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789B1 -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 Google Patents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789B1
KR101462789B1 KR20130071519A KR20130071519A KR101462789B1 KR 101462789 B1 KR101462789 B1 KR 101462789B1 KR 20130071519 A KR20130071519 A KR 20130071519A KR 20130071519 A KR20130071519 A KR 20130071519A KR 101462789 B1 KR101462789 B1 KR 10146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tent
corn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원
Original Assignee
안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계원 filed Critical 안계원
Priority to KR20130071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 E04B1/761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in combination with an air sp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양지나 캠핑장 등과 같은 야영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고 조립설치도 용이하며 숙박이나 휴식에 대한 안락함과 안정성도 뛰어난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바 일측에 패널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출부가 구비된 메인바와 상기 끼움홈에 결합되는 패널이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단열흡음공간이 형성되는 이중조립패널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일정 각도로 꺽임되는 꺽임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코너지지대를 벽체의 각 모서리에 구비하고,
다수의 코너지지대 간에 이중조립패널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벽체와;
벽체와 지붕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와;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코너로부터 중앙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지붕체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에 씌워져 결합되는 텐트를 구비하는 지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house type movement assembly tent}
본 발명은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양지나 캠핑장 등과 같은 야영이 가능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고 조립설치도 용이하며 숙박이나 휴식에 대한 안락함과 안정성도 뛰어난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휴양객들은 휴양지나 캠핑장, 야영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 휴식이나 숙박을 위하여 이동식 조립텐트나 방갈로와 같은 조립식 주택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식 조립텐트는 살대와 천막을 결합하여 말뚝으로 지면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써, 이동성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여 야영지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내부 휴식공간이 좁고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식 주택은 미리 가공된 건축부품을 정해진 장소에 비교적 신속하게 조립설치하여 실제 건축구조물인 주택에 버금가는 안전성과 넓은 내부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락함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한 곳에 고정설치되는 시설물로 사용될 수밖에 없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인원도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넓은 내부 휴식공간을 제공하여 안락하면서도 안전성도 뛰어나며, 분리/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설치가 신속 간편하면서 이동성도 뛰어난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식 조립텐트나 조립식 주택에서 제반되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특히 벽체와 바닥체 및 지붕으로 구성되어, 신속한 분리/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이동이 간편하고 넓은 내부 휴식공간을 가지면서도 견고하여 안전성이 뛰어나고 또한 소망하는 크기로 연장(또는 축소)설치가 용이하며 아울러 작물재배를 위한 온실로도 사용이 가능한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출입문을 구비하는 벽체와, 벽체의 상부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지붕체를 포함하는 이동 조립텐트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벽체는, 일정 두께 및 크기로 구비되는 패널의 각 모서리에 메인바가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조립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바는 일측에 상기 패널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널은 2열의 상기 끼움홈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상기 패널이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단열흡음공간이 형성되는 이중조립패널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일정 각도로 꺽임되는 꺽임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된 코너지지대를 벽체의 각 모서리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코너지지대 간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출부를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제1요홈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지붕체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와 지붕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체는,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결합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코너로부터 중앙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 및 지붕체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에 씌워져 결합되는 텐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이동 조립텐트를 구성하는 벽체 및 지붕체의 분리/결합이 용이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고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고, 벽체와 지붕체 간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안정성이 뛰어나고, 외부와의 단열 및 흡음(방음)기능도 뛰어난 효과가 있고, 코너지지대 간에 연장지지대 및 조립패널을 간편하게 추가 구성하여 소망하는 크기로 연장설치도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조립패널을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작물재배를 위한 온실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동 조립텐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이동 조립텐트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조립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바 및 코너블럭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상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상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팔각형태로 구성된 벽체를 나타낸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바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플레이트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일측에 출입문(D)을 구비하는 벽체(20)와, 벽체(20)의 상부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지붕체(40)를 포함하는 이동 조립텐트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벽체(20)는, 일정 두께 및 크기로 구비되는 패널(210)의 각 모서리에 메인바(220)가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조립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바(220)는 일측에 상기 패널(210)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221)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출부(222)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널(210)은 2열의 상기 끼움홈(221)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상기 패널(210)이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단열흡음공간(201)이 형성되는 이중조립패널(200)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일정 각도로 꺽임되는 꺽임부(2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출부(222)와 대응되는 결합홈(23)이 구비된 코너지지대(21)를 벽체(20)의 각 모서리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코너지지대(21) 간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출부(222)를 상기 결합홈(23)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2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제1요홈(32)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지붕체(4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33)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20)와 지붕체(40)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31)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체(40)는, 상기 제1안착부(33)에 안착결합되는 하부프레임(41)과, 상기 하부프레임(41)의 코너로부터 중앙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프레임(42)과, 상기 경사프레임(42)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43) 및 지붕체(4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에 씌워져 결합되는 텐트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벽체(20)는 평면상에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나, 필요에 따라 육각형태, 팔각형태 등 다수의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의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너지지대(21)의 꺽임부(22)는 벽체(20)의 다각형태에 따라 일정 각도로 꺽임되는데 사각형태의 경우 90°로, 육각의 경우 120˚로, 팔각의 경우 135˚로 꺽임된다.
