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384B1 - 방수팩 - Google Patents

방수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384B1
KR101780384B1 KR1020160046450A KR20160046450A KR101780384B1 KR 101780384 B1 KR101780384 B1 KR 101780384B1 KR 1020160046450 A KR1020160046450 A KR 1020160046450A KR 20160046450 A KR20160046450 A KR 20160046450A KR 101780384 B1 KR101780384 B1 KR 101780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ront cover
rear cover
storag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승한
Original Assignee
(주) 대성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성글로벌 filed Critical (주) 대성글로벌
Priority to KR102016004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10Beach-bags; Watertight beach-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은 좌, 우, 하측 부분이 막히고, 상측 부분이 개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부분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분을 막는 봉인부(Seal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서로 합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와 후면커버(Rear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부분에서 상기 전면커버 또는 상기 후면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복수의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는 돌기부(Protrusion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팩{Waterproof Pack}
본 발명은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이동 중에 기지국을 통해 일반 전화 가입자 또는 다른 이동통신 전화기와 통화할 수 있는 장치로서 최근에는 음악재생 및 카메라기능 뿐만 아니라 TV시청이나 간단한 인터넷 검색 등과 같은 각종 기능들이 구현됨으로써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휴대폰의 내부로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가 물에 의해 부식이 발생되며 전자기판 및 전기회로는 젖은 상태로 전류가 인가되면 과전압이 발생되어 휴대폰의 내부 부품의 손상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휴대폰을 휴대한 상태로는 수영장이나 해수욕장 등에서 안전하게 사용되지 못하면서도 개인의 부주의로 휴대폰이 물에 침수될 때에는 휴대폰의 고장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에 빠지더라도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은 좌, 우, 하측 부분이 막히고, 상측 부분이 개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부분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분을 막는 봉인부(Seal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는 서로 합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와 후면커버(Rear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부분에서 상기 전면커버 또는 상기 후면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복수의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는 돌기부(Protrusion Part)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투명한 수지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분은 상기 하측 부분을 향해 접히고, 상기 봉인부는 상기 수납부의 접힌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인부는 측면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레일(Rail)이 형성된 파이프(Pipe) 형태의 바디부(Body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막히고, 타측 끝단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접힌 부분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수납부의 접힌 부분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돌기부는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길이와 다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 2 돌기부의 폭과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은 물에 빠지더라도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 젖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1은 봉인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23은 수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은 수납부(20)와 봉인부(Sealing Part, 1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20)는, 도 2에서와 같이, 좌, 우, 하측 부분이 막히고, 상측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수납부(20)의 개방된 상측 부분을 통해 스마트폰(300)의 등의 물품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20)는 투명한 수지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납부(20)에 보관된 물품, 예컨대 스마트폰(30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봉인부(10)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수납부(20)의 개방된 부분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되어 수납부(20)의 상측 부분을 막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납부(20)의 상측 부분은 하측 부분을 향해 접히고, 봉인부(10)는 수납부(20)의 접힌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봉인부(10)는 수납부(20)의 상측 부분을 말아서 밀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1은 봉인부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봉인부(10)는 제 1 부분(First Part, 100)과 제 2 부분(Second Part, 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부분(100)과 제 2 부분(110)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부분(100)은 바디부(Body Part, 10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1)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같이, 바디부(101)의 측면은 개방되어 길이방향(Longitude Direction, DRL)으로 레일(OP)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20)의 접힌 부분은 바디부(101)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OP)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디부(101)에는 연결고리(104)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고리(104)를 통해 목걸이 등의 다른 부분이 연결될 수 있다.
제 2 부분(110)은 바(Bar, 112)와 바(112)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는 마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100)과 제 2 부분(110)이 결합되면, 제 2 부분(110)의 마개(111)에 의해 바디부(100)의 한쪽 끝단이 막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부(101)의 길이방향(DRL)으로 일측 끝단은 막히고, 타측 끝단은 개방될 수 있다.
수납부(20)는 바(112)를 기준으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납부(20)는 바디부(101)의 레일(OP)로 진입하여 바(112)의 주위를 돌아 다시 레일(OP)로 나갈 수 있다. 그러면,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부(20)는 바(112)를 감싸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부(10)가 봉인부(20)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112)와 마개(111)를 포함하는 제 2 부분(110)을 이용하여 바디부(101)의 한쪽 끝단을 막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01)의 한쪽 끝단에 소정의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바디부(101)의 개방된 타측 부분에는 잠금부(Locker, FP)가 배치될 수 있다.
