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759B1 -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 Google Patents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759B1
KR102295759B1 KR1020210074125A KR20210074125A KR102295759B1 KR 102295759 B1 KR102295759 B1 KR 102295759B1 KR 1020210074125 A KR1020210074125 A KR 1020210074125A KR 20210074125 A KR20210074125 A KR 20210074125A KR 102295759 B1 KR102295759 B1 KR 10229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aft
hole
inform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1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box-type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7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leaf sp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 하부에 장착부(11)를 갖는 정보통신기기본체(10)와, 정보통신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모듈(20)과, 정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고 테두리의 좌우측과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턱부(22)를 갖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에 설치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결합되는 좌우측바퀴(40,40a)와, 테두리가 상기 수용부(21)의 결합턱부(22)에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체인 커버(50)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모듈(20)의 정면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20)의 정면내벽(23) 중심부 하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24a)을 갖는 축돌부(24)가 형성되며, 축돌부(24)를 기준으로 좌우측상부에 각각 평면단이 "┗ ┛"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승강통공(25b)을 갖고 정면에는 일정간격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볼트공(25c)을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가 각각 형성되고, 정면내벽(23)좌우측상단과 좌우측하부에 각각 고정보스(27)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볼트공(25c) 연장선상에 볼트고정공(26e)이 형성된 사각고정판(26d)을 갖고 사각고정판(26d) 정면에는 승강통공(25b)을 통해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에 후방측으로 삽입홈(26c)이 요부형성된 체결봉(26b)을 갖는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0)는, 정면에서 대략 'Ω'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삽입되되 내측에는 삽입홈(26c)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판(31c)이 형성된 스프링머리(31b)를 각각 갖고 스프링머리(31b) 양측선단이 타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맞닿고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를 각각 갖고 좌우측판스프링(31,31a)이 각각 형성되고, 긴 탄성봉체로 중심부에는 축돌부(24)의 나사축(24a)이 삽입되는 너트(32d)에 의해 축고정되는 고정공(32c)이 형성된 원형축판(32b)을 각각 갖고 일단은 좌우측판스프링(31,31a)의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에 탄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모듈(20)의 수용부(21) 하측의 바닥면(60) 상부에 각각 위치되는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바퀴(40,40a)는, 바닥면(60)에 닿는 고무재질의 원형판체로 선단면은 반원형상이고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의 타단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바퀴축공(41)이 각각 형성된 로울러이며; 상기 커버(50)는, 상기 고정보스(27) 연장선상에 보스공(5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 중심에는 모듈(20)을 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서 꺼내는 손잡이요부(51)가 형성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듈의 정면내벽에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와 좌우측판스프링 및 좌우측로울러축봉을 갖는 완충부재를 수용부 내에 구비할 수 있어 정보통신기기본체의 좌우측면에 필요로 하는 장착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에도 정보통신기기본체에서 손쉬게 모듈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면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Buffer support roller devic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의 정면내벽에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와 좌우측판스프링 및 좌우측로울러축봉을 갖는 완충부재를 수용부 내에 구비할 수 있어 정보통신기기본체의 좌우측면에 필요로 하는 장착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에도 정보통신기기본체에서 손쉬게 모듈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면서 인출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형 서버나 현금출금기 또는 ATM 등의 정보통신기기에 장착되는 모듈은 어느 정도의 크기와 부피가 있기 때문에 하부에 부설된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슬라이딩 이동하게 기기 본체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바닥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퀴에서 전해지는 충격이 모듈의 부품에 그대로 전달되어 부품의 손상 등에 따른 고장이 빈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수평부의 양측에 설치된 양 수직부의 하부에 롤러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자 형태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되어 지지대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방진패드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블록과, 모듈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과 마주하는 전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조인트블록과, 상기 고정블록을 관통한 상태로 조인트블록의 돌출부에 결합되어 고정블록과 조인트블록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핀 및 상기 지지핀의 외주에 결합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블록과 조인트블록의 돌출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충격을 