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96B1 -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 Google Patents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296B1
KR102351296B1 KR1020190092513A KR20190092513A KR102351296B1 KR 102351296 B1 KR102351296 B1 KR 102351296B1 KR 1020190092513 A KR1020190092513 A KR 1020190092513A KR 20190092513 A KR20190092513 A KR 20190092513A KR 102351296 B1 KR102351296 B1 KR 10235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ant
air
support pa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436A (ko
Inventor
김정화
Original Assignee
비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는 패드부와, 패드부에 설치되며 송풍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부와, 패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송풍구와 송풍모듈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 및 송풍모듈부와 함께 패드부에 설치되며 송풍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INFANT SEAT WITH BLOWING FUNCTION}
본 발명은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공급하여 유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송풍모듈의 위치가 유아의 신체에서 멀리 떨어져서 설치되므로 비교적 조용하고 불쾌함이 적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아직 신체가 발달하지 않아 독립 보행이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들은 외출 시 포대기 등을 사용하고, 비교적 장시간 외출 시에는 유모차나 차량의 카시트를 사용한다.
유모차나 카시트에는 유아가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있도록 좌판 혹은 등받이를 구비한 상태에서 유아의 낙상을 방지하도록 별도의 벨트가 구비된다.
하지만, 유모차나 카시트를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면, 몸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는 유아의 특성상 유모차나 카시트에 맞닿은 부위에 지속적인 통풍이 어려워 유아의 여린 피부를 자극하게 되며, 이에 따라 땀띠나 짓무름 등을 유발시켜 유아의 피부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송풍을 위한 송풍모듈이 유아의 머리 근처에 설치되므로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대기 중에 미세먼지는 호흡할 때 코, 입 등 호흡기를 통해서 사람의 몸 속으로 들어간다. 지름 100um 이상의 먼지는 눈, 코 인후부에 자극 증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호흡기 깊숙히 들어오지는 못한다 하지만 20um 이상의 먼지는 상기도까지도 침투할 수 있고 5um 이하의 먼지는 폐 속 깊숙히 폐포까지 침투할 수 있다
PM 2.5 표면에는 산화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중금속 같은 유해물질이 많이 흡착되어 있고 또 이런 물질들이 직접 폐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면역 관련 세포들의 작용을 통해 이차적인 국소염증반응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미세먼지는 이렇게 반응에 의해 호흡기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국소적인 호흡기계 손상뿐만 아니라 염증반응이 전신적으로 확산되어 심혈관계, 뇌신경계 등 전신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최근 연구는 PM 2.5 또는 PM 0.1 같이 크기가 작은 입자들이 폐순환계를 넘어 전신 순환계로 직접 침투하여 전신 조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보고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신체기관의 미성숙한 영유아, 소아의 경우 낮은 농도의 미세먼지 노출에 의해서도 다양한 건강상의 영향을 보일 수 있다. 폐기능 성장이 부진하게 되고, 비만의 위험이 높아지며, 인지기능이 저하되고, 자폐스펙트럼장애,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PM 2.5는 입자가 매우 작아 혈관으로 뇌에 도달, 뇌세포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신경세포 전달에 관여하는 부분을 파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과 뇌 발달의 기초가 되는 부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뇌가 발달단계에 있는 한 살 미만 영유아는 더욱 영향을 받기 쉬워 PM 2.5 영향이 평생에 걸쳐 후유증을 남길 우려도 있다.
