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927B1 -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927B1
KR102174927B1 KR1020190134202A KR20190134202A KR102174927B1 KR 102174927 B1 KR102174927 B1 KR 102174927B1 KR 1020190134202 A KR1020190134202 A KR 1020190134202A KR 20190134202 A KR20190134202 A KR 20190134202A KR 102174927 B1 KR102174927 B1 KR 10217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opening
disposed
closing
sto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박준영
박진한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 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높이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CAPLESS MISFUELLING PREVENTION DEVICE}
실시예는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과 상이한 크기의 주유건의 삽입을 차단하여 오주유를 방지할 수 있는 오주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디젤 등의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운송 수단에는 엔진의 연소 시 요구되는 화석 연료가 보관되는 연료 탱크가 제공된다. 이러한 연료 탱크는 외부로부터 화석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연료 주입부를 포함하며, 주유건이 상기 연료 주입부에 삽입되어 운송 수단의 연료 탱크에 화석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경우 가솔린 기반의 차량과 디젤 기반의 차량이 있으며, 차량의 혼유를 방지하기 위해 가솔린 주입을 위한 가솔린 주유건은 디젤 주입을 위한 디젤 주유건과 상이한 직경을 가진다. 예를 들어,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입부의 지름은 약 22mm 정도이고, 가솔린 주유건의 지름은 상기 가솔린 주유건이 연료 주입부에 삽입되기 위해 약 19mm 내지 약 21mm 정도이다. 또한,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부의 지름 약 26mm 내지 약 32mm이고, 디젤 주유건의 지름은 상기 디젤 주유건이 연료 주입부에 삽입되기 위해 약 25mm 내지 약 31mm 정도이다.
즉, 디젤 주유건은 가솔린 주유건 및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입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디젤 주유건은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입부에 삽입될 수 없어 가솔린 차량에 디젤이 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가솔린 주유건은 디젤 주유건 및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가솔린 주유건은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부에 충분히 삽입될 수 있어 혼유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젤 차량에 가솔린이 오주유되어 혼유될 경우 차량에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은 가솔린 엔진과 다르게 점화 플러그가 요구되지 않으며, 가솔린은 디젤보다 착화점이 높다. 이에 따라 혼유가 될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이 꺼질 수 있으며, 차량의 연료 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고유가에 따른 유류비 등으로 디젤 차량의 수요가 보다 증가하고 있으며, 상술한 혼유 문제가 주변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오주유 방지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설정된 유종과 다른 유종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주유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연료캡을 생략할 수 있는 오주유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며 조립 및 교체가 용이한 오주유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 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높이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 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각각은 삽입된 상기 주유건과 접하는 제 1 내지 제 3 접촉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촉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접촉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가능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설정된 유종과 다른 유종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는 복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삽입되는 주유건의 크기에 따라 제 2 개폐부의 잠금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정된 크기와 다른 주유건, 예컨대 설정된 유종과 다른 유종의 주유건이 삽이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 장치 등에 오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연료캡을 생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종래에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의 내주면에 상기 연료캡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캡은 상기 삽입부와 나사 결합하였다. 그러나, 실시예는 제 1 탄성 부재를 매개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개폐부를 통해 종래의 연료캡이 배치된 영역을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개폐부는 제 1 밀봉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영역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상기 영역을 통해 상기 오주유 장치 내부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유 시 별도의 연료캡을 분리하거나 체결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상기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유 시 주유건의 삽입 압력만으로 주유건을 장치 내에 삽입할 수 있어 상기 연료캡을 체결 및 분리하는 과정에 사용자의 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주유하는 과정에 연료의 유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를 쉽게 체결, 분리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에 포함된 일부 구성, 예컨대 복수의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가 파손되거나 탄성 부재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될 경우, 분리를 통해 부분적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향상된 수명 및 신뢰성을 가질 수 있고 일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의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상면도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의 제 3 스토퍼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폐부의 상면도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상면도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측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주유건이 삽입되지 않을 경우 오주유 방지부와 제 2 개폐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설정된 크기 미만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제 2 개폐부가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제 2 개폐부가 잠금 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 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은 제 1 및 제 2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방향은 도면의 x축 및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기 x축 및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가솔린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운송 수단은 화석 연료를 보관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연료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는 상기 연료 주입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연료 탱크 내에 설정된 원료만을 주입할 수 있고, 설정된 원료가 아닌 원료가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커버 케이스(100), 삽입부(200), 제 1 개폐부(300), 오주유 방지부(400) 및 제 2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하부가 오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일정하거나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가 오픈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 내에는 상기 삽입부(200), 상기 제 1 개폐부(300),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 및 상기 제 2 개폐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제 1 관통홀(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101)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관통홀(101)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101)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101)은 후술할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 구조는 상기 삽입부(200), 상기 제 1 개폐부(300),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 및 상기 제 2 개폐부(5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에는 상기 삽입부(200) 및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와 대응되는 단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삽입부(200) 및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200) 및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상부 또는 하부 