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762B1 -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762B1
KR101848762B1 KR1020170080643A KR20170080643A KR101848762B1 KR 101848762 B1 KR101848762 B1 KR 101848762B1 KR 1020170080643 A KR1020170080643 A KR 1020170080643A KR 20170080643 A KR20170080643 A KR 20170080643A KR 101848762 B1 KR101848762 B1 KR 10184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arm
panel
frame
tent
mongol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Priority to KR102017008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8Tents or tent-like constructions composed partially of rigi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판상의 제1 벽과 제2 벽이 경첩에 의해 서로 절첩되는 벽부; 상기 제1, 2 벽부의 일측면에 전후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제1, 2 수평암; 및 상기 제1, 2 수평암의 내측에서 이동하면서 제1, 2 수평암을 상호 결속시켜 상기 벽부가 절첩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Tent with easy panel to install}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치 및 보관이 간단하면서도 기상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몽골텐트(일명 '천막 텐트'라 한다.)는 야외에 설치하여 햇빛이나 비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수의 지주를 설치하고 그 지주의 단부에 천막을 고정함으로써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해체 역시 간단하다.
상기와 같은 몽골텐트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쉽게 조립되어 여행지 등에서 취침을 하거나 또는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주 이용되며, 군대에서는 막사로도 사용된다.
종래의 몽골텐트는 주로 야외행사에 사용되는 차양막의 대용으로도 사용되는데 야외용으로 몽골텐트가 사용될 때 기상변화 예컨대 강풍, 비바람, 미세먼지를 동반하는 강풍 등에 취약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텐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감싸지는 천막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에 의한 것이며 이는 상기 기상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구성인 것이다.
한편, 상기 기상변화를 극복하고자 근래의 몽골텐트는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가건물 형태의 몽골텐트가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일반 사용자들이 몽골텐트를 설치 및 해제하기가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텐트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3596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문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외곽틀을 형성하는 수직바, 이 수직바의 사이에서 가로질러 상,하부 혹은 중간에서 가로대를 형성하는 수평바, 커버부재, H형 단면의 연결부재, ㄴ형 단면의 하부연결구로 이루어지는 벽부재; 상기 벽부재의 상부 연결을 고정하기 위하여 삽입홈과, 걸림촉을 형성한 상부 연결구와, 상기 상부 연결구의 걸림촉에서 끼워져 경사지게 중심을 향하는 중공의 다수 횡바와, 이 횡바의 타단에 걸리는 걸림촉을 그 연부를 따라 일주 형성하는 수개의 걸림촉을 형성한 받침구와, 상기 받침구,횡바,상부 연결구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받침골조위에 덮여지는 소정형상의 천막으로 이루어지는 지붕부재; 및 상기 연속 연결된 벽부재중 어느 한 곳에 수직방향의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경첩으로 설치되는 문부재를 포함하는 조립하우스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종래의 텐트는 텐트를 구성하는 부재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므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부재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일련의 과정 또한 번거롭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359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함으로써 몽골텐트가 야외에 설치되었을 경우 급변하는 기상변화, 예컨대 급작스러운 폭우, 미세먼지 등을 동반한 강풍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면서도 몽골텐트에서 패널을 탈거하였을 경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몽골텐트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파티션의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시에 패널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몽골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들을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설치, 보관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프레임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조립되어 뼈대를 이루고, 상부에는 각뿔 형상의 천막이 안착되는 몽골텐트; 및 상기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판상의 제1 벽과 제2 벽이 경첩에 의해 서로 절첩되는 벽부; 상기 제1, 2 벽의 일측면에 전후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제1, 2 수평암; 및 상기 제1, 2 수평암의 내측에서 이동하면서 제1, 2 수평암을 상호 결속시켜 상기 벽부가 절첩되는 것을 제한하는 'ㅗ'자 형상의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2 수평암에는 제1, 2 수평암을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2 작동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제1, 2 작동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편은, 제1, 2 작동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속바; 및 상기 결속바의 외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바가 제1, 2 작동구에 동시 삽입되었을 때 제1, 2 수평암이 결속바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상기 제1 수평암에는, 고정편이 제1, 2 작동구에서 이동될 때 핸들이 간섭받지 않도록 제1 수평암의 외주면에서 내측을 향해 절취된 슬롯; 및 핸들을 거치시켜 고정편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슬롯의 경로상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제1, 2 수평암이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2 