종래의 카시트는 이러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이 없어서 카시트를 이용하는 영유아, 소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의 개선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1164호(2018.01.17 등록, 발명의 명칭: 통풍 기능을 갖는 유아 착좌용 시트)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유아의 코와 입 주변으로 송풍 공급함으로써 유아의 코와 입 주변에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머물게 함으로써 유아가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호흡하도록 하여 유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며, 회전되는 송풍모듈의 위치가 유아의 신체에서 멀리 떨어져서 설치되므로 비교적 조용하고 불쾌함이 적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는 패드부와, 패드부에 설치되며 송풍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부와, 패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송풍구와 송풍모듈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 및 송풍모듈부와 함께 패드부에 설치되며 송풍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드부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와, 머리지지부에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부와, 몸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부 및 머리지지부와 몸체지지부와 다리지지부의 후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머리지지부와 몸체지지부와 다리지지부의 굽힘을 안내하는 굽힘안내부를 포함하며, 관로부는 굽힘안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머리지지부는, 몸체지지부에 연결되며 유아의 머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머리지지몸체 및 머리지지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머리지지몸체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머리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날개부재에 송풍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재에 상기 송풍구가 유아의 코와 입 주변으로 여과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지지부는, 머리지지몸체와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몸체 및 몸체지지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몸체지지몸체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몸체 양측에 위치하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날개부재에 송풍모듈부가 설치되며, 몸체지지몸체에 송풍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풍모듈부는, 제2날개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부재의 회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관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 및 케이스부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흡입공을 구비하는 그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부는, 전방에는 그릴부가 장착되며 내측에는 송풍부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 및 케이스몸체에서 연장되어 관로부에 연결되며 케이스몸체에서 관로부를 향하여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송풍모듈부는, 그릴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그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2날개부재에 설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모듈부를 개별로 제어하거나 통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로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관로부의 단부에서 패드부까지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는,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유아의 코와 입 주변으로 송풍 공급함으로써 유아의 코와 입 주변에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가 머물게 함으로써 유아가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호흡하도록 하여 유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되는 팬을 구비한 송풍모듈부가 유아의 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므로 비교적 조용하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부의 후면에 관로부가 설치되기 위한 굽힘안내부가 구비되므로 관로부가 패드부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와 제어부가 패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2날개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그릴부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와 제어부가 패드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제2날개부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그릴부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1)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송풍구(30)를 구비하는 패드부(10)와, 패드부(10)에 설치되며 송풍구(30)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부(40)와, 패드부(10)의 후면에 설치되며 송풍구(30)와 송풍모듈부(40)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50) 및 송풍모듈부(40)와 함께 패드부(10)에 설치되며 송풍모듈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1)는, 송풍모듈부(40)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유아에게 전달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몸체지지부(20)의 제2날개부재(24)에 송풍모듈부(40)를 설치하고, 관로부(50)를 통해 유아의 머리 양쪽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1)는 유모차와 카시트에 추가 장착이 가능하며, 그 외에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1)는 공기청정 기능과 통풍 기능을 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패드부(10)는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송풍구(30)를 구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10)는 메모리 폼 정도의 밀도를 가지며 탄성을 구비한다. 또한 패드부(10)는 머리지지부(12)와 몸체지지부(20)와 다리지지부(26)와 굽힘안내부(28)와 송풍구(30)를 포함한다.
머리지지부(12)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지지부(12)는, 몸체지지부(20)에 연결되며 유아의 머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머리지지몸체(14) 및 머리지지몸체(14)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머리지지몸체(14)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머리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날개부재(16)를 포함한다.
머리지지몸체(14)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며, 머리지지몸체(14)의 양측으로 제1날개부재(16)가 연장된다. 이러한 제1날개부재(16)는 머리지지몸체(14)와 같이 평행하게 설치되며, 카시트나 유모차 등에 접하면서 굽혀져서 유아의 머리 양측에 위치한다.
제1날개부재(16)에는 바람을 공급하기 위한 송풍구(30)가 설치되므로, 유아의 머리 양측으로 설정된 풍량의 공기가 공급된다.
몸체지지부(20)는 머리지지부(12)에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지지부(20)는, 머리지지몸체(14)와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몸체(22) 및 몸체지지몸체(22)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몸체지지몸체(22)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몸체 양측에 위치하는 제2날개부재(24)를 포함한다.
제2날개부재(24)에 송풍모듈부(40)가 설치되며, 몸체지지몸체(22)에 송풍구(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유아의 몸체 양측에 송풍모듈부(40)가 설치되므로 유아의 귀로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아의 몸체로 공기를 송풍하여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리지지부(26)는 몸체지지부(2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리지지부(26)는 몸체지지부(20)의 하측으로 2개의 다리지지부(26)가 연장된다. 또한 다리지지부(26)의 중앙에는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송풍구(30)가 구비된다.
