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17B1 -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17B1
KR101364117B1 KR1020120052332A KR20120052332A KR101364117B1 KR 101364117 B1 KR101364117 B1 KR 101364117B1 KR 1020120052332 A KR1020120052332 A KR 1020120052332A KR 20120052332 A KR20120052332 A KR 20120052332A KR 101364117 B1 KR101364117 B1 KR 10136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antenna
base plat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8543A (ko
Inventor
이중식
Original Assignee
이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식 filed Critical 이중식
Priority to KR102012005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부가 단말기 본체와 분리되어 있으며 컨택터를 이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있어서 컨택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택터의 구성은 ;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5)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3); 상기 베이스판(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로 절곡되는 탄성절곡부(7); 상기 탄성절곡부(7)에서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판(3)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1); 볼록면(13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1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A)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버킷 형태의 컨택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Antenna Contacto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Contacto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부가 단말기 본체와 분리되어 있으며 컨택터를 이용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있어서 컨택터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으로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안테나가 구비된다. 안테나는 외장형과 내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지만,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경박단소화를 위하여 내장형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 근래에 스마트폰과 같은 다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능별로 여러 개의 안테나가 내장되고 있으며 그중에는 안테나 회로패턴이 형성된 필름 형태의 안테나가 사용되기도 있다. 필름 형태의 안테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에 부착되어 설치되기도 한다. 따라서 커버에 내장된 안테나와 이동통신단말기 본체 사이에는 전기적 접촉을 위한 접속수단이 설치된다. 통상적인 접속수단으로는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컨택터가 사용된다. 이 컨택터는 통상 본체의 회로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되며 컨택부가 커버의 안테나 단자부를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는 등 외적 요인에 의해 컨택부의 형태가 변형되고 탄성력이 감쇄되는 경우 접촉불량을 야기하는 경우가 있고, 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축적됨으로써 컨택부의 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종래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가 가지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안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컨택터의 컨택부에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 또는 스토퍼를 개입시켜 컨택부의 심한 변형을 억제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였다(예를 들어, 특허공개 제10-2009-0120261호 참조). 특히 실용신안등록 제 20-0448504호는 소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며, 나아가 본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먼지커버를 절곡 형성시키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컨택터와 관련하여 위에 지적한 문제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가 접촉불량으로 오인한 나머지 접촉력이 좋아지도록 하기 위해 꼬챙이와 같이 끝이 뾰족한 물체를 컨택부에 끼워 넣고 위로 들어 올림으로써 컨택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였다. 위에 언급된 종래기술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 역시 필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와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촉부로서의 컨택터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컨택터의 측부에 있는 미세한 홈을 통해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어넣지 못하도록 하여 컨택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컨택터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하여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로 절곡되는 탄성절곡부;
상기 탄성절곡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볼록면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버킷 형태의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베이스판을 상기 기판에 납땜할 경우 땜납으로 하여금 상기 탄성절곡부를 타고 상승되지 못하고 상기 베이스판에 머물도록 하기 위한 땜납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컨택부가 상기 베이스판을 향해 휘어지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상기 컨택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로 절곡되는 탄성절곡부; 상기 탄성절곡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판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 볼록면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버킷 형태의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핑거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릴로 감을 수 있는 띠형태의 밴드를 이용하되;
상기 핑거에 상기 컨택터를 연결하여 일체화한 다음, 보빈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를 감아 릴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컨택터는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밴드에 연결되며, 상기 밴드와 상기 컨택터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는 브이(V)커팅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택터에 의하면, 안테나와 접촉하게 되는 컨택터의 컨택부가 안정적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벌어지거나 하는 등의 형태변형이 생기지 않게 되고, 컨택부가 내부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경우에도 컨택부의 측부에 틈이 전혀 없기 때문에 이 틈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컨택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컨택터 제공방법에 의하면, 컨택터를 릴 형태로 감은 채로 사용자측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측은 이를 직접 공정에 투입하여 풀어가면서 컨택터를 분리하여 기판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컨택터의 부착작업이 지극히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컨택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저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이용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택터의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택터의 사시도와, 저부사사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먼저 설명하되, 도 4는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컨택터(1)는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통상 동 또는 동합금이 이용되지만 도전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소재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컨택터(1)의 두께 역시 종래기술에 준하여 결정하면 된다.
베이스판(3)은 통상 메인보드로 불리는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5, 도 3 참조)에 납땜으로 고정된다. 납땜할 경우 땜납으로 하여금 후술되는 탄성절곡부(5)를 타고 상승되지 못하고 베이스판(3) 주변에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땜납수용홈(9)이 베이스판(3)에 마련될 수 있다. 땜납수용홈(9)은 베이스판(3)의 가장자리 양측을 반원 형태로 커팅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판(3)의 저면에 널링(9', knurling)에 의해 마련되는 다수의 미세한 요철홈으로 하여금 땜납수용홈(9)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탄성력을 조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원형의 탄성절곡부(7)가 베이스판(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 탄성절곡부(7)가 컨택터(1)에 가해지는 힘을 탄성력으로 흡수 저장하는 것이다.
