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766Y1 -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766Y1
KR200434766Y1 KR2020060025900U KR20060025900U KR200434766Y1 KR 200434766 Y1 KR200434766 Y1 KR 200434766Y1 KR 2020060025900 U KR2020060025900 U KR 2020060025900U KR 20060025900 U KR20060025900 U KR 20060025900U KR 200434766 Y1 KR200434766 Y1 KR 200434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mattress
fixed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운길
Original Assignee
고운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운길 filed Critical 고운길
Priority to KR2020060025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7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전방으로 당기면서 하향회전시켜 침대가 바닥상에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후 절첩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윗쪽으로 당겨올리면서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의 회전조작이 누구나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수납장 하단 내측에 회전절첩가능케 설치한 통상의 절첩식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납장의 측면 본체 상에 고정축을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축 상에 매트리스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직립 혹은 수평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되, 프레임의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프레임 내측에 인장스프링을 탄력설치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바닥과 수평상태가 되게 하는 과정에서는 인장스프링이 늘어나면서 매트리스 및 프레임을 탄지케 하여 매트리스 및 프레임의 무게를 지지케 하므로서 침대를 전방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고, 사용후 공간활용을 위하여 매트리스와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절첩하고자 할 때에도 인장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사용자가 작은 힘을 가하여 프레임 부분을 잡고 당겨올리면 인장스프링의 탄지력이 더해지면서 누구나 쉽게 침대를 수직상태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ROTARY DEVICE OF FOLDING TYPE BED FRAME}
도 1 : 본 고안의 절첩식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분이 수납장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절첩식 침대의 요부사시도
도 3 : 도 2의 분해구성도
도 4 : 본 고안 절첩식 침대의 절첩시 인장스프링 부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레임을 수평상태로 펼친 상태도
도 5 : 도 4의 상태에서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절첩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절첩식 침대 (110)--침대
(120)--수납장 (121)--수납공간
(122)--본체 (130)--매트리스
(200)--프레임 (210)--고정축
(211)--브라켓 (212)--체결볼트
(213)--걸림공 (214)--고정체
(220)--회전체 (221)--안내홈
(230)--지지체 (240)--고정판
(241)--걸림공 (242)--너트
(243)--볼트
본 고안은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침대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의 사용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전방으로 당기면서 하향회전시켜 침대가 바닥상에 수평상태로 위치되게 하여 사용하거나, 사용후 절첩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윗쪽으로 당겨올리면서 후방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의 회전조작이 누구나 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주로 휴식이나 수면시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많은 실내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주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장애의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주거공간이 협소한 소형주택이나 원룸과 같은 곳에서 일반침대를 사용하게 될 경우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주거공간이 협소한 소형주택이나 원룸과 같은 곳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절첩식 침대가 제공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옷장이나 각종 수납공간의 전면 하단에 침대를 회전절첩식으 로 장치하여 침대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침대를 수평상태로 펼쳐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직립상태로 회전절첩시켜 공간을 확보케 하므로서 주거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절첩식 침대의 경우 사용을 위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앞으로 당기면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바닥에 설치되게 하거나, 사용후 공간활용을 위하여 위로 당겨올리면서 회전시켜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이 직립식으로 절첩시키고자 할 때에 무거운 침대를 회전조작하는데에 많은 힘이 들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할 뿐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주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절첩식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침대의 사용을 위한 전방으로의 회전작동과, 사용후 침대의 절첩을 위한 후방으로의 수직회전 절첩작업이 힘들이지 않고 누구나 용이하게 조작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수납장 하단 내측에 회전절첩가능케 설치한 통상의 절첩식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수납장의 측면 본체 상에 고정축을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축 상에 매트리스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직립 혹은 수평상태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되, 프레임의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축과 고정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프레임 내측에 인장스프링을 탄력설치하여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바닥과 수평상 태가 되게 하는 과정에서는 인장스프링이 늘어나면서 매트리스 및 프레임을 탄지케 하여 매트리스 및 프레임의 무게를 지지케 하므로서 침대를 전방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무게감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하고, 사용후 공간활용을 위하여 매트리스와 프레임을 수직상태로 절첩하고자 할 때에도 인장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사용자가 작은 힘을 가하여 프레임 부분을 잡고 당겨올리면 인장스프링의 탄지력이 더해지면서 누구나 쉽게 침대를 수직상태로 절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침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침대(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상태도로서, 수납장(120) 내측 하단에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수평 및 수직상으로 회전절첩가능케 구성하되, 침대(110)를 구성하는 프레임(200)를 수평상태로 펼친 상태에서는 침대(110) 전면에 위치한 목재판(도시안됨)이 수직상태로 직립하여 바닥면과 접하면서 받침다리역할을 하고, 공간활용을 위하여 침대(110)를 구성하는 프레임(200)를 수직상태로 절첩하면 목재판이 커버 및 손잡이 역할을 한다는 것은 통상의 절첩식 침대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기술요지는 상면에 매트리스(130)가 장착되어 침대(110)를 구성하는 프레임(200)를 인장스프링(210)으로 탄력설치하여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가 되게 하는 과정에서는 인장스프링(210) 이 늘어나면서 프레임(200)의 무게감을 줄이고, 반대로 프레임(200)을 윗쪽으로 당겨올려 수직상태로 절첩하고자 할 때에는 인장스프링(210)이 원복하려는 탄지력에 의해 작은 힘을 가하여 당겨올리더라도 쉽게 회전작동될 수 있게 한 절첩식 침대(100)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1)이 형성된 수납장(120)의 본체(122) 하단 내측에 고정축(210) 단부에 구성된 브라켓(211)을 위치시킨 다음 체결볼트(212)로 체결하여 고정축(210)이 수납장(120)의 내측 하단에 나란하게 대향설치되게 한다.
