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435B1 -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 Google Patents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435B1
KR101953435B1 KR1020160046312A KR20160046312A KR101953435B1 KR 101953435 B1 KR101953435 B1 KR 101953435B1 KR 1020160046312 A KR1020160046312 A KR 1020160046312A KR 20160046312 A KR20160046312 A KR 20160046312A KR 101953435 B1 KR101953435 B1 KR 101953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coupled
bracke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731A (ko
Inventor
정영웅
전명섭
Original Assignee
정영웅
전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웅, 전명섭 filed Critical 정영웅
Publication of KR2017009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38Wall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바닥쪽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벽체나 장식장 등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세워 보관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의 침대 프레임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운송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침대가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절첩되고 작동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 프레임이,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 프레임(11)과, 상기 센터 프레임(11)의 좌우에 센터 프레임(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과, 상기 센터 프레임(11)과 사이드 프레임(12)을 연결하는 복수의 횡 프레임(13)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횡 프레임(13)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4)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30)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상기 수납공간(55)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작동 프레임(31)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침대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The Operationg Apparatus for Wall Bed and Wall Bad including it}
본 발명은 실내 바닥쪽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벽체나 장식장 등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세워 보관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의 침대 프레임을 분리 및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엘리베이터 운송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침대가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절첩되고 작동 소음이 최소화되도록 전기실린더와 완충장치를 구비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 내의 지가가 상승하고 있고, 이로 인해 좁은 면적에 많은 주택이나 빌딩이 건설되어 건물 내의 생활 공간이 협소해지고 있다. 특히,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학생이나 초보 직장인의 경우에는 상당히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학생이나 직장인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이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방에서 숙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침대나 책상 및 옷장 등의 가구를 생활 공간 내에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가구 중에서도 침대는 상당히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가구로서, 좁은 방에 설치할 경우 실제로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벽체나 수납장 등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 침대가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침대가 설치된 공간을 생활 공간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바닥에 펼쳐놓거나 수납 공간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침대를 수납식 침대(Wall Bed)라 하며, 수납 공간과 침대 프레임의 일측을 힌지로 연결하여 침대가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납식 침대에는 침대 프레임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작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는 전기 실린더와 같은 구동장치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으며,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력을 이용하여 침대 프레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링크부재를 포함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는 침대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프레임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대부분 둘 이상의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어 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좌우에 배치된 구동부의 동작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침대 프레임이 자연스럽게 움직이지 않고 흔들리거나 걸릴 수 있고, 구동부의 힘만으로 침대 프레임을 회전시키고 있어 구동부의 용량이 커지게 되며, 침대 프레임이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에 펼쳐지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수납장 내에 절첩침대를 구성하는 힌지수단과 장력수단을 구비한 공지의 수납식 절첩침대에 있어서, 체결공을 뚫은 체결판을 형성한 직사각체의 케이스 내에 일측으로 노출되는 고정축를 축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에는 고정봉과 양측스톱퍼를 구성시켜 케이스가 수직상태에서 내판과 접지되는 제1스톱면과 함께, 수평상태에서 접지되는 제2스톱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판에 체결된 조절나사의 걸고리와 스톱퍼의 고정봉을 하나 이상의 장력스프링으로 체결하여서 구성함으로써, 노출에 따른 단점을 개선하고 침대가 수납 또는 전개되는 과정에서 수납장 또는 지면과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침대가 좌우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한,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 형태의 수납장과, 9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수납장에 수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는 매트리스와, 수납장과 프레임을 연결하여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바닥에서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바닥쪽을 향하여 구비되는 밑판과, 밑판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판과, 전면에 구비되는 앞판과, 후면에 구비되는 뒷판과, 상기 측판, 앞판 및 뒷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테두리부재와, 테두리부재를 연결하는 다수의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프레임의 상부에 2개의 중간판이 더 구비되며, 다리부가 구비되는 밑판에는 다리가 통과하기 위한 다리통과 슬롯이 형성되고, 수납장의 상부 내측에는 침대를 접을 때 프레임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구비함으로써, 작은 힘으로도 침대를 용이하게 펼치고 접을 수 있으며, 침대를 펼칠 때 다리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져 바닥을 지지하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2000-0002380 U KR 10-2015-0054107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와 침대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완충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침대의 절첩 작용이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건축물의 벽면 또는 장식장 등에 구비된 수납공간에 절첩식으로 수납 보관시켜 사용하는 수납식 침대에 구비되어, 침대 프레임이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에 펼쳐지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된 프레임 회전 중심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지지 브래킷과; 상기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작동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전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 프레임과; 침대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전기 실린더 장치와 침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의 작용을 보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한 쌍의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에 의해 상기 작동 프레임에 구동력이 작용함으로써 침대 프레임이 프레임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침대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는 상기 센터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힌지축이 삽입되는 장착돌기가 구비된 모터부와, 작동 