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416Y1 -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416Y1
KR200208416Y1 KR2020000013478U KR20000013478U KR200208416Y1 KR 200208416 Y1 KR200208416 Y1 KR 200208416Y1 KR 2020000013478 U KR2020000013478 U KR 2020000013478U KR 20000013478 U KR20000013478 U KR 20000013478U KR 200208416 Y1 KR200208416 Y1 KR 200208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vinyl paper
paper
air
seal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용
Original Assignee
박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용 filed Critical 박원용
Priority to KR2020000013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4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416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삽입부(2)(5)를 가지는 제1비닐지(1)와 상부에 제1공기구멍(6)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비닐지(1)의 삽입부(2)에 대향되는 다른 삽입부(5)를 가지는 제2비닐지(4)로 이루어지고, 제1비닐지(1) 및 제2비닐지(4)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1밀폐공간(21)이 형성되며, 제1밀폐공간(21)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1비닐지(1)에 공기주입밸브(3)가 구비되는 전면케이스(9)와; 상부에 제2공기구멍(12)이 형성된 제3비닐지(11)와 상단에 고리(14)가 형성된 제4비닐지(13)로 이루어지고, 제3비닐지(11) 및 제4비닐지(13)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2밀폐공간(22)이 형성되며 제2공기구멍(12) 둘레가 제1공기구멍(6) 둘레에 열융착되는 후면케이스(20)와; 삽입부(2)(5)가 끼워지도록 후면케이스(20)의 제3비닐지(11) 하부에 부착되는 포켓(15)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2)(5) 둘레를 제외한 전면케이스(9) 둘레와 후면케이스(20)의 대응 둘레가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부착되는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삽입부(2)(5)를 외측으로 제치고 내부의 수납공간(23)에 무선전화기(24)를 밀어 넣으며 다시 삽입부(2)(5)를 포켓(15) 내부에 끼운 후 공기주입밸브(3)를 통해 전면케이스(9)의 제1밀폐공간(21)과 후면케이스(20)의 제2밀폐공간(22)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케이스가 팽창되면서 공기챔버가 형성되므로 무선전화기(24)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고, 전면케이스(9)의 삽입부(2)(5) 및 후면케이스(20)의 대응 부위가 팽창할시 포켓(15)과 삽입부(2)(5) 사이의 틈새가 밀착되면서 케이스 내부의 수납공간(23)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케이스 내부가 방수처리되어 무선전화기(24)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walkie-taklie case for watertihg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통신장비의 보급이 보편화되었고,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무선전화기(보통 '핸드폰'이라 통용됨)를 휴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직업이 다양화, 세분화됨에 따라 이러한 무선전화기는 필수 휴대품이 되고 있는 추세이며, 서비스 지역도 점차 광범위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언제, 어떠한 상황이든지 자유롭게 통화할 수 있는 것이 무선전화기의 장점이다.
특히 영업을 위주로 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무선전화기를 항시 휴대하여서 어떠한 상황이든지 통화하여서 거래처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고자 노력할 것이다.
이러한 무선전화기를 편리하게 휴대하고자 케이스가 구비되는데, 이는 그 재질에 따라 가죽재의 케이스와 합성수지재의 케이스로 나누어진다.
가죽재의 케이스는 무선전화기의 크기에 따라 가죽원단을 전면, 배면, 및 측면을 이루도록 재단하고 이들 연결부위를 재봉처리하여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의 케이스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휴대폰의 크기에 따라 재단한 후 가죽재와 같이 연결부위를 재봉처리하거나 고주파가열하여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무선전화기 케이스는 가죽이든지, 합성수지이든지 그 수납공간이 방수처리되지 못하기 때문에 목욕탕, 수영장 등에서는 무선전화기를 항시 휴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전화기는 기기의 특성상 충격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심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는데 종래의 케이스들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무선전화기를 보호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수처리되어 있어서 물속에서도 무선전화기를 착용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무선전화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는,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하부에 삽입부를 가지는 제1비닐지와 상부에 제1공기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1비닐지의 삽입부에 대향되는 다른 삽입부를 가지는 제2비닐지로 이루어지고, 제1비닐지 및 제2비닐지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1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제1밀폐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1비닐지에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는 전면케이스와; 상부에 제2공기구멍이 형성된 제3비닐지와 상단에 고리가 형성된 제4비닐지로 이루어지고, 제3비닐지 및 제4비닐지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2밀폐공간이 형성되며 제2공기구멍 둘레가 제1공기구멍 둘레에 열융착되는 후면케이스와; 삽입부가 끼워지도록 후면케이스의 제3비닐지 하부에 부착되는 포켓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 둘레를 제외한 전면케이스 둘레와 후면케이스의 대응 둘레가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의 다른 특징은, 후면케이스의 제4비닐지 배면에 탄성밴드가 부착된다.
