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623A - 천막 구조물 - Google Patents

천막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623A
KR20100093623A KR1020090012647A KR20090012647A KR20100093623A KR 20100093623 A KR20100093623 A KR 20100093623A KR 1020090012647 A KR1020090012647 A KR 1020090012647A KR 20090012647 A KR20090012647 A KR 20090012647A KR 20100093623 A KR20100093623 A KR 2010009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nt
vertical
connecting memb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925B1 (ko
Inventor
장병성
Original Assignee
장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성 filed Critical 장병성
Priority to KR102009001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9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외에서 각종 공연이나 행사 및 휴식의 장소 또는 시장 통로 등에 사용되게 한 야외용 천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설치 및 철거가 신속하고 용이함은 물론 부피가 감소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천막 구조물을 완성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실용적인 천막을 설치함은 물론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를 유지할 수 있는 천막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천막, 구조물, 프레임. 연결부재, 모서리, 지붕, 보강, 수직부, 수평부, 경사부, 돌출부

Description

천막 구조물{A tent structure constructed to frame unit}
본 발명은 야외에서 각종 공연이나 행사 및 휴식의 장소 또는 시장 통로 등에 사용되게 한 야외용 천막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이 견고하면서도 설치 및 철거가 신속하고 용이함은 물론 부피가 감소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천막 구조물을 완성하여, 보다 입체적이고 실용적인 천막을 설치함은 물론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를 유지할 수 있는 천막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각종 공연이나 행사를 하는 경우에는 강렬한 햇빛이나 눈 또는 비 등을 피하기 위한 천막이 설치되는 데, 상기한 바와 같은 천막은 단순하게 제한적인 소규모의 공간내에 설치되는 조립식 천막이 있는 반면, 대규모의 크기를 갖고 비교적 넓은 면적에 걸쳐 설치되는 천막구조물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천막구조물은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가 다시 철거 또는 분해되는 것이 아니라, 장기간 해당 장소에 설치되는 조형물인 것으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천막구조물은 천막 본연의 목적 이외에도 다양한 미적감각을 부여한 조경물로서의 기능도 겸하는 다양한 형태 및 구조를 갖는 천막구조물이 제안되고 있 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막조형물은 대부분 미려한 외관과 견고한 고정력을 함께 갖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지지기둥이나 중량체인 천막을 지지하기 위한 크로스바 및 고정대 등이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거나 커지므로 미려한 외관을 갖지 못하는 것이며, 미려한 외관을 중요시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종 구조체 및 프레임체의 강도 및 고정력이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특히, 그 천막구조물이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중량체인 천막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강성 및 지지력이 요구되는 추세이므로, 미려한 외관과 함께 견고한 고정력 및 설치력을 갖는 대형의 천막구조물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천막은 대부분이 천막시트의 중앙부엔 고정용 통공을 형성하고 내측에서 지주를 끼워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우천시엔 이 고정용 통공을 통하여 누수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천막을 설치하는 기존의 구조적인 특성 상 내부 특히 천막시트의 중앙부엔 반드시 지주가 설치되어야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부 공간의 활용면에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또한, 천막을 이루는 부품의 구성상 조립설치나 분해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소요되는 구성부품이 많아 부피가 커지며 중량이 무거워져 이동 운반시에 불편한 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지주 및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천막시트가 지주 및 지지부재에 손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천막시트의 결속력을 높여 누수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면서, 천막의 크기를 보다 넓게 구성하는 경우에도 적은 수효의 지주에 의하여도 지지 설치가 가능하게 하여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막시트를 지지 고정하는 지주, 지지부재, 고정부재, 보강부재 등의 구성부품을 현장에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대량 생산이 적합하고 저렴하게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상향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와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의 상면에 씌워지도록 사각변(四角변邊)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을 통해 양측 끝단변에 롤링부가 형성된 천막시트를 삽입시켜 벽면 및 지붕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 공지의 천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상단부와 수평 및 경사프레임 끝단부가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부 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절곡 연장되어 경사프레임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가 연접되는 일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는 제1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천막 구조물의 지붕 일측방에 설치되며, 수평프레임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바가 설치된 수평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 양측으로 절곡 하향 연장되어 양측 경사프레임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경사바가 형성된 제1지붕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 내부에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경사부가 삽입될 때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부의 상단면이 소정의 길이로 더 연장된 연장캡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1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경사부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2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수직부 양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의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핀이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양측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바커버부재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3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보강부 양측으로 관통된 제3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천막 구조물의 양측 경사프레임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의 각각 끝단부에 수직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을 가진 양측 상단변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 내부로 끝단이 수용되어 결속되는 지붕보강프레임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일측면에 통공된 원형의 끼움홈 하부로 상기 끼움홈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연장된 단속홈이 형성된 결속부재에 있어 상기 결속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양끝단이 몸체 외주보다 작은 체결원판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홈에 구속되어 상기 체결원판과 몸체 사이에 단차지게 구속홈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보강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의 수직길이로 양측변에 절개된 천막연결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막 구조물은 모든 프레임을 분리 조립이 가능하며, 각 측면 및 지붕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더욱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천막시트를 설치시 더욱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천막의 