로드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전기 발생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 발생부와 함께 회동하는 실린더부와, 상기 센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과 작동 로드가 각각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회동 브래킷은 각 꼭지점 부분에 구멍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구멍을 통해 상기 센터 프레임에 결합되고, 좌측 구멍과 우측 구멍을 통해 상기 작동 로드와 작동 프레임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작동 로드는 선단에 구비된 결합구를 통해 상기 회동 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완충장치는 일단이 상기 작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완충장치는 로드가 상기 작동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 부재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스 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의 힌지축과 상기 완충장치의 회전축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는 센터 프레임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침대를 절첩하게 되므로, 침대의 절첩 작동이 안정적이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따르면, 센터 프레임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와 함께 양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완충장치를 이용하여 침대를 절첩하게 되므로, 백래쉬 현상이 줄어들고 작동 소음과 충격이 감소하게 됨은 물론 전기 실린더의 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에 따르면, 전기 실린더의 로드와 작동 프레임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회동 브래킷을 개재하여 연결됨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전기 실린더 장치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에 따르면,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다리가 연결 로드와 브래킷으로 이루어진 다리 작동부에 의해 작동 프레임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다리가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납식 침대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납식 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가 포함된 침대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기 실린더 장치의 수납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전기 실린더 장치의 전개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회동 브래킷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부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다리 작동부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리 작동부의 전개 사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침대 프레임 및 작동 프레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침대 프레임의 수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침대 프레임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과 매트리스의 수납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과 매트리스의 전개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프레임과 매트리스가 도시된 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프레임과 판 프레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참
이하, 첨부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납식 침대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바닥으로 전개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건축물의 벽면 또는 장식장 등의 수납부(50)에 구비된 수납공간(55)에 절첩식으로 수납 보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작동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동하여 수납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에 펼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는 도 3과 같이, 상기 수납 공간(55)의 벽체(51)에 고정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된 프레임 회전 중심축(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지지 브래킷(15)과; 상기 회전 중심축(1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작동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전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 프레임(31)과; 침대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전기 실린더 장치(30)와 침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작용을 보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한 쌍의 완충장치(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30)에 의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구동력이 작용함으로써 침대 프레임이 상기 프레임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침대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는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 프레임(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33)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고정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힌지축(33')이 삽입되는 장착돌기(34)가 구비된 모터부(30a)와, 모터부에 의해 출몰되는 작동 로드(30c)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30a)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30a)와 함께 회동하는 실린더부(30b)와,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31)과 작동 로드(30c)가 각각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32)을 포함한다. 물론, 전기 실린더 이외에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회동 브래킷(32)은 도 6과 같이, 꼭지점 부분에 각각 구멍(32a, 32b, 32c)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구멍(32a)을 통해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좌측 구멍(32b)과 우측 구멍(32c)을 통해 상기 작동 로드(30c)와 작동 프레임(31)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 로드(30c)는 선단에 구비된 결합구(30d)를 통해 상기 회동 브래킷(32)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 실린더(30)의 로드측 단부를 작동 프레임(31)에 직접 연결하지 않고 브래킷(32)을 개재하여 연결함에 따라 지렛대 효과에 의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작동 프레임(31)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장치(35)는 도 7과 같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36)의 회전축(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완충장치(35)는 로드(35b)가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 부재(35a)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스 업소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 외에 완충장치(35)로 가스 업소버가 더 설치됨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전개될 때 가스 업소버가 충격을 흡수하여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부드럽게 전개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수납될 때에서 가스 업소버에서도 가스 압력이 작용하여 더 작은 힘으로도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수납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힌지축(33')과 상기 완충장치(35)의 회전축(36')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와 완충장치(35)가 연동하여 작동될 때 중심이 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메인 프레임(10)에는 전개된 후 침대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지지다리(45)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다리(45)는 상기 작동 프레임(31)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45)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다리 작동부(40)가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다리 작동부(40)는 도 8과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프레임(31)의 움직임을 상기 지지다리(45)로 전달하는 연결 로드(41)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면판(23)에 고정판(46)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상기 지지다리(45)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회전축(43)과, 상기 작동 프레임(31)과 연결 로드(41)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2링크부재(44)과, 상기 회전축(43)과 연결 로드(41)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1링크부재(4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 