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545B1 - 안테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545B1
KR101049545B1 KR1020100065460A KR20100065460A KR101049545B1 KR 101049545 B1 KR101049545 B1 KR 101049545B1 KR 1020100065460 A KR1020100065460 A KR 1020100065460A KR 20100065460 A KR20100065460 A KR 20100065460A KR 101049545 B1 KR101049545 B1 KR 10104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antenna
contact
fixed e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석
박진우
Original Assignee
강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석 filed Critical 강태석
Priority to KR102010006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안테나 접속장치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접속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양쪽 단부 일측에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스톱퍼를 포함한 고정단과,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와 탄성부의 끝단에서 평탄하게 연장되는 평탄부와 평탄부의 끝단에서 고정단과 멀어지는 상부 방향으로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고정단의 스톱퍼의 윗쪽으로 위치되며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의 끝단에서 고정단과 가까워지는 하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고정단의 받침대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유단을 포함하며, 접촉부와 안테나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변형 하중을 탄성부와 지지부에 의한 반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분산시키고 접촉부의 평형을 유지시켜 안테나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접속장치{Anntenna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의 안테나와 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안테나와 접속되는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PCB와 여러 기능 버튼이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통화 중일 때 수신되는 음량이나 음질을 양호하게 하고 인출 및 삽입시 수신 및 발신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휴대폰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PCB를 설치하고 휴대폰 본체의 일측 상부에 안테나를 구비하며, PCB의 일측에 형성된 PCB 접점부와 안테나의 하부에 형성된 안테나 접촉부 사이에 점접촉이 가능한 탄성부재를 형성하여 안테나와 PCB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휴대폰과 안테나를 연결하는 안테나 접속장치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져 휴대폰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양측에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체결편(10)을 가진 고정부(11)와 고정부(1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고정부(11)를 향하도록 절곡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절곡부(12)와 상기 절곡부(12)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고정부(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13)와 경사부(13)의 소정 위치에서 절곡되어 안테나 부싱과 접속하는 접속부(14)로 이루어지는 자유단(15)과 경사부(13)와 절곡부(12)에 걸쳐있는 소정의 개구(16)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두 개의 체결편(10)이 가지고 휴대폰의 메인 PCB에 구비된 구멍에 삽입된 후 솔더링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경우, 휴대폰의 메인 PCB와 고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체결편(10)이 필요하고 이에 맞게 메인 PCB에도 체결편(10)을 삽입하기 위한 장착홀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메인 PCB 제작 및 휴대폰용 안테나 접속장치의 제작 공정에 적지 않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는 안테나의 접촉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변형 하중을 받는 경우, 고정부(11)와 경사부(13) 사이에 위치한 절곡부(12)에 집중되어 피로 하중에 인해 절곡부(12)의 일측이 변형되거나 고정부(11)의 일부가 메인 PCB에 밀착되지 못하고 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안테나 접속장치는 절곡부(12)에 변형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지 못하게 되고 변형 하중에 의한 재질 피로도가 증가함과 아울러 변형 하중이 제거되었을 때 절곡부(12)의 회복 정도가 작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안테나 접속장치는 생산 공정에서 펀칭 등의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절단면이 불규칙하게 파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자유단(120)의 접속부(121) 양측면이 올라올 수 있으며 안테나와 접속부(121)가 불규칙 접촉이나 점접촉으로 인하여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고정단의 양쪽 측면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의 한 쌍의 스톱퍼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고정단의 하부면에 바닥면비드를 구현하여 안테나 접속장치를 휴대폰의 메인 PCB의 실장시 바닥면의 변형을 방지하여 평탄도를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의 상단면에 엠보싱 모양의 컨텍면을 형성하여 안테나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지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상기 휴대폰의 메인 PCB와 접속되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양쪽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받침대의 측방향으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스톱퍼를 포함한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단에서 평탄하게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상부 방향으로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단의 스톱퍼의 윗쪽으로 위치되며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가까워지는 하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대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와 상기 안테나가 접촉하면서 발생되는 변형 하중을 상기 탄성부와 상기 지지부에 의한 반력이 균형을 이루면서 분산시키고 상기 접촉부의 평형을 유지시켜 상기 안테나와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고정단의 받침대는 메인 PCB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하단면에 오목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면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형성된 바닥면 비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유단의 접촉부는 상부면 중앙부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포함된 컨텍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고정단에 형성된 스톱퍼로 인하여 안테나 접촉부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자유단의 접촉부의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접점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자유단에 형성된 컨텍면에 의해서 안테나 접촉부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어 접속장치의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고정단의 하부면에 바닥면비드를 구현하여 안테나 접속장치를 휴대폰의 메인 PCB의 실장시 바닥면의 변형을 방지하여 평탄도를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받침대의 양쪽 단부 일측에 일정 높이의 측벽을 형성하여 도금 공정에서 접속장치 간의 엉킴이나 결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지지부 및 탄성부가 변형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켜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고 이로 인하여 지속적이고 접점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접속장치의 고정단에 형성된 스톱퍼와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와의 견고한 지지력으로 인하여 안테나 접속장치의 성능 파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0: 고정단 22: 받침대
24: 스톱퍼 24a: 스톱퍼비드
24b: 스톱퍼앵글 26: 바닥면필렛
28: 바닥면비드 29: 측벽
30: 탄성부 40: 자유단
42: 접촉부 42a: 컨텍면
44: 평탄부 46: 연결부
48: 지지부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의 접속을 위한 고정단(20)과 고정단(20)과 안테나와의 접촉을 위한 자유단(40)의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단(20)은 납땜 등을 통해 휴대폰의 메인 PC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자유단(40)은 곡선 모양의 접촉면을 통해 안테나의 접촉부(42)와 접하게 된다.
