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20Y1 -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 Google Patents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20Y1
KR200198520Y1 KR2020000010060U KR20000010060U KR200198520Y1 KR 200198520 Y1 KR200198520 Y1 KR 200198520Y1 KR 2020000010060 U KR2020000010060 U KR 2020000010060U KR 20000010060 U KR20000010060 U KR 20000010060U KR 200198520 Y1 KR200198520 Y1 KR 200198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jection
paper
vinyl paper
space
cel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오토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오토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오토링크
Priority to KR2020000010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외부와 완전하게 밀폐된 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비가 많이 내리는 날 야외에서 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수중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휴대폰 보관백이 물에 잠기거나 하더라도 휴대폰이 보관되어 있는 내부 공간으로는 수분이 침투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휴대폰의 보관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갖도록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를 갖도록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비닐지(2)의 전면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주기 위한 공기주입부재(7)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공기주입부재에는 공기주입부재(7)의 공기주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 위한 마개(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주입된 공기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 내로 이동하여 주입되도록 연결통로(9)가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며, 상단으로 입구부(10a)가 일체화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을 갖도록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가 서로 중첩되어 그 둘레부분중 입구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전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는 제1비닐지(2)에 기밀 접촉되면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를 폐쇄시켜 주도록 제5비닐지(11)의 둘레부분중 하단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제3비닐지(5)의 상단 둘레부에서 제1비닐지(2)의 양측 상단 둘레부로 이어지게 열융착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Description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bag for safekeeping mobile terminal with waterproof function}
본 고안은 휴대폰 보관백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휴대폰이 보관된 상태에서는 그 보관 공간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하여 비가 많이 내리는 날 부득히 야외에서 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비는 내리지 않더라도 수중에서 작업을 행할 때 보관하고 있는 휴대폰이 수분의 영향에 의해 고장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한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지 이미 오래되었고, 이로 인하여 주변 품목이 각종 악세사리를 비롯하여 보관백 등 다양화되고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기술 개발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휴대폰은 통상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옷의 호주머니 속에 집어 넣은 상태로 소지하거나 아니면 목걸이를 이용해 목에 걸은 상태로 소지하는데, 목걸이를 이용해 목에 걸은 상태로 휴대폰을 소지할 경우에는 분실의 위험성은 줄어들지만 여러가지로 불편하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휴대폰을 직접 호주머니에 집어 넣은 상태로 소지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본원의 임무를 수행하다 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휴대폰이 분실되는 경우가 자주 있게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외부 활동량이 많은 사람들은 별도로 만들어진 휴대폰 보관백을 이용해 휴대폰을 보관하고 있는데, 상기 휴대폰 보관백을 이용해 휴대폰을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폰 보관백을 고리를 이용해 혁띠에 주로 끼운 상태로 사용하므로 지금까지 알려진 휴대폰 보관팩은 단순히 소지의 편리성이 있으면서 분실됨도 없도록 하는 기본적인 역할만 수행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보관백은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가죽이나 섬유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휴대폰을 보관한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폰이 들어 있는 내부 공간이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지 못한 상태임에 따라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날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부득히 비를 맞으면서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물속으로 들어가 수중작업을 할 경우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을 다른 사람에게 잠시 보관토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비를 맞고 있는 사람이나 수중작업을 하는 사람이 계속해서 장소를 옮겨가는 상태에서는 물론 주변에 있는 모든 사람이 같이 비를 맞으면서 활동을 하거나 수중작업을 하게 되는 상태에서는 어쩔 수 없이 각자 본인이 직접 휴대폰을 소지하여야 하므로 이 경우 보관백에 보관된 상태로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보관백 내로 수분이 쉽게 스며들게 되고, 이 경우에는 휴대폰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전자부품이 손상되므로 휴대폰이 고장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외부와 완전하게 밀폐된 공간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비가 많이 내리는 날 야외에서 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수중작업을 행하는 과정에서 휴대폰 보관백이 물에 잠기거나 하더라도 휴대폰이 보관되어 있는 내부 공간으로는 수분이 침투하는 일이 없도록 함에 따라 휴대폰의 보관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보관을 위한 휴대폰이 내부 공간으로 넣어지기 전 상태도