굽힘안내부(28)는 머리지지부(12)와 몸체지지부(20)와 다리지지부(26)의 후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머리지지부(12)와 몸체지지부(20)와 다리지지부(26)의 굽힘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굽힘안내부(28)는 머리지지부(12)와 몸체지지부(20)와 다리지지부(26)의 후면에 격자 형상으로 복수의 홈을 형성하며, 관로부(50)의 설치 및 패드부(10)의 굽힘을 안내한다.
송풍구(30)는 패드부(10)의 전방을 향하여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구(30)는, 제1날개부재(16)에 형성되는 제1송풍구(32)와, 제2날개부재(24)에 형성되는 제2송풍구(34) 및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부(26)에 형성되는 제3송풍구(36)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풍구(30)의 개수와 형상은 사용환경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관로부(50)를 통해 송풍모듈부(40)와 연결되므로 송풍을 위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송풍구(30)의 일 실시예는 패드부(1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는 깔대기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형상은 사용환경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이는 후술한다.
송풍모듈부(40)는 패드부(10)에 설치되며, 송풍구(30)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40)는 케이스부(42)와 송풍부(47)와 그릴부(48)와 필터부(49)를 포함한다.
송풍모듈부(40)가 유아의 다리나 엉덩이 부위에 설치되면 송풍모듈부(40)의 부피 때문에 유아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유아의 머리 부근에 설치되면 소음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송풍모듈부(40)가 유아의 몸체 양측에 위치하도록 제2날개부재(24)에 설치된다.
그리고 송풍모듈부(40)의 내측에는 필터부(49)가 구비되며, 필터부(49)의 교체 만으로 송풍모듈부(40)를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모듈부(40)의 전원은 외부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보조배터리가 송풍모듈부(40)에 연이어 설치되거나 패드부(10)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모듈부(40)는, 제2날개부재(24)에 설치되는 케이스부(42)와, 케이스부(42)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부재의 회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관로부(50)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47) 및 케이스부(42)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흡입공을 구비하는 그릴부(4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42)는, 전방에는 그릴부(48)가 장착되며 내측에는 송풍부(47)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43) 및 케이스몸체(43)에서 연장되어 관로부(50)에 연결되며 케이스몸체(43)에서 관로부(50)를 향하여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커넥터부(46)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43)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부재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43)는 베이스몸체(44)와 커버몸체(45)를 포함하며, 베이스몸체(44)와 커버몸체(45)에 구비된 리브에 의해 송풍부(47)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홈부를 형성한다.
케이스몸체(43)에 연이어 설치되는 커넥터부(46)도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부재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46)는 깔때기 형상의 내부유로를 구비하며 베이스몸체(44)와 커버몸체(45)에 각각 연결된다.
케이스몸체(43)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송풍부(47)를 통과한 후 커넥터부(46)를 따라 이동되어 관로부(50)로 공급된다. 이때 커넥터부(46)의 내부유로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이므로 공기의 유속이 증가 되어 공기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송풍부(47)는 내측에 팬과 모터가 구비되며, 그릴부(48)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관로부(50)를 향하여 강제 배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송풍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47)는 각각의 케이스몸체(43)에 설치되며, 제어부(60)의 제어로 개별제어 되거나 통합으로 제어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필터부(49)는 그릴부(48)에 연이어 설치되며, 그릴부(48)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필터부(49)는 그릴부(4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필터부(49)를 교환하는 작업에 의해 송풍모듈부(4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관로부(50)는 패드부(10)의 후면에 설치되며, 송풍구(30)와 송풍모듈부(40)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한다. 관로부(50)는 실시예에 따라서 튜브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관로부(50)는 PVC 재질의 튜브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튜브가 사용될 수 있다. 관로부(50)는 복수로 구비된 송풍모듈부(40)를 각각의 송풍구(30)에 개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관로부(50)가 직접 송풍구(30)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관로부(50)가 토출부(70)에 연결된 후 토출부(70)가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여, 송풍구(30)가 되어 송풍구(3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경우 송풍구(30)는 전술한 깔대기 형상이 아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토출부(70)가 송풍구(30)에 연결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토출부(70)는 관로부(50)의 단부에 연결되며, 관로부(50)의 단부에서 패드부(10)까지 공기가 이동되는 유로를 형성한다.