따라서, 삽입부를 외측으로 제치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무선전화기를 밀어 넣으며 다시 삽입부를 포켓 내부에 끼운 후 공기주입밸브를 통해 전면케이스의 제1밀폐공간과 후면케이스의 제2밀폐공간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케이스가 팽창되면서 공기챔버가 형성되므로 무선전화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고, 전면케이스의 삽입부 및 후면케이스의 대응 부위가 팽창할시 포켓과 삽입부 사이의 틈새가 밀착되면서 케이스 내부의 수납공간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케이스 내부가 방수처리되어 무선전화기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들
도3은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를 보이는 사시도
도4 및 도5는 케이스에 무선전화기를 수납시키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이는 개략적 측단면도
도6은 케이스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7은 도6의 단면도
도8은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비닐지 2,5 ; 삽입부
3 ; 공기주입밸브 4 ; 제2비닐지
6,12 ; 공기구멍 9 ; 전면케이스
11 ; 제3비닐지 13 ; 제4비닐지
14 ; 고리 15 ; 포켓
20 ; 후면케이스 21 ; 제1밀폐공간
22 ; 제2밀폐공간 23 ; 수납공간
24 ; 무선전화기 25 ; 탄성밴드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의 제조 과정을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로써, 먼저 본 고안 케이스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비닐지(1), 제2비닐지(4), 제3비닐지(11), 제4비닐지(13) 및 포켓(15)으로 이루어진다.
제1비닐지(1) 하부는 이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삽입부(2)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포켓(15)에 원활히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1비닐지(1) 상부에는 공기주입밸브(3)가 구비되어 있다.
제2비닐지(4)는 제1비닐지(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부에 삽입부(5)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에는 공기주입밸브(3)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1공기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비닐지(1)와 제2비닐지(4)는 제1고주파가열선(7) 및 제2고주파가열선(8)을 따라 열융착되어서 전면케이스(9)를 이루며, 이에 따라 전면케이스(9) 내부에는 제1밀폐공간(21)이 형성된다.
제3비닐지(11)는 제1공기구멍(6)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공기구멍(12)이 형성되어 있고, 제4비닐지(13)는 제3비닐지(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4비닐지(13) 상단에 고리(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3비닐지(11)와 제4비닐지(13)는 제3고주파가열선(16) 및 제4고주파가열선(17)을 따라 열융착되어서 후면케이스(20)를 이루며, 이에 따라 후면케이스(20) 내부에는 제2밀폐공간(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비닐지(11) 외측면 하단에는 포켓(15)이 위치되고, 포켓(15)과 제3비닐지(11)는 제6고주파가열선(18)을 따라 열융착되어 있으며, 제2비닐지(4)의 제1공기구멍(6) 둘레와 제3비닐지(11)의 제2공기구멍(12) 둘레는 제5고주파가열선(19)을 따라 열융착된다.
한편 전면케이스(9)와 후면케이스(20)는 제1고주파가열선(7) 및 제3고주파가열선(16)을 따라 열융착되어서 부착되므로 이들 사이에 수납공간(23)이 형성되는데, 삽입부(2)(5)는 포켓(15)에 착탈시켜야 하므로 삽입부(2)(5) 둘레는 열융착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는, 도3과 같이 전면케이스(9)와 후면케이스(20)가 밀착된 상태에서 수납공간(23)에 무선전화기(24)를 넣으려면 도4와 같이 삽입부(2)(5)를 외측으로 벌리고, 삽입부(2)(5) 내측면과 포켓(15) 외측면 사이로 무선전화기(24)를 밀어 넣어서 수납공간(23)에 무선전화기(24)를 삽입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2)(5)를 포켓(15)에 끼우고 공기주입밸브(3)를 통해 제1밀폐공간(21) 및 제2밀폐공간(22)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바, 공기주입밸브(3)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는 제1밀폐공간(21)에 충진되고 다시 제1공기구멍(6)과 제2공기구멍(12)을 통과하여 제2밀폐공간(22)으로 충진된다.
제1밀폐공간(21)과 제2밀폐공간(22)에 공기가 충진됨에 따라 케이스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풀어 오르게 되며, 내부의 무선전화기(24)는 충진된 공기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한편 삽입부(2)(5)가 포켓(15)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가 푸풀어 오르면 전면케이스(9)의 삽입부(2)(5) 및 후면케이스(20)의 하부가 부풀어 오르면서 삽입부(2)(5)와 포켓(15) 사이의 틈새가 밀착된다.
따라서 이들 결합부위의 틈새가 확실하게 차단되어서 수납공간(23)이 방수처리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결과 본 고안 케이스에 수납된 무선전화기(24)를 1시간 동안 물속에 담근다하더라도 물이 전혀 스며들지 않았으며, 도6 및 도7과 같이 공기가 충진된 상태에서도 음질은 그다지 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케이스에 수납된 무선전화기(24)는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도 휴대가 가능하며 어떠한 장소에서도 통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무선전화기(24)는 충격에 매우 약하므로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을시 치명적인 손상이 초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고안 케이스에 수납된 무선전화기(24)는 1-2m의 높이에서 떨어뜨린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었으며, 케이스가 터지지 않는한 무선전화기에 가해진 충격이 충분히 흡수,분산된다.