오픈 영역을 통해 쉽게 배치할 수 있어, 공정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향상된 공정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가 오픈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제 2 관통홀(10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홀(102)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관통홀(102)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홀(102)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 2 관통홀(102)은 후술할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턱(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턱(111)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턱(111)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123)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마주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123)은 상기 결합 턱(111)과 대응되는 형태 및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홈(123)은 상기 결합 턱(111)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 12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오픈된 하부 영역 내에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가 삽입되면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차폐하는 과정에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상기 결합 턱(111)이 상기 결합 홈(123)에 맞물리며 결합하게 되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 120)는 견고하게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며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 일부가 파손되거나 원활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 120)를 쉽게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의 개구부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 내에 형성된 단차 구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삽입부(200) 상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제 2 관통홀(102)을 통해 삽입된 주유건은 상기 삽입부(200)의 상부 개구부에서 상기 삽입부(200)의 하부 개구부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하부 개구부를 통해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제 1 관통홀(10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주유건의 끝단이 후술할 오주유 방지부(400)를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제 2 관통홀(10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삽입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삽입부(200)의 상부 개구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제 2 관통홀(10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제 2 관통홀(102)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제 2 관통홀(102)보다 큰 수평 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개폐부(300)가 상기 제 2 관통홀(102)보다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개폐부(300)의 후단부는 제 1 지지축(350)을 매개로 상기 삽입부(20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삽입부(200) 상에서 제 1 탄성 부재(360)를 매개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축(350)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부(300)에 가해지는 삽입 압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제 1 탄성 부재(360)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접촉하며 상기 제 2 관통홀(102)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제 1 밀봉 부재(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제 1 개폐부(3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제 2 관통홀(102)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개폐부(3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상기 삽입부(20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제 2 관통홀(102)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캡리스(capless)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연료캡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연료캡과의 결합을 위해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캡은 상기 삽입부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로 제공되었다. 즉, 종래에는 상기 연료캡을 이용하여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 내부에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연료를 주입할 경우 상기 연료캡을 상기 삽입부에서 분리하는 동작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상기 제 1 개폐부(300)에 의해 별도의 연료캡이 생략된 캡리스 구조로 제공될 수 있어 상술한 연료캡을 분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연료캡을 체결 및/또는 분리하는 과정에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유건을 이용하여 주유하는 과정에 연료의 유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제 1 밀봉 부재(380)를 포함함에 따라 외부에서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자가 쉽게 연료를 주입할 수 있고, 향상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제 1 개폐부(300)와 후술할 제 2 개폐부(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삽입부(200)와 상기 제 2 개폐부(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단차 구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삽입부(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제 1 관통홀(101)이 형성된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삽입부(200)와 상기 제 1 관통홀(10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통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 상에는 상기 삽입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삽입부(200) 상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제 1 관통홀(101)을 차폐하는 제 2 개폐부(500)를 잠금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는 상기 제 1 개폐부(300)를 통해 삽입된 주유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오픈된 하부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일부가 상기 제 1 관통홀(101)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 다른 일부가 상기 제 1 관통홀(10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제 1 관통홀(10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후단부는 제 2 지지축(550)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상에서 제 2 탄성 부재(560)를 매개로 탄성 복원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가 잠금 해제된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2 지지축(550)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일부는 상기 제 1 관통홀(101)보다 큰 수평 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 압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가 상기 제 2 탄성 부재(560)에 의해 상기 제 1 관통홀(101)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제 2 밀봉 부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제 1 관통홀(101)과 마주하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제 1 관통홀(101)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후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400)는 지지부(405), 복수의 스토퍼, 복수의 지지핀 및 복수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는 상기 삽입부(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405)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내측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5)는 상기 지지부(405)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의 개구부는 상기 제 1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관통홀(101)과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의 개구부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 상에는 복수의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스토퍼는 제 1 스토퍼(410), 제 2 스토퍼(420) 및 제 3 스토퍼(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410)는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토퍼(410)와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 각각의 후단부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 각각의 후단부에는 후술할 제 1 지지핀(441)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4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5) 