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597A - 유모차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모차의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597A
KR20180079597A KR1020160184184A KR20160184184A KR20180079597A KR 20180079597 A KR20180079597 A KR 20180079597A KR 1020160184184 A KR1020160184184 A KR 1020160184184A KR 20160184184 A KR20160184184 A KR 20160184184A KR 20180079597 A KR20180079597 A KR 2018007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ccommodation space
baby carriage
terminal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술
박봉균
정해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4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9597A/ko
Publication of KR2018007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9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treating air sourced from urban areas, e.g. from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모차의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가 감지되면,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 S10단계 및 S20단계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30) 및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수용공간 내의 공기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유모차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5세 미만의 영아 또는 유아 보육에 필수용품으로 대다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아를 데리고 옥외로 여행하거나 외출하는 경우, 유모차는 유아를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모차는 유아를 태우고 이동하는 기구로서 유아의 안전이 가장 먼저 보장되어야 하고 동행자의 사용이 간편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모차는 유아의 안전을 고려한 구성과 동행자의 편리함을 고려한 구성에 있어서 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유모차는 단순히 유아의 탑승과 이동을 도울 뿐 유아가 탑승하고 있는 탑승공간 내부의 공기질이나 온도를 유아에게 최적으로 맞추어 주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서, 영유아가 추위나 미세먼지 등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에는 영유아의 보호자는 유모차 내부의 상태를 전혀 알수 없어서, 영유아에 대한 케어를 선제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과제는 보호자에게 유모차 내부의 상태 및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유모차에 탑승한 영유아에게 깨끗한 공기와 안락한 내부온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모차의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하고, 수용공간 내의 공기 오염도, 습도 및 온도를 감지하여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공기정화기를 작동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 오염도 및 습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히터를 작동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단말기의 위치를 인식하고 유모차를 상기 단말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를 안전하게 탑승시키고 영유아에게 쾌적한 주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보호자는 단말기를 통해 유아의 상태 및 수용공간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단말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유모차가 보호자의 주변으로 자동 이동하여, 보호자는 유아의 상태를 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B-B선을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유모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는 내부에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4)을 형성하고,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102)를 구비하는 유모차본체(100), 유모차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되는 차체(200) 및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하는 공기정화기(500)를 포함한다.
유모차본체(100)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04)을 정의하고, 일측에 영유아가 출입되는 출입구(102)가 구비된다. 또한, 유모차본체(100)는 후술하는 차제가 연결되고, 공기정화기(500)가 내장되는 공간을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유모차본체(100)는 일측이 개방된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충격을 해소하고, 아크 형태로 외부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분산하기 위함이다. 다만, 유모자 본체는 도면에 구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계란, 타원구 또는 직육면체 등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102)는 개구형태로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과 외부를 연통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입구(102)를 개폐하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유모차몸체(120)는 종래의 직물로 만든 일반적인 유모차와 달리, 오토바이 헬멧과 같이 고강도의 단단한 재질로 만들며, 예시로서 합성수지, 카본계열의 탄소섬유, 금속 또는 나무중의 어느 하나 이상으로 만드는 것이 들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재료를 부착시켜서 외부 충격의 전달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유모차몸체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차제는 유모차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전륜(210) 및 후륜(220)으로 구성된다.
차체(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체(200)는, 크게 전륜(210)이 양단에 결합되는 제1 차체(201)와, 전륜(210)의 반대측인 후단부에 후륜(220)이 양 단에 결합되는 제2 차체(202)로 구성된다.
차체는 중간에 유모차본체(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0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차제(201)는 1개가 구비되고, 제2 차체(202)는 2개가 구비되어서 삼발이 형태로 연결부(203)에 의해 연결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전륜(210) 또는/및 후륜(22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모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는 후륜(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 휠 방식(In-Wheel)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구동력으로 변환한다.
한편, 후륜(220)의 후륜(220)축(미도시)는 보호자가 유모차 이동 시 갑작스런 멈춤 또는 정차 시 사용될 수 있는 풋브레이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차체(200)의 후방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에 보호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01)를 포함한 프레임(300)이 더 구비된다. 여기서 프레임(300)은 인출입되도록 구성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프레임은 차제의 연결부(203)에 연결된다.
프레임(300)은 도면에 각기 다른 외경의 파이프가 2단으로 구성되어 서로 인출입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 3단 이상의 다단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301)는, 회전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유모차를 사용하는 보호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는 회전각도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여서, 유모차를 수동 또는 자동운전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로 기능할 수도 있다.