상기 코너지지대(21) 양측단부에 구비되는 결합홈(23)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된 메인바(220)가 결합되며, 메인바(220)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힘살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지지대(21)의 사이에는 양측에 삽입홈(26)을 구비하는 연장지지대(25)를 추가로 더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26)에는 이중조립패널(200)의 일측을 결합시킴으로써 벽체(20)의 길이(또는 크기)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연장지지대(25)는 상기 코너지지대(21)의 결합홈(23)과 동일한 삽입홈(26)을 가지고 각각의 삽입홈(26)에는 이중조립패널(200)의 일측이 결합되며, 연장지지대(25)는 꺽임부가 없는 일자형으로 구성되고 코너지지대(21)는 중앙에 꺽임부(22)를 구비하여 'V'형 또는 'ㄱ'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코너지지대(21)의 사이에, 양측에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구성하는 메인바(220)의 결합돌출부(222)가 끼움결합되는 삽입홈(26)이 마련된 연장지지대(25)를 하나 이상 추가로 더 설치한 다음, 상기 코너지지대(21)와 연장지지대(25)의 사이 또는 연장지지대(25) 간에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체(2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지붕체(40)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3) 및 경사프레임(42)은 상호 힌지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하부프레임(41)은 좌,우측 하부프레임(41a,41b)으로 구성하여 상호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지붕체(40)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도 특징이다.
상기 지붕체(40)는, 상기 제1연결바(31) 및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의 모서리부분에 구성되는 메인바(220)에 상호 대응되는 체결공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체결수단(볼트/너트, 나사못, 체결핀 등)으로써 견고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붕체(40)의 조립텐트는 합성수지재의 천막 또는 비닐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측에 지퍼(J)를 구비하여 지붕프레임에 씌우고 벗기는 착탈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눈,비 등의 악천후시에 이동 조립텐트 내부가 안전할 수 있도록 코팅과 같은 방수마감처리가 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더운 여름철에는 천막의 바깥면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을 추가로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너지지대(21) 및 제1연결바(31)가 맞닿는 코너부분(코너지지대(21)의 상부에 해당됨)에는 코너블럭(90)을 결합하여 마감처리를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코너블럭(90)은 제1연결바(31)의 끝에 마련된 끼움결합홈(34)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91)를 양측에 구비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의 내부에는 패널(210)이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흡음공간(201)을 포함하고 있는데, 고체인 패널(210)의 사이에 기체인 공기층을 갖게되어 단열 및 흡음(방음)의 효과가 뛰어나며, 필요시에는 단열흡음공간(201)에 단열재(또는 흡음재)를 추가 구성하여 단열(또는 흡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뛰어난 단열, 흡음 효과를 갖는 이중조립패널(200)은 기본적으로 벽체(20)에 구성되나, 필요에 따라 바닥에 추가로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이 바닥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벽체(20)의 하부에 지면상에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60)를 추가로 더 결합하되, 상기 바닥플레이트(60)는, 상기 벽체(20)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제2요홈(62)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제2안착부(63)가 구비된 제2연결바(61);를 벽체(20)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2안착부(63)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안착시켜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바닥플레이트(60)의 구성에서 이중조립패널(200) 대신 적의의 두께를 갖는 단일 바닥 패널(210)을 구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단일 바닥 패널(210)은 안정성이 부가된 튼튼한 구조를 위하여 내부에 힘살을 일정 간격으로 구성시켜 적의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60)의 구성에서, 상기 제2연결바(61) 및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의 모서리부분에 구성되는 메인바(220)에 상호 대응되는 체결공을 추가로 더 구비하여 체결수단(볼트/너트, 나사못, 체결핀 등)으로써 견고하게 고정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이동 조립텐트의 바닥은, 상기와 같은 바닥플레이트(60)를 적용하여 분리/결합가능하게 조립설치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매트리스나 에어주입형 매트리스 등을 이동 조립텐트 내부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바닥플레이트(60)의 상부에 매트리스나 에어주입형 매트리스 등을 깔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널(210)의 상측 일부에는 투명창(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투명창(70)은, 상기 패널(210)의 상측 일부분을 잘라낸 다음 잘라낸 부분에 창틀을 포함하는 투명창(70)을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창틀은 메인바(220)와 유사한 형태, 즉 일측에는 상기 패널(210)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창이 결합되는 창결합홈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은 미리 공장에서 기제작하여 현장에서의 조립시간을 단축시킴이 바람직한데, 마찬가지로 상기 투명창(70)도 이중조립패널(200)에 기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명창(70)의 형태는 제작의 편의성을 고려하였을 때 사각형태가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10) 및 텐트는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작물재배를 위한 온실(또는 하우스)로도 사용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온실로 사용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형 살대에 비닐을 씌운 비닐하우스에 비해 훨씬 더 견고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폭설에도 안전성이 담보될 수 있으며,