상에서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회전축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후단부와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하면에는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지지부(405)의 돌출 패턴 상에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홈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 상에서 제 1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홈과 돌출 패턴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레일 이동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핀은 상기 지지부(40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지지핀은 상기 지지부(405) 상에 배치되는 제 1 지지핀(441), 제 2 지지핀(442) 및 제 3 지지핀(4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핀(441)은 상기 지지부(405)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지지핀(441)은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 각각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 1 홀(410h1, 420h1)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핀(441)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 각각의 제 1 홀(410h1, 420h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핀(441)은 상기 제 1 홀(410h1, 420h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1 지지핀(441)에 의해 상기 지지부(405)와 힌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지지부(405)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중심 영역에 형성된 제 2 홀(410h2)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2 홀(410h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회전 운동시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이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2 홀(410h2)과 상이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2 홀(410h2)은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퍼(410)가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매개로 회전 운동할 경우, 상기 제 2 지지핀(442)은 상기 제 2 홀(410h2)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최대 및 최소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지지부(405) 상에 고정되어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중심 영역에 형성된 제 2 홀(420h2)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홀(420h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회전 운동시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이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홀(420h2)과 상이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홀(420h2)은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스토퍼(420)가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매개로 회전 운동할 경우, 상기 제 3 지지핀(443)은 상기 제 2 홀(420h2)의 형상에 따라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최대 및 최소 이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는 제 3 탄성 부재(451) 및 제 4 탄성 부재(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된 홈 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1 지지핀(441)을 회전 축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유건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의 접촉이 종료될 경우,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설정된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상기 제 3 스토퍼(4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와 상기 커버 케이스(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일측에 형성된 오목부(433)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이 상기 제 3 스토퍼(430)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하면에 형성된 홈과 지지부(405) 상면 상의 돌출 패턴에 의해 후방으로 레일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유건이 상기 제 3 스토퍼(430)와 접촉할 경우,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수평 이동(제 1 방향(x축 방향))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유건이 상기 제 3 스토퍼(430)와의 접촉이 종료될 경우,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에 의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전방으로 레일 이동할 수 있으며 설정된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즉,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 및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탄성 부재 및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는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은 부분적으로 해지되거나 완전 해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유건의 삽입이 종료될 경우 복원 변형하여 이동한 상기 스토퍼를 초기 설정 위치로 되돌아오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개폐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9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의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의 상면도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의 제 3 스토퍼의 정면도 및 후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폐부의 상면도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 1 스토퍼(410)는 제 1 접촉면(411), 제 1 단차면(413) 및 제 1 돌기(4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411)은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삽입된 주유건과 접촉하는 접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411)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촉면(411)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최상면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접촉면(411)은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2 개폐부(500)를 지지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면(411)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1 접촉면(411)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단차면(413) 상에 상기 제 2 개폐부의 돌출부(제 1 돌출부(511))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2 개폐부의 돌출부(제 1 돌출부(511))와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홀(410h1)이 형성되는 후단부와 반대되는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홈(435h1)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홈(435h1) 내부와 외부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스토퍼(420)는 제 2 접촉면(421), 제 2 단차면(423) 및 제 2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삽입된 주유건과 접촉하는 접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최상면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제 1 접촉면(41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촉면(421)은 상기 제 1 접촉면(411)과 동일한 평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2 개폐부(500)를 지지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촉면(421)과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2 접촉면(421)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단차면(423) 상에 상기 제 2 개폐부의 돌출부(제 2 돌출부(512))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2 개폐부의 돌출부(제 2 돌출부(512))와 접촉하는 면일 수 있다.