고정단(20)은 평판 형태의 받침대(22)와 받침대(22)의 양쪽 측면에서 일정 높이로 각각 세워진 형태의 한 쌍의 스톱퍼(24)를 포함한다.
고정단(20)의 받침대(22)는 휴대폰의 메인 PCB와 납땜으로 고정되는데 이를 위하여 받침대(22)의 폭방향 양쪽 단부에는 대향되는 위치에 반원 모양의 바닥면필렛(26)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필렛(26)은 받침대(22)의 하단면에 납땜시 용융 상태의 납이 채워져 응고하게 되는 부분으로 접촉 불량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되고, 납땜이 이루어지는 바닥면필렛(26)을 인해 고정단(20)에 가해지는 변형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면필렛(26)은 모든 방향에서의 변형 하중에 의한 바닥면필렛(26) 방향의 수평력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발휘하고 밀착성을 높여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면필렛(26)은 6곳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고정단(20)의 받침대(22)는 받침대(22)의 하단면에 오목부와, 받침대(22)의 상단면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포함된 바닥면비드(28)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비드(28)는 받침대(22)가 메인 PCB에 밀착되지 못하고 휘지 않도록 받침대(22)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바닥면비드(28)는 받침대(22)의 하단면을 메인 PCB와 납땜시 오목부를 통해 가스가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닥면필렛(26)과 바닥면비드(28)는 안테나 접촉장치의 평탄도와 납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단(20)의 받침대(22)는 양쪽 단부 일측에 일정 높이의 측벽(29)을 형성하여 도금 공정에서 안테나 접속장치 간의 엉킴이나 결합을 방지한다. 여기서, 측벽(29)은 스톱퍼(24)와 후술하는 탄성부(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단(20)의 받침대(22)는 고정단(20)과 자유단(40) 사이에서 평판 형태로 받침대(22)의 양측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받침대(22)의 측방향으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스톱퍼(24)를 구비한다.
스톱퍼(24)는 자유단(40)의 접촉부(42)를 밑에서 받쳐주는 부분으로서 접촉부(42)에 충격의 규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짐으로 인해 후술하는 탄성부(30)에 부하가 전달되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다시말해, 스톱퍼(24)는 안테나 접속장치의 충격 또는 이상 가동시 자유단(40)의 접촉부(42)를 하단에서 안착 지지하여 성능 파괴를 예방한다.
이를 위해, 스톱퍼(24)는 받침대(22)의 양쪽 측면 일측에서 일체로 절곡 형성되면서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부재와 상단의 반원 모양의 원형부재를 포함한다.
스톱퍼(24)는 중앙부에 스톱퍼(24)의 지지력을 위해서 안쪽면에 오목부와 바깥쪽면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형성된 스톱퍼비드(24a)와 양쪽 하단 측면에 스톱퍼앵글(24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톱퍼(24)는 하단의 양쪽 측부에 바닥면필렛(26)이 형성되어 있어 각 바닥면필렛(26)으로 납이 올라와서 밀착성을 높여 견고성을 유지시킨다.
