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475B1 -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475B1
KR102175475B1 KR1020147016839A KR20147016839A KR102175475B1 KR 102175475 B1 KR102175475 B1 KR 102175475B1 KR 1020147016839 A KR1020147016839 A KR 1020147016839A KR 20147016839 A KR20147016839 A KR 20147016839A KR 102175475 B1 KR102175475 B1 KR 102175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module
equipment room
disposed
electrical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8948A (ko
Inventor
박영근
박동하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8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3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for fuses with blade typ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장실은, 전류 센서, 릴레이,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전장실 보드;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는, 전류 센서, 릴레이,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전장실 보드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전장실과;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An electric components chamber of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package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100555호에는, 각 셀 커버에 양끝단으로 형성된 접속판이 직렬로 연결 접속되도록 삽입되는 다수의 배터리 셀과, 상기 셀 커버가 가이드홈을 따라 삽입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셀이 삽입된 셀 커버를 메인 프레임에 고정하는 탑커버로 구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차량의 ECU와 연결 접속되는 배터리 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측 밑면에 상기 가이드홈 내의 접속판과 연결되는 각각의 접속홀과; 상기 접속홀에 삽입되어 그 접속판과 접속되어 상기 ECU로 전기를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각 접속수단과; 상기 접속수단 간을 도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패키지가 개시된다.
위와 같은 배터리 패키지에 구비되는 각 베터리 셀의 충전 및 방전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전자부품이 구비된 전장실이 필요하다. 종래의 배터리 패키지의 경우, 배터리 패키지와 전장실이 별도로 구별되어 존재하였으므로, 배터리 패키지 및 전장실을 각각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어 부피가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전장실의 경우 대부분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부품을 최단거리로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력의 전달속도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버스바에는 대부분 고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는 상기 전장실 내부에 설치된 다른 전자 부품들로 하여금, 전자기장에 의한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인버터 등의 전자 부품은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 및 설치되므로, 이들을 포함한 제품 내부에 각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전자 부품을 모두 갖추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바 등의 효율적인 배치를 이용하여 부피가 작고, 내부 전자 부품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실은, 전류 센서, 릴레이,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전장실 보드;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 및 제어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자기장의 영향이 상기 제어부로 미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내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중 어느 하나의 버스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버스바는, 폭 방향이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수직부 및 제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전장실은, 상기 수직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내부 격벽과, 상기 수직부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외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수직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 또는 외부 격벽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장방형에서 일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부분에는 전자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복수개의 버스바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일면에 2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릴레이의 2개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버스바의 단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는, 전류 센서, 릴레이,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전장실 보드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하는 전장실과;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전자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는, 상기 배터리 팩 전장실의 일측 모서리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제 1 버스바; 상기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와 연결되는 제 2 버스바; 상기 배터리 팩 전장실 상에서 상기 일측 모서리부의 반대편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제 3 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 사이에는 상기 전류 센서, 릴레이,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개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 사이에는, 상기 전류 센서, 릴레이 및 퓨즈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보드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퓨즈가 안착되는 퓨즈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다른 부품에 전달하기 위한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전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전장실은,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 및 전자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전장실 보드; 및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와 상기 전자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장실 보드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제어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은 평행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장실 보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의 상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은,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류 차단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와,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전류 차단수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전류 차단수단을 연결하는 버스바는, 폭방향이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양 단자부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일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양 단자부가 상기 전장실 보드의 타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퓨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패키지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전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커버의 외부를 연통되게 하는 통기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에 수직한 제 1 부분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에 