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단차면(423)은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동일한 평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1 홀(420h1)이 형성되는 후단부와 반대되는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홈(435h2)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홈(435h2) 내부와 외부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 3 스토퍼(430)는 복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오목부(433), 제 1 홈(435h1), 제 2 홈(435h2),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 및 제 3 접촉면(4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433)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마주하는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33)는 상술한 제 4 탄성 부재(452)가 배치되는 홈으로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중심과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435h1)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마주하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435h1)은 상기 오목부(43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홈(435h1)은 상기 제 2 스토퍼(420)보다 상기 제 1 스토퍼(41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홈(435h1)은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돌기(415)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제 1 돌기(415)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홈(435h2)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마주하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외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홈(435h2)은 상기 오목부(43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홈(435h2)은 상기 제 1 스토퍼(410)보다 상기 제 2 스토퍼(420)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홈(435h2)은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돌기(425)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제 2 돌기(425)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와 마주하는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개폐부(500)와 인접한 제 1 삽입홈(435h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435h3)은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삽입 돌출부(제 1 삽입 돌출부(513))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삽입 돌출부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제 2 스토퍼(420) 및 상기 제 2 개폐부(500)와 인접한 제 2 삽입홈(435h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홈(435h4)은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삽입 돌출부(제 2 삽입 돌출부(514))가 삽입되는 홈으로, 상기 삽입 돌출부와 대응되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삽입된 주유건이 접촉하는 접촉면일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내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최상면에서 연장되며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접촉면(431)은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삽입홈(435h3) 및 상기 제 2 삽입홈(435h4)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된 주유건은 상기 제 3 접촉면(431)과 효과적으로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여부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제 1 접촉면(411) 및 상기 제 2 접촉면(421)보다 큰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접촉면(431)의 평면적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 각각의 평면적의 약 1.5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설정된 크기의 주유구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원활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dml 평면적의 약 2배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설정된 크기의 주유구가 삽입될 때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원활한 잠금 해제를 위해 상기 제 3 접촉면(431)의 평면적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 각각의 평면적의 약 2배 이상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폐부(500)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스토퍼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제 1 돌출부(511) 및 제 2 돌출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단차면(413)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단차면(413)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스토퍼(42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단차면(423)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 2 단차면(42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제 2 단차면(423) 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3 스토퍼(43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돌출부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삽입홈(435h3)을 향해 돌출된 제 1 삽입 돌출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 돌출부(513)는 상기 제 1 삽입홈(435h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돌출부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삽입홈(435h4)을 향해 돌출된 제 2 삽입 돌출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 돌출부(514)는 상기 제 2 삽입홈(435h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 돌출부(513, 514)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일부가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홈(435h3, 435h4)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홈(435h3, 435h4)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하지 않으며,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하나의 삽입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나의 삽입홈은 상기 제 2 개폐부(500)와 마주하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내주면 중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하나의 삽입 돌출부는 상기 하나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삽입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삽입 돌출부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일부가 상기 하나의 삽입홈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하나의 삽입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상면도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토퍼(410)는 내주면의 곡률(Curvature)로 정의되는 제 1 곡률(R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R1)은 상기 제 1 접촉면(411)의 곡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토퍼(410)는 상기 제 1 단차면(413)의 곡률(Curvature)로 정의되는 제 2 곡률(R2)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곡률(R1) 및 상기 제 2 곡률(R2)은 상기 제 1 접촉면(411)과 상기 제 1 단차면(413)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곡률(R2)은 상기 제 1 곡률(R1)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곡률(R1)은 상기 제 2 곡률(R2)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R1)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는 제 1 곡률 반경은 상기 제 2 곡률(R2)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는 제 2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반경의 약 103%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반경의 약 105% 내지 약 115%일 수 있다.
상기 제 2 곡률 반경이 상기 제 1 곡률 반경의 약 103% 미만인 경우, 주유건과 상기 제 1 스토퍼(410) 사이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주유건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 2 개폐부의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주유건과 상기 제 1 단차면(41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주유건이 자연스럽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곡률 반경이 상기 제 1 곡률 반경의 약 12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돌출부(511)가 중첩되는 영역이 좁아 상기 제 1 스토퍼(410)가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내주면의 곡률(Curvature)로 정의되는 제 3 곡률(R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곡률(R3)은 상기 제 2 접촉면(421)의 곡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제 2 단차면(423)의 곡률(Curvature)로 정의되는 제 4 곡률(R4)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곡률(R3) 및 상기 제 4 곡률(R4)은 상기 제 2 접촉면(421)과 상기 제 2 단차면(423)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곡률(R3)은 상기 제 1 곡률(R1)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 4 곡률(R4)은 상기 제 2 곡률(R2)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4 곡률(R4)은 상기 제 3 곡률(R3)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곡률(R4)은 상기 제 3 곡률(R3)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곡률(R3)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는 제 3 곡률 반경은 상기 제 4 곡률(R4)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는 제 4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4 곡률 반경은 상기 제 3 곡률 반경의 약 103%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4 곡률 반경은 상기 제 3 곡률 반경의 약 105% 내지 약 115%일 수 있다.