조립과 분리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천막시트가 항상 팽팽하게 잡아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깨끗하고 튼튼한 천막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상향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 임(100)과,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200) 및 경사프레임(300)과, 상기 수직프레임(100)들 사이와 수평프레임(200) 및 경사프레임(300)의 상면에 씌워지도록 사각변(四角변邊)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101)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101)을 통해 양측 끝단변에 삽입봉(410)가 형성된 천막시트(400)를 삽입시켜 벽면 및 지붕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 공지의 천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단부와 수평프레임(200) 및 경사프레임(300) 끝단부가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부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부(5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510)와 절곡 연장되어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경사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510)와 경사부(520)가 연접되는 일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200)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부(530)가 형성되는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와;,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지붕 일측방에 설치되며, 수평프레임(200)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바(620)가 설치된 수평바(61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610) 양측으로 절곡 하향 연장되어 양측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경사바(630)가 형성되는 양측에 형성된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제1지붕 연결부재(60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막구조물(10)의 골격을 이루는 수직프레 임(100), 수평프레임(200) 및 경사프레임(300)은 단면이 사각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외측 4변이 모두 길이방향으로 내면에 공간부(103)를 가지며 양끝단이 절개된 개구부(102)를 갖는 길이방향의 절개홈(1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홈(101)에 삽입되는 천막시트(400)에 있어 상기 천막시트(400)의 양단 주면에는 삽입봉(410)이 삽입된 롤링부(420)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제공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는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단부와 수평프레임(200) 및 경사프레임(300) 끝단부가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직부(510)는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속되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는 상기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경사부(5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평부(530)는 상기 수평프레임(20)) 끝단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와는 달리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벽면 상부 중앙에 형성된 양측으로 수평프레임(200)이 형성되며, 상부로 경사프레임(300)이 형성되며, 하부로 수직프레임(100)이 형성되는 상기 양측 수평프레임(200), 경사프레임(300) 및 수직프레임(100)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제2모서리 연결부재(500b)에 있어,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와 동일하지만, 상기 제2모서리 연결부재(500b)에 형성된 상기 수직부(510)와 경사부(520)가 연접되는 양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양측 수평프레임(200)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부(530)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지붕 전/후방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에 형성된 돌출바(620)는 수평프레임(200) 끝단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에 형성된 경사바(630)는 양측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에 삽입되어 제공된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나타낸 상기 전/후측 수평프레임(200)이 형성되는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지붕 중앙에 있어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수평바(610)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바(620)가 형성되어 상기 전/후측 수평프레임(200)을 형성되는 제2지붕 연결부재(600b)가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끝단 내부에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가 삽입될 때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끝단부의 상단면이 소정의 길이로 더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캡(301)에 있어 상기 연장캡(301) 양측 모서리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절개홈(101)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며, 이는 상기 천막시트(400)의 삽입이 용이하며, 천막 구조물(10) 내부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 13에 나타낸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연장된 상단면이 상기 제1모서리 연결 부재(500a)의 경사부(520) 상부면을 덮어줌으로서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연장된 상부면의 양측변에는 절개홈(101)이 연장 형성되어 있어 천막시트(400)를 삽입하기에 용이하게 제공되며, 또한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의 상부면까지 커버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로 제공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끝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1체결공(3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공(521)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경사프레임(300) 끝단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에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제1체결공(310)과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 제1결속공(521)이 서로 면접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공되며,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제1체결공(310)을 통해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 제1결속공(521)과 연통되게 장공볼트(700)를 관통시켜 너트(710)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제1체결공(3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과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경사부(520) 제1결속공(521)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지붕 너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공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2체결공(1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 재(500a)의 수직부(510) 양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공(511)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직프레임(100) 끝단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직부(510)에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제2체결공(110)과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직부(510) 제2결속공(511)이 서로 면접하여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공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제2체결공(110)을 통해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직부(510) 제2결속공(511)과 연통되게 장공볼트(700)를 관통시켜 너트(710)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제2체결공(11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과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500a)의 수직부(510) 제2결속공(511)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됨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공된다.
