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99B1 -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99B1
KR102175499B1 KR1020190044278A KR20190044278A KR102175499B1 KR 102175499 B1 KR102175499 B1 KR 102175499B1 KR 1020190044278 A KR1020190044278 A KR 1020190044278A KR 20190044278 A KR20190044278 A KR 20190044278A KR 102175499 B1 KR102175499 B1 KR 102175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rification
air
case
modu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567A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화
Priority to KR102019004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49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정화 모듈과 공기 정화 모듈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본체 모듈을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에 장착하여 유모차의 차폐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이나 또는 발열이나 폭발, 전자파 등과 같은 유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유모차 차폐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 안전성이 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며, 공기 정화 모듈과 조작 본체 모듈을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직접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Multipurpos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Installed in Stroller}
본 발명은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정화 모듈과 공기 정화 모듈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본체 모듈을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에 장착하여 유모차의 차폐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이나 또는 발열이나 폭발, 전자파 등과 같은 유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유모차 차폐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 안전성이 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며, 공기 정화 모듈과 조작 본체 모듈을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직접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한민국은 황사나 미세먼지 등으로 인해 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가정이 늘어나는 등 실내의 공기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공기청정기는 실내에서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야외에서 이용하기에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용이 불가능하다.
최근의 미세먼지 수치는 성인에게도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유아에게는 더욱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통상 유아와 함께 외출을 하는 경우, 부모는 유아를 유모차에 태우고 다니는 경우가 많아,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깨끗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유모차에 설치할 수 있는 공기청정 장치에 대한 연구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9403호(이하, 종래기술)도 그 중 하나이다. 종래기술과 같이, 유모차에 설치할 수 있는 공기청정 장치는, 유모차 내에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유모차 내에 설치할 수 있지만, 공기청정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이용하여야 한다.
그에 따라 공기청정 장치의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고, 증가된 무게에 의해 공기청정 장치가 장착된 차양에 무리가 갈 수 있다. 또한, 뜨거운 햇빛에 노출되어 배터리가 가열될 수 있어,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배터리가 폭발하는 경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다치는 위험한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가 공기 청정 장치의 조작부를 만지는 등의 이유로 공기 청정 장치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작동하거나 이로 인해 유아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59403호 (2018.06.04)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정화 모듈과 공기 정화 모듈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본체 모듈을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의 차폐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이나 또는 발열이나 폭발, 전자파 등과 같은 유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유모차 차폐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 안전성이 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정화 모듈과 조작 본체 모듈을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직접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정화 모듈을 자석을 이용하여 유모차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착 과정이 편리하고 장착 위치 또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유모차에도 모두 장착 적용할 수 있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정화 모듈의 작동시 내부 공간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유도함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송풍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정화 모듈; 및 상기 공기 정화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조작 본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은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 별도의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공간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분리 작동 모드 및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 직접 연결되어 작동하는 결합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선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은, 내부 공간에 공기 정화 필터와 송풍팬이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및 고정 지지판의 상호 대향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고정 지지판이 그 사이에 중간 개재물을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전방면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전방 케이스; 상기 전방 케이스의 후방면에 결합되며 측면 및 후방면 일부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는 후방 케이스; 및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과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중간 케이스에는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동 흐름을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측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송풍팬과 공기 정화 필터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 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서로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공기 정화 필터를 이격 지지하는 필터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케이스에는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영역별로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내측면에 공기 유입 분리 격판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은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전방 케이스의 전방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전방면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전방 케이스; 상기 전방 케이스의 후방면에 결합되며 측면 및 후방면 일부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는 후방 케이스; 및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은 상기 후방 케이스의 후방면에 상기 자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후방 케이스의 후방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지판은 일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가이드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후방 케이스와 고정 지지판의 사이 공간으로 유도되어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고정 지지판의 중심측을 향하는 측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 정화 모듈과 공기 정화 모듈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본체 모듈을 서로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모차의 차폐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이나 또는 발열이나 폭발, 전자파 등과 같은 유아에 대한 위험 요소를 유모차 차폐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사용 안전성이 보장되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정화 모듈을 유모차의 차폐 공간에 장착하고 조작 본체 모듈을 차폐 공간의 외부 손잡이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유모차 차폐 공간의 내부 먼지 상태, 온습도 상태 등을 조작 본체 모듈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공기 정화 모듈의 동작 상태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정화 모듈과 조작 본체 모듈을 연결 케이블로 연결하거나 직접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범위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정화 모듈을 자석을 이용하여 유모차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착 과정이 편리하고 장착 위치 또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유모차에도 모두 장착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 정화 모듈의 작동시 내부 공간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원활하게 유도함으로써, 공기 정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가 유모차에 설치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의 분리 작동 모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의 결합 작동 모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공기 송풍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가 유모차에 설치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의 분리 작동 모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의 결합 작동 모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이 별도의 연결 케이블(70)을 통해 연결되어 작동하는 분리 작동 모드와,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이 직접 연결되어 작동하는 결합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선택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공기 정화 모듈(40)은 외부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송풍 배출하도록 구성되는데, 내부 공간에 공기 정화 필터(140)와 송풍팬(150)이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100)와, 본체 케이스(100)의 후방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지지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100)와 고정 지지판(200)의 상호 대향면에는 본체 케이스(100) 및 고정 지지판(200)이 그 사이에 중간 개재물(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모차의 차단막(30))을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자석(M)이 장착될 수 있다.
