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505B1 -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505B1
KR102498505B1 KR1020210093992A KR20210093992A KR102498505B1 KR 102498505 B1 KR102498505 B1 KR 102498505B1 KR 1020210093992 A KR1020210093992 A KR 1020210093992A KR 20210093992 A KR20210093992 A KR 20210093992A KR 102498505 B1 KR102498505 B1 KR 10249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ounting
face guard
fac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347A (ko
Inventor
최세진
김호중
문영철
김용민
최치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505B1/ko
Priority to CN202210802617.XA priority patent/CN115633814A/zh
Priority to EP22185394.8A priority patent/EP4122548A1/en
Priority to US17/868,107 priority patent/US20230012551A1/en
Publication of KR2023001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호흡 공간이 형성되는 페이스 가드; 및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 클리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가드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과 마주하며, 자성체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밀착부를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결합부의 전면 상단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결합부의 전면 하단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자성체 및 제 3 자성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장치{Mask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가려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병균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배출되는 바이러스 또는 구취가 주위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위생 용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
최근에는, 확산성과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가 창궐함에 따라 전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개개인은 안전을 위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할 것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마스크가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마스크 착용자의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필터 모듈이 장착된 마스크가 많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마스크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팬이 장착된 마스크도 많이 판매되고 있다.
아래의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마스크를 비롯한 종래의 마스크는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걸러진 다음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형성되는 호흡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 수단과, 상기 압력 감지 수단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회전 속도가 가변되는 팬 모듈이 마스크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편안한 상태로 호흡하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공개되어 있는 마스크의 대부분은 마스크의 전면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마스크의 배면,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입이나 코에 가까운 지점에 해당하는 마스크의 배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마스크의 전면이라 함은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의미하고, 마스크의 배면이라 함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세히, 마스크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는 마스크의 중앙에 가까운 전면 또는 양 측단에 가까운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마스크의 양 측단에 가까운 전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공기 흡입구는 마스크의 전면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마스크의 배면에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외부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고 팬과 필터를 통과한 뒤 공기 토출구를 통해 사용자의 호흡기로 토출될 때까지의 과정에서 공기의 유동 전환이 과도하게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전환 횟수가 많아질 수록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팬의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팬의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팬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전력 소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 전환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유동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공기 흡입구가 마스크의 전면에 배치되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마스크를 벗어서 공기 흡입구가 위를 향하거나 앞을 향하는 상태로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먼지가 유입되는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가 마스크의 전면에 배치되는 경우, 착용 시 외관이 좋지 않은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구 커버가 장착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나 충격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 커버가 마스크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에 형성되지 않고,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구조, 예컨대, 마스크 바디의 측면에 분리 또는 접힘 가능하게 결합되는 별도의 에어 클리닝 모듈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구조의 경우, 에어 클리닝 모듈로 흡입된 공기가 마스크 바디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구까지 도달하는 동안 유동 저항이 현저히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EP3398657A(2021년04월2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는,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호흡 공간이 형성되는 페이스 가드; 및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 클리닝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페이스 가드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과 마주하며, 자성체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밀착부를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결합부의 전면 상단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결합부의 전면 하단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자성체 및 제 3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3 자성체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호흡 공간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호흡 공간의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3 자성체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성체는, 상기 페이스 가드에 구비된 다수의 장착부 내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자성체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서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는, 마그넷이 장착되는 마그넷 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장착부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자성체 장착부가 부착되기 위한 마그넷 장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부 바디와, 상기 장착부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장착부 바디와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하여, 상기 장착부 바디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바디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자성체가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장착부 바디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장착부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은,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놓이는 필터와,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를 덮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와 토출구가 모두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장치의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전면 또는 마스크 바디 이외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유동 저항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흡입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흡입구를 가리기 위한 별도의 커버 부재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별도의 커버 부재가 마스크 장치의 전면에 장착될 필요가 없으므로, 외력에 의하여 커버 부재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흡입구가 마스크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므로, 마스크 바디의 전면이 전방 또는 위를 향하도록 마스크 장치를 벗어놓으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흡입구를 통하여 마스크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별도의 체결 구조 없이도 자력에 의해 페이스 가드가 마스크 바디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페이스 가드의 장착 및 분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특히, 페이스 가드의 상부 중심에는 하나의 자성체 장착부가 존재하고, 페이스 가드의 하부에는 두 개의 자성체 장착부가 존재하므로, 페이스 가드의 상부에 위치된 자성체 장착부를 마스크 바디에 먼저 부착시키면, 나머지 두 개의 자성체 장착부의 결합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자성체 장착부를 마스크 바디의 해당 위치에 모두 맞출 필요가 없고 오결합될 일이 없어지므로, 페이스 가드의 장착 및 분리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자성체 장착부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가이드 리브에 의해 자성체가 부드럽게 삽입되므로, 자성체의 장착 및 탈거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자성체가 자성 몸체와, 자성 몸체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 후크로 구성되며, 고정 후크가 장착부 바디의 내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자성체가 자성체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프런트 바디가 분리된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
도 7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
도 9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가드의 정면도.