상기 제 4 곡률 반경이 상기 제 3 곡률 반경의 약 103% 미만인 경우, 주유건과 상기 제 2 스토퍼(420) 사이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주유건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제 2 개폐부의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주유건과 상기 제 2 단차면(423)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주유건이 자연스럽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곡률 반경이 상기 제 3 곡률 반경의 약 12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 단차면(423)과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2 돌출부(512)가 중첩되는 영역이 좁아 상기 제 2 스토퍼(420)가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내주면의 곡률(Curvature)로 정의되는 제 5 곡률(R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5 곡률(R5)은 상기 제 3 접촉면(431)의 곡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5 곡률(R5)은 상기 제 3 접촉면(431)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곡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5 곡률(R5)은 상기 제 1 곡률(R1) 및 상기 제 3 곡률(R3)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5 곡률(R5)의 곡률 반경으로 정의되는 제 5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및 제 3 곡률 반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곡률 반경, 상기 제 3 곡률 반경 및 상기 제 5 곡률 반경은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되는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과 대응되는 곡률 반경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된 주유건과 상기 제 3 스토퍼(430) 사이의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건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토퍼(410)는 수직 방향(z축 방향) 높이로 정의되는 제 1 높이(h1)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수직 방향(z축 방향) 높이로 정의되는 제 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수직 방향(z축 방향) 높이로 정의되는 제 3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높이(h1, h2, h3)는 상기 지지부(405)의 상면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 각각의 최상면까지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높이(h1, h2, h3) 중 일부는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는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와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 3 스토퍼(430)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의 높이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높이(h3)는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와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3 높이(h3)는 상기 제 1 높이(h1) 및 상기 제 2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접촉면(431)은 상기 제 1 접촉면(411) 및 상기 제 2 접촉면(421)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높이(h3)는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h1, h2)의 약 60% 내지 약 9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높이(h3)는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h1, h2)의 약 70% 내지 약 85%일 수 있다.
상기 제 3 높이(h3)가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h1, h2)의 약 60% 미만인 경우,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3 접촉면(431)과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 내에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되어도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해제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되면 상기 주유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과 먼저 접촉할 수 있고, 이후 상기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3 접촉면(431)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 접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해제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높이(h3)가 상기 제 1 및 제 2 높이(h1, h2)의 약 90%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와 다른 주유건, 예컨대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직경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주유건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촉면(411, 421, 431)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이 해제되어 오주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는 설정된 주유건을 구별하여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여부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높이(h1, h2, h3)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를 잠금 해제할 수 있고, 설정된 크기와 다른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가 배치된 장치 또는 기기에 설정된 유종과 다른 유종이 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21을 통해 주유건의 삽입 여부에 따른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의 상태, 결합 관계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2 및 도 13을 통해 주유건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주유건이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에 의해 상기 제 2 개폐부(500) 방향, 예컨대 상기 제 1 지지핀(441) 방향으로 전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에 의해 상기 제 3 스토퍼(430)를 고정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홈(435h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홈(435h2)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지 않고 설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가 상술한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단차면(413)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단차면(4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삽입 돌출부(513)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삽입홈(435h3)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2 삽입 돌출부(514)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삽입홈(435h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2 지지축(550)을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내지 도 18을 통해 설정된 크기 미만의 주유건이 삽입된 경우의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주유건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직경)보다 작은 제 1 직경(d1)의 제 1 주유건(71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개폐부(300)는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으로 오픈될 수 있지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설정된 직경보다 작은 제 1 직경(d1)을 가지는 제 1 주유건(7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1 개폐부(300) 및 상기 삽입부(200) 등에 의해 소정의 삽입 각도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1 접촉면(411) 및 상기 제 2 접촉면(421)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스토퍼(410) 