수평암의 내부에 설치되는 돌출장치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장치는, 상기 결속바의 전단에 형성된 웜기어에 치합되도록 제1 작동구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결속바의 전후 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후단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전단은 상기 결속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제1 수평암의 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작동구에 설치돼서 결속바가 제1, 2 작동구에 동시 삽입될 때 결속바에 밀려 후단이 제2 수평암의 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도록 랙기어가 형성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서 연장되며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봉; 상기 제2 삽입봉의 경로상에 형성되며 제2 삽입봉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렌지; 및 플렌지와 제2 수평암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부 사이에 탄지되는 압축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패널의 위치를 프레임에 1차적으로 고정시키고 패널이 프레임에 고정돼서 양자간의 결합력을 부가시키기 위해 패널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탄성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을 접어 보관할 수 있어 패널이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패널의 보관,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둘째,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함으로써 몽골텐트가 야외에 설치되었을 경우 급변하는 기상변화, 예컨대 급작스러운 폭우, 미세먼지 등을 동반한 강풍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정편의 작용에 의해 제1 벽과 제2 벽이 펼쳐진 상태로 상호 결속되는 한편 패널을 몽골텐트에서 해체하거나 벽부를 접어 보관하고자 할 경우 고정편과 상호 접속된 돌출장치가 고정편과 같이 동작함으로써 고정편의 작동만으로 간편하게 패널을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몽골텐트 내의 공간을 구획하거나 다수의 몽골텐트가 인접하여 설치되었을 경우 패널을 통해 파티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몽골텐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절첩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편과 돌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에서 고정편이 제1, 2 작동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2 수평암이 부분절개 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에서 고정편이 제1 작동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2 수평암이 부분절개 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은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한다. 몽골텐트가 야외에 설치되었을 경우 급변하는 기상변화, 예컨대 급작스러운 폭우나 미세먼지 등을 동반한 강풍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면서도 몽골텐트에서 패널(10)을 탈거하였을 경우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몽골텐트가 실내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파티션의 작용을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은 첨부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시에 패널(10)이 차지하는 점유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몽골텐트를 설치하기 위한 부재들을 보관하거나 이동시킬 때 보다 용이하게 몽골텐트 및 패널(10)을 설치, 보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앞서 몽골텐트를 개관하자면 다음과 같다. 몽골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몽골텐트의 천정을 구성하는 상부프레임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조립되어 뼈대를 이루고, 상부에는 각뿔 형상의 천막이 안착되어 몽골텐트를 구성하게 된다. 설명의 편의상 몽골텐트의 도면부호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은 수직프레임(F)('프레임(F)'으로 통칭)들 사이에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측면을 개폐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F)의 외주면에는 내측을 향해 통공된 복수의 삽입홀(F')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F')에는 후술되는 제1, 2 삽입봉(522, 531)이 삽입돼서 패널(10)이 프레임(F)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패널(10)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탄성클립(C)에 의해 패널(10)이 프레임(F)에 고정돼서 양자간의 결합력을 부가하여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탄성클립(C)을 통해 패널(10)의 위치를 프레임(F)에 대략적으로 위치시켜 1차적으로 고정한 후 제1, 2 삽입봉(522, 531)을 삽입홀(F')에 삽입시키는 동작을 통해 몽골텐트에 패널(10)을 완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즉, 탄성클립(C)은 패널(10)이 몽골텐트에 설치될 때 제1, 2 삽입봉(522, 531)이 삽입홀(F')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위치를 확보하게 작용함은 물론 패널(10)과 프레임(F)의 고정력을 부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패널(10)은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벽부(100), 제1, 2 수평암(200, 300) 및 고정편(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부(100)는 판상의 제1 벽(110)과 제2 벽(120)이 경첩(130)에 의해 서로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벽(110)과 제2 벽(120)은 이종의 재료를 쌓아 올린 합판, 예컨대 공지의 샌드위치 패널이 채용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위치한 제1 벽(110)과 제2 벽(120) 사이에 경첩(130)이 부착되어서 서로 절첩 가능하게 동작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1, 2 수평암(200, 300)은 제1, 2 벽(110, 120)의 일측면에 전후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각각 설치되고. 제1, 2 수평암(200, 300)에는 제1, 2 수평암(200, 300)을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2 작동구(210, 310)가 각각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수평암(200)은 제1 벽(110)에, 제2 수평암(300)은 제2 벽(120)에 각각 설치되고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암(200)에는 제1 작동구(210)가, 제2 수평암(300)에는 제2 작동구(310)가 각각 형성된다. 제1, 2 작동구(210, 310)에는 후술되는 고정편(400)이 가이드되어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 수평암(200, 300)의 횡단면을 대략 사각형 형상의 단면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통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더하여, 제1 수평암(200)에는 도 2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작동구(210)와 연통되는 슬롯(220) 및 거치홈(230)이 절취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슬롯(220)은 제1 수평암(200)의 상면에 형성되고 거치홈(230)은 슬롯(220)이 형성된 면에 인접한 면에 형성된다. 이때, 슬롯(220) 및 거치홈(230)은 제1 수평암(200)의 어떠한 면에 형성되어도 무관함을 밝힌다.