스톱퍼(24)는 자유단(40)에 구비된 접촉부(42)의 하측 측부쪽에 수직 돌출되고 후술하는 평탄부(44)의 높이에서 곡면(원형부재)으로 형성되어 이상 하중 발생시 접촉부(42)를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자유단(40)은 안테나측과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42)와 안테나측과 접촉에 의해 접촉부(42)가 눌릴 때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48)와 탄성부(30)와 지지부(48) 사이를 이어주는 평탄부(44) 및 연결부(46)를 포함한다. 여기서, 탄성부(30)는 고정단(2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원형으로 절곡된 형태, 즉 둥글게 구부러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탄성부(30)의 끝단은 고정단(20)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30)는 접촉부(42)를 포함하는 자유단(40)의 전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유단(40)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평탄부(44)는 탄성부(30)의 끝단에서 고정단(20)과 평행하도록 평판하게 연장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평탄부(44)의 끝단은 고정단(20)과 멀어지는 방향, 즉 상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연결부(46)가 연장 형성된다.
접촉부(42)는 내장형 및 외장형 안테나측과 접속되는 부분으로 연결부(46)의 끝단과 연장되어 반원 모양의 절곡된 형태로 되어 있고 지지부(48)의 일단과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42)는 상부면 중앙부에 반원 모양으로 절곡되고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포함된 컨텍면(42a)이 형성되어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으며, 컨텍면(42a)을 통해 안테나측과의 접촉시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면접촉을 형성하여 우수한 접촉성을 유지한다.
접촉부(42)는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 지지부(48)를 제공한다.
지지부(48)는 접촉부(42)의 끝단에서 고정단(20)과 가까워지는 방향, 즉 하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부(48)는 접촉부(42)가 눌려질 때 고정단(20)에 있는 받침대(22)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반력을 발생시켜 접촉부(42)를 탄력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 접속장치는 고정단(20), 스톱퍼(24), 측벽(29), 탄성부(30), 자유단(40) 등 안테나 접속장치에 형성된 구성요소들이 에스엠디(Surface Mounted Device, SMD) 공정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8)의 폭은 탄성부(30)에서 연장되는 평탄부(44)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탄성부(30)가 발휘하는 탄성력과 지지부(48)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동일한 힘으로 작용될 수 있게 되고 접촉부(42)의 평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스톱퍼(24)와 접촉부(42)의 접촉시 접촉부(42)의 폭(B1)이 스톱퍼(24) 간의 폭(B2)보다 작게 형성하여 스톱퍼(24)가 접촉부(4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반원 모양으로 절곡된 접촉부(42)의 반경은 스톱퍼(24)의 상단부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스톱퍼(24)가 접촉부(42)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장치에 변형 하중이 작용할 때, 변형되기 전과 변형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안테나 접속장치는 안테나측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자유단(40)에 변형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자유단(40)의 접촉부(42)가 고정단(20)에 있는 스톱퍼(24)와 접촉되기 전까지 한쪽의 지지부(48)와 다른 한쪽의 탄성부(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변형 하중은 지지부(48)와 탄성력으로 적절히 분산된다.
평탄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접촉부(42)는 스톱퍼(24)에 접촉되는 시점까지 양쪽에서 작용하는 동일한 반발력에 의해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접촉부(42)의 면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접속장치(100)가 안테나(120)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휴대폰의 메인 PCB(110)와 납땜으로 접착 고정된다.
안테나 접속장치(100)의 자유단(40)에 있는 접촉부(42)는 안테나(120)의 접속부(130)에 접속하게 된다.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안테나(120)의 접속부(130)에 의해 누르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은 안테나 접속장치(100)의 변형 하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변형 하중은 안테나 접속장치(100)의 자유단(40)에 작용하게 되고 자유단(40)의 눌림으로 인하여 양쪽으로 분산된다.
이렇게 분산된 분산 하중은 지지부(48)와 탄성부(30)로 분산되면서 탄성부(30)의 변형 하중에 의한 변형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안테나(120)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휴대폰의 메인 PCB(110)와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형태를 구현할 수 있고 접촉부(42)가 평형 상태를 유지하면서 변형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안테나 접속장치(100)는 스톱퍼(24)에 의해 접촉부(42)를 지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지지력과 변형 하중의 분산을 통해 안테나(120)와의 안정적인 접점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휴대폰의 안테나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의 메인 PCB와 접속되는 평판 형태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양쪽 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받침대의 측방향으로부터 각각 수직 절곡되어 일정 높이로 세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스톱퍼를 포함한 고정단;
    상기 고정단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둥글게 구부러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끝단에서 평탄하게 연장되는 평탄부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멀어지는 상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단의 스톱퍼의 윗쪽으로 위치되며 안테나와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단과 가까워지는 하부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대의 윗면에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자유단을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는 상기 고정단과 상기 자유단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자유단의 접촉부를 하단에서 안착 지지하고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기 위해 안쪽면에 오목부와 바깥쪽면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형성된 스톱퍼비드와 양쪽 하단 측면에 스톱퍼앵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대는 상기 메인 PCB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받침대의 하단면에 오목부와 상기 받침대의 상단면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형성된 바닥면 비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대는 폭방향 양쪽 단부에 실장시 밀착성을 위한 필렛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받침대는 상기 스톱퍼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대의 양쪽 단부 일측에 일정 높이의 측벽을 형성하여 도금 공정에서 접속장치 간의 엉킴이나 결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접촉부는 상부면 중앙부에 엠보싱 모양의 볼록부가 포함된 컨텍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의 지지부가 갖는 폭은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는 평탄부가 갖는 폭과 대비하여 작게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에서 발생하는 탄성력과 상기 지지부에서 발생하는 반력이 동일한 힘으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양쪽 단부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 간의 폭은 상기 자유단의 접촉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가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접속장치.
