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950B1 -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950B1
KR101679950B1 KR1020150003410A KR20150003410A KR101679950B1 KR 101679950 B1 KR101679950 B1 KR 101679950B1 KR 1020150003410 A KR1020150003410 A KR 1020150003410A KR 20150003410 A KR20150003410 A KR 20150003410A KR 101679950 B1 KR101679950 B1 KR 101679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rotary shaft
fixing
fold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6480A (ko
Inventor
윤창한
Original Assignee
윤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한 filed Critical 윤창한
Priority to KR102015000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56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pivotable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과 수동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좁은 면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납장에 수납되는 침대를 접철장치에 의해 접었다 펼쳤다 하는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좌우 양측으로 제 1, 2서스펜션(suspension)을 체결하여 개폐 작동시 발생하는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하우징의 몸체와 회전축이 편심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2 서스펜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스프링을 체결하여 접철 동작을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여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며,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조립하여 제작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동과 수동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블록과 회전축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A folding device of collapsible bed of auto and manual}
본 발명은 자동과 수동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는 좁은 면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납장에 수납되는 침대를 접철장치에 의해 접었다 펼쳤다 하는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좌우 양측으로 제 1, 2서스펜션(suspension)을 체결하여 개폐 작동시 발생하는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하우징의 몸체와 회전축이 편심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2 서스펜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 스프링을 체결하여 접철 동작을 천천히 움직이도록 하여 소음 및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며, 또한 침대의 접철장치를 리모컨에 의하여 자동으로 사용하면서 필요한 사정에 따라서는 수동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도시화에 따라 좁은 면적에 많은 주택 및 빌딩이 건설되고 있으며, 지가상승에 따라 건축물 내부는 좁은 면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학생 방 또는 직장인들의 하숙집, 일명 원룸, 오피스텔 등은 좁은 면적으로 방이 구성됨으로써 협소한 면적에 침대와 책상 또는 옷장 등의 가구를 구비하기가 매우 어려워 설치에 많은 곤란을 겪게 된다.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붙박이 침대 또는 접이식 침대, 침대는 책장, 옷장을 구비한 수납장과 이 수납장의 일부 면적에 침대가 수용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용공간에 침대의 프레임을 힌지 구성하여 침대가 접철됨으로서 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낮에는 침대를 접어 수용공간에 수용시켜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식 침대는 국내의 아파트나 원룸에서 효율적인 공간배치에 효과적인 특징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러한 접이식 침대를 펼치거나 또는 접어서 개구부에 수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침대를 들어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그러나 벽면에 면접된 상태로 설치되는 수납장은 수납장 내에 하중이 큰 침대가 수용됨으로써 침대가 수납장에 인입 내지는 인출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직접 접었다 폈다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침대를 접철하는 과정에서 하중에 의해 빠르게 펼쳐지면서 바닥과 부딪쳐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침대에는 접철되는 과정에서 천천히 펼쳐질 수 있도록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장력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나 반복적인 접철 과정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대는 싱글 또는 더블로 구성된 상태에서 수납장에서 침대를 접었다 펼치는 과정에서 침대의 하중에 맞게 장력이 제대로 조정되지않으면 침대가 펼쳐지지 않고 접힌 상태를 유지하거나 펼쳐진 침대가 임의로 접혀져 사용자가 수납장 안으로 들어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너무 약하면 침대를 접어도 침대를 접힌 상태로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펼쳐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대는 침대의 하중에 따라 스프링의 개수 또는 탄성력을 고려하여 장착하나, 싱글 및 더블 침대의 하중에 맞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정한다는 게 쉽지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대에서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는 침대를 접을 때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당기고 반대로 침대를 펼칠 때는 스프링이 늘어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침대가 제대로 수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원인에 의해 특허 제1424169호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가 이미 선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는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공으로 삽입된 회전축의 일측방향으로 서스펜션을 체결하여 접철 