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50Y1 -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50Y1
KR200444450Y1 KR2020070013644U KR20070013644U KR200444450Y1 KR 200444450 Y1 KR200444450 Y1 KR 200444450Y1 KR 2020070013644 U KR2020070013644 U KR 2020070013644U KR 20070013644 U KR20070013644 U KR 20070013644U KR 200444450 Y1 KR200444450 Y1 KR 200444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cover
sealing device
insertion r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652U (ko
Inventor
전순이
Original Assignee
전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순이 filed Critical 전순이
Priority to KR2020070013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5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6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58Elements for flattening or folding the mouth portion
    • B65D33/1666Slitted tubes with or without a core; U-shaped clips made of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음식물을 완전하게 보관하는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비닐봉투가 삽입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삽입되어 비닐봉투를 가압 밀봉시키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봉은 상기 절개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닐봉투, 밀봉장치, 삽입봉, 날개부.

Description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 SEALING DEVICE FOR VINYL BAG }
본 고안은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등을 보관하는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밀봉하여 음식물을 완전하게 보관하는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미국특허제3,141,221호 참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봉(12)과,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는 홀더(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3)에는 상기 내측봉(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13)는 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밀봉장치를 이용하여 비닐봉투(B)를 밀봉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내측봉(12)을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가까이 배치한 후, 상기 내측봉(12)을 감싸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3)가 상기 내측봉(12) 및 비닐봉투(B)를 감싸도록 끼운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내측봉(12)이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홀더(13)에 고정시키고,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의 공간에 상기 비닐봉투(B)가 배치되도록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를 상기 비닐봉투(B)에 밀어서 끼우도록 한다.
이때, 상기 홀더(13)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내측봉(12)과 홀더(13) 사이에 배치되고, 개구부는 홀더(13)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에 인접한 부위가 상기 홀더(13)와 내측봉(12) 사이에 가압되면서 끼워져 있는바, 상기 비닐봉투(B)의 개구부는 밀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13) 또는 내측봉(12)에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비닐봉투(B)를 더욱 가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봉장치는 비닐봉투(B)를 완전히 밀봉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음식물 등을 장시간 보관할 경우 비닐봉투(B) 내부와 외부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여 음식물이 상할 수 있고, 특히 액체 등을 보관할 경우 비닐봉투(B)의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닐봉투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봉시켜 비닐봉투의 내부와 외부 사이로 공기 및 액체의 유동을 완전하게 차단하여 음식물을 장시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비닐봉투가 삽입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삽입되어 비닐봉투를 가압 밀봉시키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봉은 상기 절개부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봉은, 상기 커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외곽을 감싸는 날개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날개부와 절개부의 외곽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봉의 끝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봉에는 상기 커버의 일단 또는 타단과 접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투시창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에 따르면, 삽입봉이 커버의 절개부를 감싸도록 함으로서, 비닐봉투를 보다 완벽하게 밀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결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삽입봉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닐봉투(300)용 밀봉장치는, 커버(100)와, 삽입봉(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100)는 중공의 긴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100)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 즉 개방된 양측방향으로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110)는 개방된 양측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커버(100)의 내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봉(200)은 상기 커버(100)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00)와 삽입봉(200)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300)를 가압하여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100)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봉(200)은 상기 커버(100)에 삽입되는 삽입부(210)와, 상기 삽입부(2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을 감싸도록 양측에 형성된 날개부(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100)가 상기 삽입부(210)를 감싸면서 동시에 상기 날개부(220)가 상기 커버(100)의 일부분 다시말해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 커버(10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압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에도 가압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부(220)에는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에 형성된 가압돌기(130)가 삽입되는 가압홈(2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에 가압홈(225)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220)에 가압돌기(130)를 형성하여도 무방한다.
한편, 상기 삽입봉(200)의 끝단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경사면(250)을 형성한다.
이는 상기 삽입봉(200)을 삽입할 때 상기 삽입봉(200)이 비닐봉투(300)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삽입봉(200)에는 상기 커버(100)의 일단 또는 타단과 접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봉(200)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밀 수 있도록 손잡이(2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100)에는 사용자가 다른 손으로 상기 커버(100)를 잡기 위한 홀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딩부(120)에는 오목하게 안착홈(125)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커버(100)를 보다 쉽고 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100)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투시창(14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투시창(140)을 통해 비닐봉투(300)가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의 밀봉장치에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출원번호 제20-2007-00154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펀치부와 받침부를 추가 형성하여, 밀봉장치를 절개한 후 비닐봉투(300) 내부가 진공이 되도록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보관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비닐봉투(300)의 개구부를 휘어서 상기 커버(100)의 절개부(11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300)의 개구부는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나와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삽입봉(20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손잡이(24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상기 커버(100)의 홀딩부(120)를 잡아, 상기 삽입봉(200)을 상기 커버(100)의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210)의 끝단에 경사면(250)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삽입부(210)는 상기 비닐봉투(300)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하여 상기 삽입봉(200)이 상기 커버(100)에 완전하게 삽입된다.
상기 삽입봉(200)을 상기 커버(100)에 삽입하다 보면, 상기 커버(100)의 일단이 상기 스토퍼(230)와 접하게 되어 상기 삽입봉(200)의 삽입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상기 비닐봉투(300)가 상기 삽입봉(200)을 감싸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비닐봉투(300)와 삽입봉(200)을 상기 커버(10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투시창(140)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100)와 삽입봉(200)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300)가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위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300)가 상기 커버(100)와 삽입봉(200)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커버(100)의 내부에 형성된 가압돌기(130)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300)는 1차적으로 가압밀봉되고, 또한, 상기 날개부(220)가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300)는 한번 더 휘어지면서 2차적으로 가압밀봉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개부(110)의 외곽에도 가압돌기(130)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210)에 상기 가압돌기(130)가 삽입되는 가압홈(225)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비닐봉투(300)를 보다 더 가압밀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종래의 밀봉장치보다 상기 비닐봉투(300)를 보다 많이 가 압밀봉함으로서, 상기 비닐봉투(3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펀치부와 받침부를 이용하여 비닐봉투(300)를 절개하고, 비닐봉투(300)의 내부를 진공시킬 경우, 비닐봉투(300)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유동을 완벽하게 차단하기 때문에 장기간 진공보관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인 비닐봉투용 밀봉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일방향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타방향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장치의 삽입봉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버, 110 : 절개부, 120 : 홀딩부, 125 : 안착홈, 130 : 가압돌기, 140 : 투시창, 200 : 삽입봉, 210 : 삽입부, 220 : 날개부, 225 : 가압홈, 230 : 스토퍼, 240 : 손잡이, 250 : 경사면, 300 : 비닐봉투.