코너지지대(21)의 사이에는 양측에 삽입홈(26)을 구비하는 연장지지대(25)를 추가로 더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26)에는 이중조립패널(200)의 일측을 결합시킴으로써 벽체(20)의 길이(또는 크기)를 연장시키는 구성을 통하여, 온실의 길이(또는 크기)를 자유로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설치장소의 면적에 제한성이 없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10)의 하측 일부에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면서 이물질 및 해충은 차단하는 필터(80)를 구성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필터(80)는, 상기 패널(210)의 하측 일부분을 잘라낸 다음 잘라낸 부분에 필터지지바를 포함하는 필터(80)를 삽입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지지바는 메인바(220)와 유사한 형태, 즉 일측에는 상기 패널(210)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필터(80)가 결합되는 필터결합홈을 구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80)는 통풍의 역할도 하게 되는데, 뛰어난 통풍을 위하여, 필터(80) 대신 통풍팬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벽체(20)의 일측에 통풍팬을 추가하여 필터(80)와 통풍팬을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벽체(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메인바(220)의 하부 또는 바닥플레이트(60)의 하부에는 지지팩(P; 말뚝)을 추가로 더 구성하여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데, 특히 지면이 평탄하지 않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지지팩(말뚝)은 바닥플레이트(6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바닥플레이트(60)의 하부에 구성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바(220)의 하부에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10 : 이동 조립텐트 20 : 이중조립패널
21 : 코너지지대 22 : 꺽임부
23 : 결합홈 25 : 연장지지대
26 : 삽입홈 31 : 제1연결바
32 : 제1요홈 33 : 제1안착부
34 : 끼움결합홈 40 : 지붕체
41 : 하부프레임 42 : 경사프레임
43 : 상부프레임 44 : 텐트
60 : 바닥플레이트 61 : 제2연결바
62 : 제2요홈 63 : 제2안착부
200 : 이중조립패널 210 : 패널
220 : 메인바 221 : 끼움홈
222 : 결합돌출부 201 : 단열흡음공간
D : 출입문 P : 지지팩

Claims (8)

  1. 일측에 출입문을 구비하는 벽체(20)와, 벽체(20)의 상부에 분리/결합 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지붕체(40)를 포함하는 이동 조립텐트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벽체(20)는,
    일정 두께 및 크기로 구비되는 패널(210)의 각 모서리에 메인바(220)가 끼움결합되어 구성되는 조립패널을 구비하되, 상기 메인바(220)는 일측에 상기 패널(210)을 끼움결합하는 끼움홈(221)이 나란하게 2열로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출부(222)가 구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패널(210)은 2열의 상기 끼움홈(221)에 각각 끼움결합하여, 상기 패널(210)이 이중으로 구성되면서 그 사이에는 단열흡음공간(201)이 형성되는 이중조립패널(200)을 구비하고,
    중앙에는 일정 각도로 꺽임되는 꺽임부(2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결합돌출부(222)와 대응되는 결합홈(23)이 구비된 코너지지대(21)를 상기 벽체(20)의 각 모서리에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코너지지대(21) 간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구성하되, 상기 결합돌출부(222)를 상기 결합홈(23)에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2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는 제1요홈(32)을 하부에 구비하고 상부에는 상기 지붕체(40)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33)를 구비하여 상기 벽체(20)와 지붕체(40)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31)가 구비되고;

    상기 지붕체(40)는, 상기 제1안착부(33)에 안착결합되는 하부프레임(41)과, 상기 하부프레임(41)의 코너로부터 중앙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경사프레임(42)과, 상기 경사프레임(42)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43) 및 지붕체(40)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에 씌워져 결합되는 텐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지지대(21)의 사이에는, 양측에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구성하는 메인바(220)의 결합돌출부(222)가 끼움결합되는 삽입홈(26)이 마련된 연장지지대(25)를 하나 이상 추가로 더 설치한 다음, 상기 코너지지대(21)와 연장지지대(25)의 사이 또는 연장지지대(25) 간에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벽체(2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43) 및 경사프레임(42)은 상호 힌지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하부프레임(41)은 좌,우측 하부프레임(41a, 41b)으로 구성하여 상호 힌지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지붕체(40)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10) 및 텐트는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10)의 상측 일부에는 투명창(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10)의 하측 일부에는 공기의 흐름은 허용하면서 이물질 및 해충은 차단하는 필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20)의 하부에는 지면상에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바닥플레이트(60)를 추가로 더 결합하되,