조작 본체 모듈(50)은 공기 정화 모듈(4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51)와, 조작부(51)의 조작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조작 신호에 따라 공기 정화 모듈(40)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공기 정화 모듈(40)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본체 모듈(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6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조작 본체 모듈(50) 및 공기 정화 모듈(40)에는 연결 케이블(70)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 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 본체 모듈(50) 및 공기 정화 모듈(40)이 직접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연결 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연결 케이블(70)용 연결 포트와 직접 연결용 연결 포트는 서로 동일한 하나의 연결 포트로 적용될 수 있다.
분리 작동 모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모듈(40)이 조작 본체 모듈(50)과 별도의 연결 케이블(70)을 통해 연결되어 조작 본체 모듈(50)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공간에 배치되어 작동한다. 이러한 분리 작동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을 서로 분리하여 유모차에 장착할 수 있다.
유모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유모차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10)이 구비되고, 메인 프레임(10)의 하부에 바퀴(12)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손잡이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의 중간부에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좌석 시트(20)가 결합되며, 좌석 시트(20)에는 좌석 시트(20)의 전방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차단막(30)이 결합된다. 차단막(30)은 접철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좌석 시트(20)의 전방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막(30)은 유모차에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별도로 제공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탈착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차단막(30)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시트(20)의 전방을 차단하도록 전개되면, 좌석 시트(20)의 전방은 차단막(30)에 의해 차단되어 좌석 시트(20)의 전방에 별도의 차폐 공간(S)이 형성되며, 이러한 차폐 공간(S)에 유아가 착석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의 차단막(30) 부위에 공기 정화 모듈(40)을 결합 배치하고, 손잡이부(11)에 조작 본체 모듈(50)을 결합 배치하며,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은 별도의 연결 케이블(7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공기 정화 모듈(40)이 유모차의 차단막(30) 부위에 결합되는 구조는, 본체 케이스(100)와 고정 지지판(200)이 차단막(30)을 사이에 두고 각각 내외부 공간에 위치하며, 자석(M)의 자기력을 통해 서로 부착됨으로써, 본체 케이스(100)와 고정 지지판(200)이 차단막(30)의 일측에 장착 고정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유아가 착석하고 있는 차단막(30) 내부 공간에는 본체 케이스(100)만 배치되고, 이를 조작하는 조작 본체 모듈(50)은 차단막(30)의 외부 공간인 손잡이부(11) 등에 배치되므로, 유아의 조작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어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본체 케이스(100) 내부에는 배터리, 제어부 등이 배치되지 않아 발열이나 폭발, 전자파 등 유아에 대한 위험 요소가 제거되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유모차에 대한 공기 청정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모듈(40)을 조작 제어할 수 있는 조작 본체 모듈(50)은 손잡이부(11) 등 외부에 별도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작동 모드에서의 사용 상태는 예시적인 것으로, 유모차 이외에도 내부 온도가 높은 공간이나 특별히 안전히 요구되는 공간 등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공간 내부에 공기 정화 모듈(40)을 장착하고, 조작 본체 모듈(50)을 별도의 외부 독립적인 공간에 장착함으로써, 안전한 환경에서 해당 공간에 대한 공기 정화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작동 모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모듈(40)과 조작 본체 모듈(50)을 직접 연결한 상태로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 경우, 차량 실내에 거치하거나 사무실 책상에 올려놓는 등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 가능하며, 특히, 공기 정화 모듈(40)의 고정 지지판(200)에는 자석(M)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자석(M)을 이용하여 철제 문이나 파티션 등에 자유롭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작동 모드 및 결합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선택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의 공기 송풍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00)와 고정 지지판(200)이 자석(M)을 통해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본체 케이스(100)는, 전방면에 공기 배출홀(111)이 형성되는 전방 케이스(110)와, 전방 케이스(110)의 후방면에 결합되며 측면 및 후방면 일부에 공기 흡입홀(121)이 형성되는 후방 케이스(120)와,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 공간에는 공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공기질 측정 센서(101) 및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102) 등 다양한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질 측정 센서(101) 및 온습도 센서(102)에 의한 측정값은 조작 본체 모듈(50)에 전송되고, 조작 본체 모듈(50)에는 전송받은 측정값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150)과 공기 정화 필터(140)는 전방 케이스(110)와 후방 케이스(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는데, 이때, 중간 케이스(130)에는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과한 후 공기 배출홀(111)을 통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동 흐름을 공기 정화 필터(140) 측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부(131)가 형성된다. 