프레임(31)이 전기 실린더(30)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43)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지지다리(45)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전개되면 지지다리(45)가 세워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수납공간(55)에 수납되면 지지다리(45)가 접혀져 수납공간(55)에 수납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2)의 외면에 부착된 고정판(46)과, 상기 측면판(23)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판(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 상기 고정판(46)의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축(43)에 결합되며 침대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침대 프레임을 지지하고 침대가 수납될 경우에는 침대 프레임과 수납공간의 벽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45)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회전축(4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45)의 움직임을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연동시켜 상기 침대 프레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다리(45)가 회전하도록 하는 다리 작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은 도 10과 같이, 수납 공간(55)의 벽체(51)에 설치된 지지핀(52)에 결합된 후, 나사못이나 앵커 볼트 및 너트, 무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53)에 의해 상기 벽체(5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벽체(51)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3)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상기 벽체(51)가 벽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53)로 앵커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벽체(51)가 장식장의 일부인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53)로 무두 볼트와 한 쌍의 너트를 사용하거나 나사못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벽체의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53)를 구성하는 볼트나 나사못의 헤드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접시머리형 볼트 또는 나사못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이식 침대의 작동장치는 센터 프레임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와 센터 프레임의 양측에 위치한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완충장치가 작동되어 침대를 절첩함으로써 침대가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으로 펼쳐지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침대 프레임은 도 11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5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종횡으로 배치된 복수의 철재 프레임이 조합되어 이루어진 메인 프레임(10)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독립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판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침대 프레임이 메인 프레임(10)과 판 프레임으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그 부피와 무게가 감소하여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까지 운송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작업자의 운송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철재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판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판재가 서로 결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되므로 어느 하나의 판재에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판재로 변형이 전파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기 사용에 따른 판재 변형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센터 프레임(11)과, 상기 센터 프레임(11)의 좌우에 센터 프레임(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과, 상기 센터 프레임(11)과 사이드 프레임(12)을 연결하는 복수의 횡 프레임(13)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횡 프레임(13)에 비해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터 프레임(11)과 사이드 프레임(12), 횡 프레임(13) 및 결합 프레임(14)으로는 중공의 사각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 프레임(13)의 숫자가 증가할수록 메인 프레임(10)의 강도가 증가하지만 중량 문제와 원가 문제를 고려할 때 메인 프레임(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만 확보될 수 있다면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기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양 끝단과 중간 부분에는 충분한 두께를 갖는 횡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는 보다 두께가 작은 횡 프레임(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 프레임(14)은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단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하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3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 프레임(14)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양 끝단과 중간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 프레임은 침대가 수납공간(55)에 수납되었을 때 벽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판(21)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바깥쪽 끝단에 결합되는 전면판(22)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면판(23)과,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매트리스(25)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상부판(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판(21)의 상면에 상기 결합 프레임(14)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브래킷(2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 브래킷(21')은 단차가 구비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는 상기 하부판(21)에 고정되고 단차부에 상기 결합 브래킷(14)이 삽입되어 상기 하부판(21)이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22)과 하부판(21)이 먼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판(21)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10)에 결합된 후 상기 전면판(22)과 메인 프레임(10)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에 하부판(21)과 전면판(22)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23)은 상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연장부(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부(23')가 메인 프레임(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판(24)이 설치될 때 상기 상부판(24)에 의해 연장부(23')가 눌려지게 된다. 즉, 상기 측면판(23)을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측부에 위치시켜 상기 연장부(23')가 사이드 프레임(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한 후 상부판(24)을 메인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판(24)의 상측에서부터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사이드 프레임(12)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부판(24)과 측면판(23)을 사이드 프레임(12)에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23)에는 상기 지지다리(45)의 회전축(43)이 삽입될 수 있도록 U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홈(23")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판(23)의 설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판(24)과 하부판(21), 전면판(22) 및 측면판(24)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판 프레임을 구성하지 않고, 이들이 각각 메인 프레임(10)에 거의 독립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하나의 판재에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판재로 변형이 전파되지 않게 됨은 물론 이들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판(21)은 결합 브래킷(21')을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10)의 결합 프레임(14)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22)은 하부판(21)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횡 프레임(13)과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상부판(24)과 측면판(23)은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2)과 나사 체결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초기 설치 작업은 물론 각 판재를 교체하여 설치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침대가 수납되는 수납부(50)에서 수납공간(55)이 형성되도록 하는 양측 벽체(51)에 일정 정도 돌출된 형상의 지지핀(52)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이 상기 지지핀(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지지핀(52)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의 하측에 상기 지지핀(52)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메인 프레임(10)을 설치할 때 상기 지지핀(52)과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이 슬라이딩 결합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10)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의 후단측에 상기 매트리스(2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프레임(26)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10)이 바닥에 펼쳐지거나 수납공간(55)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매트리스(25)가 메인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메인 프레임