보호자가 손잡이(301)를 손쉽게 회전시키고 그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0)는 탄원 형상의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모차본체(100) 및 차체(200) 사이에 결합되어 유모차 본체(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400)가 더 구비된다.
높이조절부(400)는 유압실린더 또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4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식 높이조절부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모차본체(100)는 높이조절부(40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영유아를 수용하는 유모차본체(100)를 카시트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400)와 유모차본체(100) 사이에는 스윙모션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윙모션부(400)는 유모차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고, 높이조절부의 상단에 결합되어서, 유모차 본체에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스윙모션부(400)는 복수개의 캠 축을 사용하여 1축 내지 3축으로 입체적이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모차는 유모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9)가 더 구비된다.
전원공급부(209)는 제어부(61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09)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700)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09)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209)는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209)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209)의 차제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9)는 차체(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공기정화기(500)는 공기유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구(미도시)로부터 토출구(미도시)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51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정화기(500)는 제어부(6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 오염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정화기(500)는 가습기능을 구비하여 공기 정화 및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기 또는/및 제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본체(100)의 B-B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모차본체(100)는 아우터 케이싱(110)과, 이너 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모차본체(100)는, 일측에 출입구(102)가 형성되고 유모차본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싱(110),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수용공간(104)과 공기정화공간으로 구획하는 이너 케이싱(12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110)은 일측에 출입구(102)를 가지는 구 형상이고, 유모차 본체의 외관을 형성한다.
이너 케이싱(120)은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수용공간(104)과 공기정화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너 케이싱(120)은 출입구(102) 마주보게 배치되어서, 이너 케이싱(120)의 상부 공간은 수용공간(104)이 되고, 이너 케이싱(120)의 하부와 아우터 케이싱(110) 사이의 공간은 공기정화공간으로 정의된다.
아우터 케이싱(110)과, 이너 케이싱(120)은 고강도의 합성수지, 탄소섬유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공간(104) 내에 탑승하는 영유아에게 부드러운 탑승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수용공간(104)의 내면에는 이루어지는 시트(125)가 구비된다.
시트(125)는 아우터 케이싱(110) 및 이너 케이싱(120) 보다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는, 고무, 발포수지, 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모차본체(100)는 아우터 케이싱(110)의 하방을 커버하는 로어 케이싱(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케이싱(130)은 높이조절부, 차제 및 스윙모션부(4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다. 로어 케이싱(130)은 아우터 케이싱(110)과 높이조절부, 차제 및 스윙모션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고, 아우터 케이싱(110)이 쉽게 착탈 가능하게 한다.
공기정화기(500)는 유모차본체(100)의 수용공간(104)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제공한다.
공기정화기(500)는 유모차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와 수용공간(104)을 연통하며,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03)와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02)를 포함하는 공기유로(501), 공기유로(501)의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구(503)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 공기유로(501)의 내부에 위치되어 흡입구(503)로부터 토출구(502)로 공기가 유동되게 유동력을 제공하는 송풍유닛(510)을 포함한다.
공기유로(501)는 유모차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외부와 수용공간(104)을 연통한다. 공기유로(501)는 공기정화공간에 배치된다. 공기유로(501)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다.
공기유로(501)는 일측에 흡입구(503)가 배치되고 타측에 토출구(502)가 배치된 하나의 유로이다.
흡입구(503)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유로(501)와 연결된다. 흡입구(503)는 아우터 케이싱(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토출구(502)는 공기유로(501)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고, 공기유로(501)와 연결된다. 토출구(502)는 이너 케이싱(12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토출구(502)는 이너 케이싱(120)과 시트(125)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토출구(502)는 공기유로(501) 내에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장소이다.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의 내부에 위치된 공기가 내부에서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502)는 수용공간(104) 내부의 공기가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도록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수용공간(104) 내부의 공기가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기 위해, 토출구(502)는 적어도 서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토출구(502a)와, 제2 토출구(5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토출구(502a) 및 제 2 토출구(502b)는 기준면(D1)에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에서 반경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따라서, 기준면(D1)에서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의 원호의 접선 방향으로 공기유로(501) 내의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면(D1)은 수용공간(104)의 중심점(C1)과 출입구(102)의 중심(C2)을 연결한 가상은 선에 교차되는 임의의 면이다.
