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495B1 -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495B1
KR102297495B1 KR1020200038227A KR20200038227A KR102297495B1 KR 102297495 B1 KR102297495 B1 KR 102297495B1 KR 1020200038227 A KR1020200038227 A KR 1020200038227A KR 20200038227 A KR20200038227 A KR 20200038227A KR 102297495 B1 KR102297495 B1 KR 102297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ir
air purifier
stroll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저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저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저스템
Priority to KR1020200038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에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에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유모차의 상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커버부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모차의 커버부의 상부에 공기정화부를 설치하여 커버부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COVER FOR BABY CARRIAGE COMPRISING 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모차 커버의 일방에 설치되어 유모차 커버에 의해 커버링된 유모차의 내부공간에 외부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오염 정도가 심한 도시 생활에서 쾌적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와 같은 공기 정화시설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부유물질인 먼지 등을 필터를 통해 포집해 제거하여 정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공기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 장시간 체류할 때에는 새로운 공기 유입 부족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산소가 부족해지는 대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생활 환경이 악화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유아와 함께 외출시에는 유아를 태우고 다닐 수 있도록 하는 유모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야외에서는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눈과 피부는 햇빛에 직접 노출되게 되고 특히 산업화의 영향으로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자외선양의 증가는 햇빛에 장시간 노출되는 유아의 눈과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아의 눈과 피부를 보호하고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유모차의 상부에 캐노피 또는 차양커버를 고정시키거나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있다.
특히, 날씨가 화창할수록 유아를 유모차에 태워 외출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화창한 날씨일수록 유해한 자외선의 조사량도 많아져서 더욱 주의가 요망되는데, 피부 보호 체계가 완벽하지 못한 유아를 위해 많은 유모차의 대부분은 전면까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캐노피(Canopy)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캐노피가 설치된 종래의 유모차는 유아들을 위해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나, 유모차에 유아를 태우고 거리를 거닐 때에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모차를 주로 탑승하는 호흡기관이 완벽하지 않은 유아에게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는 유아의 건강에 치명적인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유모차를 좀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구가 여러 가지로 개발되고 있으나, 휴대품을 유모차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거나 유모차 전체를 투명 비닐로 시일드하는 커버 등이 대부분이고, 유아의 호흡에 섞이게 되는 오염물질의 배제 문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특히, 커버를 씌운 유모차 안의 공기는 사용환경에 따라 자동차 내부 보다 좋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대기오염, 태양광, 영유아의 호흡으로 인한 온도상승, 이산화탄소의 발생으로 인한 산소부족 현상을 초래한다. 이런 상태에서 영유아는 답답함을 느끼며, 유모차에서 쉽게 잠드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외의 공기를 필터링 하여 공기중에 함유된 세균이나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의 대부분은 유모차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아니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청정기를 통해 필터링된 외부 청정공기를 유모차의 내부로 안정되게 공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공기 청정기는 외부의 공기에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화학적 오염성분이 있어도 이를 그대로 유입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유모차는 실외의 먼지 및 먼지속 각종세균과 자동차등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동반한 오염된 외부공기에 노출되어 있는데, 오염된 외부공기를 어린이가 흡인하는 것을 최대한 막아주는 공기정화 장치가 미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0441호 (2019년11월2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4396호 (2019년06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9326호 (2019년02월0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의 커버부에서 전면 및 측면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투명창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의 상부공간에 외기와 내부공기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필터링하여 유모차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내부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조절수단이 풍향 조절 플레이트 또는 풍향 조절 블레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정화부의 송풍시 풍향이나 풍량을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와 내부공기에 포함된 조대입자와 미세입자를 순차적으로 함께 필터링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에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로서, 유모차의 상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00); 및 상기 커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정화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100)는,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상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상면커버; 상기 상면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며,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전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커버; 및 상기 상면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며,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측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커버부(100)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필터링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링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흡입팬; 및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송풍된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VOC감지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흡입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배출구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송풍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는 