또한, 도 15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수평바(610)를 커버하며,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양측면에 나사(720)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핀(641)이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양측변에 삽입홈(642)이 형성되는 수평바커버부재(640)에 있어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수평바(610) 양측으로 연장되어 하향 절곡된 경사바(630)는 상기 경사프레임(300)이 끝단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300)의 양측변에 형성된 삽입홈(642)을 통해 천막시트(400)를 삽입하여 커버할 경우 상기 천막시트(400)는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수평바(610) 상부에는 천막시트(400)의 고정없이 천막시트(400)만이 들뜬상태로 존재하여 바람 등으로 펄럭임에 의해 소음, 천막시트(400) 의 늘어짐 및 이탈이 일어날 수 있어,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600a)의 수평바(610) 상부를 커버하는 수평바커버부재(640)를 장착하여 상기 천막시트(400)가 상기 경사프레임(300)의 양측변에 형성된 삽입홈(642)을 통과하여 수평바(610) 상면에 형성된 상기 수평바커버부재(640)의 양측변 삽입홈(642)을 통과하여 타측의 경사프레임(300) 양측변 절개홈(101)을 연통하여 천막시트(400)를 씌우게 된다.
즉, 상기 수평바커버부재(640)의 삽입홈(642)과 경사프레임(300)의 절개홈(101)은 같은 형태를 가져 천막시트(400)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커버부재(640)의 고정핀(641)은 수평바커버부재(640)의 상면의 사각(四角)에서 각각 수직으로 하향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도 17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 하단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보강부(141)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141)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42)이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140)를 제공함에 있어 상기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고정부재(140)의 고정판(142)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균형을 유지하며, 상기 바닥고정부재(140)의 보강부(141)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하단 내부에 삽입되어 지면과의 고정을 더욱 견고히 해주는 역할로 제공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 하단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3체결공(12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고정부재(140)의 보강부(141) 양측으로 관통된 제3결속공(143)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에 있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100) 하단 내부에 삽입된 상기 바닥고정부재(140)의 보강부(141)에 있어 장공볼트(700)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제3체결공(120)을 통해 상기 바닥보강부재(140)의 보강부(141)에 형성된 제3결속공(143)을 관통시켜 너트(710)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또한,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양측 경사프레임(300)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300)의 각각 끝단부에 수직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양측 상단변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연결부재(320)가 설치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320) 내부로 끝단이 수용되어 결속되는 지붕보강프레임(330)에 있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지붕을 형성하는 양측 경사프레임(300)의 구조를 더욱 보강하도록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300)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제공되며, 상기 지붕보강프레임(330)를 설치함에 있어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300)의 끝단 하부에 장공볼트(700)에 의해 결속시키는 동시에 상기 지붕보강프레임(330)을 결속시켜 주기 위해 상기 지붕보강프레임(330) 양선단부를 결속하여 체결되도록 수직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양측 상단변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연결부재(320)를 이용하여 상기 지붕보강프레임(330)의 양선단부를 내부에 결속하여 상기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325)을 통해 상기 경사프레임(300) 양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325)과 면접토록 하여 장공볼트(700)와 너트(71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지붕보강프레임(330)이 상기 보강연결부재(320)에 강하게 결속되어 상기 지붕의 양측 경사면을 형성토록 하는 경사프레임(300)의 보강구실을 하게 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수직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1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부 