따라서, 수용공간(104)의 내의 공기가 원심순환기류(R)를 형성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와 내부의 공기가 쉽게 혼합되지 않으므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질과 온도가 오래도록 유지된다.
공기유로(501) 내에는 공기유로(5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600)는 공기유로(5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한다. 히터(600)를 통해 수용공간(104)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모차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공기질 감지센서(630), 수용공간(104)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640),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50), 수용공간(104) 내의 영유아를 감지하는 인식센서(620),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존재하는 영유아를 감지하여서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공기질 감지센서(63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공기질 감지센서(630)는 복수개의 센서군이 조합되어 각 기능부 주위의 공기에 함유된 각각 상이한 특성을 단 1회의 동작에 의하여 감지할 수 있는 복합 센서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군은, 공기 중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량을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와, 공기 중의 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지하는 매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습도센서(64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온도센서(65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제어부(610)에 제공한다.
제어부(610)는 입력되는 명령정보 또는/및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유모차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10)는 유모차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단말기(700)(미도시)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단말기(700)에서 입력된 제어명령을 바탕으로 유모차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논리적인 판단을 하는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유닛(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0)는 유모차의 동작에 관한 동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의 유모차는 단말기(700)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모듈(6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660)은 단말기(7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모듈(660)은 단말기(700)의 통신모듈과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무선 통신모듈(660)은 단말기(7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610)로 출력할 수 있고, 제어부(610)로부터 유모차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외부의 단말기(7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66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다른 예를 들면, 무선 통신모듈(660)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제어부(61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상태, 온도에 따라 공기정화기(500) 또는/및 히터(6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인식센서(62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내에 영유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공기질 감지센서(63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가 기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기정화기(5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0)는 공기정화기(500)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송풍유닛(5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송풍유닛(510)을 작동시킨다.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인식센서(62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내에 영유아가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온도센서(650)에서 입력된 센싱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가 기설정된 온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터(6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0)는 히터(600)의 작동이 필요한 경우라고 판단되면, 히터(6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히터(600)를 작동시킨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 온도 및 영유아의 존재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61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10)와 연결된 단말기(700)는 제어부(610)에서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 온도,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단말기(700)는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시각적 컨텐츠를 제공하는 멀티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의미할 것이다. 물론, 단말기(700)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어 단말기(7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말기(7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호자는 단말기(700)를 통해 유아의 상태 및 수용공간(104) 내부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단말기(7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수용공간(104) 내의 습도, 온도 및 공기질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610)는 단말기(7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유모차를 단말기(700)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10)가 단말기(700)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700)를 소지하고 있는 보호자의 위치로 유모차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유모차의 제어방법은, 유모차의 수용공간(104) 내에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수용공간(104) 내에 영유아가 감지되면, 수용공간(104) 내부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 S10단계 및 S20단계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700)로 송신하는 단계(S30); 및 단말기(700)의 제어명령에 따라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40); 를 포함한다.
유모차의 수용공간(104) 내에 구비된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S10). 인식센서(620)는 수용공간(104)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또는/및 물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 근접센서로 구성되어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한다. 인식센서(620)가 영유아의 존재를 감지하면, 제어부(610)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700)에 송신한다.
수용공간(104) 내에 영유아가 감지되면, 수용공간(104)에 구비된 다수의 센서들이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를 감지한다(S20). 구체적으로, 공기질 감지센서(63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S21)하고, 습도센서(64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습도를 감지 (S22)하며, 온도센서(650)는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S23)한다.
제어부(610)는 S10단계 및 S20단계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신모듈(660)을 통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700)로 송신한다(S30). 제어부(610)는 인식센서, 공기질 감지센서(630), 습도센서(640), 온도센서(650)에서 감지된 정보를 단말기(700)에 송신하고, 단말기(700)는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기(700)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보호자가 단말기(700)를 통해 제어명령을 제어부(610)에 전송하면, 제어부(610)는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명령에 따른 수용공간(104) 내의 공기상태를 제어한다(S40). 제어부(610)는 제어 명령에 따라, 공기정화기(500) 및 히터(600)를 동작시킨다.
제어부(610)는 공기질 감지센서(630)에서 감지된 공기 오염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1). 공기 오염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610)는 공기정화기(500)를 작동시키고(S411), 단말기(700)의 위치를 파악하여 유모차를 단말기(700)의 위치로 이동시킨다(S412).