송풍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송풍조절수단은, 상기 커버부(100)의 내벽면으로 송풍하도록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플레이트 또는 풍향 조절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송풍조절수단은, 공기를 직진성으로 균등하게 분배해서 투입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의 단면이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분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필터링부재는, 외기에 포함된 조대입자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외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모차의 커버부의 상부에 공기정화부를 설치하여 커버부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커버부로서 상면커버와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를 구비하고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유모차의 커버부에서 전면 및 측면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투명창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정화부로서 케이싱과 흡입구와 필터링부재와 흡입팬과 배출구와 송풍조절수단과 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모차의 상부공간에 외기와 내부공기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필터링하여 유모차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내부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풍조절수단이 풍향 조절 플레이트 또는 풍향 조절 블레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정화부의 송풍시 풍향이나 풍량을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풍조절수단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라미너플로우(Laminar Flow)의 기능을 이용한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분배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대비 큰 사이즈의 공기 청정기와 하부 배플로 인해 상부에서부터 라미너플로우를 형성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자연스런 호흡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링부재가 제1 필터와 제2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외기와 내부공기에 포함된 조대입자와 미세입자를 순차적으로 함께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내부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내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송풍조절수단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커버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내부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내부구조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의 공기정화부의 송풍조절수단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는, 커버부(100)와 공기정화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모차(300)의 상부공간에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에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구비한 유모차(300)의 커버장치이다.
커버부(100)는, 유모차(300)의 상부공간을 개폐하거나 커버링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로서, 상면커버(110), 전면커버(120) 및 측면커버(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면커버(110)는, 유모차(300)의 상부공간의 상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로서, 이러한 상면커버(110)의 중앙부위에는 공기정화부(2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전면커버(120)는, 상면커버(110)의 전면에 접철식이나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유모차(300)의 상부공간의 전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로서, 이러한 전면커버(120)에는 전면 투명창(121)이 설치되어 있다.
측면커버(130)는, 상면커버(110)의 측면에 접철식이나 힌지식으로 결합되며 유모차(300)의 상부공간의 측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커버부재로서, 이러한 측면커버(120)에는 측면 투명창(131)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정화부(200)는, 커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정화수단으로서, 도 4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10), 흡입구(220), 필터링부재, 흡입팬(250), 배출구(260), 송풍조절수단(270) 및 전원수단(2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210)은, 커버부(100)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싱부재로서, 커버부(100)의 상면커버(110)에 형성된 설치홀에 고정결합되어 커버부(100)에 공기정화부(200)를 고정하게 된다.
흡입구(220)는, 케이싱(2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기와 유모차의 내부공기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흡입되는 흡입부재로서, 케이싱(210)의 상부에 외기와 내부공기가 흡입되도록 관통 형성된 공기의 유입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흡입구(220)에는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을 검출하는 VOC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VOC감지센서는 검출결과에 의거해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흡입팬(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수단(280)에 접속되어 검출결과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외부공기에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공기정화부(200)의 구동을 멈추도록 흡입구(220)에 VOC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유아의 흡입을 막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필터링부재는, 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흡입구(2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구(220)로 유입되는 외기 및 내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로서, 제1 필터(230)와 제2 필터(24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필터(230)는, 외기 및 내부공기에 포함된 조대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로서, 망체나 거름망 등과 같은 일반적인 망필터로 이루어져 외기 및 내부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분진 등과 같은 조대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게 된다.
제2 필터(240)는, 제1 필터(230)의 하류에 설치되어 외기 및 내부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재로서, 헤파필터, 부직포 등과 같은 미세필터로 이루어져 외기 및 내부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 등과 같은 미세입자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하게 된다.
흡입팬(250)은, 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필터링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터링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 및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수단로서, 팬모터 등과 같이 모터와 팬이 일체로 형성된 송풍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흡입팬은 커버부(100)의 송풍구간을 유모차의 내부공간을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각각의 구역에 균등하게 송풍하도록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사용되는 각 구역별로 송풍량의 제어가 가능한 복수의 팬모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출구(260)는, 케이싱(2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흡입팬(250)에 의해 송풍된 외기 및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재로서, 케이싱(210)의 하부에 필터링된 외기 및 내부공기가 배출되도록 관통 형성된 공기의 배출통로로 이루어져 있다.