도 11은 상기 페이스 가드의 배면도.
도 12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13-13을 따라 절개되는 페이스 가드의 부분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A" 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사시도.
도 16은 상기 자성체의 측면도.
도 17은 상기 자성체가 결합된 자성체 장착부의 종단면도.
도 18은 상기 리어 바디의 마그넷 장착부와 상기 페이스 가드의 자성체 장착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마스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프런트 바디가 분리된 마스크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는, 마스크 바디(11)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페이스 가드(14)와,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내부에 장착되는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마스크 바디(11)는, 전면 외형을 이루는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 결합되어 배면 외형을 이루는 리어 바디(13)를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은 사용자(또는 착용자)의 안면과 마주한다.
또한,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는 호흡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코와 입이 상기 호흡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외부 공기가 상기 호흡 공간으로 안내되어, 사용자가 들이마시게 되고, 사용자가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도 상기 호흡 공간으로 배출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리어 바디(1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각종 전장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각종 전장 부품은 상기 프런트 바디(12)에 의하여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형성된 수용부(133 : 도 6 참조)에 놓이는 팬 모듈(31)과,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33)를 포함한다. 상기 팬 모듈(31)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필터(33)의 후방에 놓이는 필터 하우징(3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하우징(34)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리어 바디(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흡입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그릴(343)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34)은, 상기 필터(33)의 세 측면을 감싸는 필터 프레임(341)과, 상기 필터 프레임(341)의 배면에 형성되는 필터 커버(342)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커버(342)에는 상기 흡입 그릴(343)이 포함된다.
상기 흡입 그릴(343)은 다수의 흡입 슬릿(3431)과, 인접하는 흡입 슬릿들(343)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구획 리브(3432)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흡입 그릴(343)은, 하나의 커다란 흡입구가 상기 다수의 구획 리브들(3432)에 의하여 다수의 폭이 좁고 긴 흡입 슬릿들(3431)로 분할되는 구조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폭이 좁고 긴 흡입 슬릿들(3431)은 보강 리브(3422)에 의하여 상부 슬릿과 하부 슬릿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 외부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배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흡입 그릴(343)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흡입구와 상기 흡입 그릴(343)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토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팬 모듈(31)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 또는 흡입 그릴(343)을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와 상기 팬 모듈(31)을 차례로 통과한 뒤 상기 토출구(101)를 통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구, 즉 흡입 그릴(343)은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흡입 그릴(343)은 상기 호흡 공간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호흡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와 사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은, 상기 팬 모듈(31)의 후방에 배치되는 유동 가이드(3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장치(10)는, 메인 제어 모듈(15)과, 전원 모듈(16)과, 인디케이터 모듈(18)과, 무선 통신 모듈(17)과, 스피커 모듈(19)과, 배터리(20), 및 배기 밸브(2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팬 모듈(31)과 상기 스피커 모듈(19) 및 후술하게 될 압력 센서와 마이크 등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마스크 장치(10)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다. 상기 전원 모듈(16)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우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모듈(16)에는,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케이블의 단자가 삽입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마스크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되는 엘이디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이디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인디케이터 모듈(18)을 통하여 확산 및 가이드되어 마스크 장치(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블루투스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와 교차하는 방향, 일례로 수평하게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수평한 상태로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양 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기판 삽입 리브(1315)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스피커 모듈(19)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좌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0)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중앙의 하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차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개방하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쉴 때 상기 배기 밸브(21)는 상기 배기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밸브(21)는 휘어짐이 가능하고 납작한 플랩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전면, 후면, 좌측, 및 우측은,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됨을 밝혀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프런트 바디(12)는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는 별도의 부품이 장착되지 않고 매끈하게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좌측과 우측에 흡입구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벗어서 상기 흡입구가 위를 향하도록 놓으면,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이물질이 마스크 장치(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를 차폐하여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 사이에는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갭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별도의 커버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 결합되어야 하는 제한이 따르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별도의 커버가 외력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주변 장애물에 걸려서 상기 프런트 바디(12)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상기 프런트 바디(12)에는 가능하면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 별도의 부품이 추가로 장착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외관상 유리할 뿐 아니라, 내구성 확보를 위해서도 유리하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전면에는 외부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커버를 포함하는 추가 부품이 전혀 장착되지 않아, 전면이 매끄럽고 연속된 단일면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었다. 