완충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핀과 스프링은 조인트블록의 돌출부 상하면에 각각 구비되게 하여 구성되어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특허등록 제10-1837928호)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는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모듈로 전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주기 위해 "├┤"자 형태로 되는 고정대·롤러·고정블록·지지대·방진패드·커버플레이트·조인트블록·3개의 고정볼트·고정블록과 조인트블록 사이에 결합되는 각각 4개의 지지핀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품 및 조립공수가 많아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은 물론 오히려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장애가 되어 설치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됨과 동시에 생산원가가 대폭 상승하게 되므로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또한, 완충장치가 모듈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모듈을 인출하면 완충장치도 노출되어 모듈의 사용 중 부주의로 타 물체와 부딪쳐서 심한 경우에는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은 물론 정보통신기기의 외관을 훼손시키게 되어 상품가치를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기본체(10)의 장착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모듈(12)의 좌·우면 하측에 외벽과 하면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고 테두리의 전후와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턱부(25)를 갖는 수용부(20)와, 판스프링인 완충부재(30)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결합되는 내외측의 바퀴(40,40')와, 테두리가 상기 수용부(20)의 결합턱부(25)에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커버(50)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0)는, 상기 모듈(12) 내벽(21)의 외단 하측모서리부분에 부설되는 지지축(22)과, 상기 내벽(21)의 상부 내단측부분 상측에 부설되는 제1지지핀(23)과, 상기 제1지지핀(23)의 직 하방에서 소정간격으로 격리되게 부설되는 제2지지핀(23')과, 하단은 상기 지지축(22)과 제1,2지지핀(23)(23')들 사이의 중간에서 지지축(22)에 근접하는 상측에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하단의 직상방 후측에 위치하게 내벽(21)에 경사지게 천공되는 제1가이드축공(24)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재(30)는, 상기 지지축(22)과 제1,2지지핀(23)(23')들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고, 상기 지지축(22)에 축결합하게 하단에 형성되는 제1축수부(31)와, 상기 제1,2지지핀(23)(23')들 사이를 통과하여 그 후측에 걸어지게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부(32)와, 상기 제1축수부(31)와 걸림부(32)들 사이의 중간에서 지지축(22)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축수부(31')를 구비하며; 상기 내측의 바퀴(40)는, 지름이 상기 내벽(21)의 상·하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중심에 내·외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가이드축공(24)에 결합하고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축수부(31')의 내단에 결합하는 축(41)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의 바퀴(40')는, 지름이 상기 내벽(21)의 상·하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중심에 내·외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2축수부(31')의 내단에 결합하하는 축(41)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50)는, 상기 제1가이드축공(24)에 대응하게 천공되어 외측 바퀴(40') 축(41)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결합하는 제2가이드축공(51)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가 특허등록 제10-2176011호(2020.11.06. 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는 작업성과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켜 줌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을 높여 줌은 물론 모듈의 슬라이드 이동시 충격이 발생하면 효율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는 반면에,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좌우측 내부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인출되는 모듈의 기기본체 좌우측면에 각각 완충장치가 장착될 일정공간을 필요로 하는바, 모듈이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기기본체 좌우측면에 일정부피의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때에는 모듈의 완충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37928호 (KR) 대한민국 특허등록제10-2176011호(2020.11.0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듈의 정면내벽에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와 좌우측판스프링 및 좌우측로울러축봉을 갖는 완충부재를 수용부 내에 구비할 수 있어 정보통신기기본체의 좌우측면에 필요로 하는 장착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에도 정보통신기기본체에서 손쉬게 모듈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면서 인출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면 하부에 장착부(11)를 갖는 정보통신기기본체(10)와, 정보통신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모듈(20)과, 정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고 테두리의 좌우측과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턱부(22)를 갖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에 설치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결합되는 좌우측바퀴(40,40a)와, 테두리가 상기 수용부(21)의 결합턱부(22)에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체인 커버(50)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모듈(20)의 정면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20)의 정면내벽(23) 중심부 하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24a)을 갖는 축돌부(24)가 형성되며, 축돌부(24)를 기준으로 좌우측상부에 각각 평면단이 "┗ ┛"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승강통공(25b)을 갖고 정면에는 