작동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 특허는 회전축의 일측방향으로만 서스펜션을 체결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회전공에 삽입된 회전축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한쪽만 마모되는 편모현상이 발생하여 일정기간 사용하면 회전공과 회전축이 헐거워져 침대를 접었다 펼치는 수납개폐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이유는 회전축의 한쪽에서만 서스펜션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이를 당기거나 원위치하는 개폐작동으로 회전공 또는 회전축의 회전홈이 쉽게 마모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축의 한쪽에서만 서스펜션이 설치됨으로 인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있어 수납식 침대를 접었다 펼치는 반복되는 작동으로 서스펜션의 텐션력이 쉽게 저하되어 침대가 급격한 진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원활하게 접혀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구성중 하우징은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고정편과 조절편을 용접에 의해서만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제조공정의 복잡성으로 생산·작업의 능률화를 기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424169호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제작할때 용접을 하지 않고 각각의 부품을 끼움 결합방식으로 조립하고, 하우징의 회전공으로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의 좌우 양측으로 서스페션을 체결하여 접었다 펼쳐지는 개폐작동시 회전축이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지지않도록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회전축 또는 회전공이 쉽게 마모되지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자동식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한 사정에 따라 수동식으로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수납장에 수납된 침대를 펼쳤다 접을 수 있도록 침대 매트리스의 저면 양측에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하우징 내의 회전공으로 삽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회전홈으로 끼움 결합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의 좌우 양단에는 제 1, 2 서스펜션의 일측 단부가 대향지게 위치하여 체결되고, 상기 제 1, 2 서스펜션의 타측 단부는 하우징몸체에 형성된 힌지공으로 삽입된 고정핀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평기어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평기어와 맞물리도록 하우징을 구성하는 몸체의 바닥에는 레크기어가 위치하고, 상기 레크기어의 일측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가 부착되어 실린더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레크기어가 전진 및 후진하여 평기어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 자체가 90°접어졌다 펼쳤다 개폐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는 종래와 같이 스프링의 장력을 이용하지 않고 서스펜션에 의해 밀어서 고정하고, 반대로 간섭이 해지되면 원상복귀하는 동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회전축의 양측으로 대향지게 제 1, 2 서스펜션을 체결하여 회전축이 한쪽으로 치우치지않고 힘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회전축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몸체에 형성된 회전공과 회전축이 편심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접었다 펼쳐지게 개폐작동을 반복할 수 있으며 그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는 회전축의 끼움 결합된 평기어와 교합되어 왕복운동하는 레크기어에서 평기어를 간섭하지 않고 자체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자동과 수동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정전시나 모터고장시에도 사용상의 불편성이 없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는 하우징을 구성하는 몸체에 고정편, 조절편 등을 끼움 체결방식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용접으로 조립하는 방식과 달리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작업성의 능률화를 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부분확대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부분확대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서 회전축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서 레크기어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설치되어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부분확대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를 부분확대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수납장(25)에 수납된 침대(24)를 펼치고, 수납을 위해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침대(24)와 수납장(25) 사이에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가 설치된다.
상기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는 자동 및 수동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하우징(13)을 구성하는 몸체(29)와 조절편(10)과 고정편(12)을 끼움 맞춤방식으로 조립하여 제작공정을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에서 하우징(13)은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된 몸체(29)의 정면과 배면 일부를 타공한 공간부(27)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7)의 일측에는 회전축(2)이 삽입되는 제 1 회전공(9)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7)의 좌우 양측에는 힌지공(26)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7)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힌지공(26)에 고정핀(15)을 삽입하여 제 1, 2 서스펜션(6, 6')의 일측 단부를 힌지 고정한다.
또한, 몸체(29)의 좌우 양단중 일측에는 조절볼트(11)가 체결된 조절편(10)과 타측에는 고정편(12)이 결합된다.
상기 몸체(29)의 좌우 양단에는 조절편(10)과 고정편(12)을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기 위해 조립홈(14)을 형성한 다음 판 형상으로 형성된 조절편(10)과 고정편(12)을 각각 끼움 결합하여 조립한다.