다만, 사용자의 음성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부 일측에 스피커 홀(1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다수의 돌기 구조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 중앙의 상단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기판 고정 리브(125)가 돌출된다.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기판 고정 리브(125)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가장자리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 가장자리에 결합되면, 상기 리어 바디(13)에 장착되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밸브 지지 리브(121)가 수평하게 돌출된다. 상기 밸브 지지 리브(121)는, 상기 프런트 바디(12)가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될 때, 배기 밸브(21)의 상단이 위치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 밸브(21)의 전면 상단을 가압한다. 일례로, 상기 밸브 지지 리브(121)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는 상기 페이스 가드(14)가 장착되며,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전면에 마그넷이 장착되고,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도 상기 마그넷과 인력을 작용하는 마그넷이 장착된다. 그 결과,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마그넷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상기 마그넷의 장착을 위한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 : 도 6 참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는 상기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에 장착되는 한 쌍의 마그넷을 각각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단부에 접촉하는 기판 가압 리브(127)가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프런트 바디(12)와 상기 리어 바디(13)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기판 가압 리브(127)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무선 통신 모듈(17)이 요동하거나 상기 기판 삽입 리브(1315)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홀(123)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스피커 모듈(19)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 리브(12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 리브(122)는 상기 스피커 모듈(19)의 전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둘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는 상기 전원 모듈(16)의 전면을 가압하는 기판 고정 리브(124)가 돌출된다. 상기 기판 고정 리브(124)는, 상기 전원 모듈(16)을 구성하는 기판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전원 모듈(16)이 요동하거나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탈거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리어 바디(13)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안면 커버부(131)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융착부(13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융착부(132)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상면 가장자리, 양 측면 가장자리, 및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면 커버부(13)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전후 방향 폭이 가장 크다.
상기 융착부(132) 중,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부분은 특별히 연장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장턱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양 측단으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형상을 이룬다.
연장턱으로 정의되는 상기 융착부(132)의 중앙에는 하면 배기구(1362)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 배기구(1362)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버튼홀(1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홀(1321)에는 전원 버튼이 삽입된다. 상기 버튼홀(1321)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는 인디케이션 홀(13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원 모듈(16)에 실장된 발광 수단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발광 수단은 LED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빛이 방출되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전원이 온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인디케이션 홀(1322) 중 다른 하나를 통하여 방출되는 빛의 색깔에 따라 상기 배터리(20)의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버튼홀(1321)로부터 상기 리어 바디(13)의 측단부 쪽으로 더 이격되는 지점에는 단자 삽입구(1323)가 형성된다.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이 상기 단자 삽입구(1323)를 관통하여 상기 전원 모듈(16)에 형성된 단자 연결부(terminal connector)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충전되고, 상기 USB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버전 또는 기능이 업데이트 또는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상기 리어 바디(13)에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30), 구체적으로 상기 팬 모듈(31)이 안착되는 안착면(1331)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측단부에서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체결면(1335)과, 상기 안착면(1331)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에어 가이드면(133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상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상면(133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안착면(1331), 에어 가이드면(1334), 및 체결면(1335)의 하단들과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을 연결하는 하면(133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체결면(1335)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 수단, 일례로 체결 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331)에는 팬 장착홀(1336)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1332)과 상기 하면(1334)은 수평하게 연장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면(1335)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되, 상기 안면 커버부(131)로부터 상기 안착면(1331)으로 갈수록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안착면(1331)으로부터 상기 안면 커버부(131)를 향하여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팬 모듈(31)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을 따라 상기 토출구(101) 쪽으로 부드럽게 안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은, 상기 안착면(1331)의 안쪽 가장자리에서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단부에서 상기 안면 커버부(131)를 평평하되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33)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형성되는 좌측 수용부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형성되는 우측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좌측 수용부와 우측 수용부 사이의 공간에 상기 배터리(20)가 장착된다.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는,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와, 배터리 지지 리브(1382)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또는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안착 리브(1381)는 상기 배터리(20)의 배면을 지지한다.