한편, 슬롯(220)은 후술되는 고정편(400)이 제1, 2 작동구(210, 310)에서 이동될 때 핸들(420)이 간섭받지 않도록 제1 수평암(200)의 외주면에서 내측을 향해 절취 되도록 구성되며 고정편(400)의 핸들(420)이 활주하도록 가이드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거치홈(230)은 핸들(420)을 거치시켜 고정편(40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슬롯(220)의 경로상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절취된다. 슬롯(220) 및 거치홈(230)의 자세한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고정편(400)은 제1, 2 수평암(200, 300)의 내측에서 이동하면서 제1, 2 수평암(200, 300)을 상호 결속시켜 상기 벽부(100)가 절첩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편(400)은 대략 'ㅗ'자 형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바(410) 및 핸들(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결속바(4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환봉 형상으로 결속바(410)의 후단은 제1, 2 작동구(210, 3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전단은 도 4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기어(W)가 형성된다. 아울러, 고정편(400)은 제1, 2 작동구(210, 310)를 따라 가이드되어 제1, 2 수평암(200, 300)의 내측에서 이동하게 된다.
즉, 결속바(410)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제1 작동구(210)와 제2 작동구(310) 모두에 삽입되었을 경우 벽부(100)가 절첩되는 것을 제한하고,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바(410)의 후단이 제2 작동구(310)에서 완전히 이탈되었을 경우 벽부(100)가 절첩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고정편(400)을 조작하여 벽부(100)를 선택적으로 절첩 또는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결속바(410)가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 삽입되었을 때 제1, 2 수평암(200, 300)이 결속바(410)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이다.
아울러, 핸들(420)은 결속바(410)의 외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슬롯(220)에 가이드되어 고정편(400)을 이동시키거나 거치홈(230)에 안착되어 고정편(4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작용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20)이 거치홈(230)에 수용되었을 경우 결속바(410)가 제1, 2 작동구(210, 310) 모두에 걸쳐진 상태이고, 따라서, 고정편(400)에 의해 벽부(100)가 절첩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이다. 고정편(400)의 자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장치(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장치(500)는 제1, 2 수평암(200, 300)의 단부가 몽골텐트의 프레임(F) 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2 수평암(200, 30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돌출장치(500)는 고정편(400)의 작용에 의해 제1, 2 수평암(200, 300)의 내측에서 동작하여 한 쌍의 프레임(F) 사이에 패널(10)이 위치하였을 때 패널(10)의 양단부가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장치(500)는 크게 피니언 기어(510), 제1 돌출부(520) 및 제2 돌출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피니언 기어(510)는 도 4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바(410)의 전단에 형성된 웜기어(W)에 치합되도록 제1 작동구(210)에 설치된다. 한편, 제1 작동구(210)에는 피니언 기어(51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미도시)이 부설되고 상기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5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돌출부(520)는 결속바(410)의 전후 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후단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510)에 치합되는 랙기어(R)가 형성되고 전단은 상기 결속바(4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제1 수평암(200)의 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520)는 피니언 기어(510)에 치합되도록 랙기어(R)가 형성된 레일(521)과 상기 레일(521)에서 연장되며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형성된 삽입홀(F')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봉(522)으로 구분된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작동되었을 경우 결속바(410)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510)가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510)에 치합된 제1 돌출부(520)가 고정편(400)이 이동하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수평암(200)의 전단에 제1 삽입봉(522)이 돌출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제1 삽입봉(522)이 돌출됨과 동시에 프레임(F)의 거치홈(230)에 끼워지면서 패널(10)의 단부가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에 걸쳐있던 고정편(400)이 제2 작동구(3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서 제1 작동구(210)에 수납되고 고정편(40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돌출부(520)의 제1 삽입봉(522)이 프레임(F)의 삽입홀(F')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작용한다.