도8은 본 고안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로써, 후면케이스(20) 배면에 탄성밴드(25)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탄성밴드(25)를 손목에 끼워서 무선전화기 케이스를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목욕시나 수영할때와 같은 경우에 무선전화기(24)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의하면, 삽입부(2)(5)를 외측으로 제치고 내부의 수납공간(23)에 무선전화기(24)를 밀어 넣으며 다시 삽입부(2)(5)를 포켓(15) 내부에 끼운 후 공기주입밸브(3)를 통해 전면케이스(9)의 제1밀폐공간(21)과 후면케이스(20)의 제2밀폐공간(22)에 공기를 불어 넣으면, 케이스가 팽창되면서 공기챔버가 형성되므로 무선전화기(24)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되고, 전면케이스(9)의 삽입부(2)(5) 및 후면케이스(20)의 대응 부위가 팽창할시 포켓(15)과 삽입부(2)(5) 사이의 틈새가 밀착되면서 케이스 내부의 수납공간(23)을 차단시키게 되므로 케이스 내부가 방수처리되어 무선전화기(24)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무선전화기 케이스에 있어서,
    하부에 삽입부(2)를 가지는 제1비닐지(1)와 상부에 제1공기구멍(6)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비닐지(1)의 삽입부(2)에 대향되는 다른 삽입부(5)를 가지는 제2비닐지(4)로 이루어지고, 제1비닐지(1) 및 제2비닐지(4)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1밀폐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밀폐공간(21)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제1비닐지(1)에 공기주입밸브(3)가 구비되는 전면케이스(9)와;
    상부에 제2공기구멍(12)이 형성된 제3비닐지(11)와 상단에 고리(14)가 형성된 제4비닐지(13)로 이루어지고, 제3비닐지(11) 및 제4비닐지(13)의 둘레 및 중앙부분이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내부에 제2밀폐공간(22)이 형성되며 제2공기구멍(12) 둘레가 상기 제1공기구멍(6) 둘레에 열융착되는 후면케이스(20)와;
    상기 삽입부(2)(5)가 끼워지도록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제3비닐지(11) 하부에 부착되는 포켓(1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2)(5) 둘레를 제외한 전면케이스(9) 둘레와 후면케이스(20)의 대응 둘레가 고주파가열처리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스(20)의 제4비닐지(13) 배면에 탄성밴드(25)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KR2020000013478U 2000-05-12 2000-05-12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KR200208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78U KR200208416Y1 (ko) 2000-05-12 2000-05-12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78U KR200208416Y1 (ko) 2000-05-12 2000-05-12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803A Division KR20010094492A (ko) 2000-03-31 2000-03-31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416Y1 true KR200208416Y1 (ko) 2001-01-15

Family

ID=73085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78U KR200208416Y1 (ko) 2000-05-12 2000-05-12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4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023B1 (ko) * 2014-08-19 2015-09-15 최병삼 방수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방수 케이스
KR20160004283U (ko) * 2015-06-04 2016-12-14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023B1 (ko) * 2014-08-19 2015-09-15 최병삼 방수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방수 케이스
KR20160004283U (ko) * 2015-06-04 2016-12-14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KR200482789Y1 (ko) * 2015-06-04 2017-03-07 김석헌 구명튜브 겸용 방수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5566B1 (en) Cellular telephone case
US7255228B2 (en) Cellular phone casing with melted liquid flow disconnection hole along hinge line
US20030000984A1 (en) Device cover, particularly suited for electronic devices
US8005251B2 (en) Portable waterproof equipment
AR009476A1 (es) Radiotelefono portatil
TR200003795T2 (tr) Cep telefonları için koruma çantası.
US20230100688A1 (en) Earphone protective case
KR200208416Y1 (ko)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KR20010094492A (ko) 방수용 무선전화기 케이스
JP2001046132A (ja) 携帯電話等携帯型通信端末器用保護カバー
KR20180012703A (ko) 모바일 장치용 케이스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KR200193709Y1 (ko) 방수용 카세트 케이스
KR19980069019U (ko) 신축성 핸드폰 케이스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100385098B1 (ko) 지퍼가 달린 플라스틱제 주머니
JP2923257B2 (ja) 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US20030073413A1 (en) Bag for a mobile phone
WO2001011848A1 (en) Carrier for a mobile phone
KR200194785Y1 (ko) 휴대폰 방수케이스
KR101780384B1 (ko) 방수팩
CN212995004U (zh) 一种防护型化纤制文件包
CN210867830U (zh) 贴皮手机壳
KR101379936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180083496A (ko) 휴대전화 파손 방지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