또한, 몸체(29)의 제 1 회전공(9)으로 삽입되는 회전축(2)은 사각형상의 바(bar)로 형성되어 몸체(29)의 전면과 배면에 위치한 제 1 회전공(9)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홈(4)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29)의 전면과 배면 사이에 위치한 회전축(2) 일부는 고정 브라켓(8)에 형성된 제 2 회전공(9')이 삽입된다.
상기 회전홈(4)은 회전축(2)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2)에는 평기어(3)가 끼움 결합되어 양단이 몸체(29)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는 수납장(25)에 부착된 고정블록(28)의 삽입공(17)으로 삽입되어 수납장(25)내에서 회전작용이 되게 하였다.
상기 회전축(2)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8)은 회전축(2)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회전공(9')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체결공(5, 5')이 형성되었다.
상기 고정 브라켓(8)의 좌우 양단에는 동일한 구조의 제 1, 2 서스펜션(6, 6')이 상·하의 위치에서 서로 대향지게 설치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 1 서스펜션(6)은 고정 브라켓(8)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에 힌지 체결되고, 그 끝단부는 몸체(29)에 형성된 힌지공(26)으로 삽입된 고정핀(15)에 의해 체결된다.
또한, 상부의 제 2 서스펜션(6')은 고정 브라켓(8)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에 힌지 체결되고, 그 끝단부는 몸체(29)에 형성된 힌지공(26')으로 삽입된 고정핀(15')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2 서스펜션(6, 6')은 회전축(2)이 회전시 일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 회전공(9)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접철 작동시 힘의 균형을 유지하여 접었다 펼치는 과정에서 빠르게 작동하지않고 천천히 작동하도록 유도하고, 몸체(29)의 제 1 회전공(9) 및 회전축(2)이 편심되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몸체(29) 바닥면에는 레크기어(23)가 위치한 상태에서 평기어(3)의 기어치형과 맞물려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 왕복 직선운동한다.
상기 레크기어(23)의 일측에는 실린더(21)의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21)의 일측에는 피스톤을 작동하도록 모터(2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20)가 구동하면 실린더(21)에서 피스톤이 인출되어 레크기어(23)를 직선으로 밀고, 반대로 인출된 피스톤이 실린더(21)로 복귀하면 레크기어(23)도 원상태로 복귀하는 방식으로 왕복 직선운동을 한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레크기어(23)는 실린더(21)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방향으로 일부에는 기어치형이 없는 평활면(22) 상태로 형성하여 평기어(3)의 기어치형과 교합되지 않은 관계로 임의적인 회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레크기어(23)의 왕복 직선운동과는 무관하게 침대(24)를 수동적인 작동으로 접었다 펼칠 수 있다는 것이어서 사용중 모터(20)의 고장이나 정전과 같은 예기치 못한 사정이 있을시에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수동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삭제
또한, 회전축(2)의 일측 단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고정블록(28)에는 삽입공(17)이 형성되었으며 상기 고정블럭(28)은 수납장(25)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28)은 몸체(29)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으로 삽입된 회전축(2)이 회전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 단부에는 개구부(1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8)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삽입공(17)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17)의 입구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29)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과 고정블록(28)에 형성된 삽입공(17)은 서로 교호되게 형성되어 포개짐으로 인해 회전축(2)이 제 1 회전공(9)에서 회전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상기 하우징(13)의 몸체(29)에 조립된 조절편(10)에는 제 2 서스펜션(6')과 접철작동시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8)과 조절볼트(11) 사이에 조절 스프링(19)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서 회전축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내부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는 하우징(13)의 몸체(29)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으로 회전축(2)이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2)에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8)이 결합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8)의 상부와 하부에는 서로 대향지게 제 1, 2 서스펜션(6, 6')이 힌지 체결되고, 제 1, 2 서스펜션(6, 6')의 타측은 각각 몸체(29)에 형성된 힌지공(26, 26')으로 삽입된 고정핀(15, 15')으로 설치한다.
또한, 회전축(2)에는 평기어(3)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몸체(29)의 전면과 배면으로 양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수납장(25)에 고정되는 고정블록(28)의 삽입공(17)으로 회전축(2)이 삽입된다.
