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946B1 -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946B1
KR102244946B1 KR1020200035679A KR20200035679A KR102244946B1 KR 102244946 B1 KR102244946 B1 KR 102244946B1 KR 1020200035679 A KR1020200035679 A KR 1020200035679A KR 20200035679 A KR20200035679 A KR 20200035679A KR 102244946 B1 KR102244946 B1 KR 10224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upport member
disposed
suppor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177Fuel tanks made of non-metallic material, e.g. plastics, or of a combination of non-metallic and metall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486Fuel tan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the tank or parts thereof are essentially made 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32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 B60K2015/0445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usin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는 상하부가 오픈된 커버 케이스, 상기 커버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주유건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핀, 상기 제1 지지핀과 이격되는 제2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에 고정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핀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주유건과 접촉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FUEL FILLER NECK DEVICE OF VEHICLE FUEL SYSTEM}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 디젤 등의 화석 연료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장치, 운송 수단 등은 화석 연료를 보관하는 연료 탱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료 탱크는 필러넥으로 지칭되는 연료 주입부를 포함하고, 필러넥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주유건 등을 삽입하여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필터넥의 입구에는 연료 탱크 내부에 저장된 연료 및 유증가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캡이 제공되며, 상기 연료캡은 필러넥과 나사 결합 등을 통해 체결되어 연료 탱크를 밀봉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주유건을 이용하여 연료를 주유할 경우, 상기 연료캡을 연료 주입부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료를 주입하는 과정에 분리된 상기 연료캡을 분실될 위험이 있으며, 분리된 연료캡이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 마개가 생략된 구조, 예컨대 캡리스(capless) 구조를 가지는 연료 주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캡리스 연료 주입 장치는 주유건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원통 형태를 가지며,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내부에 저장된 연료 및 유증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캡리스 구조의 연료 주입 장치는 주유건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개폐부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가 상기 연료 주입 장치의 입구를 효과적으로 차폐하지 못하여 내부에 수용된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등이 상기 개폐부를 통해 연료 주입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시동이 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연료 주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또는 운송 수단의 연료 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필러넥 장치가 요구된다.
실시예는 연료캡을 생략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개폐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등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내부로부터 유증기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는 상하부가 오픈된 커버 케이스, 상기 커버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주유건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핀, 상기 제1 지지핀과 이격되는 제2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에 고정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핀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주유건과 접촉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는 연료캡이 생략된 캡리스(capless)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러넥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향상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주유 시 연료캡을 분리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연료캡을 분리하는 과정에 손이 오염되거나 상기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는 커버 케이스의 제1 관통홀을 차폐하는 제1 개폐부에 균일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개폐부의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개폐부의 힌지 연결 영역과 이격되며 상기 제1 개폐부의 중심 영역과 접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힘이 상기 제1 개폐부의 특정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 케이스와 제1 개폐부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는 상기 제1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중심 영역에 균일한 힘을 제공하여 상기 커버 케이스의 제1 관통홀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유증기, 연료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개폐부의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개폐부의 지지 부재와 상기 커버 케이스 사이에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필러넥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1 지지부재의 하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2 지지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하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1 지지부재의 다른 상면도 및 다른 하면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다른 하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 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은 제 1 및 제 2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방향은 도면의 x축 및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기 x축 및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가솔린 등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운송 수단은 화석 연료를 보관하는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 탱크에 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연료 주입부, 예컨대 필러넥(FILLER NECK)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는 상기 연료 탱크 상에 배치되어 상기 필러넥의 입구를 효과적으로 밀봉하며 개폐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실시예에 필러넥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1000)는 커버 케이스(100), 삽입부(200), 제1 개폐부(300) 및 제2 개폐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하부가 오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너비가 일정하거나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상부가 오픈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수용 공간 내에는 상기 삽입부(200), 제2 개폐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하부 관통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관통홀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101)은 후술할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거나, 상기 주유건을 통해 주입되는 화석 연료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 관통홀은 상술한 커버 케이스(10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가 오픈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수용 공간은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의 일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제1 관통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일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홀(121)은 상기 주유건이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1 