관로부(50)를 통해 유아의 머리 양쪽 및 등과 엉덩이 부위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를 분배하게 되며, 이러한 관로부(50)의 단부에는 토출부(70)가 연결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여 토출되도록 한다. 토출부(70)는 공기의 흐름 방향이 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70)는, 패드부(10)에 면접촉되는 판 형상의 토출하우징(72)과, 토출하우징(72)에서 연장되어 관로부(50)에 연결되는 안내관로(74) 및 안내관로(74)의 단부와 송풍구(30)를 연결하며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관로(76)를 포함한다.
토출하우징(72)은 패드부(10)의 내측이나 후측에 면 접촉되는 판 형상이며, 안내관로(74)는 "ㄱ"자 형상으로 굽어지며, 실시예에 따라서 패드부(10)와 마주하는 일측은 개구될 수 있다. 관로의 일측이 개구되는 구조는 토출부(70)의 사출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내관로(74)의 일측에는 관로부(50)가 연결되며 안내관로(74)의 타측에는 토출관로(76)가 연결된다.
토출관로(76)의 끝단은 토출하우징(72)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송풍구와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며 외측에 패드커버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안내관로(74)는 토출하우징(76)으로부터 하측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는 안내관로(74)와 관로부(50)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안내관로(74)와 토출관로(76)는 토출하우징(76) 측으로 개구부가 형성되며, 공기의 이동방향을 송풍구(30)를 향하여 굽어진 방향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관로부(50)를 따라 이동된 공기는 토출부(70)를 통과하며 패드부(10)의 외측으로 토출되므로 공기의 이동방향이 "ㄱ"자 형상으로 전환된다.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조는 안내관로(74)와 관로부(5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며, 제조시간 비용을 절감한다. 개구부는 안내관로(74)에 관로부(50)가 삽입 설치되면서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안내관로(74)가 굽어지는 형상은 폭의 두께를 줄여 얇은 패드에 토출부(70)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60)는 송풍모듈부(40)와 함께 패드부(10)에 설치되며, 송풍모듈부(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는, 컨트롤케이스(62)와 제어기판(64)과 커버부재(66)와 조작버튼(68)과 표시부재(69)를 포함한다.
컨트롤케이스(62)는 제2날개부재(24)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이 개구된 형상의 케이스이다. 컨트롤케이스(62)의 내측에 설치된 제어기판(64)에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는 조작버튼(68)과, 작동표시를 나타내는 엘이디와 같은 표시부재(69)가 연결된다.
그리고 컨트롤케이스(62)의 개구된 일측을 개폐하는 커버부재(66)는, 조작버튼(68)과 표시부재(69)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멍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부(60)는 제2날개부재(24)에 설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된 송풍모듈부(40)를 개별로 제어하거나 통합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에는 보조배터리나 USB 등을 연결하기 위한 잭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60)에 구비된 조작버튼(68)을 조작하여 송풍모듈부(40)를 동작시킨다. 이때 송풍모듈부(40)를 전부 동작시킬 수 있으며, 4개의 송풍모듈부(40) 중 일부만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송풍구(3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송풍구(32)와 제2송풍구(34)와 제3송풍구(36) 중 송풍이 필요한 송풍구(30)에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릴부(48)를 통해 송풍모듈부(40)의 내측으로 이동된 공기는 필터부(49)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필터링 된다. 그리고 송풍부(47)와 커넥터부(46)를 통과하며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된 상태로 관로부(50)를 따라 송풍구(30)로 이동된다.
제1송풍구(32)로 이동된 공기는 유아의 머리 부근 구체적으로 코와 입 근처로 배출되며, 제1날개부재(16)의 굽힘 정도에 따라 제1송풍구(32)를 통한 공기의 배출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제1송풍구(32)로 배출되는 공기는 필터부(49)를 통과하며 미세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이므로 유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유아의 호흡기에 인접하여 제1송풍구(32)가 위치하므로 제1송풍구(32)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가 유아의 코와 입 주변에서 토출되므로 유아의 코와 입 주변에는 지속적으로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 영역이 형성되고,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공기 영역 내에서 호흡하게 되므로 미세먼지, 오염공기 등의 흡입이 억제될 수 있다. 제1송풍구(32)는 유아가 시트에 착석해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여과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호흡기 주변에는 항상 여과된 공기가 머물게 되어 유아의 호흡기가 충분하게 보호된다.
