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107A -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107A
KR20020006107A KR1020000039583A KR20000039583A KR20020006107A KR 20020006107 A KR20020006107 A KR 20020006107A KR 1020000039583 A KR1020000039583 A KR 1020000039583A KR 20000039583 A KR20000039583 A KR 20000039583A KR 20020006107 A KR20020006107 A KR 20020006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utton
lcd screen
wris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준
Original Assignee
박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준 filed Critical 박영준
Priority to KR102000003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107A/ko
Publication of KR2002000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수신수단,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하고, 항상 LCD화면을 볼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버튼부(20), LCD화면(10), 상부 표면 버튼부(30), 안테나(50), 음성수신수단, 부저(90), 손목착용수단, 음성송신수단, 배터리(80)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부위에 얹고 손목밴드(71)와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이용하여 손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 어두운 곳에서 LCD화면(10)을 보기 위해 점멸버튼(32)을 누르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고 사용자가 LCD화면(10)을 다 본 후 계속 누르고 있던 상기 점멸버튼(32)을 놓으면 상기 등이 꺼지는 단계,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다 사용한 후에는 상기 손목밴드(71)와 상기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풀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Handphone or cellular phone or PCS digital wireless phone with wristwatch style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능버튼부(20), LCD화면(10), 상부 표면 버튼부(30), 안테나(50), 음성수신수단, 부저(90), 손목착용수단, 음성송신수단, 배터리(80)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음성통신 기능은 물론 문자통신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시계기능, 데이터베이스 기능 가진 매우 유용한 통신수단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문자통신 기능이나 무선 인터넷 기능을 음성통신 기능 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앞으로의 통신기기의 발전 추세는 디지털 방식의 무선 인터넷 기능의 사용이 더욱 확대되는 방향으로 갈 것이 예측된다.
현재의 휴대폰은 과거에 사용되던 송화기, 수화기, 다이얼이 한 몸체로 된 전화기로부터 그 기능 및 형상이 유래된 것이어서 앞으로의 휴대폰의 발전 방향을 생각할 때에는 부적할 면이 많다고 본다.
첫째, 종전의 유무선 전화기 처럼 들고 다니면서 통화하는 휴대방식은 불편하다. 목에 거는 방식이 있으나 흔들거려서 불편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둘째, 통상 휴대폰이 시계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손목시계를 안차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인 습관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으나 휴대폰을 이용해 시간을 보는 것,어두운 곳에서 시간을 보는 것 등에서는 일반 손목시계보다 불편해서 일반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고 있지는 못하다.
셋째, 휴대폰을 음성통신 기능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송화기, 수화기가 사용되지 않을 경우가 많다.
넷째, 휴대폰을 음성통신 기능으로 사용할 때에는 휴대폰을 귀에 대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LCD화면을 볼 수 없다는 등 부적절한 면이 많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수신수단,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하고, 항상 LCD화면을 볼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수신수단,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하고, 항상 LCD화면을 볼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손목시계형 휴대폰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손목시계형 휴대폰 5 : 몸통부
10 : LCD화면 20 : 기능버튼부
21 : 통화버튼 22 : 선택버튼
23 : 종료버튼 30 : 상부 표면 버튼부
31 : 조절버튼 32 : 점멸버튼
40 : 이어폰 41 : 부속선
42 : 밀림 버튼 50 : 안테나
51 : 안테나 연장봉 60 : 마이크
70 : 손목밴드 연결부 71 : 손목밴드
80 : 배터리 90 : 부저
첨부한 구체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손목시계 형상이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상기 몸통부(5)의 상부면 왼쪽에 위치하는기능버튼부(20),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휴대폰 LCD화면(10),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오른쪽이면서 상기 LCD화면(1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표면 버튼부(30), 상기 몸통부(5)의 가장자리 부분 중 상기 상부 표면 버튼부(30)의 오른쪽이면서 상기 LCD화면(10)의 윗 부분이 모가 따진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된 두면 중 상기 상부 표면 버튼부(30)에 접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높이가 상기 몸통부(5)를 벗어나지 않는 휴대폰 안테나(50), 상기 몸통부(5)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측면 중 상기 기능버튼부(20)와 상기 LCD화면(10)에 공통으로 접하는 측면의 좌측 끝면에 위치하는 음성수신수단, 상기 음성수신수단의 우측에 위치하며 휴대폰이 걸려올 때 또는 일부 버튼이 작동될 때 또는 특정기능이 작동될 때 소리를 내주는 휴대폰 부저(90), 상기 휴대폰 부저(90)의 우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몸통부(5)의 반대편 측면의 대응하는 곳에도 위치하는 손목착용수단, 상기 휴대폰 부저(9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손목착용수단의 우측에 위치하는 음성송신수단, 상기 몸통부(5)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측면 중 상기 LCD화면(10)과 접하면서 상기 음성송신수단과 가까운 측면에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통부(5)의 안쪽으로 하부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따라 끼워지는 휴대폰 배터리(80)을 포함한다.
