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169B1 -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 Google Patents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169B1
KR101424169B1 KR1020130006560A KR20130006560A KR101424169B1 KR 101424169 B1 KR101424169 B1 KR 101424169B1 KR 1020130006560 A KR1020130006560 A KR 1020130006560A KR 20130006560 A KR20130006560 A KR 20130006560A KR 101424169 B1 KR101424169 B1 KR 10142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type
type folding
bed
fix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한
Original Assignee
윤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한 filed Critical 윤창한
Priority to KR102013000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좁은 면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납장에 수납되는 침대를 서스펜션(suspension)에 의해 접었다 펼쳤다 함은 물론 싱글 또는 더블 침대의 하중에 알맞게 서스펜션을 선택하여 임의로 침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철 과정에서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A folding device of collapsible bed}
본 발명은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좁은 면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납장에 수납되는 침대를 서스펜션(suspension)에 의해 접었다 펼쳤다 함은 물론 싱글 또는 더블 침대의 하중에 알맞게 서스펜션을 선택하여 설치함으로써 임의로 침대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철 과정에서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도시화에 따라 좁은 면적에 많은 주택 및 빌딩이 건설되고 있으며, 지가상승에 따라 건축물 내부는 좁은 면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학생 방 또는 직장인들의 하숙집, 일명 원룸, 오피스텔 등은 작은 면적으로 방이 구성됨으로써 협소한 면적에 침대와 책상 또는 옷장 등의 가구를 구비하기가 매우 어려워 설치에 많은 곤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붙박이 침대 또는 접이식 침대, 침대는 책장, 옷장을 구비한 수납장과 이 수납장의 일부 면적에 침대가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침대의 프레임을 힌지 구성하여 침대가 접철됨으로서 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낮에는 침대를 접어 수용공간에 수용시켜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식 침대는 국내의 아파트나 원룸에서 효율적인 공간배치에 효과적인 특징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이식 또는 침대는 침대를 펼쳐 설치하거나 또는 접어서 개구부에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침대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그러나 벽면에 면접된 상태로 설치되는 수납장은 수납장 내에 하중이 큰 침대가 수용됨으로써 침대가 수납장에 인입 내지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접었다 폈다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침대를 접철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빠르게 펼쳐지면서 바닥과 부딪쳐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침대에는 접철되는 과정에서 천천히 펼쳐질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장력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나 반복적인 접철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대는 싱글 또는 더블로 구성된 상태에서 수납장에서 침대를 접었다 펼치는 과정에서 침대의 하중에 맞게 장력이 제대로 조정되지않으면 침대가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펼쳐진 침대가 임의로 접혀져 사용자가 수납장 안으로 들어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너무 약하면 침대를 접어도 침대를 접힌 상태로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펼쳐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대는 침대의 하중에 따라 스프링의 개수 또는 탄성력을 고려하여 장착하나, 싱글 및 더블 침대의 하중에 맞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한다는 게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대에서 접철장치는 침대를 접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기고 반대로 침대를 펼칠 때는 스프링이 늘어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침대가 제대로 수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제 10-2011-0026858 호 "침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장에서 침대를 접었다 펼치는 접철장치를 종래와 같이 스프링으로 당기거나 또는 늘어나는 방식을 사용하지않고 서스펜션을 사용함으로써 접었을 때는 밀고, 펼쳤을 때 원상태로 복귀하는 동작에 의해 정확하게 접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서스펜션의 사용으로 싱글, 더블 침대의 하중에 맞게 접철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수납장에 수납된 침대를 부드럽게 펼쳤다 접을 수 있도록 침대 매트리스의 저면 양측에 접철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접철장치의 하우징 내에 교차되게 회전축이 삽입되어 돌출된 일측은 수납장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이 체결되며, 반대방향에는 