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597B1 -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597B1
KR102174597B1 KR1020200049209A KR20200049209A KR102174597B1 KR 102174597 B1 KR102174597 B1 KR 102174597B1 KR 1020200049209 A KR1020200049209 A KR 1020200049209A KR 20200049209 A KR20200049209 A KR 20200049209A KR 102174597 B1 KR102174597 B1 KR 102174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ller
module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규섭
Original Assignee
(주)골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골드이엔지 filed Critical (주)골드이엔지
Priority to KR1020200049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22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one or more cylinders each having a single working space closed by a piston or plung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box-type 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롤러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에 결합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롤러축의 좌우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고무바퀴로 형성되고; 상기 정보통신기기용 모듈 일측단 또는 양측단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로 전방측 하단에는 개방부를 갖는 작동공간부가 형성되는 작동함체; 측면이 "∧"형상의 바로 중심부는 축바에 의해 작동함체 후방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전방측 선단면에는 선단에 걸림돌부를 갖고 직하부로 연장되는 전방지지바가 형성되며 후방측 선단부에는 회동바가 형성되는 롤러승강작동바; 상기 롤러승강작동바의 전방측 선단부 연장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바로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지지바의 걸림돌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단으로는 걸림고정되는 실린더홈부를 갖고 상단면과 승강작동바 전방측 선단 사이에는 충격흡수스프링이 전방지지바에 감겨 신축되면서 완충시키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의 롤러축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축공을 갖는 완충바; 및 상기 롤러승강작동바 하부에 위치되어 실린더몸체 일측단부는 회동축바에 의해 작동함체 중간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실린더몸체 타측단부에서 돌출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전방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제어기에 의해서 신축되는 신축바의 타단이 상기 롤러승강작동바 후방측 선단부 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개방부를 통해 작동함체의 작동공간부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작동함체 외부로 돌출시키는 롤러작동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정보통신기기용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충분한 완충이 이루어져 슬라이드 이동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Buffer system of module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정보통신기기용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충분한 완충이 이루어져 슬라이드 이동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대처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형 서버나, 현금출금기, ATM 등의 정보통신기기에 장착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은 어느 정도의 크기와 부피가 있기 때문에, 기기 본체에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정보통신기기에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이 장착되는 일예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0670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기기 본체의 내부로 정보통신용 기기용 모듈(10)이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 또는 해체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하측에는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슬라이딩되며 이동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하측에서 지지되며 롤링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보통신기기(1)는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이 장착되는 경우에 롤링되는 바퀴에서 전해지는 충격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부품에 전달되어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이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 전면부에 바닥으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완충수단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한 완충수단을 보면, 바퀴고정대(200)와 절곡부가 슬라이딩바를 통해 연결되고, 슬라이딩바의 외주에는 스프링(540)이 끼워진 상태로 구비되어, 슬라이딩바가 절곡부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완충되는데, 이런 완충작용 중에 슬라이딩바와 절곡부가 분리되어 빠질 수 있는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바퀴에 충격이 가해지면, 가해진 모든 충격이 고정대(200)로 전부 전해지고, 이 충격은 슬라이딩바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540)에서 모두 완충되어야 함으로써 스프링(540)이 피로한도에 빠르게 도달되어 스프링(540)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통신기기(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롤러(230)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에 결합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장치(100)로서, 수평부(210)의 양측에 설치된 양 수직부의 하부에 롤러(230)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대(200); 상기 고정대(200)의 수평부(210)에 형성되는 삽입공(211)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지지대(400)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방진패드(240); 지지대(400)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블록(300); 정보통신기기(1)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에 결합 고정되고 고정블록(300)과 마주하는 전면에는 돌출부(520)가 형성되는 조인트블록(500); 고정블록(300)을 관통한 상태로 조인트블록(500)의 돌출부(520)에 결합되어 고정블록(300)과 조인트블록(500)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핀(530); 및 지지핀(530)의 외주에 결합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블록(300)과 조인트블록(500)의 돌출부(520)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프링(540);을 포함하고, 지지핀(530)과 스프링(540)은 조인트블록(500)의 돌출부(520)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가 특허등록 제10-1837928호(2018.03.21.