상기 손목착용수단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1)을 왼쪽 손목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1)이 손목시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LCD화면(10)의 위치는 현 손목시계의 시계판 위치로 쉽게 그리고 항상LCD화면(10)을 볼 수 있도록 해 줌과 동시에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이 손목시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음성송신수단의 위치는 팔을 비틀어 굽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굽혔을 때 입 가까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필요한 경우에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몸통부(5)는 전체적으로 판형이면서 육면체 형상으로 그 하부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목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손목 상부의 형상을 따라 몸통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측면 중 휴대폰 배터리(8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팔과 손이 맞닫는 부위에 위치한 측면은 손이 팔등 쪽으로 구부러졌을 때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1)이 손목이나 손등에 배기지 않도록 몸통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5)의 형상은 사용자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1)을 안정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능버튼부(20)는 몸통부(5)의 표면보다 움푹 들어간 평면에 휴대폰의 기능버튼이 배열되고,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위를 미닫이 방식으로 덮고 있는 투명 방수 셔터(25)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버튼부(20)는 그 기능버튼의 문자 또는 기호가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숫자버튼이 위에 있고 통화버튼(21), 선택버튼(22), 종료버튼(23)이 밑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능버튼부(20)는 사용자가 전화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을 사용할 때 통화버튼(21), 선택버튼(22), 종료버튼(23)을 숫자버튼보다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오른손 손가락에서 가까운 위치에 통화버튼(21), 선택버튼(22), 종료버튼(23)이 위치하여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음성수신수단은 상기 몸통부(5)에 부분 구형의 홈이 있고 상기 홈에 위치하면서 통신 시에는 부속선(41)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까지 닫을 수 있는 이어폰(40), 상기 홈에 인접한 우측에 위치하면서 통신 시 연장되었던 상기 부속선(41)을 통신 종료 후 되감아서 상기 이어폰(40)을 원위치 시켜주는 밀림 버튼(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40)과 밀림 버튼(42)은 필요한 경우에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LCD화면(10)은 그 기능버튼의 문자 또는 기호가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상기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준비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표면 버튼부(30)는 통신음량 조절이나 기능을 순차적으로 검색할때 사용하는 두 개의 조절버튼(31)과 어두운 곳에서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져서 사용자가 상기 LCD화면(10)에 표시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해주되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커지는 점멸버튼(32)를 포함하며 방수기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멸버튼(32)은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1)이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안테나(50)는 제3도와 같이 안테나 연장봉(51)을 손목으로부터 손등 방향으로 연장시켜 통신능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50)는 몸 밖으로 연장되어 조금이라도 인체에 대한 전자파의 피해를 줄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손목착용수단은 상기 몸통부(5)의 하부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손목밴드 연결부(70), 상기 손목밴드 연결부(7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목밴드(71), 상기 손목밴드 연결부(70)와 일치되게 위치한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 연결부와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성송신수단은 상기 몸통부(5)의 상부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마이크(6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부위에 얹고 상기 손목밴드(71)와 상기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이용하여 손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 어두운 곳에서 상기 LCD화면(10)을 보기 위해 상기 점멸버튼(32)을 누르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고 사용자가 상기 LCD화면(10)을 다 본 후 계속 누르고 있던 상기 점멸버튼(32)을 놓으면 상기 등이 꺼지는 단계,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다 사용한 후에는 상기 손목밴드(71)와 상기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풀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로 사용된다.