마주하게 하우징의 내주면에 한 쌍의 고정편이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과 고정편 사이에는 서스펜션이 위치하고, 상기 서스펜션의 피스톤 실 일측 단부는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 실에 일측 단부로 삽입되고 외주면에는 스프링이 감긴 피스톤 로드의 탄측 단부는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침대를 접으면 회전축이 고정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스펜션의 피스톤 실도 함께 90°회전하여 스프링을 밀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침대를 펼치면 회전축과 함께 원상 복귀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대를 접거나 펼칠 때 종래와 같이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지않고 서스펜션에 의해 밀어서 고정하고, 반대로 간섭이 해지되면 원상복귀하는 동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글 또는 더블침대의 하중에 따라 알맞은 서스펜션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접철 동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타측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침대를 펼칠 때 침대가 서서히 펼쳐지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스펜션을 사용함으로써 침대를 접고 펼치는 과정에서 충격을 흡수 완충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접철장치 전체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접철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a는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b는 본 발명 침대에 접철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a, b는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가 수납장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가 수납장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접철장치 전체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납장(20)에서 소음 및 충격을 흡수 완충하고, 하중에 따라 탄성력을 조정하여 침대(21)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침대 내부에 접철장치(1)가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접철장치(1)는 하우징(2), 회전축(8), 서스펜션(3), 고정블록(10), 고정 브라켓(12), 고정편(15)으로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2)은 사각의 블록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과 배면에는 관통되게 회전공(22)이 형성되며, 우측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편(15)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편(15)의 반대방향에는 조절판(16)이 헤드에 부착된 조절볼트(11)가 조임 체결됨으로 인해 접철장치(1)의 사양에 따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에 형성된 회전공(22)으로 사각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축(8)이 삽입되어 양단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8)의 외주면에는 하우징(2) 내에서 고정편(15)과 마주하게 외주면으로 한 쌍의 고정 브라켓(12)이 이격되게 삽입 체결되어 회전축(8)은 고정되고 한 쌍의 고정 브라켓(12)만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8)은 한 쌍의 고정 브라켓(12)만 회전하도록 회전축(8)의 외주면에는 고정 브라켓(12)이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홈(23)이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22)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일측 단부는 고정블록(10)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2) 밖으로 돌출된 회전축(8)중 일측 단부는 고정블록(10)의 삽입공(9)으로 삽입되고, 회전축(8)의 타측 단부에는 실린더(4)가 위치하여 회전축(8)에 실린더 로드가 체결되며, 하우징(2)에는 실린더 실이 체결되어 회전축(8)과 함께 연동한다.
상기 회전축(8)에 삽입 체결된 고정 브라켓(12)은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14)으로 회전축(8)이 삽입 고정되고, 상면에는 스프링 체결공(17)이 형성되며,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면에는 피스톤 실(5)을 체결할 수 있는 피스톤 실 체결공(13)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 브라켓(12)과 고정편(15) 사이에는 서스펜션(3)이 위치하고, 상기 서스펜션(3)은 피스톤 실(5)과 피스톤 로드(6)로 구분하며, 피스톤 실(5)의 일측 단부는 한 쌍의 고정편(15)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6)는 피스톤 실(5)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스프링(18)이 감긴 상태에서 타측 단부는 고정편(15)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 브라켓(12)과 고정편(15) 사이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 브라켓(12)이 회전할 때 서스펜션(3)이 고정편(15) 방향으로 밀어지도록 유도하고, 고정 브라켓(12)이 90°로 회전하면 회전축(8)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 브라켓(12)이 임의로 역회전하지않도록 지지한다.
따라서 침대(21)를 접으면 고정 브라켓(12)이 90°로 회전하면 고정편(15) 방향으로 가압되어 밀린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침대(21)를 펼치면 고정 브라켓이(12)이 원상태로 회전하여 가압이 해지되면서 복귀한다.
또한, 수납장(20)에는 하부에 삽입공(9)이 형성된 고정볼록(10)이 피스에 의해 부착되고, 삽입공(9)에는 회전축(8)이 삽입된다.