제어부(610)는 습도센서(640)에서 감지된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습도가 설정습도 이하로 감지되면, 공기정화기(500)를 작동시킨다(S411). 제어부(610)는 공기정화기(500)를 작동시켜 수용공간(104) 내부의 습도를 적정 습도로 유지하고, 수용공간(104) 내부의 습도가 설정 습도에 도달하면 공기정화기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제어부(610)는 온도센서(65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3).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감지되면, 히터(600)를 작동시킨다(S431). 제어부(610)는 히터(600)를 작동시켜 수용공간(104) 내부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유지되면 히터(600)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500: 공기정화기 600: 히터
610: 제어부 620: 인식센서
630: 공기질 감지센서 640: 습도센서
650: 온도센서 700: 단말기

Claims (7)

  1. 유모차의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수용공간 내에 영유아가 감지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S10단계 및 상기 S20단계에서 감지된 정보를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S30); 및
    상기 단말기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상태를 제어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0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S21);
    상기 수용공간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단계(S22); 및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23)를 포함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도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량 및 매연물질(질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공기정화기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가 기 설정된 오염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유모차를 상기 단말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히터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는,
    상기 수용공간 내 공기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기정화기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모차의 제어방법.
KR1020160184184A 2016-12-30 2016-12-30 유모차의 제어방법 KR2018007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4A KR20180079597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84A KR20180079597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97A true KR20180079597A (ko) 2018-07-11

Family

ID=6291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184A KR20180079597A (ko) 2016-12-30 2016-12-30 유모차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959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96B1 (ko) * 2018-11-08 2019-12-0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CN111332354A (zh) * 2020-04-06 2020-06-26 孙弢 一种智能婴儿车
KR20200127466A (ko) * 2019-05-02 2020-11-11 박희준 요람 겸용 유모차
WO2021044159A1 (en) * 2019-09-05 2021-03-11 Ebitsu Ltd A carriage for transporting a child or infant
KR102297495B1 (ko) * 2020-03-30 2021-09-02 주식회사 저스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EP4023528A1 (de) * 2020-12-30 2022-07-06 Osann GmbH Kinderwag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996B1 (ko) * 2018-11-08 2019-12-0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WO2020096163A1 (ko) * 2018-11-08 2020-05-14 김종례 유모차용 스마트 발열 시트
CN111417562A (zh) * 2018-11-08 2020-07-14 金钟礼 婴儿车用智能发热坐垫
KR20200127466A (ko) * 2019-05-02 2020-11-11 박희준 요람 겸용 유모차
WO2021044159A1 (en) * 2019-09-05 2021-03-11 Ebitsu Ltd A carriage for transporting a child or infant
CN114286776A (zh) * 2019-09-05 2022-04-05 埃比特苏有限公司 运送儿童或婴儿的推车
KR102297495B1 (ko) * 2020-03-30 2021-09-02 주식회사 저스템 공기정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커버
CN111332354A (zh) * 2020-04-06 2020-06-26 孙弢 一种智能婴儿车
EP4023528A1 (de) * 2020-12-30 2022-07-06 Osann GmbH Kinderwa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597A (ko) 유모차의 제어방법
KR20180073759A (ko) 유모차
CN209014815U (zh) 由用户佩戴的头戴式显示器
CN105962483B (zh) 一种多功能智能口罩
WO2017020734A1 (zh) 一种多功能家庭服务机器人
KR102549153B1 (ko) 공기청정기
CN205381172U (zh) 一种具有自动恒温功能的儿童安全座椅及安全座椅系统
CN109512210A (zh) 一种新型智能婴儿床
CN106406313A (zh) 投影机器人及其投影方法
KR102608622B1 (ko)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환기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복합기
CN109606074A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2519133B1 (ko)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120093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유모차의 냉난방장치 제어 방법
CN204969659U (zh) 一种用于骑行的智能安全防污染头盔
CN205554265U (zh) 一种智能婴儿车
CN105167301A (zh) 一种用于骑行的智能安全防污染头盔
CN206178475U (zh) 投影机器人
CN110864384A (zh) 一种具有私人定制功能的出风设备
CN109318240A (zh) 智能抱婴机器人
KR102212059B1 (ko) 요람 겸용 유모차
CN208419099U (zh) 用于空调的红外感应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CN205469230U (zh) 智能自走式防雾霾婴儿车
KR102108357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78914A (ko) 유모차
CN207679213U (zh) 智能婴儿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