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625B1 - 저장팩 - Google Patents

저장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625B1
KR102174625B1 KR1020190059837A KR20190059837A KR102174625B1 KR 102174625 B1 KR102174625 B1 KR 102174625B1 KR 1020190059837 A KR1020190059837 A KR 1020190059837A KR 20190059837 A KR20190059837 A KR 20190059837A KR 102174625 B1 KR102174625 B1 KR 10217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pack
adhesive
adhesive film
recei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이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순 filed Critical 이종순
Priority to KR1020190059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저장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은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취부, 절취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점착성에 의해 수용부를 개폐하는 점착부, 수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와 배면부로 이루어진 연장부 및 점착부의 일시적 개구 작용 시, 연장부에 삽입되어 수용부에 함침액을 주입하는 별도의 주사장치를 포함하고, 점착부는 주사장치의 주입구가 삽입되도록 수용부를 개방하고, 함침액의 주입이 완료될 때까지 주입구를 감싸 수용부를 폐쇄하고, 내용물과 함침액이 함침될 때까지 수용부를 폐쇄하는 일시적 개폐구로 작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장팩{STORAGE PACK}
본 발명은 저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의 저장 및 보관 시 밀폐(기밀, 수밀 등) 유지가 용이하고, 내용물의 취출하기 전까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 하여 산화에 의한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장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팩은 내용물과 외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고 보관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팩의 내부 공간 개폐방식으로는 포장재 내측에 형성된 돌출형상과 함몰형상을 결합 또는 분리하는 지퍼백 방식를 적용하여 필요에 따라 개폐하는 방식이나, 완전 밀폐 상태로 저장하고 사용 시에 절취선이나 절취홈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을 완전히 개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완전 밀폐 저장 후 완전 개방하는 방식의 저장팩은 저장팩을 개방하기 전까지는 내용물과 공기를 완벽하게 차단해주지만 여러 차례 개폐하며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잠금 장치가 필요하고, 잠금 장치의 체결 과정 중에 저장팩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지퍼팩 방식의 저장팩은 돌출 형상과 함몰 형상의 결합에 의해 내부 공간이 밀폐되기 때문에 지퍼백 사이에 별도의 주입장치가 배치될 경우 섬세한 밀폐가 불가능하여 공기에 의해 쉽게 산화 되는 내용물 또는, 함침물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1.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5763 2.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52581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의 취출 전까지 공기의 침투 및 주입물의 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저장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내용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장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저장팩은,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취부, 상기 절취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점착성에 의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점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와 배면부로 이루어진 연장부 및 상기 점착부의 일시적 개구 작용 시,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함침액을 주입하는 별도의 주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주사장치의 주입구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고, 상기 함침액의 주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주입구를 감싸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내용물과 상기 함침액이 함침될 때까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일시적 개폐구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전면 점착 필름 및 배면 점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전면 점착 필름 및 상기 배면 점착 필름이 함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전면 점착 필름과 상기 배면 점착 필름으로 이루어진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점착 필름과 상기 배면 점착 필름을 벌리거나 점착시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폭 보다 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취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절취부로 절취를 유도하는 절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는 절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내용물은 마스크 팩이고, 상기 주사장치의 함침액은 에센스일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내용물을 편리하고 청결하게 저장 및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용물의 취출 전까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공기에 의해 산화되기 용이한 내용물을 변질 없이 저장팩의 내부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함침액을 유출없이 저장팩의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고, 산화되기 용이한 함침액을 내용물과 함침하기 전까지 변질 없이 저장팩의 내부 공간에 주입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연장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사용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저장팩을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점착성에 의해 저장팩의 내부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의 취출 전까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공기에 의해 산화되기 용이한 화합물을 내용물과 함침할 경우에도 변질 없이 내부 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는 저장팩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은 수용부(100), 절취부(200), 점착부(400) 및 연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어 소정 두께를 갖는 입체형상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수용부(100)의 형태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수용부(100)의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수용부(100)의 형태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이나, 