또한, 몸체(29)의 바닥면에는 평기어(3)와 기어치형이 맞물려 왕복 직선운동하는 레크기어(23)가 설치되고, 상기 레크기어(23)의 일측에는 실린더(21)가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21)에는 피스톤을 작동하도록 모터(20)가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20)의 구동으로 실린더(21)는 피스톤이 제 2 서스펜션(6') 방향으로 작동하면 레크기어(23)의 기어치형과 맞물린 평기어(3)는 레크기어(23)의 진행 방형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축(2)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8)과 제 1, 2 서스펜션(6, 6')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께 회전하면서 수납장(25)에서 침대(24)가 하강하면서 펼쳐지고, 반대로 모터(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 서스펜션(6') 방향으로 작동한 피스톤은 원위치하면서 평기어(3)와 회전축(2)이 다시 레크기어(23)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외부로 인출되었던 침대(24)는 다시 90°접혀져 수납장(25) 내부에 인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는 상기한 평기어(3)의 하부에 레크기어(23)의 평활면(22)이 위치하면 제 1, 2 서스펜션(6, 6')이 자유로운 상태로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수동으로 침대의 수납작용을 할 수 있어 수동과 자동으로 수납식 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고정블록(28)은 몸체(29)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과 개구부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고정블록(28)의 삽입공(17) 입구에는 걸림턱(16)이 형성되어 고정블록(28)의 삽입공(17)으로 회전축(2)을 끼움 설치하거나 서로 분리시키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차원에서 상기한 제 1, 2 서스펜션(6, 6') 대신 조절 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설치되어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 수납장에 침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로서, 수납장(25)에 가로방향으로 침대(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리모컨(미도시)에 의해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1)의 모터(20)를 작동하여 침대를 접었다 펼쳤다 하는 수납식 구조이다.
1: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2: 회전축
3: 평기어 4: 회전홈
5, 5': 체결공 6, 6': 제 1, 2 서스펜션
8: 고정 브라켓
9, 9': 제 1, 2 회전공 10: 조절편
11: 조절볼트 12: 고정편
13: 하우징 14: 조립홈
15, 15': 고정핀 16: 걸림턱
17: 삽입공 18: 개구부
19: 조절 스프링 20: 모터
21: 실린더 22: 평활면
23: 레크기어 24: 침대
25: 수납장 26, 26': 힌지공
27: 공간부 28: 고정블록
29: 몸체

Claims (5)

  1. 전방에 개방부가 마련되어 벽체에 직립 설치되는 수납장과, 상기 수납장의 내부 하측에 위치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침대와, 상기 침대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작용에 의하여 침대를 접었다 펼쳤다 하는 통상의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에 있어서,
    상부와 좌우측이 개방된 몸체(29)의 정면과 배면 일부를 타공한 공간부(27)와, 상기 공간부(27)의 일측에는 회전축(2)이 삽입되는 제 1 회전공(9)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7)의 좌우 양측으로 형성된 힌지공(26, 26')에 고정핀(15, 15')을 삽입하여 제 1, 2 서스펜션(6, 6')의 일측 단부를 힌지 고정하며, 상기 몸체(29)의 좌우 양단중 일측에는 조절볼트(11)가 체결된 조절편(10)과 타측에는 고정편(12)이 결합된 하우징(13); 과
    사각형상의 바(bar)로 형성되어 몸체(29)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홈(4)이 형성되어 전면과 배면 외부방향으로 양단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2)에 평기어(3)가 끼움 결합되어 몸체(29)의 전면과 배면으로 돌출된 일측 단부는 수납장(25)에 부착된 고정블록(28)의 삽입공(17)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2); 과
    상기 회전축(2)에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회전공(9')이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체결공(5, 5')이 형성되어 회전축(2)에서 회전하는 한쌍의 고정 브라켓(8); 과
    상기 고정 브라켓(8)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에 일측 단부가 힌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몸체(29)에 형성된 힌지공(26)으로 삽입된 고정핀(15)에 의해 체결된 제 1 서스펜션(6); 과
    상기 고정 브라켓(8)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공(5, 5')에 일측 단부가 힌지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몸체(29)에 형성된 힌지공(26)으로 삽입된 고정핀(15')에 의해 체결된 제 2 서스펜션(6'); 과
    상기 몸체(29) 바닥면에는 평기어(3)와 맞물려 회전축(2)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왕복 직선운동하는 레크기어(23); 와