수평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전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제어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고전류가 흐르는 버스바를 외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전자 제품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장실 내부의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단자와, 전장실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의 각 단자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배치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각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상치 못한 전기적 접속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실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및 측면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커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1)는,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모듈(400)과, 다수의 전자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500)과, 상기 배터리 모듈(400) 및/또는 전장실(500)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커버(100)(200)(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0)(200)(300)의 양측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 연통되는 통기 유로(320, 도 3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0)(200)(300)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 연통되는 배출 유로(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0)(200)(300)는, 예를 들어 상측 커버(100)와, 하측 커버(200)와, 측면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커버(1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커버(1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상면을 감싸는 상면부(102)와, 상기 상면부(102)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연장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커버(100)는, 상기 측면 커버(300)에 구비되는 통기 유로(320, 도 5 참조)가 수용되는 통기 유로 수용부(120)와, 상기 배출 유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통기 유로(320)와 밀착되어 상기 통기 유로(320) 및 상측 커버(100) 사이로 공기가 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제 1 연장부(104)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상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130)는, 후술할 배기부(418, 도 6)로부터 유출되는 배터리 셀(410, 도 6)의 내부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배출 유로(1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연장부(104)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커버(2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측 커버(200)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 모듈(40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이 개구되는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하측 커버(2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면부(202)와, 상기 하면부(202)로부터 상기 상측 커버(10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204)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커버(100)의 하단부, 예를 들면 상기 제 1 연장부(104)의 하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04)의 상단부 및 상기 상측 커버(100)의 하단부에는 고무 등의 실링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상측 커버(100) 및 하측 커버(200)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커버(200)는, 상기 통기 유로(320) 또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일부가 안착되는 통기 유로 안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는, 상기 통기 유로(320)와 밀착되어 상기 통기 유로(320) 및 하측 커버(200) 사이로 공기가 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는 상기 제 2 연장부(204)의 상단부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 형상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는, 상기 통기 유로(320)의 하측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30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측면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커버(30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양측면을 각각 밀폐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400)은, 다수의 배터리 셀(cell)이 적층 및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일측에는 송풍 수단(330)이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4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cell)이 도 2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송풍 수단(330)은 적층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400)은,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셀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는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480) 및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500)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상태를 감지하거나,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500)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일측, 예를 들면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패키지(1)는 상기 하측 커버(200), 배터리 모듈(400), 전장실(500) 및 상측 커버(1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장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500)은, 전장실 보드(510)와,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배치되는 제어부(520), 전류 센서(530), 전류 차단수단(540)과, 상기 제어부(520), 전류 센서(530), 전류 차단수단(540)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버스바(550)와,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의 접속을 위한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 보드(510)는 상기 전장실(500)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 보드(510)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상측의 적어도 일부를 밀폐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는, 상기 버스바(550)를 지지하기 위한 격벽(511)(512)과, 다수의 전자 부품을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514)(515)(5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511)(512) 및 안착부(514)(515)(516)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전장실(500) 등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충전 상태나, 사용 기간, 충방전 횟수, 배터리 수명, 고장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cell)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이 선택적으로 수행되게 하거나, 고장 여부에 따라서 적어도 일부의 배터리 셀(cell)이 사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전류 센서(530), 전류 차단수단(540)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와, 다른 전자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는 대략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520)의 일측 모서리 부분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커넥터(57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의 타측 모서리 부분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전류 