상기 고정축(210) 중앙에는 걸림공(213)이 형성된 고정체(214)를 끼워 설치하되, 용접 혹은 걸림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축(210)으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축(210)에 매트리스(130)가 장착되는 프레임(200)이 수평 혹은 수직상태로 회전가능케 하여 절첩식 침대(100)가 구성된다.
프레임(200)이 고정축(210)에 결합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대체로 장방형으로 길게 구성되게 프레임(200)를 제작구성하되 프레임(200) 후방 내측면에 대체로 긴 안내홈(221)이 형성된 회전체(220)를 용접하여 프레임(200)과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하고, 상기 회전체(220) 전방에는 지지체(230)가 프레임(200)과 일체형으로 용착고정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프레임(200) 내측에 일체형으로 용착고정되는 회전체(220) 및 지지체(230)는 프레임(200) 양측에 나란히 구성되게 한다.
또한 지지체(23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고정판(240) 전면에 구성된 볼트(243)가 지지체(23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구성되게 한 다음 너트(242)로 체결되게 하므로서, 너트(242)를 회전시키면 지지체(230)를 기준으로 고정판(240)이 전후 이동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회전체(220)에 구성된 안내홈(221)이 고정축(210) 외면에 끼워지게 하면 고정축(210)에 구성된 고정체(214)가 회전체(220) 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인장스프링(250)을 고정체(214)의 걸림공(213)과, 고정판(240)의 걸림공(241) 사이에 탄력설치되게 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인장스프링(250)이 탄력설치된 상태에서 지지체(230) 전면에 위치한 너트(242)를 회전시키면 볼트(243)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고정판(240)이 전후이동하면서 인장스프링(250)의 탄성이 조정된다.
따라서 프레임(200)은 인장스프링(250)의 탄지력에 의해 고정축(210)에 끼워진 회전체(220)의 안내홈(221)을 기점으로 고정축(210)쪽으로 탄지되면서 수직 혹은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탄력설치된 프레임 상부와 하부 및 테두리에는 통상의 매트리스(130)와 장식용 목재판(도시안됨)등이 부착되어 절첩식 침대(100)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통상의 절첩식 침대와 같이 옷장이나 장식장같은 가구의 하단에 절첩식 침대(100)가 설치된 수납장(120)을 위치시켜 사용하게 되 며, 침대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장(120)으로부터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침대용으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다음에는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수직상태로 절첩하여 수납장(120)의 수납공간(121)내로 매트리스(130) 및 프레임(200)이 위치되게 하여 주거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침대(100)는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수평상태로 유지되게 하거나, 다시 윗쪽으로 당겨올리면서 회전시켜 수직으로 절첩되게 하는 작동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전방으로 당겨 회전시키게 되면 프레임(200)은 고정축(210)에 끼워진 회전체(220)와 함께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고정축(21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고정체(220)는 회전을 하지 않게 되므로 고정체(220)와 지지체(230)에 구성된 고정판(240) 사이의 거리는 점차 길어지게 되고, 따라서 고정체(214)와 고정판(240) 사이에 탄력설치된 인장스프링(250)은 늘어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축(210)의 후방윗쪽에 인장스프링(250)의 고정부, 즉 고정체(214)의 걸림공(213)이 위치하고 있어 프레임(200)에는 항상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에 의해 윗쪽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동하게 되고, 상기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프레임(200)과 매트리스(130)의 무게일부를 탄지하게 되므로 사용자 가 느끼는 매트리스(130)와 프레임(200)의 무게는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작은 힘으로도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쉽게 전방으로 회전시켜 충격없이 가볍게 바닥 상에 수평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수평상태로 회전시켜 침대용으로 사용하다가 다시 공간활용을 위하여 프레임(200)을 윗쪽으로 당겨올리면서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절첩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쉽게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0)이 수평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는 프레임(200)의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축(210) 후방윗쪽에 인장스프링(250)의 고정점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200)에는 항상 인장스프링(250)의 원복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상태에서 매트리스(130)가 장착된 프레임(200)을 윗쪽으로 잡아당기면 인장스프링(250)의 원복하려는 탄지력과 함께 작용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프레임(200)을 도 5에서와 같이 수직상태로 절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프레임(200)을 수평 혹은 수직상태로 펼치거나 절첩시키는 과정에서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을 적절히 조정하면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무게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 조정은 지지체(230) 전방에 위치한 너트(242)로 조정하게 된다.