11...센터 프레임
12...사이드 프레임
13...횡 프레임
14...결합 프레임
15...프레임 지지용 브래킷
21...하부판
21'...결합 브래킷
22...전면판
23...측면판
23'...연장부
23"...안내홈
24...상부판
25...매트리스
26...이탈 방지 프레임
30...전기 실린더 장치
30a...모터부
30b...실린더부
30c...작동 로드
30d...결합구
31...작동 프레임
32...회동 브래킷
32a, 32b, 32c...구멍
33...고정 브래킷
33'...힌지축
34...장착돌기
35...완충장치(가스 업소버)
36...브래킷
36'...회전축
40...다리 작동부
41...연결 로드
42...제1링크부재
43...회전축
44...제2링크부재
45...지지다리
46...고정판
50...수납부
51...벽체
52...지지핀
55...수납공간

Claims (7)

  1.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건축물의 벽면 또는 장식장 등에 구비된 수납공간(55)에 절첩식으로 수납 보관시켜 사용하는 수납식 침대에 구비되어, 침대 프레임이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에 펼쳐지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55)의 벽체(51)에 고정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된 프레임 회전 중심축(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지지 브래킷(15)과;
    상기 프레임 회전 중심축(1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작동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전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 프레임(31)과;
    침대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전기 실린더 장치(30)와 침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작용을 보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한 쌍의 완충장치(35);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30)에 의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구동력이 작용하여 침대 프레임이 프레임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침대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며,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는 상기 센터 프레임(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33)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힌지축(33')이 삽입되는 장착돌기(34)가 구비된 모터부(30a)와, 작동 로드(30c)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30a)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30a)와 함께 회동하는 실린더부(30b)와,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31)과 작동 로드(30c)가 각각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32)을 포함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2)의 외면에 부착된 고정판(46)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면판(23)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판(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
    상기 고정판(46)의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축(43)에 결합되며 침대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침대 프레임을 지지하고 침대가 수납될 경우에는 침대 프레임과 수납공간의 벽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45);
    상기 회전축(4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45)의 움직임을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연동시켜 상기 침대 프레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다리(45)가 회전하도록 하는 다리 작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브래킷(32)은 각 꼭지점 부분에 구멍(32a, 32b, 32c)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구멍(32a)을 통해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좌측 구멍(32b)과 우측 구멍(32c)을 통해 상기 작동 로드(30c)와 작동 프레임(31)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로드(30c)는 선단에 구비된 결합구(30d)를 통해 상기 회동 브래킷(3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35)는, 일단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36)의 회전축(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힌지축(33')과 상기 완충장치(35)의 회전축(36')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35)는 로드(35b)가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실린더 부재(35a)가 상기 브래킷(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가스 업소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7.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건축물의 벽면 또는 장식장 등에 구비된 수납공간(55)에 절첩식으로 수납 보관시켜 사용하는 수납식 침대에 구비되어, 침대 프레임이 수납 공간에 수납되거나 바닥에 펼쳐지도록 하는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55)의 벽체(51)에 고정 설치되고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된 프레임 회전 중심축(1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 지지 브래킷(15)과;
    상기 프레임 회전 중심축(1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프레임 지지 브래킷(15)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되어 작동장치에 의해 침대 프레임이 회전 작동하도록 하는 작동 프레임(31)과;
    침대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 프레임(31)을 회동시키는 전기 실린더 장치(30)와 침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의 작용을 보완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한 쌍의 완충장치(35);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설치된 전기 실린더 장치(30)에 의해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구동력이 작용하여 침대 프레임이 프레임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침대 프레임이 절첩되도록 하며,
    상기 전기 실린더 장치(30)는 상기 센터 프레임(11)의 중간 부분에 설치된 고정 브래킷(33)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하며 상기 고정 브래킷(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에 힌지축(33')이 삽입되는 장착돌기(34)가 구비된 모터부(30a)와, 작동 로드(30c)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모터부(30a)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부(30a)와 함께 회동하는 실린더부(30b)와,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 프레임(31)과 작동 로드(30c)가 각각 결합되는 회동 브래킷(32)을 포함하며,
    상기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2)의 외면에 부착된 고정판(46)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12)의 외측에 설치되는 측면판(23)을 관통하며 상기 고정판(4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
    상기 고정판(46)의 외측면에서 상기 회전축(43)에 결합되며 침대가 펼쳐지는 경우에는 상기 침대 프레임을 지지하고 침대가 수납될 경우에는 침대 프레임과 수납공간의 벽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지지다리(45);
    상기 회전축(4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다리(45)의 움직임을 상기 작동 프레임(31)에 연동시켜 상기 침대 프레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다리(45)가 회전하도록 하는 다리 작동부(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 브래킷(32)은 각 꼭지점 부분에 구멍(32a, 32b, 32c)이 형성된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 구멍(32a)을 통해 상기 센터 프레임(11)에 결합되고, 좌측 구멍(32b)과 우측 구멍(32c)을 통해 상기 작동 로드(30c)와 작동 프레임(31)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식 침대.