  9. 삭제
KR1020100065460A 2010-07-07 2010-07-07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4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60A KR101049545B1 (ko) 2010-07-07 2010-07-07 안테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460A KR101049545B1 (ko) 2010-07-07 2010-07-07 안테나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545B1 true KR101049545B1 (ko) 2011-07-14

Family

ID=4492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460A KR101049545B1 (ko) 2010-07-07 2010-07-07 안테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54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633B1 (ko) 2013-03-22 2014-01-20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364117B1 (ko) * 2012-05-17 2014-02-19 이중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KR101370175B1 (ko) 2013-05-14 2014-03-04 박진우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381612B1 (ko) 2012-01-30 2014-04-04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터미널 콘택트
KR101398169B1 (ko) * 2013-12-06 2014-05-22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단말기용 복합 기능성 인테나 클립
KR101400747B1 (ko) 2012-10-08 2014-05-29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터미널 콘택트
KR101443524B1 (ko) * 2013-05-14 2014-11-03 박진우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WO2020197037A1 (ko) * 2019-03-26 2020-10-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46162A1 (ko) *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아모텍 전기부재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835A (ja) 1998-09-30 2000-04-21 Fujitsu Ltd 携帯電話機のアンテナホルダ取付構造
KR200293955Y1 (ko) *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20090120261A (ko) * 2008-05-19 2009-11-24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01673B1 (ko)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4835A (ja) 1998-09-30 2000-04-21 Fujitsu Ltd 携帯電話機のアンテナホルダ取付構造
KR200293955Y1 (ko) * 2002-07-30 2002-11-04 주식회사 팬택 휴대폰의 안테나 접점구조
KR20090120261A (ko) * 2008-05-19 2009-11-24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01673B1 (ko) 2010-04-05 2010-12-15 박진우 안테나 접속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12B1 (ko) 2012-01-30 2014-04-04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터미널 콘택트
KR101364117B1 (ko) * 2012-05-17 2014-02-19 이중식 이동통신 단말기용 안테나의 컨택터 및 그의 제공방법
KR101400747B1 (ko) 2012-10-08 2014-05-29 대일티앤씨 주식회사 터미널 콘택트
KR101352633B1 (ko) 2013-03-22 2014-01-20 김선기 표면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370175B1 (ko) 2013-05-14 2014-03-04 박진우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443524B1 (ko) * 2013-05-14 2014-11-03 박진우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1398169B1 (ko) * 2013-12-06 2014-05-22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단말기용 복합 기능성 인테나 클립
WO2020197037A1 (ko) * 2019-03-26 2020-10-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84642B2 (en) 2019-03-26 2024-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ntenna connection member
WO2023146162A1 (ko) * 2022-01-27 2023-08-03 주식회사 아모텍 전기부재 접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545B1 (ko) 안테나 접속장치
KR101001673B1 (ko) 안테나 접속장치
US882119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674498B2 (ja) 電気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部材
JP5231637B2 (ja) アンテナ接続装置
KR101165558B1 (ko) 컨텍터
KR101139489B1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KR200448504Y1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KR101045484B1 (ko) 컨텍터
KR1009658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접속단자
KR101222242B1 (ko) 컨텍터
KR101572971B1 (ko) 클립형 표면 실장 접속단자
KR101254188B1 (ko) 안테나 접촉단자
CN107240798B (zh) 双触点弹片
KR20150024760A (ko) Pcb 컷 타입 접속장치
KR101687880B1 (ko) 전자기기 버튼 스위치 모듈용 보드 접속단자
KR100856236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내장 안테나 조립체
KR1011236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되는 안테나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KR100829978B1 (ko) 안테나 조립구조
KR10144352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100733221B1 (ko) 모터전원공급체
KR101295052B1 (ko) 휴대 단말기
KR101398159B1 (ko) 변형 방지 기능을 강화한 단말기용 인테나 클립
KR20190002629U (ko) 전자기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