필터부(49)는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필터부(49)의 소재는 예컨대 헤파필터, 활성탄필터, 프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필터부(49)가 그릴부(48)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필터부(49)의 형상의 일 실시예는 도 10을 참고하면, 내부가 중공인 정육면체의 형상의 필터몸체(49a)의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필터플레이트(49b)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몸체(49a)의 일측 측벽에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고리(49c)가 부착될 수 있다.
필터플레이트(49b)는 복수 개가 두 줄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미세먼지의 포집 면적을 넓혀서 여과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부(49)는 일회용으로서 포집 기능이 저하되면 언제든지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관로부(50)를 통해 제2송풍구(34)로 이동된 공기는 유아의 등 부위로 배출되므로 유아의 등에 땀띠 등이 발생됨을 방지하며, 제3송풍구(36)로 이동된 공기는 유아의 엉덩이 부위로 배출되어 유아의 엉덩이에 땀띠 등이 발생됨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공급하여 유아의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회전되는 팬을 구비한 송풍모듈부(40)가 유아의 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므로 비교적 조용하고 안전한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0)의 후면에 관로부(50)가 설치되기 위한 굽힘안내부(28)가 구비되므로 관로부(50)가 패드부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고, 제1날개부재를 가지는 머리패드; 상기 머리패드와 연결되고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고, 제2날개부재를 가지는 몸통패드; 및
상기 몸통패드와 연결되고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패드;로 구획되고,
상기 제1날개부재는 여과된 공기가 유아의 코와 입 주변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여과된 공기 영역이 유아의 코와 입 주변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도록, 유아의 코와 입에 인접할 수 있게 송풍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2날개부재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등 이물질을 여과하여 상기 송풍구로 공급하는 송풍모듈부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구와 상기 송풍모듈부는 이격 배치되되, 관로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는 여과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하는 송풍구는 유아의 호흡기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진동 등의 소리를 발생시키고 부피를 차지하는 송풍모듈부는 유아의 머리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유아에게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함과 동시에 유아가 진동 소음 등에 의한 불편함 대신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의 배치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송풍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10: 패드부 12: 머리지지부
14: 머리지지몸체 16: 제1날개부재
20: 몸체지지부 22: 몸체지지몸체
24: 제2날개부재 26: 다리지지부
28: 굽힘안내부 30: 송풍구
32: 제1송풍구 34: 제2송풍구
36: 제3송풍구 40: 송풍모듈부
42: 케이스부 43: 케이스몸체
44: 베이스몸체 45: 커버몸체
46: 커넥터부 47: 송풍부
48: 그릴부 49: 필터부
50: 관로부 60: 제어부
62: 컨트롤케이스 64: 제어기판
66: 커버부재 68: 조작버튼
69: 표시부재 70: 토출부
72: 토출하우징 74: 안내관로
76: 토출관로

Claims (10)

  1.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성형되며, 복수의 송풍구를 구비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모듈부;
    상기 패드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구와 상기 송풍모듈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로부; 및
    상기 송풍모듈부와 함께 상기 패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모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유아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
    상기 머리지지부에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부;
    상기 몸체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유아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지지부; 및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몸체지지부와 상기 다리지지부의 후면에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몸체지지부와 상기 다리지지부의 굽힘을 안내하는 굽힘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지지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에 연결되며 유아의 머리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머리지지몸체; 및
    상기 머리지지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머리지지몸체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머리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1날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재에 상기 송풍구가 유아의 코와 입 주변으로 여과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몸체지지부는,
    상기 머리지지몸체와 연결되며 유아의 몸통을 지지하는 몸체지지몸체; 및
    상기 몸체지지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지지몸체를 중심으로 굽어져서 유아의 몸체 양측에 위치하는 제2날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듈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유아에게 전달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지지부의 상기 제2날개부재에 상기 송풍모듈부가 설치되며,