KR1020160046312A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KR101953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172 2016-02-24
KR20160022172 201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31A KR20170099731A (ko) 2017-09-01
KR101953435B1 true KR101953435B1 (ko) 2019-02-28

Family

ID=5992370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03A KR101921791B1 (ko)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
KR1020160046322A KR101891392B1 (ko)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의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KR1020160046312A KR101953435B1 (ko)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KR1020160046293A KR101903846B1 (ko) 2016-02-24 2016-04-15 1인 설치가 가능한 수납식 침대의 회전 지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03A KR101921791B1 (ko)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
KR1020160046322A KR101891392B1 (ko) 2016-02-24 2016-04-15 수납식 침대의 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93A KR101903846B1 (ko) 2016-02-24 2016-04-15 1인 설치가 가능한 수납식 침대의 회전 지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921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2921A (zh) * 2017-12-21 2018-04-17 邱楠婷 一种儿童多用推拉床
RU190744U1 (ru) * 2018-12-28 2019-07-11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Николаев Механизм синхронизации опорных ножек откидных спальных мест
KR102127787B1 (ko) * 2019-11-11 2020-06-29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RU199436U1 (ru) * 2020-04-30 2020-09-0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вгуст Диэсджи" Подъемная кровать
KR102423344B1 (ko) * 2021-12-24 2022-07-21 (주)다온가구 미사용시 자동으로 리프팅되어 천정에 수용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침대
KR102423345B1 (ko) * 2021-12-24 2022-07-21 (주)다온가구 미사용시 자동으로 리프팅되어 천정에 수용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소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37Y1 (ko) 1998-07-04 2001-09-17 조환규 수납식 침대용 완충장치
KR200352209Y1 (ko) * 2004-03-12 2004-06-04 최성창 접이식 안락 소파
FR2882634B1 (fr) * 2005-03-07 2007-05-18 Alexis Paoutoff Structure de meuble, tel que lit escamotable, a pieds escamotables
KR20140121999A (ko) * 2013-04-09 2014-10-17 (주)대영이엔텍 책상 겸용 월 베드
KR101393691B1 (ko) * 2013-04-18 2014-05-13 주식회사 제니시스 철제 가구
JP6018542B2 (ja) * 2013-05-13 2016-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スバー構造体
KR101561550B1 (ko) 2013-11-11 2015-10-19 김혁 수납식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731A (ko) 2017-09-01
KR101903846B1 (ko) 2018-11-07
KR20170099730A (ko) 2017-09-01
KR20170099729A (ko) 2017-09-01
KR20170099732A (ko) 2017-09-01
KR101891392B1 (ko) 2018-09-28
KR101921791B1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435B1 (ko)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US11131141B2 (en) Lateral folding step unit
US928906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6401276B1 (en) Transfigurable furniture unit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JP2019524164A5 (ko)
US8006327B1 (en) Pivoting leg assembly for folding furniture
US8793823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KR101277998B1 (ko) 접이식 테이블
JP2010099356A (ja) 折畳み式テーブル付き収納庫
KR101424169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KR10261479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가구
US10575631B2 (en) Convertible headboard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060137578A1 (en) Pivoting stowable work table for parking space in garage
US20220104626A1 (en) Lateral Folding Units
KR101679950B1 (ko)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2291074B1 (ko) 안전 기능을 갖는 확장형 접이식 테이블
JP4442379B2 (ja) テーブル
KR101856176B1 (ko)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JP4746097B2 (ja) 可動ステージ
US8459755B1 (en) Space saving wardrobe or closet
AU2021107359A4 (en) A Foldable bed assembly
KR101787028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식 다리장치
JP3213700U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