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896B1 -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896B1
KR101933896B1 KR1020160150399A KR20160150399A KR101933896B1 KR 101933896 B1 KR101933896 B1 KR 101933896B1 KR 1020160150399 A KR1020160150399 A KR 1020160150399A KR 20160150399 A KR20160150399 A KR 20160150399A KR 101933896 B1 KR101933896 B1 KR 10193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ing
inflow
unit
hold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051A (ko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102016015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89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4Safety guards for children, e.g. har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F24F2003/16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장착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보내주는 송풍수단이 구비된 송풍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송풍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해주는 유도부; 상기 송풍부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상기 유도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 또는 상기 송풍부의 후측에 장착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모차에 손쉽게 장착하고 탈거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휴대성과 활용성이 증진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공기가 공기정화기로 유입되고 정화되어 송풍되기까지 공기의 유로가 짧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효율성 또한 증진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Baby}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에 탑승한 영아에게 정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모차에 장착가능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보통 생후 얼마 안된 아기 등 유아를 데리고 외출할 때 유모차는 거의 필수적이라고 할만큼 보편적으로 편리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유모차에 영아를 태우고 거리 등을 다닐 때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나오는 분진이나 냄새 등의 공기 오염물질이 유모차에도 유입이되면 고스란히 영아의 호흡에 섞이게 되고, 영아는 아직 장기 발육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 이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호흡은 성인과는 달리 건강상 더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가 있다.
유모차를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가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으나 휴대품을 유모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모차 전체를 투명한 비닐로 쉴드하는 커버 등이 대부분이고 정작 영아의 건강에 심각한 문제가 되는 오염된 공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 중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3189호(이하 선행기술 1) 등이 있다.
선행기술 1에 따르면, 유모차의 프레임에 장착시킨 공기정화기로부터 공기를 정화하여 유모차 내의 영아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정화된 공기를 영아에게 공급하기 위하여 기다란 급기 파이프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급기파이프로는 단면적이 작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공기가 쉽게 유모차 내부로 유입되기가 어려웠으며, 기다란 급기파이프 등을 휴대하기에도 곤란하다는 점 등 여러가지로 이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모차에 탑승한 영아에게 정화된 공기를 안정적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으며, 유모차에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하고 공기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유모차에 탑승한 영아를 위하여 유모차의 좌석 앞에 구비된 세이프티-바(safety-bar)에 장착되어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는 송풍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보내주는 송풍수단이 구비된 송풍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송풍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해주는 유도부; 상기 송풍부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상기 유도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 또는 상기 송풍부의 후측에 장착수단이 마련된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홀딩암(holding arm)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암의 상단측과 상기 송풍부의 후측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송풍부의 후측면, 상기 유도부의 후측면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세이프티-바의 외주면 일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홀딩암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폴딩(folding)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정화기가 상기 세이프티-바로부터 탈거되면,상기 홀딩암이 손잡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공기유입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암이 상기 세이프티-바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고분자소재로 된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장착수단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송풍부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1홀딩암 및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2홀딩암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가 상기 유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도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홀딩암 및 상기 제2홀딩암이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도록 폴딩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홀딩암 또는 상기 제2홀딩암에는, 상기 세이프티-바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유도부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부 및 상기 송풍부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공기관(air-pipe)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관은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유도부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상기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주는 히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부의 전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에는,상기 공기유입부측에서 정화된 공기가 인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구에는 상기 정화된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을 설정하여 주는 풍향블레이드(blade)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송풍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줄 수 있는 열저장체(thermal mass)가 탈착될 수 있게 장착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송풍수단은,상기 전원공급부 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회전하는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 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유모차에 손쉽게 장착하고 탈거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휴대성과 활용성이 증진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가 공기정화기로 유입되고 정화되어 송풍되기까지 공기의 유로가 짧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효율성 또한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유모차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유모차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유모차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모차(B)에 탑승한 영아를 위하여 유모차의 좌석 앞에 구비된 세이프티-바(safety-bar)(B1, 도 3참조)에 장착되어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0)는 공기유입부(100), 송풍부(300), 유도부(200),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기유입부(100)는 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입공간(130)을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시킨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공기유입부(100)에는 필터(12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공기유입구 측에 장착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공기유입부(100)의 전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유입구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필터(12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120)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망(110)이 장착된다.