및 상기 제 2 스토퍼(42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홈(435h1)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돌기(415),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홈(435h2)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돌기(425)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435h1, 435h2)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으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돌출부(511)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1 돌출부(511)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돌출부(512)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단차면(423) 역시 상기 제 2 돌출부(512)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면(413, 423)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511, 512)와 각각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에 대한 잠금을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에 대한 잠금을 역시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3 접촉면(431)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주유건(7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주유건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의 접촉면(411, 421)과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으나,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제 1 직경(d1)에 의해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핀(441) 방향으로 전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및 제 2 삽입 돌출부(513, 514)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및 제 2 삽입홈(435h3, 445h4)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주유건(710)에 의해 잠금 해제되지 않고 잠금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직경을 가지는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에 의해 후진 이동, 예컨대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삽입홈(435h3)과 제 2 삽입홈(435h4)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삽입 돌출부(513) 및 제 2 삽입 돌출부(514)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홈(435h3, 435h4)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에 대한 잠금을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과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주유건(7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주유건(710)은 상기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하며 삽입될 수 있으나,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제 1 직경(d1)으로 인해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3 탄성 부재(451)에 의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돌기(41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홈(435h1)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돌기(425)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홈(435h2) 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돌출부(511)는 상기 제 1 단차면(413)과 중첩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2 돌출부(512)는 상기 제 2 단차면(423)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주유건(710)에 의해 잠금 해제되지 않고 잠금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9 내지 도 21을 통해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된 경우의 오주유 방지부 및 제 2 개폐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주유건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직경)의 제 2 주유건(720)이 삽입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상기 제 1 직경(d1)의 제 1 주유건(710)보다 큰 제 2 직경(d2)의 제 2 주유건(7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오주유 방지부(40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크기(제 2 직경(d2))을 가지는 제 2 주유건(72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주유건(72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와 접촉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주유건(720)은 상기 제 1 개폐부(300) 및 상기 삽입부(200) 등에 의해 소정의 삽입 각도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와 접촉할 수 있다.
일레로, 상기 오주유 방지 장치(1000)에 삽입된 상기 제 2 주유건(720)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 1 접촉면(411) 및 상기 제 2 접촉면(421)과 먼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 2 주유건(720)의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홈(435h1)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돌기(415),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홈(435h2)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돌기(425)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홈(435h1, 435h2)의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으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돌출부(511)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 1 스토퍼(410)의 제 1 단차면(413)은 상기 제 1 돌출부(511)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2 돌출부(512)와 수직 방향으로 중첩된 상기 제 2 스토퍼(420)의 제 2 단차면(423) 역시 상기 제 2 돌출부(512)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주유건(710)의 삽입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단차면(413, 423)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511, 512)와 각각 중첩되지 않는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에 대한 잠금을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20)는 상기 제 3 스토퍼(430)에 대한 잠금을 역시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 주유건(720)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411, 421)보다 하부에 위치한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주유건(720)이 삽입되는 과정에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410, 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2 주유건(720)이 보다 깊이 삽입될 경우 그 하부에 위치한 제 3 접촉면(43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4 탄성 부재(452)에 의해 후진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와 이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3 스토퍼(430)의 제 1 삽입홈(435h3)과 제 2 삽입홈(435h4) 내에 삽입 배치된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제 1 삽입 돌출부(513) 및 제 2 삽입 돌출부(514)는 상기 제 1 및 제 2 삽입홈(435h3, 435h4)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스토퍼(430)는 상기 제 2 개폐부(500)에 대한 잠금을 완전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상기 제 2 주유건(720)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열림 동작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는 설정된 유종과 다른 유종이 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실시예는 설정된 크기와 상이한 주유건(제 1 주유건(71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을 유지할 수 있고,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제 2 주유건(720))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를 포함하는 기기, 장치 등에 다른 유종이 오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부는 약 26mm 내지 약 32mm의 지름을 가지며 디젤 주유건은 약 25mm 내지 약 31mm의 지름을 가진다. 