    상기 바닥플레이트(60)는,
    상기 벽체(20)의 하단에 끼움결합되는 제2요홈(62)이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에는 제2안착부(63)가 구비된 제2연결바(61);를 벽체(20)의 하부 모서리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2안착부(63)에는 상기 이중조립패널(200)을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안착시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60) 또는 상기 벽체(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메인바(220)의 하부에는 말뚝이 추가로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20130071519A 2013-06-21 2013-06-21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KR10146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519A KR101462789B1 (ko) 2013-06-21 2013-06-21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519A KR101462789B1 (ko) 2013-06-21 2013-06-21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789B1 true KR101462789B1 (ko) 2014-11-21

Family

ID=5229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519A KR101462789B1 (ko) 2013-06-21 2013-06-21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78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2234A (ko) 2017-12-29 2018-02-05 김재흥 조립형 텐트
KR101848762B1 (ko) 2017-06-26 2018-04-13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WO2018220481A1 (en) * 2017-05-31 2018-12-06 Renson Sunprotection Projects Nv Wall cladding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259648B1 (ko) * 2020-03-29 2021-06-02 이창만 소수력 발전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WO2021210707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24B1 (ko) 2012-08-21 2013-03-18 김영구 조립식 캠핑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224B1 (ko) 2012-08-21 2013-03-18 김영구 조립식 캠핑 텐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0481A1 (en) * 2017-05-31 2018-12-06 Renson Sunprotection Projects Nv Wall cladding
BE1025257B1 (nl) * 2017-05-31 2019-01-07 Renson Sunprotection Projects Nv Wandbekleding
KR101848762B1 (ko) 2017-06-26 2018-04-13 주식회사 제이엘컴퍼니 설치가 용이한 패널을 구비한 몽골텐트
KR20180012234A (ko) 2017-12-29 2018-02-05 김재흥 조립형 텐트
KR102087159B1 (ko) * 2017-12-29 2020-03-10 김재흥 조립형 텐트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259648B1 (ko) * 2020-03-29 2021-06-02 이창만 소수력 발전을 위한 조립식 구조물
WO2021210707A1 (ko) * 2020-04-16 2021-10-21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789B1 (ko) 주택형 이동 조립텐트
US8726583B2 (en) Modular dwellings
ES2253225T3 (es) Estructura modular para edificio, y metodo de fabricacion.
KR100914768B1 (ko) 휴대용 조립식 평상
KR101470875B1 (ko) 텐트 설치용 조립식 평상
US8776449B1 (en) Shelter building
US20110209735A1 (en) Shelter building
RU2714030C1 (ru) Мобильный модульный дом
MXPA06014879A (es) Sistema, metodo y aparato para conjunto de armazon y edificacion.
KR101539324B1 (ko) 이중 지오데식 돔구조 건축물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KR20100123933A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KR20160018085A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KR20100093623A (ko) 천막 구조물
US20050284074A1 (en) Panel lock building system and hinge
JP2006283405A (ja) 簡易住宅
KR200474103Y1 (ko) 조립식 평상과 이를 이용한 텐트
WO2012029297A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JP5049411B1 (ja) 組立式植栽用容器の組立てセット及び組立式植栽用容器
US20100077683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KR200464124Y1 (ko) 소형온실형 비닐하우스
KR200300996Y1 (ko) 휴대가 용이한 평상마루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방갈로
KR101715121B1 (ko)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CN216076597U (zh) 一种速搭充气篷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