필터(120)는 교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망(110)은 공기유입부의 공기유입구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보호망(110)이 분리되면 필터(120) 또한 공기유입부(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120)는 다공성 비정형 공극이 형성된 필터로서 멤브레인필터, 헤파필터 또는 카본필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유입부(100)의 후측에는 후술할 전원공급부의 충전지(140)이 위치하고 있다.
공기유입부(100)의 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입공간(130)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공기관(210)과 연통되며, 필터(12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공기관(210)을 지나 후술할 송풍부 내의 송풍공간(340)으로 이동하게 된다.
송풍부(300)는 상술한 공기유입부(100)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송풍부(300)의 내측에는 공기유입부(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공간(3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부(100)에서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보내주는 송풍수단이 송풍부(3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송풍부(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송풍수단으로서, 전기모터(310) 및 송풍팬(320)을 들을 수 있다. 전기모터(310)는 후술할 전원공급부 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회전한다. 그리고, 송풍팬(320)은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전기모터(310)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으며, 전기모터(3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송풍수단으로서 전기모터(310) 및 송풍팬(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또한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기유입부(100)의 필터(120)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공간(130)과 공기관을 거쳐 송풍공간(340)으로 유입되고, 송풍수단인 전기모터(310)와 송풍팬(320)에 의해 외부로 배기되어진다.
이처럼 정화된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송풍부(300)에는 풍향블레이드(blade)(330)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유입부(100)측에서 정화된 공기가 인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송풍구에 마련된 풍향블레이드(330)가 송풍되는 방향을 설정하여 준다. 풍향블레이드(330)는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다수 배열되어서 풍향을 상하좌우 선택적으로 설정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풍향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송풍부(300)의 후측에는 전원공급부에 포함되는 배터리(160)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터리(160)는 일회용배터리로서 송풍부의 후측에 배치되며, 교체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도부(200)는 공기유입부(100)와 송풍부(300) 사이에 위치하며, 공기유입부(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송풍부(300)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여 준다.
이러한 유도부(200)의 내측에는 공기유입부(100) 및 송풍부(300)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공기관(air-pipe)(2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관(210)은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10)는 후술할 제1홀딩암 및 제2홀딩암이 집게처럼 벌어졌다가 오므려지면서 유모차(B)의 세이프티-바(B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유입부(100)과 송풍부(300)는 유도부(200)를 중심으로 힌지결합이 된다.
따라서 유도부(200)의 내측에 마련된 공기관(210)은 힌지결합에 의해 공기유입부(100)와 송풍부(300)가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처할 수 있도록 유연한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기유입부(100)와 유도부(200)의 사이에는, 공기유입부(100)에서 정화된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주는 히터(1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히터(160)는 후술할 전원공급부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 전력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유입부(100)에서 정화된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게 된다. 따라서, 추운 겨울날 영아에게 따뜻하고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여 줄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B)에 마련된 투명한 전면커버(B2)내에 공기정화기(10)이 위치하게 되면, 유모차(B)에 탑승한 영아에게 정화된 공기를 따뜻하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공기유입부(100)측으로부터 송풍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줄 수 있는 열저장체(thermal mass)(미도시)가 송풍부(300)의 내측에 탈착될 수 있게 장착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는 송풍부(300)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부 (3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1회용 배터리(160) 또는 충전지(140)를 포함한다.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충전지(140)는 공기유입부(100)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모터(310) 또는 히터(160) 측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영아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1회용 배터리(160) 또한 충전지(140)와 마찬가지로 전기모터(310)나 히터(160) 측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충전지(140)의 전력이 모두 소모될 경우 1회용 배터리(160)의 전력만으로도 전기모터(310)나 히터(160)를 작동시켜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1회용 배터리(160)가 없는 경우에도 충전지(140)의 전력만으로도 충분히 전기모터(310)나 히터(160)를 작동시켜줄 수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전지(140)를 충전시켜주기 위하여 외부의 전력(150)을 공급받아 충전지(140)가 충전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스위치부는 송풍부(300)의 동작상태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송풍부(300), 유도부(200) 및 공기유입부(100)의 외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형태로서 스위치부의 스위치(220)가 유도부(200)의 외측 전면측에 마련된 것을 도시하였다. 필요에 따라서는 스위치(220)가 송풍부(300)의 상측 외면에 위치하도록 실시하는 것 또한 충분히 가능하다.