즉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지지체(230) 전방에 위치한 너트(242)를 죄이면 볼트(243)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따라서 볼트(243)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고정판(24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체(214)와 고정판(240)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그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250)의 탄지력이 강하게 되고, 인장스프링(250)의 탄지력이 강하게 되면 프레임(200)에 가해지는 무게를 그만큼 탄지하여 경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프레임(200)의 무게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위와는 반대로 지지체(230) 전방에 위치하는 너트(242)를 풀면 고정판(240)이 뒷쪽으로 이동하면서 고정체(214)와의 거리를 좁히게 되므로 인장스프링(250)의 인장력은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인장스프링(250)에 가해지는 프레임(200)의 무게를 탄지하는 힘도 줄어 들게 되어 사용자가 느끼는 프레임(200)의 무게는 조금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절첩식 침대(100)는 프레임(200) 상에 설치된 인장스프링(250)의 인장강도에 따라,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200)을 수평 혹은 수직상태로 조작하고자 할 때 느껴지는 무게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여 두면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프레임(200)을 수평 혹은 수직상태로 쉽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절첩식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수평 혹은 수 직절첩조작이 누구나 쉽게 작동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매트리스가 장착된 프레임을 펴고 절첩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줄여 부드럽게 작동시킬 수 있어 고정축 부위에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절첩식 침대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수납장의 내면 본체 하단양측에 고정축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축을 축으로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수평 혹은 수직상태로 절첩되게 한 통상의 절첩식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고정축(210)의 중앙부에 고정체(214)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축(210) 외면에, 프레임(200)에 고정된 회전체(220)의 안내홈(221)이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프레임(200)이 고정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상기 회전체(220) 전면에 위치하는 프레임(200) 내측에 고정판(240)이 결합된 지지체(23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고정축(210)의 고정체(214)와 지지체(230)의 고정판(240)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50)을 탄력설치하므로서, 회전체(220)의 안내홈(221)을 통하여 고정축(210)에 끼워진 프레임(200)이 항상 고정축(210)쪽으로 탄지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230)에 연결된 고정판(240)은 고정판(240) 전면에 구성된 볼트(243)가 지지체(230)를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볼트(243)에 너트(242)를 결합하여 고정되게 하므로서, 너트(242)를 풀고 죄이는 작동에 의해 고정판(240)의 위치가 이동되어 인장스프링(250)의 인장강도가 조정될 수 있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KR2020060025900U 2006-09-26 2006-09-26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KR200434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00U KR200434766Y1 (ko) 2006-09-26 2006-09-26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900U KR200434766Y1 (ko) 2006-09-26 2006-09-26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369A Division KR100725027B1 (ko) 2006-09-26 2006-09-26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766Y1 true KR200434766Y1 (ko) 2006-12-27

Family

ID=4178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900U KR200434766Y1 (ko) 2006-09-26 2006-09-26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48B1 (ko) * 2012-11-22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 구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648B1 (ko) * 2012-11-22 2014-09-12 주식회사 넥시스 수납식 가구의 승하강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KR101891392B1 (ko) 수납식 침대의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KR100725027B1 (ko)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US20110219529A1 (en) Commode Chair
KR200434766Y1 (ko) 절첩식 침대의 프레임 회전장치
JP5085169B2 (ja) 壁掛け便器の壁への取付け構造
KR101424169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KR200440034Y1 (ko) 다수의 좌판을 갖는 조립식 의자
KR200444030Y1 (ko) 의자 장착용 낚시 거치대
JP2006288563A (ja) 手摺り
JP5817224B2 (ja) 側面パネル付きデスク
KR101717500B1 (ko) 서랍식 침대가 구비된 책상
KR101091790B1 (ko)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JP4823536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および椅子の背凭れ取付方法
JP3657539B2 (ja) 折畳椅子
JP2004026032A (ja) 自転車の幼児用座席構造
KR20140103449A (ko) 침대 또는 의자로 변형할 수 있는 가구
CN216787691U (zh) 一种新型可折叠扶手结构
JP2006109968A (ja) 椅子兼用ポータブルトイレ
JP6440534B2 (ja) 便器装置
JP3320059B2 (ja) 収納家具の取付け構造
JP2006122460A (ja) 椅子及びこれと机との組合せ
KR200411909Y1 (ko) 벽 부착형 절첩식 의자
JP2003230450A (ja) 腰 掛
KR200360239Y1 (ko) 지하철 승강대용 접철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