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의 일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좌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과 우측의 에어 가이드면(1334) 중 다른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는 n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배터리(20)의 전면과 양 측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의 중심부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크기가 다른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한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는, 상기 한 쌍의 에어 가이드면(1334)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의 일부가 전방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배터리 지지 리브(1382)가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와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두께가 얇은 배터리를 지지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두께가 두꺼운 배터리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는, 상기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를 구성하는 연결부의 일부분이 전방으로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n자 형상의 제 1 배터리 지지부(1382a)의 전면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n자 형상의 제 2 배터리 지지부(1382b)가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배기 유로 가이드(136)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장착된 배터리(20)의 하단부가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상면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배터리(20)가 상기 배터리 장착부(138)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는 대략 터널 형태의 종단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에는 전면 배기구(13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배기구(1361) 및 상기 하면 배기구(1362) 중 적어도 하나는, 다수의 그릴 또는 구획 리브에 의하여 다수의 작은 배기구로 분할되는 배기 그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배기구(1361)는 상기 배기 밸브(2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중앙 상단에는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하단에는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는 상기 배기 유로 가이드(136)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에 장착되는 마그넷은, 상기 프런트 바디(12)의 배면에서 돌출되는 상기 한 쌍의 마그넷 가압 리브(126 : 도 5 참조)에 의하여 가압된다.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부와 우측 단부에는 스트랩 연결부(137)가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사용자의 귀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스트랩 또는 밴드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스트랩 연결부(137)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좌측단 상부와 하부, 우측단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우측 상단과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양 쪽 귀에 각각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한 쌍의 스트랩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양 단부는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스트랩 연결부(13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한 쌍의 스트랩은 사용자의 후두부에 둘러질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스트랩 연결부(137) 각각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함몰되되, 가로 방향(리어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랩 홈(1373)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스트랩 홀(1374)과, 상기 스트랩 홈(1373)의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스트랩 바(1372)와, 상기 스트랩 홀(1374)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방수 리브(137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고정 후크(1391)와, 상기 메인 제어 모듈(13)의 배면을 지지하는 기판 안착 리브(1393) 및 기판 지지 리브(1392)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기판 고정 후크(1391)는, 상기 수용부(133)의 상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와, 마주보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고정 후크(139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는, 좌측 수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과, 우측 수용부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기판 고정 후크(1391a)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좌측 및 우측 단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는, 상기 한 쌍의 수용부(133)의 내측 상단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중 어느 하나는, 우측 수용부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중 다른 하나는, 좌측 수용부의 상측 모서리와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안착 리브(1392)는 상기 한 쌍의 제 2 기판 고정 후크(1391b)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의 하단부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상단부 배면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전단부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와 기판 안착 리브(1393)에 의하여 상기 안면 커버부(131)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놓이고, 상기 기판 고정 후크(1391)에 의하여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리어 바디(13)에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면 커버부(131)의 전면 상부 중앙에는 압력 센서 장착부(또는 호흡 센서 장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에 장착되는 압력 센서(후술함)는 상기 페이스 가드(14) 내측에 정의되는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한다. 즉,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숨을 들이쉬는 중인지 내쉬는 중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호흡 센서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용어는 다르더라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센서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제공되되,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에 장착되면,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배면에 실장된 압력 센서(또는 호흡 센서)가 위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이 상기 메인 제어 모듈 장착부(139)에 장착되면,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전단부는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제어 기판 배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바닥을 정의하는 부분은 상기 리어 바디(13)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하면에는 통공(130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301)에 의하여,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상기 페이스 가드(14)에 의하여 정의되는 호흡 공간과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통공(1301)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에 수용된 상기 압력 센서에서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감지된 압력값은 상기 메인 제어 모듈(15)의 마이콤(후술함)으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호흡 상태가 판단된다.