도 2b는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보관을 위한 휴대폰이 내부 공간으로 넣어지는 상태도
도 2c는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보관을 위한 휴대폰이 내부 공간으로 넣어진 후 상태도
도 2d는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보관을 위한 휴대폰이 내부 공간으로 넣어진 후 상기 내부 공간의 밀폐를 위해 공기를 불어 넣은 상태도
도 3은 도 2d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2d의 Ⅱ-Ⅱ선 단면도
도 5는 도 2d의 Ⅲ-Ⅲ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방 공기주입공간부 2. 제1비닐지
3. 제2비닐지 4. 후방 공기주입공간부
5. 제3비닐지 6. 제4비닐지
7. 공기주입부재 8. 마개
9. 연결통로 10. 휴대폰 보관공간부
10a. 입구부 11. 제5비닐지
12. 전방 융착부 13. 후방 융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전방 공기주입공간부를 갖도록 제1비닐지와 제2비닐지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 후방 공기주입공간부를 갖도록 제3비닐지와 제4비닐지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비닐지의 전면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주기 위한 공기주입부재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공기주입부재에는 공기주입부재의 공기주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 위한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비닐지와 제3비닐지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 내로 주입된 공기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 내로 이동하여 주입되도록 연결통로가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며, 상단으로 입구부가 일체화된 휴대폰 보관공간부을 갖도록 제2비닐지와 제3비닐지가 서로 중첩되어 그 둘레부분중 입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는 제1비닐지에 기밀 접촉되면서 휴대폰 보관공간부의 입구부를 폐쇄시켜 주도록 제5비닐지의 둘레부분중 하단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제3비닐지의 상단 둘레부에서 제1비닐지의 양측 상단 둘레부로 이어지게 열융착에 의해 고정된 수분침투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d는 본 고안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d의 Ⅰ-Ⅰ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d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d의 Ⅲ-Ⅲ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예는 내부에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갖도록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를 갖도록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비닐지(2)의 전면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부재(7)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공기주입부재에는 공기주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 위해 마개(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주입된 공기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 내로 이동하여 주입되도록 연결통로(9)가 융착에 의해 형성되며, 상단으로 입구부(10a)가 일체화된 휴대폰 보관공간부(10)를 갖도록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가 서로 중첩되어 그 둘레부분중 입구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전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는 제1비닐지(2)에 기밀 접촉되면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10a)를 폐쇄시켜 주도록 제5비닐지(11)의 둘레부중 하단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제3비닐지(5)의 상단 둘레부에서 제1비닐지(2)의 양측 상단 둘레부로 이어지게 열융착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또한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가운데 부분에는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전방 융착부(12)가 열융착 형성되고,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을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의 가운데 부분에는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후방 융착부(13)가 열융착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의 공기주입 면적을 줄여보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휴대폰 보관백을 이용해 휴대폰을 보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가 많이 내리는 날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을 하여야 하거나 비는 내리지 않더라도 수중에서 작업을 하여야 할 경우에는 그 이전에 휴대폰을 본 고안 휴대폰 보관백을 구성하는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로 집어 넣어 수분침투가 방지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를 구체화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와 같은 상태는 보관을 위한 휴대폰이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로 넣어지기 전 상태인데, 이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구비하는 제1비닐지(2) 및 제2비닐지(3)의 상부분이 제5비닐지(11)의 안쪽으로 들어가 있으므로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구비하는 제2비닐지(3)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를 구비하는 제3비닐지(5) 사이에 구비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10a)를 상기 제5비닐지(11)가 감싸고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손의 일부 손가락을 제5비닐지(11) 안쪽으로 집어 넣어 둘레부분이 서로 융착된 상태로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구비하고 있는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상단을 잡고, 다른 한손의 일부 손가락으로는 상기 제5비닐지(11)의 하단 가운데 부분을 잡은 다음 상기 제1,2비닐지(2)(3)를 잡고 있는 손을 앞쪽으로 잡아당김과 동시에 제5비닐지(11)를 잡고 있는 손을 뒷쪽으로 밀으면 상기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상부분이 제5비닐지(11)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오게 되므로 도 2b와 같이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 사이에 구비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10a)가 벌어지게 된다.