타원형을 포함한 원형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는 절취를 용이하게 하는 절취선(이하 제2절취선(L2)) 또는 절취홈(H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수용부(100)의 일측에 제2절취선(L2)이 형성되고, 제2절취선(L2)의 양 단부에 절취홈(H2)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절취홈(H2)은 제2절취선(L2)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거나, 제2절취선(L2) 없이 수용부(1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크기나 재질, 연장부(300)의 폭에 따라 연장부(300)를 통해 직접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2절취선(L2) 또는 절취홈(H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절취선(L2)은 제2절취선(L2)이 형성되는 위치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거나 얕게 흠집을 내는 등의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소정에 힘에 의해 쉽게 절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00)는 수용부(10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310)와 배면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연장부(300)의 폭(W2)은 수용부(10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수용부(100)의 일측, 즉, 연장부(300)의 상측에는 절취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200)는 절개방향을 유도하는 절취선(이하 제1절취선(L1)) 또는, 절취홈(H1)에 의해 절취될 수 있으며, 절취부(200)는 제1절취선(L1)과 절취홈(H1)을 각각 또는,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절취부(200)의 양 단부 즉, 제1절취선(L1)의 양 단부에 절취홈(H1)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제1절취선(L1) 및 절취홈(H1,H2)의 위치 및 절취홈(H1)의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절취홈(H1)은 제1절취선(L1)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거나, 제1절취선(L1) 없이 연장부(30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절취선(L1)은 절취부(200)의 절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절취선(L1)이 형성되는 위치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거나 얕게 흠집을 내거나, 열을 가해 전면부(310)와 배면부(320)를 밀착시켜 타공을 내는 등의 공정을 통해 소정에 힘에 의해 쉽게 절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연장부(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점찹부는 전면부(3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전면 점착 필름(410)과, 배면부(3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배면 점착 필름(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착부(400)는 연장부(300) 즉, 절취부(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점착부(400)는 저장팩의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실링된 부분 즉, 전면부(310), 배면부(320), 전면 점착 필름(410), 배면 점착 필름(420)이 함께 고정되어 항상 고정 상태인 고정부(430)와, 전면부(310)에 고정된 전면 점착 필름(410)과 배면부(320)에 고정된 배면 접착 필름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힘에 의해 밀착되거나 분리되는 개폐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개폐부(440)는 점착성에 의해 전면 점착 필름(410)과 배면 점착 필름(420)이 밀착 또는 분리되며 수용부(100)를 개폐하며, 내용물의 함침을 위한 소정 주사장치(I)가 삽입될 경우, 공기 침투 방지를 위해 일시적으로 개폐구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용부(100)의 폭(W1) 보다 연장부(300) 즉, 개폐부(440)의 폭(W3)을 좁게 형성하여 수용부(100)로의 공기 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연장부(300)와 수용부(100)는 상단과 하단이 동일한 폭을 갖는 사각형 형상이고, 점착부(400)의 폭과 연장부(300)의 폭이 동일하며, 연장부(300)의 폭이 수용부(10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본 발명은 각 구성의 형상, 각 구성간 치수 관계, 연장부의 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연장부(300)와 수용부(100)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하되, 연장부(300)의 소정 위치에만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과 관통되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관통부에 점착부(400)를 배치하거나, 연결부의 형상을 하측은 수용부(100)와 동일하고 상측은 수용부(100)보다 좁은 폭을 갖는 사다리꼴 형상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의 수용부(100)에 직접 점착부(400)와 절취부(200)를 형상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팩의 사용 순서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마스크(M)팩이고, 함침물(이하 함침액)이 에센스(E)이며, 함침액은 공기에 쉽게 산화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함침액 또는 내용물이 공기에 쉽게 산화되는 화합물일 경우, 소정 주사장치(I)와 저장팩의 연결부 즉, 연장부(300) 사이를 확실히 밀착시키지 않게 되면 소정 주사장치(I)와 연장부(30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함침액 또는 내용물을 산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합물은 질소(N)나 이산화탄소(CO₂)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주사장치(I)와 연장부(300) 사이를 확실히 밀착시키지 않고 함침액을 주입하게 되면, 연장부(300)와 소정 주사장치(I)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한 성분(N, CO₂)들이 유출되어 내용물과 함침액의 함침에 의한 효과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저장팩은 함침액을 주입하기 전에 소정 주사장치(I)와 점착부(400) 즉, 전면 점착 필름(410)과 배면 점착 필름(420)을 완전히 밀착시켜 함침액의 유출 또는, 공기 침투를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점착부(400)는 내용물의 함침을 위한 소정 주사장치(I)의 삽입, 함침액의 유출 방지 및 공기 침투 방지를 위해 일시적으로 개폐구로 작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는 절취부(200) 절취단계, (B)는 수용부(100)의 일시적 개방단계, (C)는 주사장치(I) 삽입 및 수용부(100) 밀폐단계, (D)는 함침액 주입단계, (E)는 주사장치(I) 제거 및 수용부(100) 밀폐단계, (F)는 수용부(100) 완전 개방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하고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A)단계는 제1절취선(L1)(및 절취홈(H1))을 이용하여 절취부(200)를 절취하는 1차 개방단계이고, (B)단계는 전면부(310)와 배면부(320)를 벌려 개폐부(440) 즉, 전면 점착 필름(410)과 배면 점착 필름(420)을 소정 폭 떼어내어 수용부(100)를 임시로 개방하는 2차 개방단계이며, (C)단계는 주사장치(I)의 주입구를 벌어진 개폐부(440)에 삽입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점착부(400)를 꼼꼼히 눌러 주입구와 개폐부(440)를 밀착시키는 단계이며, (D)단계는 수용부(100)가 밀폐된 상태에서 주사장치(I)를 밀어 함침액을 분사하는 단계이며, (E)단계는 분사가 완료된 주사장치(I)를 제거하고 주입구가 제거된 위치의 점착부(400)를 