연장부(11)는 탄성절곡부(7)의 끝에서 시작하여 베이스판(3)의 타측을 향해 연장된다. 연장부(11)는 베이스판(3)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11)의 단부에는 안테나(A)의 단자(T)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컨택부(13)가 설치된다. 컨택부(13)는 버킷 형태로서 볼록면(13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부(11)의 단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택부(13)는 양측벽(13b), 전방벽(13c) 및 후방벽(13d)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버킷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양측벽(13b)은 평편하며 전방벽(13c)과 후방벽(13d)은 둥글게 만곡됨으로써 굴삭기의 버킷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컨택부(1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가정용 바가지와 같이 횡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이 되도록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컨택부(13)를 성형함에 있어서 재료의 연신률에 한계가 있을 경우에는 컨택부(13)의 측벽 하단에 도시된 것처럼 브이(V)자 형태로 터짐방지용 절개부(15)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판(3)에는 컨택부(13)가 베이스판(3)을 향해 휘어지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판(3)으로부터 컨택부(13)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7)는 베이스판(3)을 유(U)자 형태로 절곡해도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컨택부(13)와 마찬가지로 버킷 형태로 성형된다. 따라서 스토퍼(17) 역시 일체형으로 된 측판(17a, 도 2 참조)을 가진다. 스토퍼(17)의 측판(17a)은 상부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해 상부로 들려지는 것과 같은 형태적 변형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을 단말기(M)의 일부 단면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베이스판(3)은 기판(5)에 납땜으로 고정되며, 컨택부(13)는 통상 니어케이스(near case)라고 일컫는 중간커버(19)의 컨택터공(21)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된다. 중간커버(19)의 상부에는 외부커버(23)가 덮여지게 된다. 이러한 커버 구조는 휴대형 단말기의 일반적 구조이다.
외부커버(23)에는 필름 형태의 안테나(A)가 설치되며, 안테나(A)의 접속단자(T)는 컨택부(13)의 직상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중간커버(19) 위의 공간(S1)에서 컨택부(13)의 저부공간(S2)으로 통할 수 있는 틈이 전혀 없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끝이 뾰족하거나 날카로운 물체로써 컨택부(13)를 들어 올린다든가 하는 조작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컨택부(13)의 측벽(13b) 및 전후방벽(13c,13d)이 컨택부(13)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단말기(M)에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컨택부(13)가 벌어지는 등 형태 변형이 생기지 않게 됨으로써 컨택터의 내구성과 접촉 안정성이 담보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택터의 사시도들이다. 도 7은 스토퍼(17)의 형태를 가시화하기 위해 컨택부(13)가 일부 절개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스토퍼(17)의 형태가 이전 실시예에 차이가 있는데, 이렇게 측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는 프레스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17)는 여전히 버킷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17)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판(17a, 도 7 참조)을 가지며 상방향에서 가해지는 물리력에 의한 변형됨이 없게 된다. 도면부호가 매겨진 나머지 구성요소는 이전 실시예와 다를 바 없으므로 반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에 설명된 컨택터(1)를 그의 사용자, 예를 들어 단말기 생산자측에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택터(1)의 구성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반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방법에 의하면, 일정한 간격으로 핑거(25)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릴로 감을 수 있는 띠형태의 박형 밴드(27)를 이용하고 있다. 하나의 핑거(25)에 하나의 컨택터(1)를 일정한 패턴 내지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일체화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보빈(29)에 밴드(27)를 감아 롤형태로 만든다. 그러면 컨택터(1)는 일정한 패턴으로 밴드를 따라 감기게 되고 이 상태에서 포장된 후 사용자측에 제공하게 된다. 많은 양의 컨택터(1)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컨택터(1)의 높이를 수용하기 위해 밴드(27) 사이에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띠 형태의 충전재(31, 예를 들어 발포시트)가 개입될 수 있다.
밴드(27)와 컨택터(1)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C, 도 6 참조)는 브이(V)커팅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정한 위치에 보빈을 거치시킨 다음, 이를 이완시키면서 컨택터(1)를 즉시로 기판 위에 탑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밴드(27)와 충전재(31)는 회수되어 재사용된다.