잠금부(FP)는, 앞선 도 1에서와 같이,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연결된 상태에서 바디부(101)의 레일(OP)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수납부(20)가 봉인부(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20)에 수납된 스마트 폰 등의 물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다.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부(FP)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수납부(20)의 폭(W1)은 바디부(101)의 일측 끝단과 잠금부(FP) 사이의 간격(W2)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부(2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잠금부(FP)는 레일(OP)의 양쪽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바디부(101)의 단면을 기준으로 잠금부(FP)는 레일(OP)의 양쪽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의 경우와 같이, 바디부(101)의 단면을 기준으로 레일(OP)의 양쪽에는 제 1 잠금홀(First Locking Hole, H1a)과 제 2 잠금홀(Second Locking Hole, H1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01)의 레일(OP)의 양쪽에는 각각 연장부(Extending Part, 103)가 배치되고, 하나의 연장부(103)에는 제 1 잠금홀(H1a)이 형성되고, 다른 연장부(103)에는 제 2 잠금홀(H1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봉인부(10)는 제 1 잠금홀(H1a)과 제 2 잠금홀(H1b)을 함께 관통하는 고리(Hook, 1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잠금부(FP)는 제 1 잠금홀(H1a), 제 2 잠금홀(H1b) 및 고리(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102)가 제 1 잠금홀(H1a)과 제 2 잠금홀(H1b)을 관통하여 연결되면, 고리(102)에 의해 봉인부(10)에 연결된 수납부(20)가 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는, 잠금부(FP)가 제 1 잠금홀(H1a), 제 2 잠금홀(H1b) 및 고리(102)를 포함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잠금부(FP)는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부(20)가 길이방향(DRL)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조건하에서 그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잠금부(FP)는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수납부(20)가 길이방향(DRL)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일(OP)의 양쪽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잠금부(FP)는, 도 7 내지 도 8의 경우와 같이, 레일(OP)의 양쪽에 배치되는 제 1 연장부(First Extending Part, 105)와 제 2 연장부(Second Extending Part, 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장부(105)에는 제 3 잠금홀(H2)이 형성되고, 제 2 연장부(106)에는 제 1 돌출부(First Projection Part, P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바디부(101)의 단면을 기준으로, 레일(OP)의 일측에는 제 3 잠금홀(H2)이 형성되고, 레일(OP)의 타측에는 제 3 잠금홀(H2)에 대응되는 제 1 돌출부(P1)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1 돌출부(P1)가 제 3 잠금홀(H2)에 삽입되면, 길이방향(DRL)으로 수납부(20)가 봉인부(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돌출부(P1)가 제 3 잠금홀(H2)에 연결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9의 경우와 같이, 제 1 돌출부(P1)는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머리부(Head Portion)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도 10 내지 도 11의 경우와 같이, 잠금부(FP)는, 바디부(101)의 단면을 기준으로, 레일(OP)의 일측에서 바디부(101)의 외부면(Outer Surface)에 형성되는 제 2 돌출부(Second Projecting Part, P2)와 제 2 돌출부(P2)에 대응되는 제 4 잠금홀(H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1)에서 레일(OP)의 타측에는 연장부가 배치되고, 제 4 잠금홀(H3)은 연장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잠금부(FP)는 레일(OP)의 타측에서 바디부(101)로부터 연장되는 제 3 연장부(Third Extending Part, EP1)와 제 3 연장부(EP1)로부터 연장되는 제 4 연장부(Fourth Extending Part, E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연장부(EP2)는 움직임(스윙(Swing)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3 연장부(EP1)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잠금홀(H3)은 제 4 연장부(EP2)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납부(20)와 봉인부(10)의 연결 시, 제 4 연장부(EP2)는 제 2 돌출부(P2)쪽으로 움직여서 제 4 잠금홀(H3)과 제 2 돌출부(P2)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 연장부(EP1)와 제 4 연장부(EP2)를 하나의 연장부로 간주하면, 연장부(EP1, EP2)는, 봉인부(10)와 수납부(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 2 돌출부(P2)가 제 4 잠금홀(H3)에 삽입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제 3 연장부(EP1)와 제 4 연장부(EP2)는 하나의 통합 연장부로 일체화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합 연장부는 제 4 잠금홀(H3)이 제 2 돌출부(P2)에 닿을 수 있도록 휘어지는 성질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합 연장부는 섬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제 4 잠금홀(H3)과 제 2 돌출부(P2)의 위치가 바뀌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잠금홀(H3)은, 도 10 내지 도 11 상에서, 제 2 돌출부(P2)의 위치에 형성되고, 제 2 돌출부(P2)는 제 4 잠금홀(H3)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23은 수납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수납부(20)는 서로 합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 21)와 후면커버(Rear Cover, 2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수납부(20)의 개방된 상측 부분에서 전면커버(21) 또는 후면커버(22)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복수의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는 돌기부(Protrusion Part, 23)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3)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엠보싱 부분(Embossing Part)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면커버(21)의 내측면에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후면커버(22)의 내측면에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면커버(21)의 내측면과 후면커버(22)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커버(21)의 내측면과 후면커버(22)의 내측면은 접촉할 수 있다.