센서(5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20)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 기판은 상기 제어부(5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서(530)는, 상기 버스바(55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서(530)에서 감지된 전류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520)및/또는 릴레이(54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서(530)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형성되는 전류 센서 안착부(516)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센서 안착부(516)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 차단수단(540)은, 상기 버스바(55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과도하게 높을 때에,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류 차단수단(540)은, 릴레이(542)와, 퓨즈(5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542)는, 양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버스바(553)(554)의 전기적 접속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릴레이(542)의 내부에는 상기 릴레이(542)의 양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스위치부가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제어부(520)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542)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형성되는 릴레이 안착부(51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는 상기 전류 센서 안착부(5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는 상기 전류 센서 안착부(516)가 배치된 모서리부와 동일한 모서리부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는 상기 릴레이(542)의 양 단자부가 상기 전장실(500)의 외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상기 릴레이(542)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릴레이(541)가 상면에 양단자를 구비하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는 상기 원통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542)를 눕혀서 배치함에 따라, 전체 전장실(5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퓨즈(544)는, 양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버스바(554)(555)에 과도한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물리적으로 분리됨으로써, 상기 버스바(554)(555)의 전기적 접속을 끊어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퓨즈(544)는 탈부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퓨즈(544)에 이상이 생기거나, 상기 퓨즈(544)가 끊어지면,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퓨즈(544)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형성되는 퓨즈 안착부(51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안착부(514)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모서리 부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퓨즈 안착부(514)는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가 배치된 모서리부와 인접한 다른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퓨즈 안착부(514)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퓨즈 안착부(514)는 상기 릴레이 안착부(515) 및 전류 센서 안착부(516)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에 따라서, 상기 퓨즈(544)의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로부터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 및 제 2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550)는, 상기 전장실(500)의 전자 부품 및 내부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다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스바(550)는, 상기 제 1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 및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480)를 연결하는 제 1 버스바(551)와, 상기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90) 및 전류 센서(530)를 연결하는 제 2 버스바(552)와, 상기 전류 센서(530) 및 릴레이(542)를 연결하는 제 3 버스바(553)와, 상기 릴레이(542) 및 퓨즈(544)를 연결하는 제 4 버스바(554)와, 상기 퓨즈(544) 및 제 2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를 연결하는 제 5 버스바(5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버스바의 갯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어느 일 버스바는 복수 개의 버스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550)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80)와 접속되는 부분을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타단부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바(551)의 일단은 상기 제 1 외부 배터리 단자(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4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버스바(551)의 일단은 타단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일단 및 타단은 절곡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버스바(551)의 일단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벽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버스바(55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바(552)의 일단은 상기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9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전류 센서(530)의 일측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버스바(552)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510)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510)와 직교하는 수직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전장실 보드(510)의 내부 설치 공간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4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격벽(511)(5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격벽(511)(512)은, 상기 수직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511)(512)은, 상기 수직부의 일면을 지지하며, 상기 수직부 및 제어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격벽(511)과, 상기 수직부의 타면을 지지하는 외부 격벽(512)와, 상기 격벽(511)(51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격벽(511)은, 상기 수직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의 영향이 상기 제어부(5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513)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3 버스바(553)의 일단은 상기 전류 센서(530)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릴레이(542)의 일측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버스바(553)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버스바(553)의 일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버스바(553)의 타단은 상기 릴레이(542)의 단자부의 배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버스바(554)의 일단은 상기 릴레이(54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퓨즈(544)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버스바(554)의 일단은 상기 릴레이(542)의 단자부의 배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버스바(554)의 타단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버스바(553)의 타단 및 상기 제 4 버스바(554)의 일단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릴레이(542)를 상기 전장실(500)에 눕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밀어넣는 방법에 의하여, 용이하게 상기 릴레이(542) 