다음으로, 제2 돌출부(530)는 제2 작동구(310)에 설치돼서 결속바(410)가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 삽입될 때 결속바(410)에 밀려 후단이 제2 수평암(300)의 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돌출부(5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형성된 삽입홀(F')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봉(531), 상기 제2 삽입봉(531)의 경로상에 형성되며 제2 삽입봉(5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렌지(532) 및 플렌지(532)와 제2 수평암(300)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부(320)(도 6 및 8에 도시) 사이에 탄지되는 압축코일(5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돌출부(5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작동되었을 경우 결속바(410)가 제2 삽입봉(531)을 이동방향으로 밀게되고 제2 삽입봉(531)이 밀림과 동시에 제2 수평암(300)의 후단에서 제2 삽입봉(531)의 단부가 돌출되도록 작용한다. 즉, 제2 삽입봉(531)이 돌출됨과 동시에 인접한 프레임(F)의 거치홈(230)에 끼워지면서 패널(10)의 단부가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경우 제1, 2 작동구(210, 310)에 동시에 걸쳐있던 고정편(400)이 제2 작동구(310)에서 완전히 이탈되면서 제1 작동구(210)에 수납되고 제2 삽입봉(531)이 프레임(F)의 삽입홀(F')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편(400)이 이동하면서 제2 삽입봉(531) 밀게되고 제2 삽입봉(531)이 밀리는 힘이 제2 돌출부(530)의 플렌지(532)와 제2 수평암(300)의 단턱부(320) 사이에 탄지된 압축코일(533)을 압축하는 압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고정편(400)이 이동하였을 때 상기 압축코일(5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삽입봉(531)이 프레임(F)의 삽입홀(F')에서 자동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의 개략적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절첩된 상태의 패널(10)을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펼친다. 펼처진 패널(1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몽골텐트의 프레임(F) 사이에 대략적으로 위치시켜 위치를 조절한 후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편(400)을 이동시킨 후 결속바(410)가 제1, 2 작동구(210, 310)에 모두 수용되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400)의 핸들(420)을 끌어내려 거치홈(230)에 거치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1, 2 수평암(200, 300)에서는 고정편(400)의 작용에 의해 제1 돌출부(520)의 제1 삽입봉(522)이 제1 수평암(200)의 전단에서 돌출됨과 동시에 프레임(F)의 삽입홀(F')에 삽입되고 제2 수평암(300)에서는 결속바(410)가 제2 삽입봉(531)을 밀어 제2 수평암(300)의 후단으로 제2 삽입봉(531)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프레임(F)의 삽입홀(F')에 제2 삽입봉(531)을 삽입시키도록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몽골텐트의 사방을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로 막을 수 있게 되는 한편, 몽골텐트를 해체하거나 패널(10)을 접어 보관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방법을 반대로 수행함으로써 패널(10)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널(10)을 접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패널(10)의 보관시에 패널(10)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패널(10)이 차지하는 점유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과 더불어 몽골텐트의 프레임(F)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10: 패널
100: 벽부
110: 제1 벽
120: 제2 벽
130: 경첩
200: 제1 수평암
210: 제1 작동구
220: 슬롯
230: 거치홈
300: 제2 수평암
310: 제2 작동구
320: 단턱부
400: 고정편
410: 결속바
420: 핸들
500: 돌출장치
510: 피니언 기어
520: 제1 돌출부
530: 제2 돌출부

Claims (2)

  1. 지면에 지지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프레임이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조립되어 뼈대를 이루고, 상부에는 각뿔 형상의 천막이 안착되는 몽골텐트; 및
    상기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돼서 몽골텐트의 개방된 둘레를 개폐하는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판상의 제1 벽과 제2 벽이 경첩에 의해 서로 절첩되는 벽부;
    상기 제1벽과 제2 벽의 일측면에 전후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되는 각각의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 및
    상기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의 내측에서 이동하면서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을 상호 결속시켜 상기 벽부가 절첩되는 것을 제한하는 'ㅗ'자 형상의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에는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을 전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편은,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속바; 및
