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967B1 - 실외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실외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967B1
KR102249967B1 KR1020200124197A KR20200124197A KR102249967B1 KR 102249967 B1 KR102249967 B1 KR 102249967B1 KR 1020200124197 A KR1020200124197 A KR 1020200124197A KR 20200124197 A KR20200124197 A KR 20200124197A KR 102249967 B1 KR102249967 B1 KR 102249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air purifier
lower housing
air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24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967B1/ko
Priority to PCT/KR2021/012812 priority patent/WO20220658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오염 공기를 상향류 방식으로 필터링하여 상부 캡을 통해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부와; 하부 하우징의 외부면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지지부; 지지부에 장착된 태양광 발전 패널부; 및 공기정화부와 태양광 발전 패널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정화부의 하부 하우징 내에 하나 이상의 중공형 필터를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외 공기정화기 {Outdoor air cleaner}
본 발명은 실외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타워(tower)형 실외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및 공업화 사회에서 현대인들은 각종 유해가스, 황사, 미세먼지 등에 노출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유해물질들은 호흡을 통해 인체에 유입되어 호흡기 질환, 심장계 질환, 바이러스·세균 감염 등으로 문제화되고 있다.
공기정화기는 필터를 수단으로 하여 공기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에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장치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에 대한 연구는 현재에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 공간을 정화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혹은 옥외)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즉, 공기정화기는 옥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용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설비 그리고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공원, 어린이 놀이터 등 공공장소 또는 도로 주변이나 사람이 많은 지역에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163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실외 환경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오염 공기를 정화하여 대기 중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패널을 이용해 자가발전하는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는 하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오염 공기를 상향류 방식으로 필터링하여 상부 캡을 통해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부와; 하부 하우징의 외부면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지지부; 지지부에 장착된 태양광 발전 패널부; 및 공기정화부와 태양광 발전 패널부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 하우징의 내측과 하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중공형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은 중공형 필터의 수납을 돕는 카트리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중공의 수직관과; 수직관의 하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하부 하우징은 수직관의 내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형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관의 하단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는 하부 하우징의 상측 개구 내에 위치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수직 바아; 및 다수의 수직 바아 하단에 배치된 원뿔형상의 콘;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카트리지는 다수의 수직 바아 외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형 날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캡은 하부 하우징의 상측에 연통가능하게 배치된 중공관과; 중공관의 상단 둘레에 배치된 플랜지; 플랜지의 내부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 중공관의 상단 개구를 개방하도록 플랜지 상에 결합된 밀폐 커버; 및 상향류로 공기 흐름을 유동하도록 중공관 내측에 배치된 블로워;를 구비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밀폐 커버의 하부면 중심에 가이드 베인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캡은 플랜지와 평행하게 중공관 외주면 둘레에 확산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 캡의 중공관 내측에 살균기를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옥외에 공간적 제약 없이 설치가능한 타워형 구조를 갖는 실외 공기정화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외 오염 공기를 정화하여 대기오염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태양광을 이용한 자가발전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에 따른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양한 정보와 광고 홍보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공기정화부를 구성하는 하부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공기정화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공기정화부를 구성하는 상부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된 청정 공기를 재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 타워(tower)형 공기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가능하도록 타워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장/도로 주변 등에 설치하여도 주변 경관을 훼손하지 않고 보행자의 보행 및/또는 시야 확보 등에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는 오염 공기를 정화하여 대기 중으로 순환공급하는 공기정화부(1)와, 지지부(2), 및 태양광 발전 패널부(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공기정화부(1)를 기초로 하여 도로 주변에 입설되되, 전술된 공기정화부(1)를 통해 주변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한 후에 정화된 청정 공기를 대기 중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정화부의 구조와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정화부(1)의 상부에 위치된 태양광 발전 패널부(3)를 지지보유할 수 있는 지지부(2)를 구비한다. 