및 버스바(553)(554)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5 버스바(555)의 일단은 상기 퓨즈(544)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5 버스바(555)의 타단은 상기 제 2 외부 배터리 단자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5 버스바(555)의 일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510)에 대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버스바(554)의 타단 및 상기 제 5 버스바(555)의 일단의 형상에 의하면, 상기 퓨즈(544)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전장실(500)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상기 퓨즈(544)를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및 측면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 커버(300)는 플레이트부(310)와, 상기 플레이트부(3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통기 유로(320)와, 상기 통기 유로(3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송풍 수단(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10)는 상기 측면 커버(300)의 본체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상기 플레이트부(31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측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1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310)의 테두리부 및 배터리 모듈(400)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312)가 구비되어 상기 플레이트부(310) 및 배터리 모듈(400)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내부의 공기와 외부 공기가 서로 유통되게 한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플레이트부(3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플레이트부(3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플레이트부(310)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측면에 수직한 제 1 부분과,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측면에 수평한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통기 유로(320)는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상기 제 1 부분을 통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제 2 부분을 통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400)으로 안내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제 2 부분 및 제 1 부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통기 유로(320)는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구(322)와, 상기 통기구(322)의 외부면에 구비되는 밀폐 부재(323)와, 상기 통기구(323)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통기 그릴(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322)의 외부면을 '연장 유로' 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유로는 상기 플레이트부(31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유로는 상기 커버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통기 유로(320)의 일부분은 상기 커버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상기 연장 유로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는 '연장 유로 수용부' 라고 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322)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통기구(322)는 예를 들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323)는 상기 통기구(322)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323)의 일부는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와 밀착되고, 상기 밀폐 부재(323)의 나머지는 상기 통기 유로 안착부(210)와 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밀폐 부재(323)의 둘레는 상기 상측 커버(100) 및 하측 커버(20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
상기 밀폐 부재(323)는 다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기 유로 수용부(120) 및 통기 유로 안착부(210)에는 돌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통기 그릴(324)은, 상기 통기구(32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통기 그릴(324)은 전체적으로, 상기 배터리 패키지(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 그릴(324)의 외측 단부는 하향 절곡될 수 있다. 상기 통기 그릴(324)의 내측 단부는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통기 유로(320) 및 배터리 모듈(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배터리 모듈(400)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커버 내부의 일측에 공기 유동의 저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 수단(330)에 의하여 공기가 일측으로 유동되면, 상기 송풍 수단(330)의 주위에는 공기 유동의 저압부가 형성되어, 타측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열기를 상기 통기 유로(32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패키지(10)의 외부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반대로, 상기 송풍 수단(330)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 유로(320)를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400)로 유동되게 할 수 있다(도 8 참조).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송풍 수단(330)에 구비되는 팬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는 방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배터리 관리부(420)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한 쌍의 측면 커버(3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통기 유로(320) 중 어느 하나의 통기 유로(320)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고, 다른 하나의 통기 유로(320)를 통하여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배터리 모듈(400)과 상기 통기 유로(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측면 커버(3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3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통기 유로(3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은, 한 쌍의 측면 커버(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 커버(3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 수단(330)이, 두 개의 측면 커버(300)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상기 송풍 수단(330)을 제어하여, 상기 한 쌍의 측면 커버(300)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통기 유로(320)를 통하여 양측에서 공기가 유입되게 하거나, 양측으로 공기가 토출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 모듈(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410)과, 상기 배터리 셀(410)의 외부를 감싸는 모듈 커버(420)(430)(450)와, 상기 배터리 셀(510)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40)와, 상기 배터리 셀(510)의 내부에서 누출되는 물질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 가이드(460)와, 상기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480)와,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90)와, 상기 측면 커버(30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400)은 다수 개의 배터리 셀(410)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하나의 배터리 셀(41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 셀(410)은 양극부(414)와, 음극부(416)와, 연결부(418)와,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배터리 셀(410)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이격하여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공기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유동 