상기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상기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준비 상태가 되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할 때에는 상기 부속선(41)을 더 연장하여 상기 이어폰(40)을 귀에 꼽고 말을 할 때에는 상기 마이크(60)을 입에 가까이 가져가서 통신을 하고 음성통신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40) 또는 상기 마이크(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신을 하는 단계, 통신이 끝난 후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는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상기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연결 상태가 되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할 때에는 상기 부속선(41)을 더 연장하여 상기 이어폰(40)을 귀에 꼽고 말을 할 때에는 상기 마이크(60)을 입에 가까이 가져가서 통신을 하고 음성통신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40) 또는 상기 마이크(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신을 하는 단계, 통신이 끝난 후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는 음성통신을 하면서 상기 안테나(50)의 상기 안테나 연장봉(51)을 연장시켜 통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손목시계의 역할을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음성수신수단, 음성송신수단을 사용하고, 항상 LCD화면을 볼 수 있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13)

  1. 전체적으로 손목시계 형상이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상기 몸통부(5)의 상부면 왼쪽에 위치하는 기능버튼부(20);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휴대폰 LCD화면(10);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오른쪽, 상기 LCD화면(1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표면 버튼부(30);
    상기 몸통부(5)의 가장자리 부분 중 상기 상부 표면 버튼부(30)의 오른쪽, 상기 LCD화면(10)의 윗 부분이 모가 따진 절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절개된 두면 중 상기 상부 표면 버튼부(30)에 접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높이가 상기 몸통부(5)를 벗어나지 않는 휴대폰 안테나(50);
    상기 몸통부(5)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측면 중 상기 기능버튼부(20)와 상기LCD화면(10)에 공통으로 접하는 측면의 좌측 끝면에 위치하는 음성수신수단;
    상기 음성수신수단의 우측에 위치하며 휴대폰이 걸려올 때 또는 일부 버튼이 작동될 때 또는 특정기능이 작동될 때 소리를 내주는 휴대폰 부저(90);
    상기 휴대폰 부저(90)의 우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몸통부(5)의 반대편 측면의 대응하는 곳에도 위치하는 손목착용수단;
    상기 휴대폰 부저(9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손목착용수단의 우측에 위치하는 음성송신수단; 그리고
    상기 몸통부(5)의 상기 상부면과 접하는 측면 중 상기 LCD화면(10)과 접하면서 상기 음성송신수단과 가까운 측면에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상기 몸통부(5)의 안쪽으로 하부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따라 끼워지는 휴대폰 배터리(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2. 제1항에서, 상기 몸통부(5)는 전체적으로 판형이면서 육면체 형상으로 그 하부면의 형상이 사용자의 손목에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손목 상부의 형상을 따라 몸통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그 측면 중 휴대폰 배터리(8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팔과 손이 맞닫는 부위에 위치한 측면은 손이 팔등 쪽으로 구부러졌을 때 배기지 않도록 몸통 안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몸통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3. 제1항에서, 상기 기능버튼부(20)는 몸통부(5)의 표면보다 움푹 들어간 평면에 휴대폰의 기능버튼이 배열되고, 상기 기능버튼부(20)의 위를 미닫이 방식으로 덮고 있는 투명 방수 셔터(25)를 가진 기능버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4.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기능버튼부(20)는 그 기능버튼의 문자 또는 기호가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숫자버튼이 위에 있고 통화버튼(21), 선택버튼(22), 종료버튼(23)이 밑에 위치한 기능버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5. 제1항에서, 상기 음성수신수단은 상기 몸통부(5)에 부분 구형의 홈이 있고 상기 홈에 위치하면서 통신 시에는 부속선(41)이 연장되어 사용자의 귀에 까지 닫을 수 있는 이어폰(40), 상기 홈에 인접한 우측에 위치하면서 통신 시 연장되었던 상기 부속선(41)을 통신 종료 후 되감아서 상기 이어폰(40)을 원위치 시켜주는 밀림 버튼(42)을 포함하는 음성수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6. 제1항에서, 상기 LCD화면(10)은 그 기능버튼의 문자 또는 기호는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의 길이방향이 좌우측이 되도록 놓고 보았을 때 읽을 수 있는 방향으로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상기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준비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는 LCD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7. 제1항에서, 상부 표면 버튼부(30)는 통신음량 조절이나 기능을 순차적으로 검색할 때 사용하는 두 개의 조절버튼(31)과 어두운 곳에서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져서 사용자가 상기 LCD화면(10)에 표시된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해주되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커지는 점멸버튼(32)를 포함하며 방수기능을 가진 상부 표면 버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8. 제1항에서 상기 안테나(50)는 손목으로부터 손등 방향으로 연장이 되며 통신능력을 높일 수 있는 안테나(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9. 제1항에서, 상기 손목착용수단은 상기 몸통부(5)의 하부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손목밴드 연결부(70), 상기 손목밴드 연결부(7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상기 몸통부(5)를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목밴드(71), 상기 손목밴드 연결부(70)와 일치되게 위치한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 연결부와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포함하는 손목착용수단인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10. 상기 음성송신수단은 상기 몸통부(5)의 상부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마이크(60)인 음성송신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부위에 얹고 제9항의 손목밴드(71)와 제9항의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이용하여 손목에 고정시키는 단계;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
    어두운 곳에서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LCD화면(10)을 보기 위해 제6항의 점멸버튼(32)을 누르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고 사용자가 상기 LCD화면(10)을 다 본 후 계속 누르고 있던 상기 점멸버튼(32)을 놓으면 상기 등이 꺼지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다 사용한 후에는 상기 손목밴드(71)와 상기 반대편 측면 손목밴드를 풀어서 상기 손목시계형 휴대폰을 손목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사용방법.