지지부(2)는 도시되었듯이 공기정화부(1)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되어 있는데, 하부 하우징(110)의 외부면에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지지부는 태양광 발전 패널부를 지지보유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태양광 발전 패널부(3)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본 발명에 포함된 구성부재, 예컨대 후술될 공기정화부(1)의 블로워와 살균기, 후술될 디스플레이부(4) 등에서 요구되는 전기를 자체적으로 발전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 설비이다. 여기서, 태양광 발전 패널부(3)는 한쌍의 지지부(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태양의 조사 각도에 대응하여 태양광 발전 패널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시간정보, 날씨정보, 위치정보, 광고정보 등을 다양한 문자, 기호 혹은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음향출력을 위해 스피커(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부는 공기정화부(1), 태양광 발전 패널부(3), 디스플레이부(4) 등을 제어/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제어부(5)는 태양광 발전 패널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비축하고 예컨대 공기정화부의 블로워와 살균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5)는 통상적으로 태양광 발전 패널부에서 생산된 직류(DC)를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 미세먼지 측정센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부(1), 태양광 발전 패널부(3), 디스플레이부(4), 및 제어부(5)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배제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부(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의 주변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한 후에 정화된 청정 공기를 실외 공기정화기 주변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공기정화부(1)는 하부 하우징(110)과, 하부 하우징(110) 내에 동축선상으로 배치된 카트리지(120), 카트리지(1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필터(130), 및 하부 하우징의 상단 개구를 덮어씌우는 상부 캡(140)을 구비하는바, 특히 하부 하우징(110)의 중공부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도록 상향류식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타워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中空)의 수직관(111)과, 주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수직관의 하측부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112), 및 수직관(111)의 내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형 날개(113)를 구비한다. 하부 하우징(110)은 수직관의 상측 개부에 탈장착가능하게 상부 캡(140)을 배치하는데, 상부 캡의 원활한 탈장착을 위해 지지부(2)가 하부 하우징(110)의 외주면으로부터 길이연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외 공기정화기는 도로 상에서 하부 하우징(110)을 지주(支柱)로 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실외 공기정화기의 안정적인 입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직관(111)의 하단에 용접 등의 접합 방식을 통해 지지판(114)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덧붙여서, 하부 하우징(110)은 수직관(111)의 하단 둘레, 다시 말하자면 수직관(111)과 지지판(114)의 연결 부위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111a)을 형성한다. 배출공(111a)은 하부 하우징(110)의 하부에 가라앉은 이물질, 빗물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하부 하우징(110)은 제1 나선형 날개(113)를 수단으로 하여 흡기공(112)을 통해 강제로 내부 유입된 오염 공기를 수직관(111) 내에서 나선형태로 선회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10)은 흡기공(112)과 제1 나선형 날개(113)를 중첩되지 않도록 제1 나선형 날개(113)를 수직관(111)의 상단과 흡기공(112) 사이의 수직관 내주면 상에 배치한다.
카트리지(120)는 공기의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중공형 필터(130)를 지지보유하는 동시에 카트리지 내부에 적층배열된 하나 이상의 필터와 공기 간의 충분한 접촉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공기의 관통을 허용하는 속이 비어 있는 통발 형태의 그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120)는 수직관의 상측 개구 내에 위치고정되는 프레임(121)과, 프레임(121) 둘레를 따라 소정의 이격 거리를 두고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수직 바아(122), 및 다수의 수직 바아(122)의 하단에 배치된 원뿔형상의 콘(123;cone)을 구비하며, 다수의 수직 바아(122)는 프레임(121)의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카트리지(120)는 하부 하우징(110), 즉 수직관(111)의 상단 개구 내에서 현수(懸垂) 방식으로 매달려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는 수직관의 내측과 하부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21)은 앞서 기술되었듯이 다수의 수직 바아(122)를 지지하는 동시에 다수의 수직 바아(122)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 공간으로 하나 이상의 필터(133)를 유출입가능하도록 허용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선택가능하기로, 프레임(121)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의 중심에 탈장착가능한 메쉬망을 배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쉬망은 카트리지 내에 수납된 중공형 필터(130)의 내부 중공부로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130)는 필터링되지 않고 중공형 필터(130)의 하단 개구를 통해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원뿔형상의 콘(123)을 원통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직 바아(122) 하단에 위치고정한다. 