관통홀(121)은 상술한 커버 케이스(10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홀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일부 영역이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차폐하는 과정에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턱(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결합 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결합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결합 턱과 상기 결합 홈의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외측면 상에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면 상에는 암나사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나사 결합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0) 사이에는 제1 차폐 부재(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폐 부재(51)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폐 부재(51)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차폐 부재(51)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차폐 부재(51)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차폐 부재(51)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하는 과정에 탄성 변형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 케이스(100)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며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 일부가 파손되거나 원활하게 동작하지 못할 경우, 상기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 120)를 쉽게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부가 오픈되고 하부에 제1 개구부(201)가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에 형성된 단차 구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110)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에 형성된 단차 구조와 대응되는 외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필러넥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해 삽입된 주유건을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부(20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부(200)는 상기 주유건이 후술할 제2 개폐부(500)를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00)는 단차부(210)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삽입부(200)는 후술할 제1 탄성 부재(360)를 지지하기 위한 단차부(21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차부(210)는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삽입을 위한 홈(211, 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부 영역은 상기 홈(211, 212) 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 및 상기 삽입부(200) 사이에는 제2 차폐 부재(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커버 케이스(100) 및 상기 삽입부(20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상기 삽입부(200)의 외측면과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상기 삽입부(20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삽입부(200)의 외측면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상기 삽입부(200) 하부에 위치한 연료 및/또는 유증기가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상기 삽입부(200) 사이 공간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폐 부재(52)는 상기 삽입부(200)와 상기 커버 케이스(100) 사이 공간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는 가이드부(15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의 개구부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삽입부(20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제1 개구부(201) 및 상기 제2 개폐부(50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수용 공간에 형성된 단차 구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단차 구조 상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삽입된 상기 주유건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를 통과한 주유건이 상기 가이드부(150)의 하부 개구부(151)를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150)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150)는 상기 주유건이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오픈된 하부 영역, 예컨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하부 관통홀을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삽입부(20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개폐하며, 지지 부재(310, 320), 제1 밀봉 부재(380), 제1 지지핀(351), 제2 지지핀(352) 및 제1 탄성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제1 관통홀(121)을 차폐할 수 있고, 삽입되는 주유건 등의 외부 압력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제1 관통홀(12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제1 관통홀(121)보다 큰 수평 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제1 관통홀(121)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관통홀(121)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개폐부(300)의 후단부는 상기 제1 지지핀(351)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상기 제1 지지핀(351)과 탄성 복원 가능한 제1 탄성 부재(360)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주유건 삽입 시 상기 제1 지지핀(351)을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삽입된 주유건이 인출되어 삽입 압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통홀(121)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삽입부(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설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개폐부(500)의 후단부는 제3 지지핀(550)을 매개로 상기 삽입부(20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제3 지지핀(550)과 탄성 복원 가능한 제2 탄성 부재(560)에 의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제3 지지핀(353)을 회전축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제2 개폐부(500)는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삽입된 주유건이 인출되어 삽입 압력이 없을 경우 상기 제2 탄성 부재(560)에 의해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제1 개구부(20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제1 개구부(201)보다 큰 수평 방향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제1 개구부(20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개구부(201)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제2 밀봉 부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제2 개폐부(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와 마주하는 제2 개폐부(5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삽입부(20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제2 밀봉 부재(580)에 의해 상기 삽입부(200)의 제1 개구부(201)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개폐부(500)가 상기 제2 탄성 부재(5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개구부(201)를 폐쇄하는 과정에 상기 제2 밀봉 부재(580)는 상기 삽입부(200)와 접촉하여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200)와 상기 제2 개폐부(500) 사이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개구부(201)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연료 및/또는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구부(201)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는 오주유 방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삽입부(200) 및 상기 제2 개폐부(500)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필러넥 장치(1000)에 삽입된 주유건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주유건과의 물리적 접촉, 전기적 접촉 등을 이용하여 삽입된 상기 주유건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삽입된 주유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500)의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넥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제2 