  12. 제11항에서, 상기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는 사용자가 제5항의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제3항의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제4항의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준비 상태가 되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할 때에는 상기 부속선(41)을 더 연장하여 제5항의 이어폰(40)을 귀에 꼽고 말을 할 때에는 제10항의 마이크(60)을 입에 가까이 가져가서 통신을 하고 음성통신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40) 또는 상기 마이크(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신을 하는 단계, 그리고, 통신이 끝난 후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걸어 통화하고 끊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사용방법.
  13. 제11항에서, 상기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는 착신음이 울리면,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연장시키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열거나 또는 상기 통화버튼(21)을 누르거나 하면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켜지면서 통신연결 상태가 되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통신을 할 때에는 상기 부속선(41)을 더 연장하여 제5항의 이어폰(40)을 귀에 꼽고 말을 할 때에는 제10항의 마이크(60)을 입에 가까이 가져가서 통신을 하고 음성통신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어폰(40) 또는 상기 마이크(60)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통신을 하는 단계, 그리고, 통신이 끝난 후 사용자가 상기 부속선(41)을 일정길이 이상 되감거나 또는 상기 투명 방수 셔터(25)를 닫거나 또는 상기 종료버튼(23)을 누르거나 하면 통화종료상태가 되고 잠시 후에 상기 LCD화면(10)의 등이 꺼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폰을 받고 통화하고 끊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형 휴대폰 사용방법.
KR1020000039583A 2000-07-11 2000-07-11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KR20020006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83A KR20020006107A (ko) 2000-07-11 2000-07-11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583A KR20020006107A (ko) 2000-07-11 2000-07-11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20U Division KR200214842Y1 (ko) 2000-07-11 2000-07-11 손목시계형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07A true KR20020006107A (ko) 2002-01-19

Family

ID=1967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583A KR20020006107A (ko) 2000-07-11 2000-07-11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1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713A (ko) * 2002-07-15 2004-01-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70830B1 (ko) * 2006-05-1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CN106708178A (zh) * 2015-11-13 2017-05-24 宏碁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CN109462689A (zh) * 2018-09-30 2019-03-1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语音播报方法及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666A (ja) * 1997-12-11 1999-07-02 Jet Kk 腕時計型イヤホーン電話機
JPH11298362A (ja) * 1998-04-06 1999-10-29 Sony Corp 小型携帯端末
KR20000034939A (ko) * 1998-11-27 2000-06-26 윤종용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00055477A (ko) * 1999-02-06 2000-09-05 윤종용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KR200210752Y1 (ko) * 2000-08-22 2001-01-15 정종국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666A (ja) * 1997-12-11 1999-07-02 Jet Kk 腕時計型イヤホーン電話機
JPH11298362A (ja) * 1998-04-06 1999-10-29 Sony Corp 小型携帯端末
KR20000034939A (ko) * 1998-11-27 2000-06-26 윤종용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00055477A (ko) * 1999-02-06 2000-09-05 윤종용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KR200210752Y1 (ko) * 2000-08-22 2001-01-15 정종국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713A (ko) * 2002-07-15 2004-01-2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손목시계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70830B1 (ko) * 2006-05-1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치 타입 휴대 단말기
CN106708178A (zh) * 2015-11-13 2017-05-24 宏碁股份有限公司 穿戴式电子装置
CN109462689A (zh) * 2018-09-30 2019-03-12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语音播报方法及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62689B (zh) * 2018-09-30 2022-01-04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语音播报方法及装置、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53164B (ko)
US7096048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US6681014B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AU782543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WO2004025938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US6850773B1 (en) Antenna system for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09657A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US20050192044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US6775205B1 (en) Wrist-borne radiotelephone set
KR20020006107A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및 사용방법
KR200214842Y1 (ko) 손목시계형 휴대폰
JPH11177666A (ja) 腕時計型イヤホーン電話機
AU774812B2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US20050101260A1 (en) Cellular radio Telephone
GB2419058A (en) Wearable personal communications device or radiotelephone
JP2000299719A (ja) 携帯電話機
KR200233047Y1 (ko)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JP2000286939A (ja) 腕時計型携帯用無線電話機
JP2001028620A (ja) 腕時計型携帯電話
CN2726232Y (zh) 环形手机
KR2004000637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손가락-착용 휴대장치
JP2005057426A (ja) 腕装着型携帯電話機
KR20000055477A (ko) 손목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
KR200163276Y1 (ko) 휴대폰의외부로연결된송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