송풍조절수단(270)은, 배출구(260)의 하류에 설치되어 배출구(260)에서 배출되는 송풍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서,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100)의 내벽면으로 송풍하도록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 또는 풍향 조절 블레이드(272)로 이루어져 있다.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250)에 의해 송풍되는 필터링된 외기 및 내부공기의 송풍을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의 외곽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의 상부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팬(250)에 의해 송풍되는 필터링된 외기를 외곽으로 확산시키도록 확산편(217a)이 중앙에서 외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의 상부 중앙부위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를 케이싱(210)의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결합돌기(27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풍향 조절 플레이트(27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하부에 측방으로 확장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부 측방으로 송풍하게 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풍향 조절 블레이드(272)는, 도 6 내지 도 8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10)의 하부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외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흡입팬(250)의 송풍을 케이싱(210)의 외곽으로 경사지게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송풍조절수단(270)으로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라미너플로우(Laminar Flow)의 기능를 이용해서 공기를 직진성으로 균등하게 분배해서 투입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의 단면이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분배관(273)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러한 분배관(273)에 의해 기존 대비 큰 사이즈의 공기 청정기와 하부 배플로 인해 상부에서부터 라미너플로우를 형성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자연스런 호흡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전원수단(280)은, 케이싱(2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흡입팬(250)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와 건전지 등과 같이 케이싱(210)의 내부 및 외부에 탈착되도록 설치 가능한 휴대형 전원(281)이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된 전원과 연결하도록 연결단자나 USB단자를 구비한 연결형 전원(282)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의 커버부의 상부에 공기정화부를 설치하여 커버부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함으로써, 차량의 매연, 황사, 주변 건물이나 작업장 등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냄새 또는 미세먼지, 꽃가루, 세균 및 각종 이물질 등이 포함된 외부공기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커버부로서 상면커버와 전면커버와 측면커버를 구비하고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유모차의 커버부에서 전면 및 측면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동시에 투명창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공기정화부로서 케이싱과 흡입구와 필터링부재와 흡입팬과 배출구와 송풍조절수단과 전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모차의 상부공간에 외기와 내부공기를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필터링하여 유모차의 내부공간에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내부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풍조절수단이 풍향 조절 플레이트 또는 풍향 조절 블레이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기정화부의 송풍시 풍향이나 풍량을 다양하게 변경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송풍조절수단이 반도체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라미너플로우(Laminar Flow)의 기능을 이용한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분배관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대비 큰 사이즈의 공기 청정기와 하부 배플로 인해 상부에서부터 라미너플로우를 형성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에게 자연스런 호흡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링부재가 제1 필터와 제2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외기와 내부공기에 포함된 조대입자와 미세입자를 순차적으로 함께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커버부 110: 상면커버
120: 전면커버 130: 측면커버
200: 공기정화부 210: 케이싱
220: 흡입구 230: 제1 필터
240: 제2 필터 250: 흡입팬
260: 배출구 270: 풍향조절수단
280: 전원수단 300: 유모차

Claims (9)

  1. 유모차에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에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로서,
    유모차의 상부공간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100); 및
    상기 커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하는 공기정화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커버부(100)의 상면에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며, 외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흡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외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링부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필터링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링부재에 의해 필터링된 외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흡입팬;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팬에 의해 송풍된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의 하류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송풍의 풍량과 풍향을 조절하는 송풍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조절수단은, 상기 커버부(100)의 내벽면으로 송풍하도록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풍향 조절 플레이트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어 흡입팬 의해 송풍되는 필터링된 외기 및 내부공기의 송풍을 커버부(100)의 내부공간의 외곽으로 가이드하게 되고,
