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710Y1 -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710Y1
KR200287710Y1 KR2020020015945U KR20020015945U KR200287710Y1 KR 200287710 Y1 KR200287710 Y1 KR 200287710Y1 KR 2020020015945 U KR2020020015945 U KR 2020020015945U KR 20020015945 U KR20020015945 U KR 20020015945U KR 200287710 Y1 KR200287710 Y1 KR 2002877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lastic band
lower case
mobile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서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기 filed Critical 서정기
Priority to KR2020020015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7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7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71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신축밴드가 부가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부케이스측 단부가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신축성이 부여되므로 휴대폰의 삽입 및 펼쳤을 때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신축밴드가 연결부의 일측에만 형성됨으로써 신축밴드의 오염과 물리적 훼손에 따른 문제야기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축밴드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a case for folder type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신축밴드가 부가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및 대중화로 인해 휴드폰(mobile phone)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핸드폰을 간편하게 휴대하기 위한 핸드폰 케이스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휴대폰에는 크게 플립형 휴대폰과 폴더형 휴대폰이 있는데, 최근에는 작은 사이즈로 휴대하면서도 통화시에는 펼쳐서 통화할 수 있게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더형 휴대폰을 수납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폰(1)의 상부본체(2)를 수납하기 위한 상부케이스(5)와, 하부본체(3)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케이스(6)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7)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4)는 일반적으로 천연가죽 또는 합성피혁 및 합성수지로 구성되는데, 상기 연결부(7)에 신축성이 없어서 최초에 휴대폰(1)을 수납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7a)의 일측에 수냅단추(7a′)가 형성되어 상부케이스(5a)와 하부케이스(6a)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4a)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또한 상기 연결부(7a′)가 비신축성이기 때문에 휴대폰(1)을 펼쳤을 경우 상기 연결부(7a′)가 외측으로 늘어져 휴대폰(1)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신축성이 부가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제2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제3실시예의 배면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 제3실시예의 사시도(일부 절개)
도 7은 본 고안 제4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10b : 상부케이스 20, 20a, 20b : 하부케이스
21a : 절개부 30, 30a, 30b : 연결부
31, 31a : 신축밴드 32b : 장공
40 : 복개백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부케이스측 단부가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의한 연결부는 전체가 신축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하부케이스측 단부에 신축밴드가 재봉으로 연결된 후에 신축밴드의 타측 단부가 하부케이측에 재봉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참고로, 신축밴드를 제외한 연결부의 타부분과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의 다른부분은 천연가죽이나 인조피혁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 제1실시예 배면 사시도로써 본 고안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즉,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의 하부케이스(20)측 단부가 신축밴드(31)로 이루어지되, 상기 신축밴드(31)는 연결부(30)의 단부에 재봉되고, 상기 신축밴드(31)의 타단부는 하부케이스(20)의 배면 외측에 재봉으로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이와 같이 연결부(30)의 단부가 신축밴드(31)로 이루어지면, 연결부(30)에 신축성이 부여되므로 휴드폰의 수납이 매우 용이해질 뿐만아니라, 휴대폰을 펼쳤을 경우에도 연결부(30)가 외측으로 늘어지지 않아 휴대폰의 사용에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배면 사시도로써, 이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복개백(40)이 더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복개백(40)은 하부케이스(20)의 배면 외측 부분 중에서 신축밴드(31)가 고정된 부분을 삼면에서 에워싸면서 완전히 복개하도록 재봉 또는 열융착되어 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비록 하부케이스(20)의 배면이기는 하지만 신축밴드(31)가 직접 재봉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미관상의 문제와, 장기간 사용시에 사용자의 주머니나 가방등에서 여러 물체들과 마찰되면서 올이 풀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 배면 사시도 및 사시도(일부 절개)로써, 이는 상기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는 달리 연결부(30a)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밴드(31a)가 하부케이스(20a)의 배면 내측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20a)의 배면에는 연결부(30a)가 삽입관통하기 위한 절개부(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a)의 신축밴드(31a)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절개부(21a)를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도록 삽입된 후 하부케이스(20a)의 배면 내측에 재봉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30a)가 하부케이스(20a)의 배면 내측에 형성되면, 하부케이스(20a)의 배면 외면의 미관이 향상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a)는 상부케이스이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로써, 이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 그리고 상기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의 사상적 범주에 속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의 연결부(30b) 중앙부분에 장공(32b)이 관통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30b)의 중앙부분에 장공(32b)이 형성되면, 상기 연결부(30b)를 넓적하게 형성하더라도, 휴대폰의 상측에 위치하는 핸즈프리 등의 사용을 위한 단자가 상기 장공(32b)을 통해 외부로 개방되므로 핸즈프리를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10b)와 (20b)는 각각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이다.