또한, 가솔린 차량의 연료 주입부는 약 22mm의 지름을 가지며 가솔린 주유건은 약 19mm 내지 약 21mm의 지름을 가진다. 즉, 가솔린 주유건 디젤 차량의 연료 주입부보다 작은 지름을 가져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오주유 방지 장치(1000)가 상술한 디젤 차량에 적용될 경우, 가솔린 주유건이 삽입되어도 상기 제 2 개폐부(50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가솔린 주유건은 설정된 직경(디젤 주유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에 따라 상기 다른 높이를 가지는 제 1 내지 제 3 스토퍼(410, 420, 430)와 모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솔린 주유건에 의해 상기 제 2 개폐부(500)의 잠금이 부분적으로 해제될 수 있으나, 잠금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아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는 디젤 차량에 가솔린이 오주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 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높이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가능하게 배치되는 오주유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스토퍼의 높이의 60% 내지 90%인 오주유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주유건과 접하는 제 1 접촉면; 상기 개폐부의 제 1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 1 단차면; 및 상기 제 3 스토퍼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주유건과 접하는 제 2 접촉면; 상기 개폐부의 제 2 돌출부와 대응되는 제 2 단차면; 및 상기 제 3 스토퍼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스토퍼는 상기 주유건과 접하는 제 3 접촉면; 상기 제 1 돌기와 대응되는 제 1 홈; 상기 제 2 돌기와 대응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오주유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토퍼는 상기 개폐부와 마주하는 영역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단차면과 대응되는 제 1 돌출부; 상기 제 2 단차면과 대응되는 제 2 돌출부; 및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는 오주유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이 제 1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두개의 스토퍼와 접할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상기 주유건과 접하지 않고 이격된 스토퍼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오주유 방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이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와 접할 경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로부터 잠금 해제되며 상기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열림 동작하는 오주유 방지 장치.
  7. 내부에 주유건이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하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오주유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며 제 1 지지핀을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부 상에서 회전 이동하는 제 1 및 제 2 스토퍼; 및
    상기 지지부 상에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 3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각각은 삽입된 상기 주유건과 접하는 제 1 내지 제 3 접촉면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접촉면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접촉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면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토퍼 중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가능하게 배치되는 오주유 방지 장치.
KR1020190134202A 2019-10-28 2019-10-28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KR10217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02A KR102174927B1 (ko) 2019-10-28 2019-10-28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202A KR102174927B1 (ko) 2019-10-28 2019-10-28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927B1 true KR102174927B1 (ko) 2020-11-06

Family

ID=7357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202A KR102174927B1 (ko) 2019-10-28 2019-10-28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92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5286423B2 (ja) * 2009-11-18 2013-09-11 株式会社ニフコ 誤給油防止装置
JP2015074409A (ja) * 2013-10-11 2015-04-20 株式会社アステア 誤給油防止装置
KR20160105417A (ko) * 2013-12-09 2016-09-06 마틴리어 메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캡리스 연료 시스템
KR20170115835A (ko) * 2016-04-08 201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5286423B2 (ja) * 2009-11-18 2013-09-11 株式会社ニフコ 誤給油防止装置
JP2015074409A (ja) * 2013-10-11 2015-04-20 株式会社アステア 誤給油防止装置
KR20160105417A (ko) * 2013-12-09 2016-09-06 마틴리어 메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캡리스 연료 시스템
KR20170115835A (ko) * 2016-04-08 2017-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3592B2 (ja) 車両のタンクに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フィラーネック
KR101417637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6446826B1 (en) Seal for filler neck closure assembly
US7967042B2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9701194B2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US7281640B2 (en) Cap device
JPS62178426A (ja) オリフイスリング
US20080237231A1 (en) Filler neck of a fuel tank with an arrangement for preventing incorrect fueling
KR20120100955A (ko) 무캡 급유 시스템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H0783139A (ja) 弁を固定して位置ずれ防止する装置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KR102174927B1 (ko)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JP6542665B2 (ja) 点眼薬容器
KR102244946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KR100902735B1 (ko)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KR20210073123A (ko) 캡리스 필러 넥 구조
KR101998209B1 (ko) 연료 오주입 방지기를 갖는 무캡 자동차 연료 주입 시스템
KR101481331B1 (ko) 오주유 방지 기능을 가지는 차량 주유구 장치
KR20160150376A (ko) 차량의 연료주입용 필러넥 장치
KR102152242B1 (ko) 차량용 오주유 방지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
CN104175867A (zh) 用于防止车辆中的燃料混合的装置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US20240082766A1 (en) Filter System with a Filter Element and a Safety Assembly, a Safety Assembly, and a Filter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