개폐부(5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러넥 장치(1000)에 설정된 크기와 다른 크기의 주유건이 삽입될 경우, 상기 오주유 방지부는 상기 제2 개폐부(500)의 잠금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개폐부(500)는 상기 주유건의 삽입 압력에도 개방되지 않고, 상기 삽입부(200)의 하부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1 지지부재의 하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2 지지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하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3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300)는 지지 부재(310, 320), 제1 밀봉 부재(380), 제1 지지핀(351), 제2 지지핀(352) 및 제1 탄성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10, 320)는 복수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부재(310, 320)는 제1 지지 부재(310) 및 제2 지지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주유건 삽입 시 상기 주유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지지 부재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외부로부터 신뢰성을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전도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PA), 폴리아미드 6(PA6), 폴리아미드66(PA66), 폴리이미드(PI),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OM(Poly Oxy Methylene, Polyacetal), PPO(Polyphenylene Oxide) 수지 및 변성 PPO (Modified PPO)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흑연, 카본 블랙, 금속 파우더, 금속 박편, 금속 섬유, 탄소 섬유, 금속 피복 유리섬유 등과 같은 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주유건과 접촉 시 통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돌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1)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1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1)는 후술할 제2 지지 부재(320)의 두께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1)는 하면이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탄성 변형 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 영역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부재(310)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313)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하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311)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313)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하면 상에서 하부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와 다른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은(Ag), 구리(Cu), 금(Au), 백금(Pt), 티타늄(Ti), 철(Fe), 마그네슘(Mg), 크롬(Cr), 몰리브덴(Mo), 니켈(Ni), 주석(Sn), 알루미늄(Al),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이들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 및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주유건과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접촉 시 통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돌출부(311)와 대응되는 삽입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321)은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결합 돌기(313)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323)은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 홈(323)은 상기 삽입 홈(32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결합 돌기(313)를 상기 결합 홈(323)에 억지 끼움 하여 결합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억지 끼움 시 상기 결합 돌기(313)의 일 영역이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320)가 결합할 경우,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삽입 홈(321) 내에 삽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보다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지지 부재(310) 및 제2 지지 부재(320)를 포함하며, 두 지지 부재(310 ,320)가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재질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하고, 종래와 비교하여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며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필러넥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지지 부재(310, 3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오링(O-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탄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NBR(Nitrile Butadi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FPM(Fluorinated Rubber)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 재질,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1 관통홀(121)을 차폐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개폐부(300)가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에 의해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탄성 변형하여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연료 및/또는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통해 외부로부터 수분, 먼지,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핀(351)은 상기 지지 부재(310, 320)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지지핀(351)은 제2 지지 부재(320)의 후단부에 형성된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핀(351)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10, 320)는 상기 제1 지지핀(351)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10, 320)는 상기 제1 지지핀(351)을 회전축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핀(352)은 상기 지지 부재(310, 320) 및 상기 제1 지지핀(35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핀(352)은 상기 지지 부재(310, 320) 및 상기 제1 지지핀(351)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핀(352)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커버 케이스(100) 또는 상기 삽입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핀(352)은 상기 제1 탄성 부재(360)가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핀(352)은 상기 제1 탄성 부재(360)가 설정된 위치에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지지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2 지지핀(3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2 지지핀(352)을 지지축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2 지지 부재(320) 및 상기 제1 지지핀(351)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일부 영역이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돌출부(311)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외부 압력에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탄성 부재(360) 상기 제1 개폐부(300)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가해진 압력이 제거될 경우 복원하여 설정된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스프링(spring) 형태를 가지며 권취부(361), 하부 연장부(363) 및 상부 연장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361)는 상기 제2 지지핀(352)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361)는 상기 제2 지지핀(352)의 둘레를 수 회 내지 수십 회 권취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장부(363)는 상기 권취부(36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하부 연장부(363)는 상기 삽입부(200)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장부(363)는 적어도 한 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연장부(363)는 제1 하부 연장부(363a) 및 제2 하부 연장부(36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연장부(363)는 상기 삽입부(200)의 단차부(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363a, 363b) 각각의 일부는 상기 단차부(210)의 제1 홈(211) 및 제2 홈(212) 내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연장부(363a, 