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42Y1 - 휴대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42Y1
KR200282142Y1 KR2020020011579U KR20020011579U KR200282142Y1 KR 200282142 Y1 KR200282142 Y1 KR 200282142Y1 KR 2020020011579 U KR2020020011579 U KR 2020020011579U KR 20020011579 U KR20020011579 U KR 20020011579U KR 200282142 Y1 KR200282142 Y1 KR 200282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main body
mobile phone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철
Original Assignee
오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철 filed Critical 오세철
Priority to KR2020020011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42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의 본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본체케이스와 덮개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덮개케이스를 연결부에 이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를 신축성이 있는 PVC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서로 대향되는 각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의 개방부에는 투명커버를 씌워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수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으로써,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형로 되고 이들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가 신축성PVC로 형성되어 있어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제조 시에는 제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휴대폰 보호 케이스 {portable tele-phone protected case }
본 고안은 폴더형 휴대폰을 수납하여 보호하고 수납상태에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되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휴대폰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폰의 본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본체케이스와 덮개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덮개케이스를 연결부에 이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를 신축성이 있는 PVC를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서로 대향되는 각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의 개방부에는 투명커버를 씌워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수납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 산업이 급진적으로 발달하면서 개인이 휴대하면서 통신을 할 때에 사용하도록 하는 휴대폰이 기하급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급속하게 보급되어 사용되는 휴대폰(휴대전화기)은 막대(바)형과 덮개를 본체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폴더형이 보급되고 있으나, 근자에는 거의 모든 휴대폰은 폴더형의 휴대폰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하고, 외면(표면)이 외부의 물체에 의해 긁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외부에 별도로 제작된 케이스를 씌워 사용하기도 하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휴대폰용 케이스는 상부에 입구로 되는 벙어리주머니형으로 형성하고 휴대용 끈을 매달아 준 것으로써, 상부의 입구를 통하여 휴대폰을 주머니에 수납하여 휴대하고, 아용하고자 할 때에는 주머니에서 휴대폰을 인출하여 꺼내어야 만 사용할 수 있었으므로, 휴대폰을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주머니에서 휴대폰을 인출하고 다시 수납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와 폐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알려진 것으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38442호 "절첩식 정보통신기기의 보호커버"가 알려져 있다.
이는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가 수납되는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별도로 분리하여 각각 형성하고, 본체커버에는 별도의 고정밴드를 구비하고 고정밴드와 덮개커버에는 서로 대응되는 암/수단추를 각각 장착하여, 암수단추를 착탈시키는 것에 의해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커버와 덮개커버가 분리형으로 되어 암/수단추에 의해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은 본체커버와 덮개커버가 신축성이 없는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으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연결시키는 고정밴드도 신축성이 없어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게 되면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각 커버의 내부에 수납시켜 줄 수 없으므로 이들을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암/수단추에 의해 결합/분리시켜 주어야하는 문제와 번거로움이 있었고, 따라서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분리형으로 형성하야만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수납시켜 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체커버와 덮개커버를 분리형으로 하게 되면 고정밴드와 덮개커버에 별도의 암/수단추를 장착시켜 주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제조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폰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대향되는 면에 투명커버가 고정된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를 각각 형성하고, 본체케이스에는 고정밴드를 형성하여 고정밴드와 덮개케이스에 암/수단추를 고정시켜 암/수단추에 의해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를 결합 및 분리시킬수 있도록 된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를 연결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를 신축성PVC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를 신축성PVC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면서 별도 부품의 사용을 배제시켜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대향되는 면에 투명커버(6)(7)가 씌워 고정되는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각각 형성하고, 본체케이스(2)에는 고정밴드를 형성하여 고정밴드와 덮개케이스(3)에 암/수단추를 고정시켜 암/수단추에 의해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연결부(4)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 및 연결부(3)를 신축성PVC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보호케이스(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를 전개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에 휴대폰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휴대폰보호케이스 2. 본체케이스 3. 덮개케이스