덧붙여서, 콘(123)은 수직관(111)의 하부 내측에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로워(146)의 구동에 의해 상향류로 압송되는 공기 흐름을 방사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카트리지(130)는 원통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직 바아(122)의 외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형 날개(12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이 수직관(111)과 카트리지(120) 사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는바, 이격 공간 내에 제1 나선형 날개와 제2 나선형 날개를 배치할 수 있다. 덧붙여서, 디수의 수직 바아(122) 둘레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 나선형 날개(124)와 수직관(111)의 내주면 상에서 중심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 나선형 날개(113)는 상호 접촉되지 않고 수직관의 길이방향 혹은 관축방향을 따라 교호(交互)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나선형 날개(113)와 제2 나선형 날개(124)를 통해 상향류되는 공기 흐름을 필터(130)를 중심으로 나선형태로 선회하도록 유도하면서 하부 하우징의 수직관(111)과 카트리지에 수용된 중공형 필터(130)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하는 동시에 필터의 외주면 전면(全面)에 고르게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카트리지(120)는 다수의 수직 바아(122)의 배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수의 수직 바아(122)와 직교되게 수평 둘레방향으로 배치된 고정 링(125)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필터(130)는 카트리지(120)의 다수의 수직 바아(122)로 한정된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중공형 필터(130)를 통해 공기의 입자상 물질을 필터링하고 정화된 공기를 필터(130)의 내부 중공부를 따라 상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물론, 필터(130)는 공기의 미세 입자도 확실하게 집진할 수 있는 헤파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캡(140)은 하부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를 마감하는 동시에 정화처리된 청정 공기를 실외 공기정화기 주변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부 캡(140)은 하부 하우징(110)의 상측, 구체적으로 수직관(111)과 연통가능하게 배치된 중공관(141)과, 중공관(141)의 상단 가장자리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142), 플랜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어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다수의 배기공(143), 중공관의 상단 개구를 덮어씌울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밀폐 커버(144), 밀폐 커버(144)의 하부면 중심에 배치된 원뿔형상의 가이드 베인(145), 및 중공관의 내측에 배치된 블로워(146;blower)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전처리된 공기 내에 함유된 유해성분을 분해시킬 수 있는 살균기(147)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41)은 이의 내측에 블로워(146)와 살균기(147)를 구비한다. 물론, 본 발명은 제어부의 조작 신호에 연동되어 블로워의 구동과 살균기의 운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로워(146)의 구동에 의해 하부 하우징(110)의 흡기공(112)로 흡입된 공기를 하류로 강제 송풍하여 상부 캡(140)의 중공관(141)을 지나 배기공(143)을 통해 실외 공기정화기의 주변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상부 캡은 블로워(146)의 하류측에 중공관(141)의 내부 중공부를 가로질러 메쉬망(도 7 참조)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메쉬망은 예상치 못하게 배기공을 통해 중공관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살균기(147)는 중공형 필터(130)를 가로질러 이의 내부 중공부를 따라 이송되는 공기를 하류로 안내하는 동안에 자외선 방출을 통해 추가 공기정화를 할 수 있다. 예컨대, 살균기(147)는 자외선 광원을 내설할 수 있다. 살균기는 200㎚~400㎚ 파장대의 자외선을 방사할 수 있는 자외선 살균 광원으로, 정화된 공기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200㎚~280㎚ 파장대의 자외선은 살균력이 강한 파장으로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류 등의 세균을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살균기(147)는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플라즈마 발생기일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발생기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자외선 방사가 이루어져 정화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다.
블로워(146)를 통해 하류를 향해 강제 송풍되는 청정 공기는 밀폐 커버(144)를 통해 배기공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중공관의 상단 개구와 이격배치된 가이드 베인(145)을 수단으로 하여 반경방향으로 확산된다. 밀폐 커버(144)는 중공관(141)의 상단 개구에 개방을 보장하면서 배기공과 중공관을 유체연통가능하게 플랜지(142)의 가장자리에 결합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상의 가이드 베인(145)은 밀폐 커버의 하부면에서 중공관의 내부 중공부를 향해 하향 돌출된다. 가이드 베인(145)을 통해 반경방향으로 방향전환된 청정 공기는 플랜지(142)와 밀폐 커버(144) 사이를 지나 배기공(14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상부 캡(140)은 중공관(141) 외주면 둘레를 따라 플랜지(142)와 평행하게 배열된 확산판(148)을 추가로 구비한다. 확산판(148)은 플랜지(142) 아래에 평행하게 배열된다. 청정 공기는 배기공(143)을 지나 실외 공기정화기 외부로 토출되면서, 확산판(148)의 접촉으로 실외 공기정화기 주변에 머물지 않고 넓게 확산시킬 수 있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은 블로워(146)의 회전으로 실외 공기정화기의 하부 주변에 오염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하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오염 공기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중공형 필터(130)를 통과한 후 상향류로 흐르면서 상부 캡(140)의 중공관(141)을 지나 배기공(143)으로 유동하게 된다. 덧붙여서, 배기공(143)을 관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청정 공기는 일시적으로 하향류로 흐르도록 하여 배기공을 통해 역풍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경로를 통과하면서, 청정 공기는 외부를 향해 고풍량으로 토출될 수 있게 블로워(146)를 후단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외 공기정화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공기정화부,
110 ---- 하부 하우징, 120 ----- 카트리지,
130 ----- 중공형 필터, 140 ----- 상부 캡,
2 ----- 지지부,
3 ----- 태양광 발전 패널부,
4 ----- 디스플레이부,
5 ----- 제어부.