돌기부(23)에 형성된 돌기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3의 경우와 같이 돌기(24)는 볼록한 형태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24)의 높이는 방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도 14의 경우와 같이, 돌기(24)는 사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도 15의 경우와 같이, 돌기(24)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수납부(20)의 전면커버(21) 및 후면커버(22)에 각각 돌기부(23)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의 내측면과 후면커버(22)의 내측면에는 각각 돌기부(23)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면커버(2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23)를 제 1 돌기부(23)라 하고, 후면커버(2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돌기부(23)를 제 2 돌기부(23)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1 돌기부(23)와 제 2 돌기부(23)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돌기부(23)와 제 2 돌기부(23)의 폭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7의 경우와 같이,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으로 전면커버(21)의 길이(L10)는 후면커버(22)의 길이(L20)와 다른 경우에,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돌출부(23)의 폭(L1)은 제 2 돌출부(L2)의 폭과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방향(DR1)으로 전면커버(21)의 길이(L10)는 후면커버(22)의 길이(L20)보다 짧은 경우에, 제 1 방향(DR1)으로 제 1 돌기부(23)의 폭(L1)은 제 2 돌기부(23)의 폭(L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하나의 동판을 이용하여 돌기부(23)를 형성하는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 중 어느 하나에 돌기부(23)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 중 길이가 상대적으로 더 긴 후면커버(22)에 돌기부(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방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수납부(20)와 봉인부(1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19의 경우와 같이, 돌기부(23)는 수납부(20)의 접힌 부분과 중첩(Overlap)할 수 있다.
아울러, 봉인부(10)에 의해 돌기부(23)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20의 경우와 같이, 수납부(20)의 접힌 부분에서는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가 밀착되고, 이로 인해 방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의 방수효과를 실험하여 획득한 데이터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팩(1)과 비교예 1, 2, 3, 4, 5에 따른 방수팩에 수성 펜으로 글을 쓴 화장지를 넣고 밀봉한다. 이후, 도 21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팩(1)과 비교예 1, 2, 3, 4, 5에 따른 방수팩을 1시간 동안 물이 담긴 수조에 넣고 물이 침투하는지를 관찰한다.
비교예 1, 2, 3, 4, 5에 따른 방수팩은 돌기부(23)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이다.
도 2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은 실험 1, 2, 3, 4, 5, 6, 7에서 모두 물이 침투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결과가 도 23의 (B)에 개시되어 있다.
반면에, 비교예 1, 3, 5에서는 실험 1, 2, 3, 4, 5, 6, 7에서 모두 물이 침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가 도 23의 (A)에 개시되어 있다.
비교예 2에서는 실험 3의 경우를 제외하고 실험 1, 2, 4, 5, 6, 7에서 물이 침투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실험 5의 경우를 제외하고 실험 1, 2, 3, 4, 6, 7에서 물이 침투하였다.
비교예 2의 실험 3과 비교예 4의 실험 5의 경우는 다른 실험의 결과를 보고 예측하면 우연히 여러 조건이 맞아서 물이 침투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의 실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팩(1)은 방수효과가 매우 뛰어난 반면에, 비교예 1, 2, 3, 4, 5에 따른 방수팩은 방수 효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의 제조공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의 제조공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살펴보면, 먼저 수납부(20)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 재질의 원단을 재단(S10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A)와 같이 원단(200)을 패턴을 형성하기 적합한 크기로 재단할 수 있다.