    상기 풍향 조절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송풍되는 필터링된 외기를 외곽으로 확산시키도록 확산편(217a)이 중앙에서 외곽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풍향 조절 플레이트의 상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풍향 조절 플레이트를 케이싱의 하부에 고정 결합시키도록 결합돌기(27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00)는,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상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상면커버;
    상기 상면커버의 전면에 결합되며,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전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전면커버; 및
    상기 상면커버의 측면에 결합되며, 유모차의 상부공간의 측면에 개폐하도록 설치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및 상기 측면커버에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부(200)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에 설치된 VOC감지센서의 검출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흡입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부재는,
    외기에 포함된 조대입자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 및
    상기 제1 필터의 하류에 설치되어, 외기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제2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KR1020200038227A 2020-03-30 2020-03-30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KR102297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27A KR102297495B1 (ko) 2020-03-30 2020-03-30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27A KR102297495B1 (ko) 2020-03-30 2020-03-30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495B1 true KR102297495B1 (ko) 2021-09-02

Family

ID=7779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27A KR102297495B1 (ko) 2020-03-30 2020-03-30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49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527A (ko) * 2008-03-03 2009-09-08 송경애 유해가스및 먼지 차단장치가 있는 웰빙 크린유모차
KR20100124585A (ko) * 2009-05-19 2010-11-29 박용직 유모차 덮개
KR200475454Y1 (ko) * 2014-04-23 2014-12-02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송풍장치
KR20180053051A (ko) * 2016-11-11 2018-05-21 박상혁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KR20180079597A (ko) * 2016-12-30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모차의 제어방법
KR101919326B1 (ko) 2016-05-31 2019-02-08 김정학 공기정화기
KR20190074396A (ko) 2017-12-20 2019-06-28 신홍제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KR20190130441A (ko) 2018-05-14 2019-11-22 신홍제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4527A (ko) * 2008-03-03 2009-09-08 송경애 유해가스및 먼지 차단장치가 있는 웰빙 크린유모차
KR20100124585A (ko) * 2009-05-19 2010-11-29 박용직 유모차 덮개
KR200475454Y1 (ko) * 2014-04-23 2014-12-02 (주)어메이징그레이스 휴대용 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송풍장치
KR101919326B1 (ko) 2016-05-31 2019-02-08 김정학 공기정화기
KR20180053051A (ko) * 2016-11-11 2018-05-21 박상혁 영아를 위한 공기정화기
KR20180079597A (ko) * 2016-12-30 2018-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모차의 제어방법
KR20190074396A (ko) 2017-12-20 2019-06-28 신홍제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KR20190130441A (ko) 2018-05-14 2019-11-22 신홍제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9480B2 (ja) 空気自動浄化窓
KR101860904B1 (ko) 청정 공기 공급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및 설치되는 창틀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KR101947018B1 (ko) 청정 공기 공급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플레이트, 청정 공기 공급기가 설치되는 창틀, 및 창틀에 형성된 천공홀을 막는 마개
KR101494677B1 (ko)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CN103822312A (zh) 一种通风净化装置
KR101457444B1 (ko) 플라즈마 공기 청정장치
KR20090058815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WO2011035632A1 (zh) 空气清净机
KR20200018057A (ko) 워터 커튼 형성을 위한 분무 노즐과 구멍이나 바 타입 워터받이 샤워, 초음파 진동자, 자외선램프, 탈취 필터, 방범 및 방충기능 등을 포함하는 다기능 공기청정기
KR102297495B1 (ko)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KR102249967B1 (ko) 실외 공기정화기
KR101765226B1 (ko) 실내 유입공기 정화장치
KR102186948B1 (ko) 창문형 공기 청정기
CN203848443U (zh) 一种过桥式窗式动力型通风净化装置
JP2006250396A (ja) 空気清浄機能付喫煙室
CN203771574U (zh) 一种通风净化装置
CN204165145U (zh) 一种具有多重功效的嵌入式空气净化器
CN208765081U (zh) 空调室内机
CN108844150A (zh) 空气净化方法以及空气净化器
CN205227579U (zh) 一种气体净化装置
KR20040097613A (ko) 환기기능을 겸비한 벽걸이형 공기청정기
CN206344660U (zh) 一种车载空气净化器
CN215490196U (zh) 一种带uv杀菌的空气净化器
CN208794588U (zh) 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