    상기 굽힘안내부는 상기 머리지지부와 상기 몸체지지부와 상기 다리지지부의 후면에 격자 형상으로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굽힘안내부는 상기 머리지지부의 굽힘을 안내하도록 상기 머리지지부의 후면의 상기 머리지지몸체와 상기 제1날개부재 사이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굽힘안내부는 상기 몸체지지부의 굽힘을 안내하도록 상기 몸체지지부의 후면의 상기 몸체지지몸체와 상기 제2날개부재 사이에 홈을 형성하며,
    상기 굽힘안내부에는 상기 관로부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패드부의 굽힘을 안내하고,
    상기 관로부는 튜브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패드부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굽힘안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지지몸체에 상기 송풍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부는,
    상기 제2날개부재에 설치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팬부재의 회전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관로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입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의 흡입공을 구비하는 그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전방에는 상기 그릴부가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송풍부가 장착되기 위한 홈부를 형성하는 케이스몸체; 및
    상기 케이스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관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몸체에서 상기 관로부를 향하여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내부유로를 구비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모듈부는,
    상기 그릴부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그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날개부재에 설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된 상기 송풍모듈부를 개별로 제어하거나 통합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KR1020190092513A 2019-07-30 2019-07-30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KR10235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3A KR102351296B1 (ko) 2019-07-30 2019-07-30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513A KR102351296B1 (ko) 2019-07-30 2019-07-30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36A KR20210014436A (ko) 2021-02-09
KR102351296B1 true KR102351296B1 (ko) 2022-01-13

Family

ID=7455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513A KR102351296B1 (ko) 2019-07-30 2019-07-30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74Y1 (ko) * 2005-09-22 2005-12-05 차찬열 송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US20150061331A1 (en) 2013-08-30 2015-03-05 Ching-Lun Yang Breathable seat cushioning and seating device for children
JP2018075291A (ja) * 2016-11-11 2018-05-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乳幼児支持装置
KR101901325B1 (ko) 2017-03-23 2018-09-21 (주)대일산업사 차량용 통풍 시트 커버
KR101902156B1 (ko) 2018-05-16 2018-09-27 조영호 유아용 좌식 통풍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964B1 (ko) * 2017-09-28 2019-03-12 (주)엘아이티씨 유아용 쿨앤핫시트
KR20190058969A (ko) * 2017-11-22 2019-05-30 이기복 통풍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674Y1 (ko) * 2005-09-22 2005-12-05 차찬열 송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
US20150061331A1 (en) 2013-08-30 2015-03-05 Ching-Lun Yang Breathable seat cushioning and seating device for children
JP2018075291A (ja) * 2016-11-11 2018-05-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乳幼児支持装置
KR101901325B1 (ko) 2017-03-23 2018-09-21 (주)대일산업사 차량용 통풍 시트 커버
KR101902156B1 (ko) 2018-05-16 2018-09-27 조영호 유아용 좌식 통풍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436A (ko)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9978A (ko) 차량 실내용 안면 마스크
KR20160129562A (ko) 공기흡입형 마스크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JP2017501781A (ja) 能動的通気システム及び呼吸装置
EP4122550A1 (en) Mask apparatus
SG186869A1 (en) Air adjuster
JP2000171067A (ja) 空気清浄装置
KR102351296B1 (ko) 송풍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시트
KR102393690B1 (ko) 재사용형 마스크
KR102210712B1 (ko) 필터 마스크
US20230302306A1 (en) Facial guard system
KR102475624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8506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8505B1 (ko) 마스크 장치
CN213273073U (zh) 空气处理装置的过滤杀菌模块及空气处理装置
KR102494130B1 (ko) 마스크 장치
CN115597219A (zh) 导风组件及空气调节装置
KR102531989B1 (ko) 마스크 장치
JP2022061471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システム
CN115666733A (zh) 可穿戴空气净化器
CN115666731A (zh) 可穿戴空气输送设备
CN117042848A (zh) 面部防护系统
KR20220075786A (ko) 차량용 통풍시트를 이용한 차량 내부 공기청정 시스템
CN113546341A (zh) 口罩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3546340A (zh) 口罩及其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