    상기 레크기어(23)의 일측은 레크기어(23)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기 위하여 레크기어(23)는 실린더(21)의 피스톤과 연결되는 방향으로 일부에는 기어치형이 없는 평활면(22) 상태를 형성하여 평기어(3)와는 무관하게 회동이 가능할 수 있게 함과,
    상기 수납장(25)으로 돌출된 회전축(2)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공(17)이 형성되어 수납장(25)에 부착 고정된 고정블록(28); 과
    상기 고정블록(28)은 몸체의 전면과 배면에 형성된 제 1 회전공(9)으로 삽입된 회전축(2)이 회전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 단부에는 개구부(1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8)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삽입공(17)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17)의 전방에는 걸림턱(16)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과 수동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은 몸체(29) 좌우 양단에 조립홈(14)이 형성되어 조절편(10)과 고정편(12)을 조립홈(14)에 끼움 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3)의 몸체(29)에 조립된 조절편(10)에는 제 2 서스펜션(6')과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8)과 조절볼트(11) 사이에 조절 스프링(19)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5. 삭제
KR1020150003410A 2015-01-09 2015-01-09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1679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10A KR101679950B1 (ko) 2015-01-09 2015-01-09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10A KR101679950B1 (ko) 2015-01-09 2015-01-09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80A KR20160086480A (ko) 2016-07-20
KR101679950B1 true KR101679950B1 (ko) 2016-12-07

Family

ID=5667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410A KR101679950B1 (ko) 2015-01-09 2015-01-09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67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지아이엘 고정 및 회전이 자유로운 접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4523B (zh) * 2023-10-20 2023-12-19 江苏明星沙发配件有限公司 一种用于沙发铁架和靠背的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69B1 (ko) * 2013-01-21 2014-08-04 윤창한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489B1 (ko) * 2011-03-25 2013-01-10 우미정 수납식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69B1 (ko) * 2013-01-21 2014-08-04 윤창한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67A (ko) 2021-02-03 2022-08-10 주식회사 지아이엘 고정 및 회전이 자유로운 접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480A (ko) 201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US11131141B2 (en) Lateral folding step unit
KR101921791B1 (ko) 수납식 침대
CA2704291C (e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foldable tent or awning
KR101679950B1 (ko)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1561550B1 (ko) 수납식 침대
KR101424169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장치
CN112353110B (zh) 一种可收纳折叠的组合家具及其使用方法
KR101241743B1 (ko) 절첩 및 조립이 간편한 책상
KR101856176B1 (ko) 크랭크 방식으로 작동되는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2189004B1 (ko) 단순한 구조의 절첩수단을 갖는 접이식 테이블
KR101848762B1 (ko)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KR101787028B1 (ko) 수납식 침대용 접철식 다리장치
KR101362535B1 (ko) 수납식 가구의 링크 구동 장치
KR102473307B1 (ko) 상판 접이식 책상
US20180209206A1 (en) Trackless Free-Swinging Bi-fold Door
WO2019205674A1 (zh) 啮合组件及具有其的滑轨机构、抽屉及冰箱
KR102585075B1 (ko) 수납공간을 확장 가능한 주방 싱크대용 가구 및 이의 시공 방법
AU2021107359A4 (en) A Foldable bed assembly
CN211776694U (zh) 合页、能够折叠式门结构及使用该门结构的柜子
CN209712185U (zh) 一种支撑装置及设有该支撑装置的躺椅
RU216195U1 (ru) Кровать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с электр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RU2282964C1 (ru) Складная скамья
WO2017184016A1 (ru) Механизм поворота
KR102630905B1 (ko) 폴딩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