Claims (6)

  1.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비닐봉투가 삽입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삽입되어 비닐봉투를 가압 밀봉시키는 삽입봉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봉은,
    상기 커버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외곽을 감싸는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부와 절개부의 외곽 중 어느 하나에는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되는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봉에는 상기 커버의 일단 또는 타단과 접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봉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에는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70013644U 2007-08-17 2007-08-17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KR200444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644U KR200444450Y1 (ko) 2007-08-17 2007-08-17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644U KR200444450Y1 (ko) 2007-08-17 2007-08-17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52U KR20090001652U (ko) 2009-02-20
KR200444450Y1 true KR200444450Y1 (ko) 2009-05-14

Family

ID=4129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644U KR200444450Y1 (ko) 2007-08-17 2007-08-17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616A (zh) * 2014-04-22 2014-07-23 杨乃票 高密封防水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5616A (zh) * 2014-04-22 2014-07-23 杨乃票 高密封防水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52U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353909U (en) Ventilation device of sealing jar
MX2012005407A (es) Conjunto de válvula de encaje a presión y paja y procedimiento de uso del mismo.
KR100886414B1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896459B1 (ko) 음식물 진공 압축팩의 진공전환장치
KR200444450Y1 (ko)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KR101625494B1 (ko) 진공 밀폐용기
KR101793903B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101504071B1 (ko) 가스배출수단이 형성된 액체용기용 용기마개
KR20090113157A (ko) 펌프가 구비된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200444241Y1 (ko) 비닐봉투용 밀봉장치
JP2007091340A (ja) 密閉容器
KR200491275Y1 (ko) 진공 밀폐 커버
CN215324222U (zh) 可进行余气排除的保存容器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180001860U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101974385B1 (ko) 진공 포장 시스템
KR20090129290A (ko) 비닐봉투용 흡입장치
KR100500320B1 (ko) 밀폐용기용 공기조절 장치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100614594B1 (ko) 밀폐용 식품용기
KR0135310Y1 (ko) 용기의 뚜껑
KR200347235Y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