밴드(27)와 컨택터(1)가 같은 재질일 경우 위와 같이 일체형으로 타발 성형하면 된다. 그러나 밴드(27)와 컨택터(1)를 다른 재질로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27)를 합성수지로 할 수 있으며, 컨택터(1)와 밴드(27)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핑거(25)는 밴드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때에 따라 밴드의 양측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밴드(27)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밴드(27)에는 걸침공(33)이 일정 간격으로 타공되는데, 이는 밴드(27)를 기어식 롤러와 톱니 방식으로 결합하여 롤을 회전시키거나 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컨택터 3 : 베이스판
5 : 기판 7 : 탄성절곡부
9 : 땜납수용홈 11 : 연장부
13 : 컨택부 15 : 절개부
17 ; 스토퍼 19 : 중간커버
21 : 컨택터공 23 : 외부커버
25 : 핑거 27 : 밴드
29 : 보빈 31 : 충전재
33 : 걸침공 A : 안테나
T : 안테나의 단자 C : 연결부
M : (이동통신) 단말기

Claims (5)

  1.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5)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3);
    상기 베이스판(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로 절곡되는 탄성절곡부(7);
    상기 탄성절곡부(7)에서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판(3)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1); 볼록면(13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1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A)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버킷 형태의 컨택부(13)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부(13)는 양측벽(13b), 전방벽(13c) 및 후방벽(13d)이 일체를 이루고 있는 버킷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에는 상기 컨택부(13)가 상기 베이스판(3)을 향해 휘어지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판(3)으로부터 상기 컨택부(13)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17)가 더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17)는 버킷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4.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5)에 납땜으로 고정되는 베이스판(3);
    상기 베이스판(3)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조성하는 것으로서 반원 형태로 절곡되는 탄성절곡부(7);
    상기 탄성절곡부(7)에서 시작하여 상기 베이스판(3)의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11); 볼록면(13a)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장부(11)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안테나(A)와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되는 버킷 형태의 컨택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1)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핑거(25, finger)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롤형태로 감을 수 있는 띠형태의 밴드(27)를 이용하되;
    상기 핑거에 상기 컨택터(1)를 연결하여 일체화한 다음, 보빈(29)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27)를 감아 롤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사용자 측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를 제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터(1)는 일정한 방향으로 상기 밴드(27)에 연결되며, 상기 밴드(27)와 상기 컨택터(1)는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C)는 브이(V)커팅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20052332A 2012-05-17 2012-05-17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KR10136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32A KR101364117B1 (ko) 2012-05-17 2012-05-17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32A KR101364117B1 (ko) 2012-05-17 2012-05-17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543A KR20130128543A (ko) 2013-11-27
KR101364117B1 true KR101364117B1 (ko) 2014-02-19

Family

ID=4985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332A KR101364117B1 (ko) 2012-05-17 2012-05-17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604B1 (ko) 2015-07-01 2016-01-14 주식회사 아모텍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2655612B1 (ko) 2016-12-21 2024-04-08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102441830B1 (ko) 2017-07-12 2022-09-08 (주)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102442279B1 (ko) 2017-07-12 2022-09-15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20190017408A (ko)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102527075B1 (ko) 2018-02-22 2023-05-02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KR102527074B1 (ko) 2018-02-22 2023-05-02 주식회사 아모텍 기능성 컨택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54B1 (ko) *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KR101001673B1 (ko) *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49545B1 (ko) * 2010-07-07 2011-07-14 강태석 안테나 접속장치
KR101103151B1 (ko) * 2011-01-25 2012-01-04 장윤석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 접속단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54B1 (ko) * 2010-02-02 2010-06-24 주식회사 선화정밀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KR101001673B1 (ko) *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49545B1 (ko) * 2010-07-07 2011-07-14 강태석 안테나 접속장치
KR101103151B1 (ko) * 2011-01-25 2012-01-04 장윤석 이동통신단말기용 안테나 접속단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8543A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1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US20090242264A1 (en) Two piece shielding device
KR101165558B1 (ko) 컨텍터
KR101309404B1 (ko) 단자 접속장치
US20150050840A1 (en) Card Connector and Connector
US20130252470A1 (en) Card holder
KR20120022314A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CN102576954B (zh) 用于电路板的连接器的安装结构
US934385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US7880096B2 (en) Shielding device with a replaceable top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CN104283060A (zh) 连接器
CN102497462A (zh) 移动终端
US8066537B1 (en) Probe connector
CN211352808U (zh) 壳体组件及电子设备
KR101424229B1 (ko) 슬림형 마이크로심 커넥터
KR101400747B1 (ko) 터미널 콘택트
KR101295289B1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심커넥터 접속단자
CN102393918A (zh) 卡型电子电路模块
KR100969918B1 (ko) 접속력을 향상시킨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널
KR101260204B1 (ko) 컨텍터
KR101780384B1 (ko) 방수팩
KR101397224B1 (ko) 컨택트
KR101499187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