363b)는 상기 삽입부(200) 및 상기 커버 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권취부(36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제1 개폐부(300)를 향해 연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돌출부(311)를 향해 연장할 수 있고, 상기 돌출부(311)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제1 상부 연장부(365a), 제2 상부 연장부(365b) 및 브릿지부(36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는 상기 권취부(361)에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의 제2 방향 간격은 상기 돌출부(311)의 제2 방향(y축 방향)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의 일부 영역은 상기 돌출부(311)의 측면과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의 일부는 상기 돌출부(311)의 측면과 이격되거나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는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의 끝단과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365c)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30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311)의 중심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의 중심과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1 개폐부(300)에 압력을 고르게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커버 케이스(100)의 제1 관통홀(121)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00)가 주유건 등의 외부 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오픈될 경우,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311)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오픈될 경우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의 중심을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돌출부(311)의 연장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제1 지지핀(35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될 경우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돌출부(311)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돌출부(311)의 측면 및 하면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 개폐부(300)에 균일한 힘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1 개폐부(300)의 일 영역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은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는 일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제1 개폐부(300)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를 효과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은 평면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는 상기 제1 지지핀(3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300)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과의 물리적 마찰을 최소화하며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또 다르게,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311)의 중심 영역이 가장 높고, 상기 중심 영역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하부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단면이 V자 형태의 평면으로 경사지거나 U자 형태의 곡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개폐부(300)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과의 물리적 마찰을 최소화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부(365c)는 상기 돌출부(311)의 중심을 효과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개폐부(300)에 균일한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에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1 지지핀(351)이 아닌 상기 제2 지지핀(352)을 고정 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1 개폐부(300)의 힌지 연결축(제1 지지핀(351))을 지지축으로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지지핀(352)을 지지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형상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가 상기 제1 지지핀(351)과 인접한 영역, 예컨대 힌지 연결 영역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연결 영역에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개폐부(300)에 힘을 고르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봉 부재(380) 중, 상기 힌지 연결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힌지 연결 영역과 반대되는 영역에 설정된 힘이 제공되지 않아 상기 제1 밀봉 부재(380)와 상기 커버 케이스(100) 사이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에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통전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사용자가 주유건으로 상기 제1 개폐부(300)를 가압하여 주유할 경우 정전기에 의해 폭발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는 전도성 재질의 지지 부재(310, 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상기 지지 부재(310, 320) 및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직접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개폐부의 제1 지지부재의 다른 상면도 및 다른 하면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의 제1 개폐부의 다른 하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지지 부재와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부재는 복수의 지지 부재(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지 부재(310, 320)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310) 및 제2 지지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제1 지지 부재(310)의 결합 돌기(313)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홈(323)은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상기 돌출부(311)와 대응되는 삽입 홈(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321)은 상기 결합 홈(323)과 이격되며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 부재(3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세스(3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돌출부(311)와 대응되는 방향, 예컨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311) 및 상기 삽입 홈(321)보다 짧거나 같은 거리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삽입 홈(321) 및 상기 결합 홈(323)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삽입 홈(321) 및 상기 결합 홈(3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상부 연장부(365)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제1 상부 연장부(365a) 및 상기 제2 상부 연장부(365b)와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세스(325)의 하면은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이 평면일 경우 상기 제1 리세스(325)의 하면은 평면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이 곡면일 경우 상기 제1 리세스(325)의 하면 역시 곡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설정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할 경우, 상기 제1 리세스(325)의 깊이는 일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과 상기 제1 리세스(325)의 하면 사이의 거리는 일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리세스(325)의 깊이는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가 상기 제1 지지핀(3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낮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리세스(325)의 깊이는 상기 제1 지지핀(3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깊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리세스(325)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과 상기 제1 리세스(325)의 하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브릿지부(365c)가 상기 돌출부(311)의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65a, 365b)가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리세스(325)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65a, 365b)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65a, 365b)가 상기 제2 지지 