일정간격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볼트공(25c)을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가 각각 형성되고, 정면내벽(23)좌우측상단과 좌우측하부에 각각 고정보스(27)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볼트공(25c) 연장선상에 볼트고정공(26e)이 형성된 사각고정판(26d)을 갖고 사각고정판(26d) 정면에는 승강통공(25b)을 통해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에 후방측으로 삽입홈(26c)이 요부형성된 체결봉(26b)을 갖는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0)는, 정면에서 대략 'Ω'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삽입되되 내측에는 삽입홈(26c)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판(31c)이 형성된 스프링머리(31b)를 각각 갖고 스프링머리(31b) 양측선단이 타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맞닿고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를 각각 갖고 좌우측판스프링(31,31a)이 각각 형성되고, 긴 탄성봉체로 중심부에는 축돌부(24)의 나사축(24a)이 삽입되는 너트(32d)에 의해 축고정되는 고정공(32c)이 형성된 원형축판(32b)을 각각 갖고 일단은 좌우측판스프링(31,31a)의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에 탄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모듈(20)의 수용부(21) 하측의 바닥면(60) 상부에 각각 위치되는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바퀴(40,40a)는, 바닥면(60)에 닿는 고무재질의 원형판체로 선단면은 반원형상이고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의 타단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바퀴축공(41)이 각각 형성되는 로울러이며;
상기 커버(50)는, 상기 고정보스(27) 연장선상에 보스공(5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 중심에는 모듈(20)을 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서 꺼내는 손잡이요부(51)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듈의 정면내벽에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와 좌우측판스프링 및 좌우측로울러축봉을 갖는 완충부재를 수용부 내에 구비할 수 있어 정보통신기기본체의 좌우측면에 필요로 하는 장착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에도 정보통신기기본체에서 손쉬게 모듈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면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커버가 분리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의 작공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는, 정면 하부에 장착부(11)를 갖는 정보통신기기본체(10)와, 정보통신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모듈(20)과, 정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고 테두리의 좌우측과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턱부(22)를 갖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에 설치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결합되는 좌우측바퀴(40,40a)와, 테두리가 상기 수용부(21)의 결합턱부(22)에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체인 커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모듈(20)의 정면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20)의 정면내벽(23) 중심부 하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24a)을 갖는 축돌부(24)가 형성되며, 축돌부(24)를 기준으로 좌우측상부에 각각 평면단이 "┗ ┛"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승강통공(25b)을 갖고 정면에는 일정간격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볼트공(25c)을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가 각각 형성되고, 정면내벽(23)좌우측상단과 좌우측하부에 각각 고정보스(27)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볼트공(25c) 연장선상에 볼트고정공(26e)이 형성된 사각고정판(26d)을 갖고 사각고정판(26d) 정면에는 승강통공(25b)을 통해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에 후방측으로 삽입홈(26c)이 요부형성된 체결봉(26b)을 갖는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30)는, 정면에서 대략 'Ω'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삽입되되 내측에는 삽입홈(26c)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판(31c)이 형성된 스프링머리(31b)를 각각 갖고 스프링머리(31b) 양측선단이 타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맞닿고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를 각각 갖고 좌우측판스프링(31,31a)이 각각 형성되고, 긴 탄성봉체로 중심부에는 축돌부(24)의 나사축(24a)이 삽입되는 너트(32d)에 의해 축고정되는 고정공(32c)이 형성된 원형축판(32b)을 각각 갖고 일단은 좌우측판스프링(31,31a)의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에 탄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모듈(20)의 수용부(21) 하측의 바닥면(60) 상부에 각각 위치되는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우측바퀴(40,40a)는, 바닥면(60)에 닿는 고무재질의 원형판체로 선단면은 반원형상이고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의 타단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바퀴축공(41)이 각각 형성되는 로울러이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고정보스(27) 연장선상에 보스공(5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 중심에는 모듈(20)을 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서 꺼내는 손잡이요부(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모듈(20)의 정면내벽(23)에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와 좌우측판스프링(31,31a) 및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을 갖는 완충부재(30)를 수용부(21) 내에 구비할 수 있어 정보통신기기본체(10)의 좌우측면에 필요로 하는 장착공간의 여유가 없을 때에도 정보통신기기본체(10)에서 손쉬게 모듈(20)의 충격을 효율적으로 완충시키면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정보통신기기본체
20 : 모듈
26,26a :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
30 : 완충부재
31,31a : 좌우측판스프링
32,32a : 좌우측로울러축봉
40,40s : 좌우측바퀴
50 : 커버
60 : 바닥면

Claims (1)