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의 불균일로 인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로 전해지는 충격을 방지패드(240)나 스프링(540)에 의한 완충이 이루어지나, 완충의 효과는 극히 일부에 한정되는 것으로 적은 미약한 충격을 완충할 뿐 그 완충력이 극히 미약하여 충격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로 전해져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이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허문헌001)(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37928호(2018.03.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정보통신기기용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충분한 완충이 이루어져 슬라이드 이동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대처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롤러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에 결합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롤러축의 좌우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고무바퀴로 형성되고;
상기 정보통신기기용 모듈 일측단 또는 양측단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로 전방측 하단에는 개방부를 갖는 작동공간부가 형성되는 작동함체;
측면이 "∧"형상의 바로 중심부는 축바에 의해 작동함체 후방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전방측 선단면에는 선단에 걸림돌부를 갖고 직하부로 연장되는 전방지지바가 형성되며 후방측 선단부에는 회동바가 형성되는 롤러승강작동바;
상기 롤러승강작동바의 전방측 선단부 연장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바로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지지바의 걸림돌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단으로는 걸림고정되는 실린더홈부를 갖고 상단면과 승강작동바 전방측 선단 사이에는 충격흡수스프링이 전방지지바에 감겨 신축되면서 완충시키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의 롤러축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축공을 갖는 완충바; 및
상기 롤러승강작동바 하부에 위치되어 실린더몸체 일측단부는 회동축바에 의해 작동함체 중간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실린더몸체 타측단부에서 돌출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전방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제어기에 의해서 신축되는 신축바의 타단이 상기 롤러승강작동바 후방측 선단부 회동바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롤러를 개방부를 통해 작동함체의 작동공간부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작동함체 외부로 돌출시키는 롤러작동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정보통신기기용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이 롤러의 고무바퀴와 완충바의 실린더홈부와 충격흡수스프링을 통해서 1차, 2차, 3차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바닥면으로 전해지는 충격의 충분한 완충이 이루어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최소화함으로써 부품 손상에 따른 고장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의 작동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의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의 작동시와 작동전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사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의 사용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는, 정보통신기기(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롤러(20)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에 결합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바닥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장치로, 롤러(20)가 롤러작동유압실린더(14)에 의해 바닥면으로 돌출되어 사용되고 사용후 내부로 들여져 보관되는 작동함체(11)와, 롤러작동유압실린더(14)에 의해 롤러(20)를 작동함체(11) 내부로 들이고 또한 내보내는 롤러승강작동바(12)와, 롤러(20)와 결합되어 실린더홈부(13a)에서의 걸림돌부(12c) 하강에 의한 2차 충격완화 및 충격흡수스프링(13b)에 의한 실질적인 3차 충격완화가 이루어지는 완충바(13)와, 롤러승강작동바(12)에 의해 롤러(20)를 작동함체(11)의 작동공간부(11a)로 들이고 또한 내보내는 롤러작동유압실린더(14)와, 스위치(16)에 의해 롤러작동유입실린더(14)를 제어하는 유압실린더제어기(15)와, 유압실린더제어기(15)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6)와, 고무바퀴(22,22a)에 의해 바닥면과의 1차 충격완화가 이루어지는 롤러(2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함체(11)는, 상기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 일측단 또는 양측단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로 전방측 하단에는 개방부(11b)를 갖는 작동공간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는, 측면이 "∧"형상의 바로 중심부는 축바(12a)에 의해 작동함체(11) 후방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전방측 선단면에는 선단에 걸림돌부(12c)를 갖고 직하부로 연장되는 전방지지바(12b)가 형성되며 후방측 선단부에는 회동바(12d)가 형성된다.
상기 완충바(13)는,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의 전방측 선단부 연장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바로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지지바(12b)의 걸림돌부(12c)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단으로는 걸림고정되는 실린더홈부(13a)를 갖고 상단면과 승강작동바 전방측 선단 사이에는 충격흡수스프링(13b)이 전방지지바(12b)에 감겨 신축되면서 완충시키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20)의 롤러축(21)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축공(13c)을 갖는다.
상기 롤러작동유압실린더(14)는,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 하부에 위치되어 실린더몸체(14a) 일측단부는 회동축바(14b)에 의해 작동함체(11) 중간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실린더몸체(14a) 타측단부에서 돌출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전방에 설치된 스위치(16)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제어기(15)에 의해서 신축되는 신축바(14c)의 타단이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 후방측 선단부 회동바(12d)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롤러(20)를 개방부(11b)를 통해 작동함체(11)의 작동공간부(11a)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작동함체(11) 외부로 돌출시킨다.