꼼꼼히 눌러 수용부(100)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단계이며, (F)단계는 내용물의 함침이 완료되면 제2절취선(L2)(및 절취홈(H2))을 이용하여 수용부(100)를 완전히 개방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의 크기나 재질, 연장부(300)의 폭 등에 따라 연장부(300)를 통해 직접 내용물을 취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F)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주사장치(I)를 이용하여 함침액을 주입할 경우에는 (C)단계에서 점착부(400)에 의해 주입구의 둘레가 완전히 감싸지도록 주입구의 단부가 점착부(400)보다 수용부(100)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취부(200)와 점착부(40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수용부(100) 내에 내용물을 완벽하게 밀폐하여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주사장치(I)를 통해 함침액을 주입할 경우에도 점착부(400)를 통해 주사장치(I)와 연장부(30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여 내용물 및 함침액의 변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용부
200: 절취부
300: 연장부
400: 점착부
310: 전면부
320: 배면부
410: 전면 점착 필름
420: 배면 점착 필름
430: 고정부
440: 개폐부
L1: 제1절취선
L2: 제2절취선
H1,H2: 절취홈
W1: 수용부의 폭
W2: 연장부의 폭
W3: 개폐부의 폭
I: 주사장치
M: 마스크
E: 에센스

Claims (8)

  1. 내부 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취부;
    상기 절취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점착성에 의해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점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부와 배면부로 이루어진 연장부; 및
    상기 점착부의 일시적 개구 작용 시,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에 함침액을 주입하는 별도의 주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는,
    상기 주사장치의 주입구가 삽입되도록 상기 수용부를 개방하고, 상기 함침액의 주입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주입구를 감싸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고, 상기 내용물과 상기 함침액이 함침될 때까지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는 일시적 개폐구로 작용하는, 저장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배면부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전면 점착 필름 및 배면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저장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상기 전면부, 상기 배면부, 상기 전면 점착 필름 및 상기 배면 점착 필름이 함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전면 점착 필름과 상기 배면 점착 필름으로 이루어진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점착 필름과 상기 배면 점착 필름을 벌리거나 점착시켜 상기 수용부를 개폐하는, 저장팩.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폭은 상기 수용부의 폭 보다 좁은, 저장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의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상기 절취부로 절취를 유도하는 절취홈이 형성되는, 저장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부의 절취를 용이하게 하는 절취홈이 형성되는, 저장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용물은 마스크 팩이고,
    상기 주사장치의 함침액은 에센스인, 저장팩.
  8. 삭제
KR1020190059837A 2019-05-22 2019-05-22 저장팩 KR10217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37A KR102174625B1 (ko) 2019-05-22 2019-05-22 저장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837A KR102174625B1 (ko) 2019-05-22 2019-05-22 저장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625B1 true KR102174625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837A KR102174625B1 (ko) 2019-05-22 2019-05-22 저장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6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63Y1 (ko) 2006-06-28 2006-09-13 김광윤 모유 저장팩
KR20150052581A (ko) 2013-11-06 2015-05-14 윤정일 모유 저장팩
KR20170128708A (ko) * 2016-05-13 2017-11-23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파우치
JP2018062391A (ja) * 2011-07-08 2018-04-19 スティール,マーク 衛生的取り出しパッケージ
KR20190040771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스탠드팩 저장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763Y1 (ko) 2006-06-28 2006-09-13 김광윤 모유 저장팩
JP2018062391A (ja) * 2011-07-08 2018-04-19 スティール,マーク 衛生的取り出しパッケージ
KR20150052581A (ko) 2013-11-06 2015-05-14 윤정일 모유 저장팩
KR20170128708A (ko) * 2016-05-13 2017-11-23 주식회사 더우주 마스크팩 파우치
KR20190040771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스탠드팩 저장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7320A1 (en) Cutter
US7332207B2 (en)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and a method of assembly
JP5037488B2 (ja) スナップ持ち上げ式のコンタクトレンズ容器
JP2008297012A (ja) 緊密に物品を挟持する気体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74625B1 (ko) 저장팩
KR101982299B1 (ko) 보안성이 강화된 포장상자
US10737829B1 (en) Box fastener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KR102149880B1 (ko) 멀티 티슈 포장용기
JP2007297073A (ja) 包装袋
KR200468664Y1 (ko) 지퍼를 갖는 용기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JP2005298050A (ja) 包装装置
US1119828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sheet
KR101173108B1 (ko) 공기주입노즐 유도 구조가 구비된 완충용 포장재
KR200198520Y1 (ko)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KR102288345B1 (ko) 용접봉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용접봉 포장방법
KR101705198B1 (ko) 과일 보호용 봉지
JP5368488B2 (ja) 袋封止用クリップ
US113573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pressible pouch
KR200444450Y1 (ko)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JP7204699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収容容器
KR20220045344A (ko) 다중 공간을 갖는 파우치의 개봉된 부위를 차단하는 구조 및 차단 방법
JP2010023921A (ja) 物品収容袋
KR200208416Y1 (ko)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KR20180118291A (ko) 팩 밀폐장치의 분리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