그리고, 세이프티-바(B1)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100)의 후측 또는 송풍부(300)의 후측에는 장착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수단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홀딩암(410) 및 제2홀딩암(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제1홀딩암(41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송풍부(300)의 후측에 결합되고, 세이프티-바(B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한다.
그리고, 제2홀딩암(42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공기유입부(100)의 후측에 결합되고, 세이프티-바(B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한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풍부(300) 및 공기유입부(100)가 유도부(200)를 사이에 두고 유도부(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힌지결합되어 있다. 즉, 유도부(2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가운데 부분이 송풍부(300)와 결합되어 있고, 유도부(200)의 좌우부분이 공기유입부(100)과 결합되어 있으며, 유도부(200)의 가운데부분과 유도부(200)의 좌우 양측이 힌지형태로 결합되어 유도부(200)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1홀딩암(410)과 제2홀딩암(420)이 집게처럼 벌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홀딩암(410) 및 제2홀딩암(420)이 세이프티-바(B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도록 폴딩(folding)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홀딩암(410) 또는 제2홀딩암(420)에는, 세이프티-바(B1)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수단으로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430)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논슬립패트(4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모차(B)의 세이프티-바(B1)에 장착된 공기정화기(10)가 세이프티-바(B1)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하여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정화기(10)가 세이프티-바(B1)으로부터 탈거되면, 제1홀딩암(410) 및 제2홀딩암(420)이 손잡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송풍부(300) 또는 공기유입부(10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홀딩암(410) 및 제2홀딩암(420)의 폭이 송풍부(300) 또는 공기유입부(10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으면 손잡이처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B)로부터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휴대성이 증진되고 유모차가 아닌 장소 등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 또한 증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기(10)에서 공기의 오염도 내지 청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오염도측정부가 마련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염도측정부(미도시)는 오염도감지센서(미도시), 청정도감지센서(미도시), 컨트롤러(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오염도감지센서와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청정도감지센서
오염도감지센서는 외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공기유입부(100)의 공기유입구 앞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염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정보는 컨트롤러로 전달된다.
청정도감지센서는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공기유입부(100) 내에 마련되어 유입공간(130)에 위치하고 있는 정화된 공기의 청정도를 감지한다. 청정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정보는 컨트롤러로 전달된다.
컨트롤러는 오염도감지센서와 청정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등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와 디스플레이는 송풍부(300) 또는 유도부(200)에 마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가 유모차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20)는 공기유입부(1000), 송풍부(3000), 유도부(2000),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유입부(1000), 송풍부(3000), 유도부(2000), 전원공급부 및 스위치부(2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 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히 언급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기유입부(1000)는 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입공간(130)을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시킨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공기유입부(1000)에는 필터(12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공기유입구 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1200)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망(1100)이 마련된다.
필터(120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교체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부(3000)는 상술한 공기유입부(1000)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송풍부(3000)의 내측에는 공기유입부(1000)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송풍되는 송풍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부(1000)에서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보내주는 송풍수단이 송풍부(30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송풍수단으로서 전기모터(3100)와 송풍팬(3200)이 마련되어 있으며, 송풍방향을 조절하여 주기 위하여 풍향블레이드(3000)가 마련된다. 전기모터(3100), 송풍팬(3200) 및 풍향블레이드(3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다.
