 2015-12-16 东莞市高特电子有限公司 一种机械开关导光柱及加置导光柱的机械开关
CN205751960U (zh) * 2016-05-11 2016-11-30 东莞市凯华电子有限公司 一种键盘开关
CN205943841U (zh) * 2016-05-25 2017-02-08 东莞市德崧电子有限公司 一种复位金属按钮开关
JP6711145B2 (ja) * 2016-06-02 2020-06-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スイッチ、キーボード、及びスイッ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0699A1 (en) 2004-07-01 2006-01-05 Alps Electric Co., Ltd. Push switch
US20140251778A1 (en) 2013-03-08 2014-09-11 Omron Corporation Switch
US20150043192A1 (en) 2013-08-09 2015-02-12 Omron Corporatio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JP2015149249A (ja) * 2014-02-07 2015-08-20 オムロン株式会社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及び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8135A1 (ja) 2018-09-20
US11004628B2 (en) 2021-05-11
TW201835959A (zh) 2018-10-01
KR20190095503A (ko) 2019-08-14
DE112017007257T5 (de) 2019-12-19
JP6708153B2 (ja) 2020-06-10
CN110352468B (zh) 2021-08-20
JP2018156733A (ja) 2018-10-04
CN110352468A (zh) 2019-10-18
TWI687952B (zh) 2020-03-11
US20200243279A1 (en)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433B1 (ko) 키 스위치 장치
CN109314005B (zh) 按键开关装置
EP2835809B1 (e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2835808A1 (e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JP2007188682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US9378903B2 (en) Keyswitch structure and balance link thereof
JP498531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2006868A2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with lever
US20130319837A1 (en) Press key
WO2020261664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4169974A (en) Push operated momentary switch
US6150624A (en) Keyswitch device
KR100348940B1 (ko) 복수개의 수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스위치
TWI681428B (zh) 按鈕開關
JP7220590B2 (ja) スイッチ部材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US11087935B2 (en) Key switch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JP4407441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WO2017208644A1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KR20150106743A (ko) 차량용 스위치 유닛
WO201917640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16721892A (zh) 弹性支撑结构及按键装置
JP4239597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