이후 휴대폰을 입구부(10a)를 통해 상기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로 밀어 넣으면, 어느 순간 휴대폰이 휴대폰 보관공간부 내로 완전하게 집어 넣어 지는데, 이 상태에서 제5비닐지(11)의 바깥쪽으로 빠져나온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상부분을 다시 상기 제5비닐지(11)의 안쪽으로 집어 넣으면, 도 2c와 같이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공간인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10a)가 상기 제5비닐지(11)에 의해 다시 감싸여지게 된다.
계속해서 제1비닐지(2)의 전면 적소에 열융착 고정되어 있는 공기주입부재(7)를 통해 공기를 불어 넣으면, 이 공기는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 사이에 구비된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들어가 채워짐과 동시에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 내로 들어가 채워진 공기의 일부는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의 적소를 서로 열융착하여 형성한 연결통로(9)를 통해 상기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에 의해 구비된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로 들어가 채워지므로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는 제3,4비닐지(5)(6)와 함께 서로 융착 고정되어 있는 둘레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각각 부풀어 짐과 동시에 상기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는 제1,2비닐지(2)(3)와 함께 서로 융착 고정되어 있는 둘레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각각 부풀어 지므로 결국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 사이인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내부 면적이 최대한 줄어들게 되는데,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공기가 채워짐에 따라 제1비닐지(1)가 둘레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부풀어 질 때에는 제5비닐지(11)의 둘레부분중 상기 제3비닐지(5)의 상단 둘레부에서 제1비닐지(2)의 양측 상단 둘레부로 이어지는 접촉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된 구조임을 감안할 때 상기 전방으로 부풀어지는 제1비닐지(2)가 제5비닐지(11)를 전방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제5비닐지에 기밀 접촉되고, 이에따라 상기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휴대폰 보관공간부(10)가 외부와 완전하게 밀폐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기주입부재(7)를 통한 공기의 주입을 중단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주입부재에 일체화된 마개(8)를 공기주입부재(7)의 공기주입구로 끼워 상기 공기주입구를 폐쇄하면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 내에 채워져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휴대폰이 보관되어 있는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로 수분이 침투되는 일은 없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휴대폰 보관백에 휴대폰이 보관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을 소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호주머니에 직접 넣어 소지하여도 되고, 아니면 제1비닐지(2)의 전면이나 제4비닐지(6)의 후면에 걸림고리를 만들어 이를 이용해 혁대 등에 끼운 상태로 소지하여도 되며, 다른 방법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14)를 비닐지에 결합시켜 이를 이용해 사용자의 목에 걸은 상태로 소지하여도 된다.
한편 본 고안 휴대폰 보관백에 휴대폰이 보관된 상태로 사용자가 이를 소지한 후 비를 맞게되거나 수중작업을 하더라도 상기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공간인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로는 수분이 전혀 침투되지 않으므로 상기 휴대폰을 이루는 각종 부품이 수분에 의해 고장나거나 하는 일은 없게된다.