이후, 원단(200)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S1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B)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패턴 형성 용 동판으로 원단(200)에 압력을 가하여 0.05-0.08mm 깊이로 엠보싱 패턴(돌기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에 로고 및 제품명을 표시(S120)할 수 있다.
이후, 원단(200)을 적절하게 절단(S13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5의 (C)와 같이, 원단(200)을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에 맞게 절단할 수 있다.
이후, 절단한 전면커버(21)와 후면커버(22)를 합착(S140)하여 수납부(2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에 대해 방수기능을 주요 관점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은 방수기능과는 관계없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팩(1)은 견과류, 곡물 등과 같은 식품 등의 보관에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좌, 우, 하측 부분이 막히고, 상측 부분이 개방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부분에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분을 막는 봉인부(Seal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상측 부분은 상기 하측 부분을 향해 접히고, 상기 봉인부는 상기 수납부의 접힌 부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봉인부는 측면이 개방되어 길이방향으로 레일(Rail)이 형성된 파이프(Pipe) 형태의 바디부(Body Part)와, 상기 바디부의 레일에 삽입되며 일측 끝단에 마개가 배치되는 바(Bar)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와 바가 결합되면 상기 마개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측 끝단은 막히고 타측 끝단은 개방되며,
    상기 수납부는 바를 기준으로 접히며, 상기 수납부의 접힌 부분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납부는 서로 합착되는 전면커버(Front Cover)와 후면커버(Rear Cover)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부분에서 상기 전면커버 또는 상기 후면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면(Inner Surface)에는 복수의 돌기(Protrusion)를 포함하는 돌기부(Protrusion Part)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돌기의 높이는 0.05 내지 0.08mm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수납부의 접힌 부분으로부터 상하 일정거리 이내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는 수납부의 접힌 부분과 중첩(Overlap)하는 방수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투명한 수지재질을 포함하는 방수팩.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제 1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내측면에는 제 2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부와 상기 제 2 돌기부는 중첩되는 방수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길이와 다르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돌기부의 폭은 상기 제 2 돌기부의 폭과 다른 방수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전면커버의 길이는 상기 후면커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1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 2 돌출부의 폭보다 작은 방수팩.
KR1020160046450A 2016-04-15 2016-04-15 방수팩 KR101780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50A KR101780384B1 (ko) 2016-04-15 2016-04-15 방수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50A KR101780384B1 (ko) 2016-04-15 2016-04-15 방수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384B1 true KR101780384B1 (ko) 2017-09-21

Family

ID=6003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50A KR101780384B1 (ko) 2016-04-15 2016-04-15 방수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44A1 (ko) * 2018-07-05 2020-01-09 손광오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36B1 (ko) * 2013-12-13 2015-03-20 장미화 방수팩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36B1 (ko) * 2013-12-13 2015-03-20 장미화 방수팩용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544A1 (ko) * 2018-07-05 2020-01-09 손광오 에어타이트 폴드 타입 방수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33Y1 (ko) 부레팩이 구비된 휴대용 방수팩
JP2016537902A (ja) 電話、他の携帯型電子装置及び他の装置用の複合保護ケース
US8295896B2 (en) Waterproof cover for mobile phone
CN106997815B (zh) 按钮开关
US8326383B1 (en) Adhesive cas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311987B1 (ko) 교통카드의 수납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381964Y1 (ko) 덮개 일부가 슬라이딩 개폐되는 휴대폰 단말기용보호케이스
KR1013641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KR20140074786A (ko) 스마트폰용 방수커버
KR101780384B1 (ko) 방수팩
KR200477076Y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N105163534A (zh) 一种壳体配合机构、电子设备壳体及电子设备
JP6637684B2 (ja) 携帯機器
KR101946988B1 (ko) 휴대용 방수팩
JP3178612U (ja) スマートフォンケース
CN209862529U (zh) 一种自带取卡结构的智能手表
CN202798826U (zh) 一种手机套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KR10065800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스피커 모듈을 갖는 악세사리
KR200258153Y1 (ko) 방수 휴대폰
CN205195782U (zh) 一种带有夹层的手机外壳
KR200472307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412619Y1 (ko) 핸드폰 케이스
CN209914036U (zh) 一种按键结构及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