한편,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는 마그넷 장착홈(13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1 마그넷 장착홈(1311)과,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2 마그넷 장착홈(1312) 및 제 3 마그넷 장착홈(13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그넷 장착홈(1311 ~ 1313)에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에 장착된 세 개의 마그넷이 각각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자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잡아당기면,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안착면(1331)에는 팬 장착홀(13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장착홀(1336)로부터 상기 안착면(1331)의 외측 가장자리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동 가이드 체결홀(1331a)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32)는 상기 유동 가이드 체결홀(1331a)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133)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33)를 구성하는 체결면(1335)에는 유동 가이드 후크(1339)와 필터 후크(1338)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 후크(1338)보다 상기 유동 가이드 후크(1339)가 상기 안착면(1331)에 더 가까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후크(1338)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 측단에는 파지홈(1337)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융착부(132)와, 상기 체결면(1335)이 만나는 지점에 상기 파지홈(1337)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9는 상기 마스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서 상기 팬 모듈(31)을 작동시키면, 상기 마스크 장치(10)의 배면 좌측과 우측에 형성된 흡입 그릴(343)(또는 흡입구)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마스크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 그릴(343)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필터(3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모듈(31)의 축 방향으로 흡입된 후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팬 모듈(31)의 전면은,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안착면(1331)에 안착되고, 상기 팬 모듈(31)의 배면은 개방된다. 그리고, 개방된 상기 팬 모듈(31)의 배면은 상기 유동 가이드(32)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32)에는 상기 팬모듈(31)의 흡입구로 기능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3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연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팬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32)의 측면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 사이에 에어 덕트(102)가 정의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덕트(102)의 입구는 상기 팬 모듈(31)의 출구(또는 토출구)와 연통하고, 상기 에어 덕트(102)의 출구는 상기 토출구(101)와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0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와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상기 호흡 공간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팬 모듈(31)에 의하여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으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흡입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 면(1334)은 상기 팬 모듈(31)의 출구로부터 상기 토출구(101)를 향하여 부드럽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팬 모듈(31)의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구(101)를 향하여 흐르는 과정에서 유동 방향의 급격한 전환이 없다.
상세히, 원심팬의 경우,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은 원추형(cone) 또는 절단된 원추형(truncated cone) 허브의 형상에서 기인한다. 즉,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허브의 라운드진 면을 따라 부드럽게 유동 방향이 90도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팬 모듈(31)을 구성하는 허브의 라운드지는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라운드지는 방향이 같기 때문에, 팬 모듈(31)로 흡입되는 공기는 한 방향으로만 부드럽게 유동 전환을 하게 된다.
만일, 상기 흡입 그릴(343)이 상기 프런트 바디(12)에 형성된다면, 상기 팬 모듈(31)의 흡입구는 상기 프런트 바디(12)를 향하게 되고, 그 결과, 팬 모듈을 구성하는 허브의 라운드지는 방향과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라운드지는 방향이 반대가 된다. 그 결과, 상기 팬 모듈(31)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덕트(102)의 입구에 해당하는 상기 에어 가이드면(1334)의 시작 부분에 부딪혀서 유동 저항 및 유동 소음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팬 모듈(31)의 축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실질적으로 S 자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게 되어, C 자 또는 n 자 형태의 유동을 형성하는 본 발명 구조에 비하여 유동 손실이 크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내쉴 때 사용자의 입과 코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인 공기의 미세한 일부는 상기 통공(1301)을 통하여 상기 압력 센서 장착부(13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호흡 공간에 모인 공기의 대부분은 하강하여 상기 전면 배기구(1361) 및 상기 하면 배기구(136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 발생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배기 밸브(20)가 전방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가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숨을 들이마실 때는 상기 호흡 공간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면서 상기 배기 밸브(20)가 원위치로 되돌아와서 상기 전면 배기구(1361)를 차폐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스 가드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페이스 가드의 배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13-13을 따라 절개되는 페이스 가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장치(10)를 구성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마스크 바디(11)의 배면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전면부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밀착되고,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배면부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중심부가 비어있는 물방울 형상 또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중심 부분이 전면으로부터 배면까지 관통되어 내측에 사용자의 코 또는 입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44)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좌우방향 폭이 슬림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44) 또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44)의 하부 공간에는 사용자의 입이 수용되고, 상기 수용공간(144)의 상부 공간에는 사용자의 코가 수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사용자의 