이후 휴대폰을 휴대폰 보관공간부(10) 내에서 외부로 다시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기 설명된 보관시의 수행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중에서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가운데 부분에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열융착 형성된 전방 융착부(12)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을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의 가운데 부분에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열융착 형성된 후방 융착부(13)는 특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의 공기주입 면적을 줄여보고자 함에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휴대폰 보관백을 이용해 휴대폰을 보관한 상태에서는 상기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내부 공간이 외부와 완전하게 격리된 차단상태이므로 특히 비가 많이 내리는 날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이 부득히 비를 맞으면서 야외에서 장시간 활동을 하거나 아니면 물속으로 들어가 수중작업을 하더라도 실제 휴대폰이 투입되어 있는 내부 공간부까지는 어떠한 경우에도 수분이 침투하거나 하지 않아 휴대폰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전자부품이 수분에 의해 손상되는 일은 전혀 없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갖도록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내부에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를 갖도록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가 서로 중첩되어 그 전 둘레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제1비닐지(2)의 전면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공기를 주입하여 주기 위한 공기주입부재(7)가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공기주입부재에는 공기주입부재(7)의 공기주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 위한 마개(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 적소에는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내로 주입된 공기가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 내로 이동하여 주입되도록 연결통로(9)가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며, 상단으로 입구부(10a)가 일체화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을 갖도록 제2비닐지(3)와 제3비닐지(5)가 서로 중첩되어 그 둘레부분중 입구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전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 및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는 제1비닐지(2)에 기밀 접촉되면서 휴대폰 보관공간부(10)의 입구부를 폐쇄시켜 주도록 제5비닐지(11)의 둘레부분중 하단 둘레부를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가 제3비닐지(5)의 상단 둘레부에서 제1비닐지(2)의 양측 상단 둘레부로 이어지게 열융착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공기주입공간부(1)를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1비닐지(2)와 제2비닐지(3)의 가운데 부분에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전방 융착부(12)가 열융착에 의해 구비됨과 함께 후방 공기주입공간부(4)을 마련하기 위해 서로 중첩된 제3비닐지(5)와 제4비닐지(6)의 가운데 부분에는 특정한 모양으로 트랙을 이루도록 후방 융착부(13)가 열융착에 의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KR2020000010060U 2000-04-10 2000-04-10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KR200198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0U KR200198520Y1 (ko) 2000-04-10 2000-04-10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0060U KR200198520Y1 (ko) 2000-04-10 2000-04-10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20Y1 true KR200198520Y1 (ko) 2000-10-02

Family

ID=196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060U KR200198520Y1 (ko) 2000-04-10 2000-04-10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868A (ko) * 2000-05-19 2001-11-29 이종관 휴대폰용 방수 케이스
KR101433009B1 (ko) 2013-05-16 2014-08-28 국제컬렉션(주)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868A (ko) * 2000-05-19 2001-11-29 이종관 휴대폰용 방수 케이스
KR101433009B1 (ko) 2013-05-16 2014-08-28 국제컬렉션(주) 에어백 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65476A3 (en) Garment with storage pouch
KR200198520Y1 (ko)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관백
JP2003278018A (ja) ポケット袋及びそれを備えた上衣
KR20210002476U (ko) 다기능 휴대용 방수팩
KR101946988B1 (ko) 휴대용 방수팩
KR200492467Y1 (ko) 다기능 상의
KR100378761B1 (ko) 휴대용 방수팩
KR200429162Y1 (ko) 소지품 수중 휴대장치
KR200313753Y1 (ko) 폴더형 휴대폰용 방수케이스
CN205757766U (zh) 旅行箱前箱盖及旅行箱
US20030073413A1 (en) Bag for a mobile phone
JP3018230B2 (ja) 上着のポケット構造
KR200278986Y1 (ko) 보관용 포켓이 장착된 모자
KR200208922Y1 (ko) 휴대폰 방수백
JP2003024119A (ja) 携帯電話機用ケース
KR200423117Y1 (ko) 재킷을 집어넣을 수 있는 포켓을 소매 내측에 구비한 재킷
KR19990037903U (ko) 휴대폰 케이스
KR200282142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90081075A (ko) 휴대폰 방수팩과 휴대폰 방수밴드
KR200175937Y1 (ko) 휴대폰 주머니가 구비된 상의
KR101495196B1 (ko) 빗물받이 우산 주머니
JP3040585U (ja) メガネケース兼用ポシェット
FR2469136A3 (fr) Combinaison impermeable en materiau mince, avec une trousse appliquee sur une jambiere pour constituer une poche et pour loger la combinaison repliee et lui servir d'etui protecteur
KR200298725Y1 (ko) 가방식 우의
KR200314769Y1 (ko) 듀얼 폴더 핸드폰용 봉제인형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