부재(320)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상부 연장부(365)는 상기 돌출부(311) 상에서 물리적 마찰을 최소화하며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1000)는 캡리스(capless)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 종래에는 상기 장치의 입구에 연료캡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캡은 상기 장치와 나사 결합 등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졌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장치에 주유건을 삽입할 경우 상기 연료캡을 분리하는 동작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는 상기 제1 개폐부(300)에 의해 상술한 연료캡이 생략된 캡리스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주유 등을 위해 상기 연료캡을 분리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연료캡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캡을 체결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 손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필러넥 장치(1000)는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주유건을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할 수 있으며, 향상된 심미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제1 개폐부(300) 전체에 힘을 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1 개폐부(300)의 제1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1 개폐부(300)가 힌지 연결된 제1 지지핀(351)과 이격된 제2 지지핀(3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연결 영역에 상기 제1 탄성 부재(360)의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밀봉 부재(380)는 상기 커버 케이스(100)와 균일하게 밀착하여 상기 제1 관통홀(121)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외부로부터 수분,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내부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폐부(300)는 통전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상하부가 오픈된 커버 케이스;
    상기 커버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주유건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상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 케이스의 오픈된 상부 영역을 개폐하는 제1 개폐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제1 개구부를 개폐하는 제2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개폐부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핀;
    상기 제1 지지핀과 이격되는 제2 지지핀; 및
    상기 제2 지지핀에 고정되는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지지핀을 매개로 상기 커버 케이스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주유건과 접촉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상에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삽입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결합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을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전도성 수지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이격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커버 케이스와 직접 접촉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의 삽입 압력으로 상기 제1 개폐부가 오픈될 경우,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돌출부 상에서 상기 돌출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1 지지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변화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하면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면에서 상면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리세스는 상기 삽입 홈과 이격되며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KR1020200035679A 2020-03-24 2020-03-24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KR10224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79A KR102244946B1 (ko) 2020-03-24 2020-03-24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679A KR102244946B1 (ko) 2020-03-24 2020-03-24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946B1 true KR102244946B1 (ko) 2021-04-27

Family

ID=7572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679A KR102244946B1 (ko) 2020-03-24 2020-03-24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94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356B2 (ko) * 1978-11-08 1987-11-25 Hitachi Ltd
JP2001163068A (ja) * 1999-09-22 2001-06-19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5367465B2 (ja) * 2009-06-08 2013-12-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フラップ弁装置
JP2014065445A (ja) * 2012-09-27 2014-04-17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JP2016155507A (ja) * 2015-02-26 2016-09-01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20160105417A (ko) * 2013-12-09 2016-09-06 마틴리어 메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캡리스 연료 시스템
US9505302B2 (en) * 2013-10-11 2016-11-29 Asteer Co., Ltd. Misfueling preventing apparatus
JP6256356B2 (ja) 2015-01-19 2018-01-1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356B2 (ko) * 1978-11-08 1987-11-25 Hitachi Ltd
JP2001163068A (ja) * 1999-09-22 2001-06-19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KR20110129893A (ko) * 2009-03-12 2011-12-02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오급유 방지기
JP5367465B2 (ja) * 2009-06-08 2013-12-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フラップ弁装置
JP2014065445A (ja) * 2012-09-27 2014-04-17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US9505302B2 (en) * 2013-10-11 2016-11-29 Asteer Co., Ltd. Misfueling preventing apparatus
KR20160105417A (ko) * 2013-12-09 2016-09-06 마틴리어 메탈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캡리스 연료 시스템
JP6256356B2 (ja) 2015-01-19 2018-01-1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JP2016155507A (ja) * 2015-02-26 2016-09-01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683B2 (en) Filter cartridge centering device
US8735744B2 (en) Three-cable port grommet washer
KR101417637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20100218849A1 (en) Fuel tank opening-closing device
US9216891B2 (en) Refueling assembly including a flow guide
JPS62178426A (ja) オリフイスリング
JP2007518619A (ja) 車両のタンクに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フィラーネック
KR20120100955A (ko) 무캡 급유 시스템
JP5027225B2 (ja) 乗物のタンクにディーゼル燃料を注入するための燃料注入口組立体
US11299039B2 (en) Tank flap or charging flap arrangement
KR102244946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넥 장치
US20050040170A1 (en) Cap device
US20090139606A1 (en) Contoured door with seal
JP5353793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FR2478936A1 (fr) Systeme d'immobilisation pour dispositif electrique
KR102174927B1 (ko) 캡리스 오주유 방지 장치
EP0187106A1 (fr) Dispositif d'obturation de récipients avec valve pour l'élimination automatique des gaz en surpression
US11745582B2 (en) Capless filler neck structure
JP2008044455A (ja) 給油口の閉鎖装置
CN110290962B (zh) 加油管用套筒体以及供油部构成装置
EP4293352A1 (en) Member coupling mechanism
KR20060018349A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장치
KR19980035928U (ko) 연료주입구용 캡장치
KR100783436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구조
KR20060037948A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용 주유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