한편, 본 고안과는 약간 달리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신축밴드로 구성하는 것도 있을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연결부는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천연가죽이나 인조피혁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오염이 매우 빨리되고 세척 또한 불편하므로 짧은 시간내에 미관이 훼손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게 된다. 뿐만아니라 외부 물체와의 마찰에 의해 연결부를 이루고 있는 신축밴드의 올이 풀리기 쉽고, 이에 따라 미관이 훼손됨과 더불어 심할 경우 단시간 내에 전단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연결부에 신축성을 부여하면서도 신축밴드 부분의 외부 노출에 따른 외부 물체와의 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연결부(30, 30a, 30b)의 일단부 만을 신축밴드(31, 31a, 31b)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보완하였으며, 신축밴드(31, 31a, 31b)로 이루어진 연결부(30, 30a, 30b)의 일단부 또한 복개백(40)으로 복개하거나, 하부케이스(20a)의 배면 내측으로 삽입함으로써 더욱 만전을 기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신축밴드를 연결부의 상부케이스측 단부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신축성이 부여되므로 휴대폰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고, 휴대폰을 펼쳤을 때에도 연결부가 외측으로 늘어나지 않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신축밴드가 연결부의 일측에만 형성됨으로써 신축밴드의 오염과 물리적 훼손에 따른 문제야기를 최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축밴드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그리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부케이스측 단부가 신축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는 하부케이스의 배면 외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배면 외측에, 신축밴드가 고정된 부분을 삼면에서 에워싸면서 완전히 복개하는 복개백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는 하부케이스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외측에서부터 내측으로 삽입된 후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부분에 장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20020015945U 2002-05-24 2002-05-24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02877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45U KR200287710Y1 (ko) 2002-05-24 2002-05-24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45U KR200287710Y1 (ko) 2002-05-24 2002-05-24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710Y1 true KR200287710Y1 (ko) 2002-09-05

Family

ID=7312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45U KR200287710Y1 (ko) 2002-05-24 2002-05-24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7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3863Y1 (ko) 폴더형 핸드폰 케이스
JPH08288990A (ja) 携帯用電話器のカバー
KR200287710Y1 (ko)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KR100774333B1 (ko) 휴대 단말기용 접착식 케이스
KR20170002529U (ko) 3단 분리형 휴대폰용 보호 케이스
KR200175991Y1 (ko) 휴대폰 케이스
JP2007190091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69597Y1 (ko) 다기능 핸드폰케이스
KR200410988Y1 (ko) 휴대폰용 케이스
KR200235560Y1 (ko) 거울이 부착된 휴대전화기
CN217741754U (zh) 手机壳
KR200301222Y1 (ko) 폴더형 휴대폰 케이스
KR200213756Y1 (ko) 셀룰러폰 케이스
KR200282142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327671Y1 (ko) 핸드폰 케이스 겸용 마스크
KR100466167B1 (ko)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200285135Y1 (ko) 다용도 결속끈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279631Y1 (ko) 폴더형 휴대폰 보호커버
KR200293352Y1 (ko) 무선휴대전화기의케이스
JPH10155533A (ja) 携帯電話の保護カバー
KR20020006107A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200194591Y1 (ko) 얼굴이 비치는 핸드폰
JP2003024119A (ja) 携帯電話機用ケース
JPH11286815A (ja) 携帯無線通信機用ポケットを備えた上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