도 5는 본 발명 접철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 침대에 접철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개방부가 마련되어 벽체에 직립 설치되는 수납장(20)과, 수납장(20)의 내부 하측에 위치한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침대(21)와, 상기 침대 내부에는 접절장치(1)를 설치하여 서스펜션(3)의 작동에 의해 침대(21)를 접었다 펼쳤다 하는 구조이다.
상기 접철장치(1)는 침대(21)에서 매트리스를 제거하고, 침대(21)의 몸체 내부에서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회전축(8)의 일측 단부가 침대(21)를 통과하여 고정블록(10)의 삽입공(9)을 삽입되어 수납장(20)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수납장(20)으로 끼움 결합하지않은 회전축(8)의 반대방향에는 실린더(4)가 위치하여 회전축(8)과 함께 연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침대(21)를 수납하기 위해 수납공간으로 접으면 고정브라켓(12)이 고정편(15) 방향으로 90°회전하면서 서스펜션(3)의 피스톤 실(5)을 가압하여 밀면 피스톤 로드(6)는 피스톤 실(5)로 유입되고 피스톤 로드(6)의 외주면에 위치한 스프링(18)을 밀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회전축(8)이 사각형상의 봉으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 브라켓(12)이 90°회전하면 이를 지지함으로 인해 임의로 역회전 되지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회전축(8)의 상부에 위치한 피스톤 실(5)의 일측 단부가 회전축(8)과 연동하여 회전축(8)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서 스프링(18) 및 피스톤 로드(6)를 밀어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6은 본 발명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로서 하우징 (2)내부에서 고정편(15)의 반대방향 내주면에는 조절판(16)이 부착된 조절볼트(11)가 조임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8)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12)과 조절판(16) 사이에는 보조 스프링(7)이 한 개 이상 위치하여 고정편(15)과 조절판(16)에 형성된 스프링 체결공(17)으로 양단이 체결된다.
상기 조절볼트(11)는 조임 및 풀림에 의해 보조 스프링(7)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프링(7)은 서스펜션(3)의 탄성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8)이 회전을 하면 함께 연동하여 당김으로 인해 침대(21)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으며, 싱글 및 더블 등 침대(21)의 종류에 따라 보조 스프링(7)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면으로서, 하우징(2) 외부로 전동 모터(19)가 장착되고, 상기 전동 모터(19)의 구동축은 회전축(8)에 체결되어 구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침대(21)를 접거나 펼치지않고 도면에 미 도시 하였으나 전동 모터(19)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한다.
도 9a, b는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21)가 수납장(2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서, 수납장(20)에서 가로방향으로 침대(21)가 접었다 펼쳐져 수납되는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 접철장치가 설치된 침대가 수납장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 도면으로서, 수납장(20)에서 세로방향으로 침대(21)가 접었다 펼쳐져 수납되는 구조이다.
1: 접철장치 2: 하우징
3: 서스펜션(suspension) 4: 실린더
5: 피스톤 실 6: 피스톤 로드
7: 보조 스프링 8: 회전축
9: 삽입공 10: 고정블록
11: 조절볼트 12: 고정 브라켓
13: 피스톤 실 체결공 14: 고정공
15: 고정편 16: 조절판
17: 스프링 체결공 18: 스프링
19: 전동 모터 20: 수납장
21: 침대 22: 회전공
23: 회전홈

Claims (5)

  1. 전방에 개방부가 마련되어 벽체에 직립 설치되는 수납장과, 이 수납장의 내부 하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침대와, 상기 침대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의해 침대를 접었다 펼쳤다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장치는 사각의 블록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과 배면에는 관통되게 회전공이 형성되며, 우측 내주면에는 한 쌍의 고정편이 형성된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공으로 회전축이 삽입 돌출되고, 하우징 내에 위치한 고정편과 마주하게 회전축의 외주면으로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이 삽입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는 고정 브라켓이 회전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홈이 내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전공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일측 단부는 고정블록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사각형상의 회전축; 과
    상기 회전축에는 하부에 형성된 고정공이 삽입되고, 상기 고정공은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홈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공의 상면에는 스프링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체결공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수직면에는 피스톤 실 체결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회전축의 회전홈을 회전하는 고정 브라켓; 과
    상기 고정 브라켓과 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일측 단부는 고정 브라켓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침대를 접으면 고정 브라켓이 90°로 회전하여 고정편 방향으로 가압되어 밀린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침대를 펼치면 고정 브라켓이 원상태로 회전하여 가압이 해지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는 서스펜션; 과