코가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상부에 고정되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상기 페이스 가드(40)의 내측에 호흡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마주하는 결합부(141)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142)와, 상기 결합부(141)와 상기 밀착부(142)를 연결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와 밀착부(142) 및 연결부(143)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밀착되는 전면부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배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를 연결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전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며 둘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1)에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 장착되는 마그넷과 인력을 작용하는 자성체(145)가 장착되는 자성체 장착부(146)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체 장착부(146)는, 상기 결합부(14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내측에 상기 자성체(145)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장착부(146)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자성체 장착부(146)는, 상기 결합부(141)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와, 상기 결합부(141)의 하부에 배치되되 양측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 2 자성체 장착부(1462) 및 제 3 자성체 장착부(146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와 제 2 자성체 장착부(1462) 및 제 3 자성체 장착부(1463)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체 장착부(1462) 및 제 3 자성체 장착부(1463)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성체 장착부(1461 ~ 1463)는 동일한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를 대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는 상기 결합부(141)의 상단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자성체 장착부(1462) 및 제 3 자성체 장착부(1463)는 상기 결합부(141)의 하단 중심으로부터 각각 양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의 내측에는 제 1 자성체(1451)가 장착되고, 상기 제 2 자성체 장착부(1461)의 내측에는 제 2 자성체(1452)가 장착되고, 상기 제 3 자성체 장착부(1463)의 내측에는 제 3 자성체(1453)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성체(1451 ~ 1453)를 각각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그넷 장착홈(1311 ~ 1313)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상부에는 하나의 자성체(1451)가 존재하고,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하부에는 두 개의 자성체(1452,1453)가 존재하므로,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상부에 위치된 자성체(1451)를 상기 제 1 마그넷 장착홈(1311)에 먼저 결합시킴으로써, 나머지 두 개의 자성체(1452,1453)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상기 제 2 및 제 3 마그넷 장착홈(1312,1313)에 위치되는 것이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자성체(1451,1452,1453)를 각각 3개의 마그넷 장착홈(1311,1312,1313)에 모두 맞출 필요가 없어지며 오결합될 일이 없어지므로, 페이스 가드(14)의 장착이 쉽고 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3개의 자성체(1451,1452,1453)가 각각 자기력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자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잡아당기면,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페이스 가드(14)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143)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필터 커버(34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이격 돌기(147)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 돌기(147)는, 상기 연결부(143)의 외면으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47)는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47)는 상기 필터 커버(343)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돌기(147)는 상기 연결부(143)의 외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47)는 상기 이격 돌기(147)가 위치되는 상기 연결부(143)의 폭(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 돌기(147)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이격 돌기(147)는 상기 연결부(143)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이격 돌기(147)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격 돌기(147)는, 상기 연결부(143)의 좌측면의 하부 지점에 형성되는 제 1 돌기(1471)와, 상기 제 1 돌기(147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2 돌기(1472)와, 상기 제 2 돌기(1472)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 3 돌기(14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1471 ~ 147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1471 ~ 1473)는 서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1471 ~ 1473)는, 상기 연결부(143)의 측면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1471 ~ 1473)는, 상기 연결부(143)의 폭(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43)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전후 방향 폭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43)의 상부에 위치된 제 3 돌기(1473)는, 상기 연결부(143)의 하부에 위치된 제 1 돌기(147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돌기(1471 ~ 1473)는, 상기 필터 커버(342)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할 때, 상기 페이스 가드(14)가 눌리면서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부분이 상기 흡입구, 즉 상기 흡입 그릴(343)을 덮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페이스 가드(14)가 외력에 의해 눌리더라도, 상기 제 1 내지 3 돌기(1471 ~ 1473)가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상기 필터 커버(34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돌기(1471)는, 상기 필터 커버(342)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돌기(1472)는, 상기 필터 커버(342)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돌기(1473)는, 상기 필터 커버(342)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페이스 가드(14)에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부분에 환기를 위한 통공(1481,14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481,1482)은 상기 밀착부(142)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1481,1482)은 원형 또는 비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착용하면,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밀착부(142)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 장치(10)를 장시간 착용할 경우, 사용자의 안면에는 땀 또는 오염물질이 