유동 가이드부(131)는 송풍팬(150)과 공기 정화 필터(140)가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송풍팬(150)이 위치하는 공간과 공기 정화 필터(140)가 위치하는 공간을 서로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공기 정화 필터(140)는 별도의 필터 하우징(141)에 수용된 상태로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필터 하우징(141)은 공기 정화 필터(140)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체 케이스(100) 내부의 송풍팬(150)이 작동하면, 후방 케이스(120)의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과하여 정화되고, 정화된 상태의 공기가 송풍팬(150)을 통과하여 전방 케이스(110)의 공기 배출홀(111)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중간 케이스(130)에 유동 가이드부(131)가 형성됨에 따라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 필터(140) 측으로 유도되므로,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로는 송풍팬(150)을 통과할 수 없다. 즉,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모든 공기가 유동 가이드부(131)에 의해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과한 이후 송풍팬(150)을 통과하며 공기 배출홀(111)을 통해 외부 배출되므로, 공기 정화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 정화 필터(140)는 후방 케이스(120)의 후방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1)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후방 케이스(120)의 후방 내측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필터(140)를 일정 간격(d1) 이격되게 지지하는 필터 지지 리브(1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공기 정화 필터(140)의 후단으로 유동하여 전단 방향으로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케이스(120)에는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공기 정화 필터(14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영역별로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측방 내측면에 공기 유입 분리 격판(122)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공기 흐름을 공기 유입 분리 격판(122)에 의한 복수 영역을 통해 분리하여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공기 정화 필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체 영역에 걸쳐 상대적으로 균일한 흐름을 나타낼 수 있어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가 결합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정화 모듈(40)은 본체 케이스(100)의 후방면에 고정 지지판(200)이 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후방 케이스(120)의 측면 및 후방면에 걸쳐 형성된 공기 흡입홀(121)을 통한 외부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공기 유입을 위해 고정 지지판(200)은 후방 케이스(120)의 후방면으로부터 일정 간격(d) 이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케이스(100), 좀더 구체적으로는 후방 케이스(120) 및 중간 케이스(130)에 장착된 자석(M)은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고정 지지판(200)에 장착된 자석(M)은 전방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 지지판(200)의 결합면에는 자석(M)이 장착된 부위가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0)의 결합면에는 자석(M)이 후방 돌출되게 장착됨으로써, 본체 케이스(100)와 고정 지지판(200)의 결합 과정에서 자기력 이외에 자석(M)의 끼워맞춤 삽입 구조에 의한 결합력이 추가로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고정 지지판(200)과 후방 케이스(120)는 일정 간격(d) 이격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 지지판(200)은 일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본체 케이스(100)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고정 지지판(200)은 본체 케이스(100)의 상하 양단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지지판(200)의 상하 양측 끝단부에는 본체 케이스(100)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본체 케이스(100) 측을 향해(즉,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 가이드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 가이드부(210)는 외부 공기가 후방 케이스(120)와 고정 지지판(200)의 사이 공간으로 유도되어 공기 흡입홀(121)을 통해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고정 지지판(200)의 중심측을 향하는 측면(211)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체 케이스(100)의 외측면을 따라 후방측으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 흐름이 발생한 경우,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판(200)의 돌출 가이드부(210) 및 돌출 가이드부(210)의 곡면 형태 측면(211)을 통해 공기 흐름이 본체 케이스(100)의 공기 흡입홀(121)로 유도되어 본체 케이스(10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 정화 모듈(40)이 결합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공기 정화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체 케이스(100)의 전방 케이스(110)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홀(111)이 형성되는데, 공기 배출홀(1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홀(1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전방 케이스(110)의 전방면 중심부(112)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홀(111)은 전방면 중심부(112)를 기준으로 상하 영역에서는 서로 대칭되게 상향 및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좌우 영역에서는 서로 대칭되게 좌향 및 우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공기 배출홀(1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 케이스(100)의 전방면을 향해 송풍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면으로부터 상하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출됨으로써, 유모차의 경우, 아이의 얼굴에 직접 공기가 송풍 배출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 정화 과정에서 아이에게 송풍에 의한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 공기 정화 모듈
50: 조작 본체 모듈
60: 거치대
70: 연결 케이블
100: 본체 케이스
110: 전방 케이스 111: 공기 배출홀
120: 후방 케이스 121: 공기 흡입홀
122: 공기 유입 분리 격판 123: 필터 지지 리브
130: 중간 케이스 131: 유동 가이드부
140: 공기 정화 필터
150: 송풍팬
200: 고정 지지판
210: 돌출 가이드부

Claims (10)

  1. 삭제
  2. 외부 공기를 흡입 정화하여 송풍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정화 모듈; 및