통로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셀(41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발산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 통로는, 상기 송풍 수단(330)에 의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풍 수단(330)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 개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부(414) 및 음극부(416)는 상기 제 1 내부 배터리 단자(480) 및 제 2 내부 배터리 단자(49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18)는 상기 배터리 셀(410)로부터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 셀(410)의 리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418)는 상기 배터리 셀(410)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등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개방되어 상기 배터리 셀(410) 내부의 물질이 배출되게 한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 셀(410)은, 파우치형 배터리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부는 다른 부분의 접착력에 비하여 약한 접착력으로 부착된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과충전 또는 내부 단락 등 과열 조건으로 상기 배터리 셀(410) 내에서 고압이 발생하여 부풀어 오를 경우, 상기 배기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약한 배기부 형성 영역의 접착이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 셀(410)의 내부 물질이 상기 배기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배기부는 다른 부분의 강도에 비하여 약한 강도를 가지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셀(410)의 내부에 고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배기부 부분에 먼저 균열이 발생하여, 상기 배터리 셀(410)의 내부 물질이 상기 배기부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기부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상기 배터리 셀(410)의 내부 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기부는 상기 배터리 셀(410)의 일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부는 도 5를 기준으로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양극부(414) 및 음극부(4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420)(430)(450)는, 상기 배터리 셀(410)의 상측을 감싸는 상측 모듈 커버(420)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하측을 감싸는 하측 모듈 커버(430)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 모듈 커버(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 모듈 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440)는, 상기 모듈 커버(420)(430)(450)와 함께 다수개로 적층된 배터리 셀(41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460)는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물질을 상기 배출 유로(130)로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출 가이드(460)는 상기 전면 모듈 커버(450) 및 배터리 셀(41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460)의 단면은 상기 배기부를 따라서 대략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460)에 의하여 상기 배기부에서 배출되는 물질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배출 유로(1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 가이드(460)를 통하여 물질이 유동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측면 커버(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송풍 수단(330)을 동작시켜, 상기 한 쌍의 통기 유로(320)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95)는 상기 모듈 커버(420)(430)(450) 또는 지지대(4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면 커버(30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95)는 예를 들어 갈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 커버(300)의 일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95)는 상기 측면 커버(300)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측면 커버(300)가 상기 배터리 모듈(400)의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전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제어부를 중앙에 배치하고, 고전류가 흐르는 버스바를 외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전자 제품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장실 내부의 부품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의 단자와, 전장실에 구비되는 전자 부품의 각 단자를 서로 이격시키거나, 배치 방향을 달리함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물리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각 단자들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예상치 못한 전기적 접속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i)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과, (ii)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극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압을 다른 부품에 전달하기 위한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와, (iii) 상기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배터리 팩 전장실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 전장실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를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전장실 보드;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전장실 보드의 외측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중 제 1 버스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버스바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버스바는, 폭 방향이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수직부 및 상기 제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의 일면을 지지하는 내부 격벽과, 상기 수직부의 타면을 지지하기 위한 외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버스바의 일 단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와 평행하도록, 상기 수직부로부터 절곡하여 연장된 형상을 갖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배터리 모듈, 상기 전장실 보드 및 상기 제어부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패키지.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수직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 또는 외부 격벽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부가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장방형에서 일측 모서리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배터리 패키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은,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는 일면에 2개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릴레이의 2개의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버스바의 단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배터리 패키지.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는, 상기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는,