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밀착부(142)에 다수의 통공(1481,1482)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을 환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어 바디에 페이스 가드가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13의 "A" 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성체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자성체의 측면도이고, 도 17은 상기 자성체가 결합된 자성체 장착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페이스 가드(14)의 각각의 자성체 장착부(1461 ~ 1463)에는, 자성체(1451 ~ 1453)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자성체 장착부(1461 ~ 1463)와 각각의 자성체(1451 ~ 1453)는 서로 동일한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와, 제 1 자성체(1451)를 대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는, 상기 결합부(141)의 외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부 바디(1461a)와,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내측에 제공되는 삽입 가이드 리브(1461b)와,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와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홀(1461c)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 바디(1461a)는, 상기 결합부(141)의 상부 중심 지점에서 중공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바디(1461a)는 상기 제 1 자성체(1451)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장착부 바디(1461a)는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는, 상기 제 1 자성체(1451)의 삽입 위치를 안내하면서, 상기 제 1 자성체(1451)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에 의해 삽입 위치가 안내된 제 1 자성체(1451)는 상기 삽입홀(1461c)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내측 중심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의 좌측 단부 사이에는, 제 1 삽입홀(1461c)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내주면과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1461b)의 우측 단부 사이에는, 제 2 삽입홀(1461c)이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홀(1461c)은 복수 개로 제공되며, 상기 복수 개의 삽입홀(1461c)에 상기 제 1 자성체(1451)의 양측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체(1451)가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에 결합되면, 상기 제 1 자성체(1451)의 고정 후크(1471d)가 상기 삽입홀(1461c)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자성체(1451)는 자성을 띤 물질로 형성되며, 일례로 철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체(1451)는 U자 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자성체(1451)는, 몸체를 형성하는 자성 몸체(1451a)와, 상기 자성 몸체(1451a)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복수의 삽입홀(1461c)에 삽입되는 고정 후크(1451d)를 포함한다.
상기 자성 몸체(1451a)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자성 몸체(1451a)는 전후 방향으로의 두께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길이가 긴 사각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후크(1451d)는 상기 자성 몸체(1451a)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서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후크(1451d)는, 상기 자성 몸체(1451a)의 양 단부 중앙에서 후방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1451b)와, 상기 연장부(1451b)의 단부에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후크부(1451c)를 포함한다. 상기 후크부(1451c)는 상기 연장부(1451b)의 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크부(1451c)의 상하 방향의 높이(H3)는, 상기 자성 몸체(1451a)의 상하 방향의 높이(H1) 보다는 작고, 상기 연장부(1451b)의 상하 방향의 높이(H2)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1451b)의 상하 방향의 높이(H2)는,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에 형성된 삽입 슬릿(1461d)의 상하 방향의 높이(H4)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1451c)의 상하 방향의 높이(H3)는, 상기 삽입 슬릿(1461d)의 상하 방향 높이(H4)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삽입홀(1461c)의 상하 방향의 높이(H5) 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 장착부(1461)는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되므로, 상기 고정 후크(1451d)가 상기 장착부 바디(1461a)의 삽입홀(1461c)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1451c)가 상기 삽입홀(1461c)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슬릿(1461d)을 통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8은 상기 리어 바디의 마그넷 장착부와 상기 페이스 가드의 자성체 장착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는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와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과, 상기 한 쌍의 하부 마그넷 장착부(135)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배면에는 마그넷 장착홈(13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1 마그넷 장착홈(1311)과, 상기 하부 마그넷 장착부(134)의 직후면에 형성되는 제 2 마그넷 장착홈(1312) 및 제 3 마그넷 장착홈(131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마그넷 장착홈(1311 ~ 1313)에는, 상기 페이스 가드(14)에 장착된 세 개의 자성체(1451 ~ 1453)가 각각 자기력에 의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자기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잡아당기면, 상기 페이스 가드(14)는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와, 상기 한 쌍의 마그넷 장착부(135)는 그 위치만 다를 뿐 서로 동일한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에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가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대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는, 마그넷(25)이 안착되는 안착 공간(1343)을 형성하는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는, 상기 리어 바디(1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안착 공간(1343)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안착 공간(1343)에 삽입된 마그넷(25)의 양 단을 잡아주기 위한 한 쌍의 제 1 가이드 리브(1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가이드 리브(1342)는, 상기 안착 공간(1343)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가이드 리브(1342)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마그넷(25)이 상기 안착 공간(1343)에 깊게 삽입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의 배면 양측에는,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에 삽입된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의 양 단을 잡아주기 위한 한 쌍의 제 2 가이드 리브(1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가이드 리브(1344)는,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마그넷 