상기 롤러(20)는, 롤러축(21)의 좌우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고무바퀴(22,22a)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롤러(20)가 정보통신기기(1)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 일측 또는 양측 내부의 작동함체(11)의 작동공간부(11a) 내부에 보관되어 있다가, 정보통신기기(1)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슬라이드 이동시, 스위치(16)를 작동시켜 작동함체(11) 하단의 개방부(11b)를 통해 바닥면으로 롤러(20)를 돌출시킴으로써,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슬라이드 이동시 바닥면이 불균일하더라도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로 전해지는 충격이 롤러(20)의 고무바퀴(22,22a)와 완충바(13)의 실린더홈부(13a)와 충격흡수스프링(13d)을 통해서 1차, 2차, 3차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바닥면으로 전해지는 충격의 충분한 완충이 이루어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부품에 전달되는 충격을 실질적으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정보통신기기
10 : 정보통신기기용 모듈 11 : 작동함체
11a : 작동공간부 11b : 개방부
12 : 롤러승강작동바 12a : 축바
12b : 전방지지바 12c : 걸림돌부
12d : 회동바 13 : 완충바
13a : 실린더홈부 13b : 충격흡수스프링
13c : 축공 14 : 롤러작동유압실린더
14a : 실린더몸체 14b : 회동축바
14c : 신축바 15 : 유압실린더제어기
16 : 스위치
20 : 롤러 21 : 롤러축
22,22a : 고무바퀴

Claims (1)

  1. 정보통신기기(1)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바닥면과 접하여 구름되는 롤러(20)를 갖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에 결합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이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20)는, 롤러축(21)의 좌우측단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는 고무바퀴(22,22a)로 형성되고;
    상기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 일측단 또는 양측단 내부에 위치되는 함체로 전방측 하단에는 개방부(11b)를 갖는 작동공간부(11a)가 형성되는 작동함체(11);
    측면이 "∧"형상의 바로 중심부는 축바(12a)에 의해 작동함체(11) 후방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전방측 선단면에는 선단에 걸림돌부(12c)를 갖고 직하부로 연장되는 전방지지바(12b)가 형성되며 후방측 선단부에는 회동바(12d)가 형성되는 롤러승강작동바(12);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의 전방측 선단부 연장선상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바로 상단부에는 상기 전방지지바(12b)의 걸림돌부(12c)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단으로는 걸림고정되는 실린더홈부(13a)를 갖고 상단면과 승강작동바 전방측 선단 사이에는 충격흡수스프링(13b)이 전방지지바(12b)에 감겨 신축되면서 완충시키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20)의 롤러축(21)이 회동가능하게 축고정되는 축공(13c)을 갖는 완충바(13); 및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 하부에 위치되어 실린더몸체(14a) 일측단부는 회동축바(14b)에 의해 작동함체(11) 중간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실린더몸체(14a) 타측단부에서 돌출되어 정보통신기기용 모듈(10)의 전방에 설치된 스위치(16)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실린더제어기(15)에 의해서 신축되는 신축바(14c)의 타단이 상기 롤러승강작동바(12) 후방측 선단부 회동바(12d)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롤러(20)를 개방부(11b)를 통해 작동함체(11)의 작동공간부(11a)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작동함체(11) 외부로 돌출시키는 롤러작동유압실린더(1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0200049209A 2020-04-23 2020-04-23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74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09A KR102174597B1 (ko) 2020-04-23 2020-04-23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209A KR102174597B1 (ko) 2020-04-23 2020-04-23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597B1 true KR102174597B1 (ko) 2020-11-05

Family

ID=73249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209A KR102174597B1 (ko) 2020-04-23 2020-04-23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5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94B1 (ko) * 2021-01-30 2021-06-1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295759B1 (ko) * 2021-06-08 2021-08-31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CN116743198B (zh) * 2023-08-15 2023-11-03 陕西旭信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的无线通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70Y1 (ko) * 2001-12-29 2002-07-13 엘지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1311890B1 (ko) * 2011-08-12 2013-09-27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1837928B1 (ko) 2017-12-13 2018-03-2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28897B1 (ko) * 2020-04-07 2020-07-01 (주)나이스에너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70Y1 (ko) * 2001-12-29 2002-07-13 엘지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1311890B1 (ko) * 2011-08-12 2013-09-27 김몽룡 모터사이클의 스탠딩 휠 장치
KR101837928B1 (ko) 2017-12-13 2018-03-2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28897B1 (ko) * 2020-04-07 2020-07-01 (주)나이스에너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94B1 (ko) * 2021-01-30 2021-06-11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295759B1 (ko) * 2021-06-08 2021-08-31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CN116743198B (zh) * 2023-08-15 2023-11-03 陕西旭信通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的无线通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597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US8794161B2 (en) Lifting and rotating device
KR102128897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US20160249737A1 (en) Height-adjustable table
KR200479122Y1 (ko) 파이프 회전지지 장치
KR101015943B1 (ko) 동조장치가 구비된 세미시져형 차량용 리프트
CN206875096U (zh) 一种起重机械的监控装置安装座
JP7392645B2 (ja) クレーン
JP4315564B2 (ja) 物体昇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セグメント供給装置
JP5356682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CN213635956U (zh) 一种带有减震结构的场效应管
KR102277294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CN210067841U (zh) 壁柜推拉式中心吊门
JP5596503B2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101956051B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10098532A (ko) 스페이스 롤러
KR101478780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팅 장치
KR102411436B1 (ko) 크레인 지브 레스트를 지닌 투광조명등 포스트
KR102295759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JP2004203602A (ja) 車両整備用リフト
KR200458987Y1 (ko) 각도 조절 가능한 상판을 구비하는 테이블
KR20140120442A (ko) 이동식 접이 침대
KR102263994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0554937B1 (ko) 씨저형 자동차 리프트의 정지바 설치구조
CN108030251B (zh) 自平衡适应式办公用品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