    상기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되는 제 2 버스바; 및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3 버스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 사이에는 전류 센서, 릴레이 및 퓨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되는 배터리 패키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버스바 및 제 3 버스바 사이에는, 상기 전류 센서, 릴레이 및 퓨즈가 직렬로 연결되는 배터리 패키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은, 퓨즈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팩 전장실은, 상기 전장실 보드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퓨즈가 안착되는 퓨즈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13. 삭제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평행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 각각의 양극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장실 보드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장실 보드의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배터리 패키지.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부품은, 상기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류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장실 보드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와,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배터리 패키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배터리 단자 및 상기 전류 차단수단 사이에 배치되는 배터리 패키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버스바가, 상기 2개의 내부 배터리 단자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전류 차단수단을 연결하는 배터리 패키지.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양 단자부가 상기 전장실 보드의 일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차단수단은, 양 단자부가 상기 전장실 보드의 타측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퓨즈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송풍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전장실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커버의 외부를 연통되게 하는 통기 유로가 구비되는 배터리 패키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유로는 상기 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에 수직한 제 1 부분과, 상기 배터리 모듈의 측면에 수평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20147016839A 2013-05-16 2014-05-16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21754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5654 2013-05-16
KR1020130055654 2013-05-16
KR20130113056 2013-09-24
KR1020130113056 2013-09-24
PCT/KR2014/004384 WO2014185735A1 (ko) 2013-05-16 2014-05-16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48A KR20160008948A (ko) 2016-01-25
KR102175475B1 true KR102175475B1 (ko) 2020-11-06

Family

ID=5189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839A KR102175475B1 (ko) 2013-05-16 2014-05-16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58649B2 (ko)
KR (1) KR102175475B1 (ko)
CN (1) CN105210213B (ko)
WO (1) WO2014185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6082B2 (ja) * 2015-08-31 2018-08-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2258837B1 (ko) * 2017-11-06 2021-06-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조립 구조가 향상된 배터리 팩
KR102315974B1 (ko) * 2017-12-01 2021-10-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0001419B (zh) * 2018-12-14 2022-06-1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48v起停电源
CN109890164B (zh) * 2019-03-18 2024-03-26 新乡市光明电器有限公司 强密封性电气控制盒
KR20220009277A (ko)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무빙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분리 유닛
EP4333160A1 (en) * 2021-04-30 2024-03-06 Dongguan Poweramp Technology Limited Battery pack and power consum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121A (ja) * 2007-04-25 2008-11-06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12221738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0243B2 (ja) * 1997-10-06 2006-10-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電源装置
KR101260470B1 (ko) 2006-04-07 2013-05-06 타이코에이엠피(유) 배터리 셀 모듈의 접속장치
US7531270B2 (en) * 2006-10-13 2009-05-12 Enerdel, Inc. Battery pack with integral cooling and bussing devices
US7960943B2 (en) * 2006-11-17 2011-06-14 Cobasys, Llc Modular battery system having battery monitoring and data collection capability
KR100920207B1 (ko) * 2006-11-27 2009-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제조용 전원 스위칭 모듈
JP5285959B2 (ja) * 2008-05-27 2013-09-11 株式会社ケーヒン 組電池の電源制御装置
JP5284053B2 (ja) * 2008-11-17 2013-09-11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パック
JP2012059663A (ja) * 2010-09-13 2012-03-2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組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5554757B2 (ja) * 2011-07-28 2014-07-2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352636B1 (ko) * 2011-07-29 2014-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원분배장치
KR101822879B1 (ko) * 2011-08-24 2018-01-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모듈
JP6171314B2 (ja) * 2012-11-19 2017-08-0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0121A (ja) * 2007-04-25 2008-11-06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JP2012221738A (ja) * 2011-04-08 2012-11-12 Hitachi Vehicle Energy Ltd 蓄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48A (ko) 2016-01-25
CN105210213A (zh) 2015-12-30
WO2014185735A1 (ko) 2014-11-20
CN105210213B (zh) 2018-01-23
US10658649B2 (en) 2020-05-19
US20160072118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5475B1 (ko) 배터리 팩 전장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패키지
KR101174045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101084836B1 (ko) 배터리 팩
JP5452636B2 (ja) 鉄道車両の電池箱及び鉄道車両
JP523144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ー用の電力切換モジュール
EP2927990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90027729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WO2013179797A1 (ja)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JP5537086B2 (ja) 二次電池パック
US20120100401A1 (en) Battery pack
JP2013525945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用電圧検出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採用した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20150033551A (ko) 삽입형 bms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JP4889370B2 (ja) 電源システム
CN109309182B (zh) 封闭元件、封闭模块、存储模块和用于提供电能的布置及运输车辆
KR20140100098A (ko) 배터리 팩
CN109690812B (zh) 蓄电池装置以及车辆
US20160072166A1 (en) Battery Package
KR102307980B1 (ko) 셀 연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2018073551A (ja) 電池パック
JP4062932B2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130061375A (ko) 배터리 모듈
JP6554038B2 (ja) 蓄電装置
KR101806417B1 (ko) 전력 저장 장치의 단위 전지 팩
KR20120096624A (ko) 축전지 수납 장치
KR20210036020A (ko) 냉각기능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