    상기 공기 정화 모듈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을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공기 정화 모듈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조작 본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은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 별도의 연결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공간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분리 작동 모드 및 상기 조작 본체 모듈과 직접 연결되어 작동하는 결합 작동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동 모드로 선택 작동하며,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은
    내부 공간에 공기 정화 필터와 송풍팬이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의 후방면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고정 지지판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및 고정 지지판의 상호 대향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 및 고정 지지판이 그 사이에 중간 개재물을 사이에 두고 자기력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자석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는
    전방면에 공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전방 케이스;
    상기 전방 케이스의 후방면에 결합되며 측면 및 후방면 일부에 공기 흡입홀이 형성되는 후방 케이스; 및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은 상기 후방 케이스의 후방면에 상기 자석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후방 케이스의 후방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호 결합되며,
    상기 고정 지지판은 일방향의 양측 끝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판의 양측 끝단부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양단보다 외측 방향에 위치하도록 돌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공기 정화 필터는 상기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전후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중간 케이스에는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를 통과한 후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동 흐름을 상기 공기 정화 필터 측으로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부는 상기 송풍팬과 공기 정화 필터가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 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이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위치하는 공간을 서로 분리 구획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공기 정화 필터가 상기 후방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공기 정화 필터를 이격 지지하는 필터 지지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케이스에는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공기 정화 필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일부 영역별로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내측면에 공기 유입 분리 격판이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은
    상기 공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상기 전방 케이스의 전방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가이드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후방 케이스와 고정 지지판의 사이 공간으로 유도되어 상기 공기 흡입홀을 통해 상기 본체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고정 지지판의 중심측을 향하는 측면이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KR1020190044278A 2019-04-16 2019-04-16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KR10217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78A KR102175499B1 (ko) 2019-04-16 2019-04-16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78A KR102175499B1 (ko) 2019-04-16 2019-04-16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67A KR20200121567A (ko) 2020-10-26
KR102175499B1 true KR102175499B1 (ko) 2020-11-06

Family

ID=7300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78A KR102175499B1 (ko) 2019-04-16 2019-04-16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4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209A2 (en) * 2006-07-16 2008-01-24 Yigal Ben Yitzchak Protective en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25B1 (ko) * 2014-08-26 2016-06-07 주식회사 위닉스 에어 워셔
KR101872449B1 (ko) * 2016-12-14 2018-06-29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용 음이온 발생기
TWI776950B (zh) * 2017-09-11 2022-09-1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可攜式空氣淨化機
KR102046253B1 (ko) 2018-05-15 2019-12-02 최서연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0209A2 (en) * 2006-07-16 2008-01-24 Yigal Ben Yitzchak Protective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67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71488B (zh) 可攜式空氣淨化機
EP3673960A2 (en) Mask device
KR101933896B1 (ko)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US11672385B2 (en) Dryer stand
JP6740479B2 (ja) 車両
CN106553683B (zh) 用于儿童的便携式可控环境系统
KR102565654B1 (ko) 환기 공기 유입구를 위한 공기 처리 장치
KR200481427Y1 (ko)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WO2012144347A1 (ja) 空気清浄機
KR102175499B1 (ko)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KR102074687B1 (ko)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WO2020210128A1 (en) Child transporter with dual canopy
KR101963956B1 (ko) 지하철용 공기질 개선장치
JP5850677B2 (ja) 空気清浄機及びイオン発生ユニット
JP5965805B2 (ja) 電気掃除機
KR20090094527A (ko) 유해가스및 먼지 차단장치가 있는 웰빙 크린유모차
TWI626918B (zh) 電動吸塵器
JP3241662U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101003617B1 (ko) 공기 청정기
KR102351296B1 (ko)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KR20210024817A (ko) 강제환기 겸용 공기청정기
KR102220470B1 (ko) 공기정화용 유모차
CN217765960U (zh) 带有粉尘检测装置的汽车
JP2020071140A (ja) Pmセンサ
JP4032278B2 (ja) 火災感知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