    상기 수납장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고정블록에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으로 회전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블록은 수납장에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돌출된 회전축의 양단중 일측은 고정블록에 형성된 삽입공으로 삽입되고, 타측 단부는 돌출된 상태에서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실린더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지않은 실린더의 타측은 하우징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은 피스톤 실과 피스톤 로드로 구분되어 피스톤 실 일측 단부는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는 피스톤 실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주면에 스프링이 감긴 상태에서 타측 단부는 고정편 사이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고정편의 반대방향 내주면에는 조절판이 부착된 조절볼트가 조임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축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조절판 사이에는 보조 스프링이 한 개 이상 위치하여 고정편과 조절판에 형성된 스프링 체결공으로 양단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5. 제 1항 또는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외부로 전동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축은 회전축에 체결되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KR1020130006560A 2013-01-21 2013-01-21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KR10142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60A KR101424169B1 (ko) 2013-01-21 2013-01-21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560A KR101424169B1 (ko) 2013-01-21 2013-01-21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169B1 true KR101424169B1 (ko) 2014-08-04

Family

ID=5174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560A KR101424169B1 (ko) 2013-01-21 2013-01-21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480A (ko) 2015-01-09 2016-07-20 윤창한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20160110650A (ko) 2015-03-10 2016-09-22 윤창한 수납식 침대의 완충장치
KR20160116208A (ko) 2015-03-27 2016-10-07 윤창한 수납식 침대용 받침다리
KR101856176B1 (ko) 2015-12-18 2018-05-10 윤창한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318A (ja) 2002-08-23 2004-03-18 Shinetsu Unit Kk 壁面収納ベッド
KR200431271Y1 (ko) 2006-08-10 2006-11-23 박홍열 수납식 침대를 갖는 가구
KR101220489B1 (ko) 2011-03-25 2013-01-10 우미정 수납식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1318A (ja) 2002-08-23 2004-03-18 Shinetsu Unit Kk 壁面収納ベッド
KR200431271Y1 (ko) 2006-08-10 2006-11-23 박홍열 수납식 침대를 갖는 가구
KR101220489B1 (ko) 2011-03-25 2013-01-10 우미정 수납식 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480A (ko) 2015-01-09 2016-07-20 윤창한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1679950B1 (ko) * 2015-01-09 2016-12-07 윤창한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20160110650A (ko) 2015-03-10 2016-09-22 윤창한 수납식 침대의 완충장치
KR20160116208A (ko) 2015-03-27 2016-10-07 윤창한 수납식 침대용 받침다리
KR101856176B1 (ko) 2015-12-18 2018-05-10 윤창한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KR101424169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US928906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953435B1 (ko)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US879382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KR101439769B1 (ko) 수납식 침대
US9743775B2 (en) Foldout bed
KR101771079B1 (ko) 수납장이 구비된 접이식 매트리스
KR101679950B1 (ko)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CN201011976Y (zh) 壁柜床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101787028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식 다리장치
JP6635807B2 (ja) 収納ベッド
KR101856176B1 (ko)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US10575631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362535B1 (ko) 수납식 가구의 링크 구동 장치
KR20160116208A (ko) 수납식 침대용 받침다리
KR20140042762A (ko) 식탁이 구비된 홈바
KR20160110650A (ko) 수납식 침대의 완충장치
CN209528563U (zh) 一种带有隐形床的办公柜
KR100725027B1 (ko)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KR20160130339A (ko) 서랍식 침대가 구비된 책상
AU2021107359A4 (en) A Foldable bed assembly
KR200434766Y1 (ko)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KR20030071738A (ko) 수납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