4. 연결부 6.7. 투명커버 8. 통신커넥터공
9. 끈연결공 10. 휴대폰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1)를 보인 예시 도로써, 도 1 및 도 2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1)는 도시된바와 같이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 및 이들을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4)를 일체로 형성하되, 이들을 신축성이 있는 PVC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휴대폰보호케이스(1)의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의 대향 면에는 투명 커버(6)(7)를 각각 씌워 고주파 융착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부착 고정시켜 주었고, 본체케이스(2)의 저면에는 자동차에 설치되는 핸즈프리의 통신커넥터(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통신커넥터공(8)을 뚫어주었으며, 연결부(4)에는 휴대폰의 본체의 상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유대용 걸이 끈(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이 결합되는 걸고리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끈연결공(9)을 뚫어 주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보호케이스(1)에 휴대폰(10)을 결합시킬 때에 휴대폰(10)의 본체(11)(또는 덮개(12))를 휴대폰보호케이스(1)의 본체케이스(2)(또는 덮개케이스(3))의 내부에 먼저 삽입하여 수납시켜 주고, 휴대폰(10)의 덮개(12)(또는 본체(11))를 휴대폰보호케이스(1)의 덮개케이스(3)(또는 본체케이스(2))에 삽입시켜 주되, 나중에 결합시키는 덮개케이스(3)(또는 본체케이스(2))와 연결부(4)가 신축성이 있는 PVC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늘어나면서 덮개케이스(3)의 입구가 휴대폰(10)의 덮개(12)(또는 본체(11))의 선단 부까지 충분히 늘어나게 되므로 덮개(12))(또는 본체(11))에는 덮개케이스(3)(또는 본체케이스(2))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폰(10)의 본체(11)와 덮개(12)에 휴대폰보호케이스(1)의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씌워 결합시켜 주개 되면 본체(11)에 형성된 다이얼버튼 등이 투명커버(6)를 통하여 투시되어 보이므로 다이얼 버튼 등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덮개(12)도 전면이 투명커버(7)를 통하여 투시되어 보이므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끈연결공(9)을 통하여 노출되는 휴대폰(10)의 끈 연결구에는 목걸이용 연결끈(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가 연결부(4)에 의해 일체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분실염려 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는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형로 되고 이들 본체케이스와 덮개케이스 및 연결부가 신축성PVC로 형성되어 있어 신축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폰의 본체와 덮개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제조 시에는 제공정이 간단해지므로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대향되는 면에 투명커버(6)(7)가 씌워 고정되는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각각 형성하고, 본체케이스(2)에는 고정밴드를 형성하여 고정밴드와 덮개케이스(3)에 암/수단추를 고정시켜 암/수단추에 의해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를 연결부(4)에 의해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본체케이스(2)와 덮개케이스(3) 및 연결부(3)를 신축성PVC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20020011579U 2002-04-17 2002-04-17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282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579U KR200282142Y1 (ko) 2002-04-17 2002-04-17 휴대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579U KR200282142Y1 (ko) 2002-04-17 2002-04-17 휴대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42Y1 true KR200282142Y1 (ko) 2002-07-22

Family

ID=7307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579U KR200282142Y1 (ko) 2002-04-17 2002-04-17 휴대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1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88A (ko) * 2002-06-20 2003-12-31 오세철 휴대폰 보호 케이스용 보호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88A (ko) * 2002-06-20 2003-12-31 오세철 휴대폰 보호 케이스용 보호판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3209B1 (en) Wrist carrier for transporting and using electronic devices with 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radiation
US20060003709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US6357646B1 (en)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0863840B1 (ko) 휴대기기용 방수팩
KR200282142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JP2923257B2 (ja) 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KR200382006Y1 (ko) 슬라이드형 핸드폰 케이스
KR200279631Y1 (ko) 폴더형 휴대폰 보호커버
CN218734421U (zh) 一种多功能手机保护套
KR200410988Y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100466167B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285135Y1 (ko) 다용도 결속끈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CN218587212U (zh) 一种防水手机保护套
KR20050055969A (ko) 캠코더가 내장된 휴대폰용 케이스
KR200356529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381961Y1 (ko) 반개방형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KR200238442Y1 (ko) 접철식 정보통신기기의 보호커버
KR200391162Y1 (ko) 휴대용 usb메모리장치
KR200310426Y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387512Y1 (ko) 메모지 수용부가 구비된 휴대폰 커버
KR200301222Y1 (ko)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0289446Y1 (ko) 인체 부착 양면 슬라이드 착탈식 집게가 구비된 목걸이형핸드프리 이어폰용 이어폰 홀더
KR200303647Y1 (ko) 걸쇠가 구비된 휴대폰
KR200287710Y1 (ko)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