  1. 정면 하부에 장착부(11)를 갖는 정보통신기기본체(10)와, 정보통신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 서랍식으로 설치되는 모듈(20)과, 정면과 하면이 개방되게 함몰형성되고 테두리의 좌우측과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턱부(22)를 갖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에 설치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결합되는 좌우측바퀴(40,40a)와, 테두리가 상기 수용부(21)의 결합턱부(22)에 결합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판체인 커버(50)를 구비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1)는, 상기 모듈(20)의 정면선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모듈(20)의 정면내벽(23) 중심부 하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24a)을 갖는 축돌부(24)가 형성되며, 축돌부(24)를 기준으로 좌우측상부에 각각 평면단이 "┗ ┛" 형상으로 중심부에는 승강통공(25b)을 갖고 정면에는 일정간격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볼트공(25c)을 갖는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가 각각 형성되고, 정면내벽(23)좌우측상단과 좌우측하부에 각각 고정보스(27)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승강가이드(25,25a)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수직기립된 사각판체로 볼트공(25c) 연장선상에 볼트고정공(26e)이 형성된 사각고정판(26d)을 갖고 사각고정판(26d) 정면에는 승강통공(25b)을 통해 전방측으로 돌출되되 중심부에 후방측으로 삽입홈(26c)이 요부형성된 체결봉(26b)을 갖는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30)는, 정면에서 대략 'Ω'형상으로 일측에는 상기 좌우측높낮이조절고정구(26,26a)가 삽입되되 내측에는 삽입홈(26c)에 삽입되는 삽입고정판(31c)이 형성된 스프링머리(31b)를 각각 갖고 스프링머리(31b) 양측선단이 타측으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맞닿고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를 각각 갖고 좌우측판스프링(31,31a)이 각각 형성되고, 긴 탄성봉체로 중심부에는 축돌부(24)의 나사축(24a)이 삽입되는 너트(32d)에 의해 축고정되는 고정공(32c)이 형성된 원형축판(32b)을 각각 갖고 일단은 좌우측판스프링(31,31a)의 스프링좌우측다리(31d,31e)에 탄성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모듈(20)의 수용부(21) 하측의 바닥면(60) 상부에 각각 위치되는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바퀴(40,40a)는, 바닥면(60)에 닿는 고무재질의 원형판체로 선단면은 반원형상이고 중심부에는 상기 좌우측로울러축봉(32,32a)의 타단이 각각 삽입고정되는 바퀴축공(41)이 각각 형성된 로울러이며;
    상기 커버(50)는, 상기 고정보스(27) 연장선상에 보스공(52)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부 중심에는 모듈(20)을 기기본체(10)의 장착부(11)에서 꺼내는 손잡이요부(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KR1020210074125A 2021-06-08 2021-06-08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KR10229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25A KR102295759B1 (ko) 2021-06-08 2021-06-08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125A KR102295759B1 (ko) 2021-06-08 2021-06-08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759B1 true KR102295759B1 (ko) 2021-08-31

Family

ID=7748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125A KR102295759B1 (ko) 2021-06-08 2021-06-08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7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70Y1 (ko) * 2001-12-29 2002-07-13 엘지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1837928B1 (ko) 2017-12-13 2018-03-2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60420B1 (ko) * 2020-03-31 2020-09-28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통신기기 설치용 가변형 다중 정보통신기기 수납함
KR102174597B1 (ko) * 2020-04-23 2020-11-05 (주)골드이엔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76011B1 (ko) 2020-06-11 2020-11-06 (주)더베스트이앤씨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70Y1 (ko) * 2001-12-29 2002-07-13 엘지전자주식회사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1837928B1 (ko) 2017-12-13 2018-03-21 (주)진광건설엔지니어링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60420B1 (ko) * 2020-03-31 2020-09-28 (주)나이스에너지엔지니어링 통신기기 설치용 가변형 다중 정보통신기기 수납함
KR102174597B1 (ko) * 2020-04-23 2020-11-05 (주)골드이엔지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176011B1 (ko) 2020-06-11 2020-11-06 (주)더베스트이앤씨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4556B2 (en) Slide rail mechanism and bracket device thereof
CN207440709U (zh) 一种具有散热功能的易拆卸主机机箱
LU502189B1 (en) Convenient-to-protect buffering and damping type electrical control cabinet
KR102176011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US20190335605A1 (en) Multi-layer expansion card buffer bracket
JP2015186572A (ja) 天板昇降式什器
KR102295759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KR102174597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KR102277294B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JP2021087801A (ja) 天板昇降式什器、天板用受け部材
CN102654234A (zh) 电子装置
CN211475265U (zh) 一种电力柜减震底座
JP2017079978A (ja) 天板付き家具
KR102263994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장치
JP2019155012A (ja) 天板昇降式什器
CN109519657B (zh) 适用于多种计算机主机箱型号的固定装置
CN209845561U (zh) 一种可调节式机柜
KR101631490B1 (ko) 악세사리용 거치장치
JP2018068950A (ja) 天板付什器
KR100912650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CN211321445U (zh) 一种交换机固定装置
KR102235203B1 (ko) 피씨방 책상용 선반
CN210666616U (zh) 一种计算机防震主机箱
CN110529752B (zh) 一种组装便捷的立式灯箱
CN220863995U (zh) 一种可以限位调节的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