Claims (11)

  1. 중공(中共)의 수직관(111)으로 형성된 하부 하우징(110)과, 상기 수직관의 내측과 하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하나 이상의 중공형 필터(130), 및 상기 중공형 필터의 수납을 돕는 카트리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오염 공기를 상향류 방식으로 필터링하여 상부 캡(140)을 통해 청정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정화부(1)와;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외부면에서 상방으로 길이연장된 지지부(2);
    상기 지지부(2)에 장착된 태양광 발전 패널부(3); 및
    상기 공기정화부(1)와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부(3)를 조절하는 제어부(5);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120)는,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상측 개구 내에 위치고정되는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다수의 수직 바아(122); 및
    상기 다수의 수직 바아(122) 하단에 배치된 원뿔형상의 콘(123;cone);을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10)은 상기 수직관(111)의 하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공(112)을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110)은 상기 수직관(111)의 내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1 나선형 날개(113)를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111)은 하단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출공(111a)을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120)는 상기 다수의 수직 바아(122) 외주면 둘레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제2 나선형 날개(124)를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140)은,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상측에 연통가능하게 배치된 중공관(141)과;
    상기 중공관(141)의 상단 둘레에 배치된 플랜지(142);
    상기 플랜지(142)의 내부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공(143);
    상기 중공관(141)의 상단 개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랜지(142) 상에 결합배치된 밀폐 커버(144); 및
    상향류로 공기 흐름을 유동하도록 상기 중공관(141) 내측에 배치된 블로워(146);를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밀폐 커버(144)는 하부면에 가이드 베인(145)을 배치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140)은 상기 플랜지(142)와 평행하게 상기 중공관(141) 외주면 둘레에 확산판(148)을 배치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140)은 상기 중공관(141) 내측에 살균기(147)을 추가로 배치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4)를 추가로 구비하는 실외 공기정화기.
KR1020200124197A 2020-09-24 2020-09-24 실외 공기정화기 KR102249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197A KR102249967B1 (ko) 2020-09-24 2020-09-24 실외 공기정화기
PCT/KR2021/012812 WO2022065829A1 (ko) 2020-09-24 2021-09-17 실외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197A KR102249967B1 (ko) 2020-09-24 2020-09-24 실외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967B1 true KR102249967B1 (ko) 2021-05-12

Family

ID=7591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197A KR102249967B1 (ko) 2020-09-24 2020-09-24 실외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9967B1 (ko)
WO (1) WO202206582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829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실외 공기정화기
KR102388606B1 (ko) * 2021-09-16 2022-04-20 주식회사 지나테크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소독 분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141A1 (en) * 2005-02-03 2006-08-03 Yuen Se K Electro-optical air purifying & dust collector
KR20170040163A (ko) 2014-07-25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정기
KR101964903B1 (ko) * 2018-05-24 2019-08-07 주식회사 디에이피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KR102075373B1 (ko) * 2019-02-14 2020-02-10 주식회사 광해금속 옥외용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035A (ko) * 2015-12-15 2017-06-23 삼중교역산업(주) 집진기용 이중 필터백
KR102249967B1 (ko) * 2020-09-24 2021-05-12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실외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9141A1 (en) * 2005-02-03 2006-08-03 Yuen Se K Electro-optical air purifying & dust collector
KR20170040163A (ko) 2014-07-25 2017-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정기
KR101964903B1 (ko) * 2018-05-24 2019-08-07 주식회사 디에이피 개방공간용 공기정화장치
KR102075373B1 (ko) * 2019-02-14 2020-02-10 주식회사 광해금속 옥외용 공기청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829A1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티앤씨 코리아 실외 공기정화기
KR102388606B1 (ko) * 2021-09-16 2022-04-20 주식회사 지나테크 공기살균기능을 갖는 소독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829A1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967B1 (ko) 실외 공기정화기
CN102748817B (zh) 一种高效多功能模块化室内空气净化装置
US5616172A (en) Air treatment system
US20100111792A1 (en) Atmospheric molecular respirator
EP3318672A1 (en) Street furniture for air cleaning in open spaces
KR102275945B1 (ko) 건축물,병원,학교,군대의 막사,공장,동물을 사육하는 축사,식물을 재배하는 농장,사무실,지하주차장,지하철에 존재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해물질성 물질분자와 미세먼지제거 기능,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 습도조절기능,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발휘하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다기능 공기 정화시스템
CN101839534B (zh) 一种壁挂式多功能层流杀菌机
KR101494677B1 (ko)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공기정화장치
KR20200107116A (ko) 유해성분 제거성능이 향상된 실내환기시스템
KR102076711B1 (ko) 지주 시설물 장착형 대기오염 정화장치
CN204438338U (zh) 太阳能或可接电源两用之户外型空气清净装置
CN213020188U (zh) 一种室内空气净化器
CN205402964U (zh) 一种多级过滤空气净化扇
CN212619077U (zh) 一种激光杀菌装置
CN205682262U (zh) 一种环保绿化墙
KR20170003584U (ko) 공기살균 및 탈취기
CN211450669U (zh) 一种除尘路灯
KR102642362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CN212179088U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0211976U (zh) 车载空气净化器的风道结构
CN206803358U (zh) 一种新型移动式空气净化消毒器
CN207555804U (zh) 一种光催化灭蚊空气净化器
KR102333680B1 (ko) 고천정 공기 정화기
KR10252666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을 포함한 다기능성 도로 분리대
KR102496207B1 (ko) 식물필터 및 공기정화를 위한 롤타입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