유도부(2000)는 기본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달리 유도부(2000)가 힌지결합된 것이 아니라 공기유입부(1000) 및 송풍부(3000) 사이에서 공기유입부(1000) 및 송풍부(3000)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으로는 유입공간(1300) 및 송풍공간과 연통이 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히터(160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공기유입부(1000) 및 유도부(2000) 사이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전원공급부는 송풍부(3000)가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송풍부 (3000)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지(14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서는 배터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고, 충전지(1400)를 도시하였다.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충전지(1400)는 공기유입부(1000)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전기모터(3100) 또는 히터(1600) 측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정화된 공기가 영아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500은 외부로부터 충전지(1400)로 전력을 공급하여 줄 수 있는 충전단자를 나타낸 것이며,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다.
도면부호 2200은 스위치부의 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스위치(220, 도 2참조)에 대한 설명과 대동소이하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수단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좀 다르게 하나의 홀딩암(4000)과 힌지결합(4050)을 포함하고 있다.
홀딩암(holding arm)(4000)은 세이프티-바(B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며, 홀딩암(4000)의 상단측과 송풍부(3000)의 후측상단이 힌지결합(4050)되어 있다.
홀딩암(40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송풍부(3000)의 후측면, 유도부(2000)의 후측면 및 공기유입부(1000)의 후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세이프티-바(B1)의 외주면 일부분에 접하도록 홀딩암(B1)이 힌지결합(4050)을 중심으로 폴딩(folding)된다. 따라서, 공기정화장치(20)가 유모차(B)의 세이프티-바(B1)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리고, 홀딩암(4000)이 세이프티-바(B1)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미끄럼방지수단으로서,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4300)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논슬립패트(4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유모차(B)의 세이프티-바(B1)에 장착된 공기정화기(10)가 세이프티-바(B1)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 것을 예방하여 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공기정화기(20)가 세이프티-바(B1)으로부터 탈거되면, 홀딩암(4000)이 손잡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송풍부(3000) 또는 공기유입부(1000)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홀딩암(4000)이 손잡이로서 기능을 할 수 있으면 유모차(B)로부터 장착 및 탈거가 용이함은 물론이고, 휴대성이 증진되고 유모차가 아닌 장소 등에서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 또한 증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공기정화기(20)에서 공기의 오염도 내지 청정도를 체크할 수 있는 오염도측정부가 마련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오염도측정부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유모차에 손쉽게 장착하고 탈거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휴대성과 활용성이 증진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가 공기정화기로 유입되고 정화되어 송풍되기까지 공기의 유로가 짧기 때문에 공기정화기의 효율성 또한 증진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공기유입부 200 : 유도부
300 : 송풍부 120 : 필터
110 : 보호망 210 : 공기관
310 : 전기모터 320 : 송풍팬

Claims (14)

  1. 유모차에 탑승한 영아를 위하여 유모차의 좌석 앞에 구비된 세이프티-바(safety-bar)에 장착되어 공기를 정화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정화된 공기가 이동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며,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정화시키는 공기유입부;
    상기 공기유입부에 대하여 상측에 위치하고, 내측에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는 송풍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유입하여 외부로 보내주는 송풍수단이 구비된 송풍부;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송풍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공기가 상기 송풍부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해주는 유도부;
    상기 송풍부가 상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송풍부의 동작상태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상기 유도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되,
    공기의 오염도 또는 청정도를 체크하기 위한 오염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이프티-바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 또는 상기 송풍부의 후측에 장착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유입부와 상기 유도부의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정화된 상기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주는 히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부의 전측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켜주는 필터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1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측에서 정화된 공기가 인출되는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구에는 상기 정화된 공기가 송풍되는 방향을 설정하여 주는 풍향블레이드(blade)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송풍부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부측으로부터 상기 송풍부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줄 수 있는 열저장체(thermal mass)가 탈착될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송풍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전원공급부 측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회전하는 전기모터 및