장착부 몸체(134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가이드 리브(1344)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가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에 깊게 삽입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가 상기 마그넷 장착홈(1314)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자성체(1451)와 상기 마그넷(25)은 마주하게 되고, 이들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자력에 의해서 상기 제 1 자성체 장착부(1461)와, 상기 상부 마그넷 장착부(134)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 바디(13)에 상기 페이스 가드(14)를 탈부착하는 것이 간편해지고, 상기 페이스 가드(14)가 상기 리어 바디(13)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리어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디를 포함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바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서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내측에 호흡 공간이 형성되는 페이스 가드; 및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상기 호흡 공간으로 공급하는 에어 클리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이스 가드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과 마주하며, 자성체가 구비되는 결합부와,
    사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밀착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밀착부를 연결하여,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결합부의 전면 상단 중심에 배치되는 제 1 자성체와,
    상기 결합부의 전면 하단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양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 2 자성체 및 제 3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리어 바디의 내부를 통과한 후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호흡 공간으로 유동하는 마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3 자성체는,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는 마스크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3 자성체는, 상기 토출구의 하측에 해당하는 상기 페이스 가드의 부분에 위치되는 마스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자성체는, 상기 페이스 가드에 구비된 다수의 자성체 장착부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는 마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자성체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전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 부착되는 마스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의 전면에는, 마그넷이 장착되는 마그넷 장착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 장착부의 직후면에 해당하는 상기 리어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자성체 장착부가 부착되기 위한 마그넷 장착홈이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 장착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부 바디와,
    상기 장착부 바디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장착부 바디와 상기 삽입 가이드 리브의 사이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하여, 상기 장착부 바디의 내측에 삽입되는 마스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바디는,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자성체가 수용되는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마스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장착부 바디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상기 장착부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크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닝 모듈은,
    상기 흡입구의 전방에 놓이는 필터와,
    상기 리어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를 덮는 필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필터 하우징에 형성되는 마스크 장치.
KR1020210093992A 2021-07-19 2021-07-19 마스크 장치 KR10249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92A KR102498505B1 (ko) 2021-07-19 2021-07-19 마스크 장치
CN202210802617.XA CN115633814A (zh) 2021-07-19 2022-07-07 口罩装置
EP22185394.8A EP4122548A1 (en) 2021-07-19 2022-07-18 Mask apparatus
US17/868,107 US20230012551A1 (en) 2021-07-19 2022-07-19 Mask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992A KR102498505B1 (ko) 2021-07-19 2021-07-19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347A KR20230013347A (ko) 2023-01-26
KR102498505B1 true KR102498505B1 (ko) 2023-02-10

Family

ID=8261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992A KR102498505B1 (ko) 2021-07-19 2021-07-19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12551A1 (ko)
EP (1) EP4122548A1 (ko)
KR (1) KR102498505B1 (ko)
CN (1) CN115633814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50B1 (ko) * 2008-11-17 2014-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화유닛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203302389U (zh) * 2013-06-06 2013-11-27 周咏梅 一种疾病预防控制罩
KR101930144B1 (ko) 2015-12-29 2018-12-18 한가현 에어커튼을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형 보건 마스크
JP3205108U (ja) * 2016-04-19 2016-07-07 株式会社ボックス 顔面装着部材の支持構造
KR102069369B1 (ko) * 2018-03-22 2020-01-22 주식회사 다온 인터내셔널 다기능 마스크
KR102151164B1 (ko) * 2019-06-03 2020-09-02 김종민 안면 마스크
KR102219608B1 (ko) * 2019-07-04 2021-02-24 주식회사 옵티움 전동 마스크
CN211983904U (zh) * 2020-03-06 2020-11-24 高永强 一种可拆卸鼻撑以及口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2551A1 (en) 2023-01-19
CN115633814A (zh) 2023-01-24
KR20230013347A (ko) 2023-01-26
EP4122548A1 (en)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354B1 (ko) 마스크 장치
KR102542490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8505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8506B1 (ko) 마스크 장치
KR102475624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4130B1 (ko) 마스크 장치
KR102531989B1 (ko) 마스크 장치
KR102565390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7332B1 (ko) 마스크 장치
KR102600006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7328B1 (ko) 마스크 장치
KR102611200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3267B1 (ko) 마스크 장치
KR102621067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7331B1 (ko) 마스크 장치
KR102497326B1 (ko) 마스크 장치
KR20230013364A (ko) 마스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