    상기 결속바의 외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핸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속바가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에 동시 삽입되었을 때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이 결속바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상기 제1 수평암에는,
    고정편이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에서 이동될 때 핸들이 간섭받지 않도록 제1 수평암의 외주면에서 내측을 향해 절취된 슬롯; 및
    핸들을 거치시켜 고정편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슬롯의 경로상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널은,
    상기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이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수평암과 제2 수평암의 내부에 설치되는 돌출장치;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장치는,
    상기 결속바의 전단에 형성된 웜기어에 치합되도록 제1 작동구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
    결속바의 전후 이동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후단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가 형성되고 전단은 상기 결속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제1 수평암의 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작동구에 설치돼서 결속바가 제1 작동구와 제2 작동구에 동시 삽입될 때 결속바에 밀려 후단이 제2 수평암의 후단에 돌출돼서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도록 랙기어가 형성된 레일; 및
    상기 레일에서 연장되며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봉;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몽골텐트의 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봉;
    상기 제2 삽입봉의 경로상에 형성되며 제2 삽입봉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렌지; 및
    플렌지와 제2 수평암의 후단에 형성된 단턱부 사이에 탄지되는 압축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은 패널의 위치를 프레임에 1차적으로 고정시키고 패널이 프레임에 고정돼서 양자간의 결합력을 부가시키기 위해 패널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탄성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KR1020170080643A 2017-06-26 2017-06-26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KR10184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43A KR101848762B1 (ko) 2017-06-26 2017-06-26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43A KR101848762B1 (ko) 2017-06-26 2017-06-26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762B1 true KR101848762B1 (ko) 2018-04-13

Family

ID=6197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43A KR101848762B1 (ko) 2017-06-26 2017-06-26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30B1 (ko) * 2019-10-22 2020-06-24 코리아넷 주식회사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789B1 (ko) 2013-06-21 2014-11-21 안계원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789B1 (ko) 2013-06-21 2014-11-21 안계원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170080643_00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30B1 (ko) * 2019-10-22 2020-06-24 코리아넷 주식회사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848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US10753120B2 (en) Quick assembly tent
KR101260794B1 (ko) 트레일러형 캠핑카
KR102172333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0946957B1 (ko) 설치가 용이한 방충망틀
KR101848762B1 (ko)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KR20140013626A (ko) 차량용 텐트
US7156451B2 (en) Housing unit with slide-out, provided with an awning and awning for such a housing unit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CN207538753U (zh) 一种立管以及折叠隐藏式一体式防盗防护格网
US20220298857A1 (en) Window screen systems
KR200352156Y1 (ko) 차량용 텐트
JP3218501U (ja) 組立型マルチルーム
KR101679950B1 (ko) 자동과 수동 겸용 수납식 침대 접철장치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20200065411A (ko) 접이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실내용 난방텐트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KR200413128Y1 (ko) 접철식 골프 연습장
KR102470310B1 (ko) 재난 원터치 파티션
WO2015057869A1 (en) Trapped air release valve for tents
KR102537956B1 (ko) 부채꼴 펼침 구조를 갖는 차량용 차양막 구조체
KR20190091983A (ko) 이동이 용이한 간이 하우스
KR20190002312U (ko) 이동이 편리한 조립식 이동 초소
JP2001049737A (ja) バルコニ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