    상기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며,
    상기 오염도측정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의 공기유입구의 앞부분에 마련되며, 공기유입구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오염도감지센서;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며,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는 컨트롤러; 및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오염도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정보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홀딩암(holding arm)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암의 상단측과 상기 송풍부의 후측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홀딩암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송풍부의 후측면, 상기 유도부의 후측면 및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함께 상기 세이프티-바의 외주면 일부분에 접하도록 상기 홀딩암이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폴딩(folding)되는 것이고,
    상기 공기정화기가 상기 세이프티-바로부터 탈거되면,
    상기 홀딩암이 손잡이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송풍부 또는 상기 공기유입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를 갖으며,
    상기 홀딩암이 상기 세이프티-바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고분자소재로 된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송풍부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1홀딩암 및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단이 상기 공기유입부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2홀딩암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 및 상기 공기유입부가 상기 유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도부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홀딩암 및 상기 제2홀딩암이 상기 세이프티-바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도록 폴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홀딩암 또는 상기 제2홀딩암에는,
    상기 세이프티-바에 접하게 되는 일부분에 미끄럼방지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이며,
    상기 유도부의 내측에는 상기 공기유입부 및 상기 송풍부 사이를 연통시켜주는 공기관(air-pipe)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관은 유연성이 있는 고분자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150399A 2016-11-11 2016-11-11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KR10193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99A KR101933896B1 (ko) 2016-11-11 2016-11-11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99A KR101933896B1 (ko) 2016-11-11 2016-11-11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51A KR20180053051A (ko) 2018-05-21
KR101933896B1 true KR101933896B1 (ko) 2019-04-05

Family

ID=6245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99A KR101933896B1 (ko) 2016-11-11 2016-11-11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99376B1 (en) * 2018-12-20 2022-12-21 bubl. AB Portable air-filtering device
KR102233387B1 (ko) * 2019-04-09 2021-03-30 황민선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종합 폴
KR102302809B1 (ko) * 2019-05-07 2021-09-15 주식회사 이노카 공기청정기가 부착된 운반 캐리어
KR102297495B1 (ko) * 2020-03-30 2021-09-02 주식회사 저스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TWI748606B (zh) * 2020-08-21 2021-12-0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嬰兒車淨化裝置
WO2022063948A1 (en) * 2020-09-25 2022-03-31 Ethera Air purification system
KR102505988B1 (ko) * 2022-12-02 2023-03-06 신영준 공기정화 자전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535A (ja) * 2003-04-25 2004-11-18 Yamamoto Kogaku Co Ltd 搭乗者の保護装置
KR100873189B1 (ko) * 2007-01-16 2008-12-10 주식회사 에프씨라이프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420Y1 (ko) * 1997-11-01 1999-10-15 김영길 유모차용 햇빛가리개(sun visor of baby carriage)
KR20040092576A (ko) * 2003-04-24 2004-11-04 양건호 휴대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535A (ja) * 2003-04-25 2004-11-18 Yamamoto Kogaku Co Ltd 搭乗者の保護装置
KR100873189B1 (ko) * 2007-01-16 2008-12-10 주식회사 에프씨라이프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51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896B1 (ko)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KR101699789B1 (ko) 휴대용 송기 마스크
AU700916B2 (en) Personal protection
CN105101856A (zh) 真空吸尘器
ES2356525T3 (es) Banco de trabajo de seguridad.
WO2016036211A2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7118276A1 (zh) 背包吹风机
KR20160145405A (ko) 공기 정화기를 갖는 유모차
WO2016026069A1 (zh) 滤网堵塞报警装置和空调装置、除湿机、空气清净器、加热装置
KR100873189B1 (ko)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CN101507588B (zh) 多功能杀菌马桶盖
KR102074687B1 (ko)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JP2004321535A (ja) 搭乗者の保護装置
NL8800905A (nl) Draagbare rook- en gasverdrijver.
JP2592557B2 (ja) 空気調和装置
WO2021117946A1 (ko) 공기청정기
KR101536176B1 (ko) 이동식 흡연 트레일러
KR102175499B1 (ko) 유모차에 장착 가능한 다목적 공기 정화 장치
KR101543364B1 (ko) 유해가스 자동 제거장치
CN213514696U (zh) 一种汽车内饰加工用烘干装置
JP2019090570A (ja) 傘除水機
JP2003322382A (ja) 空調装置
KR200394716Y1 (ko) 환기 모듈 창호 시스템
CN213024747U (zh) 一种用于工业可燃气体探测的无线通讯报警器
KR20190074396A (ko)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