일측면에 통공된 원형의 끼움홈(151) 하부로 상기 끼움홈(151)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연장된 단속홈(152)이 형성된 결속부재(150)에 상기 결속부재(150)의 끼움홈(151)에 삽입되도록 양끝단이 몸체(163) 외주보다 작은 체결원판(161)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홈(152)에 구속되어 상기 체결원판(161)과 몸체(163) 사이에 단차지게 구속홈(162)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보강프레임(160)에 있어 상기 수직프레임(100) 간(間)의 상부 결속력을 증대(보강)하고자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100) 상부 사이에 수평보강프레임(160)을 체결하여 설치함에 상기 수평보강프레임(160)의 양성단부에 상기 수평보강프레임(160) 몸체의 단면 원주보다 작은 원주의 체결원판(16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원판(161)과 몸체 사이에 단차지게 연결되는 구속홈(1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프레임(100) 상부 일측면에 통공된 원형의 끼움홈(151) 하부로 상기 끼움홈(151)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연장된 단속홈(152)이 형성된 결속부재(150)가 형성되어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결속부재(150) 끼움홈(151)에 상기 수평보강프레임(160)의 체결원판(161)을 삽입시켜 상기 구속홈(162)이 상기 결속부재(150) 끼움홈(151) 선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수평보강프레임(160)을 상기 결속부재(150)의 단속홈(152)으로 이동시켜 상기 수평보강프레임(160) 구속홈(162)이 상 기 단속홈(152) 선단부에 구속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중앙부에 소정의 수직길이로 양측변에 절개된 천막연결삽입구(1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상기 천막시트(400)의 양단 주면에는 와이어(410)가 삽입된 롤링부(420)의 양측끝단을 상기 천막연결삽입구(130)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천막 구조물(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천막연결삽입구(130)의 상부를 통해 상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천막시트(400)의 롤링부(420) 일측끝단을 삽입시켜 이동시키며, 동시에 상기 천막연결삽입구(130) 하부를 통해 하향 이동되도록 상기 천막시트(400)의 롤링부(420) 타측끝단을 삽입시켜 이동하여 상기 천막시트(400)를 펴주면 천막 구조물(10)의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천막 구조물은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에 천막시트를 조립한 벽면 설치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에 있어 “F”부위의 천막시트를 수직프레임에 조립하기 위한 상태도.
도 4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에 있어 “A”부위의 제1모서리 연결부재 조립분해도.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에 있어 “B”부위의 제2모서리 연결부재 조립분해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2모서리 연결부재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에 있어 “C”부위의 제1지붕 연결부재 조립분해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1지붕 연결부재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에 있어 “D”의 제2지붕 연결부재 조립분해도.
도 11은 도 10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2지붕 연결부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경사프레임 일측 끝단에 형성된 연장캡 부분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연장캡이 형성된 경사프레임 조립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1모서리 연결부재에 수직/경사프레임 조립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1지붕 연결부 수평부에 수평바커버부재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도.
도 16은 도 15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제1지붕 연결부 수평부에 수평바커버부재를 조립한 상태도.
도 17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에 있어 “E”부위의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바닥고정부재 조립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바닥고정부재를 조립한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보강연결부재와 지붕보강프레임의 체결 구조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 결속부재에 수평보강프레임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 중앙부에 형성된 천막연결삽입구를 통해 천막시트를 조립하기 위한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천막 구조물 10 수직프레임 100 절개홈 101 개구부 102 공간부 103 제2체결공 110 제3체결공 120 천막연결삽입구 130 바닥고정부재 140 보강부 141 고정판 142 제3체결공 143 결속부재 150 끼움홈 151 단속홈 152 수평보강프레임 160 체결원판 161 구속홈 162 몸체 163 수평프레임 200 경사프레임 300 연장캡 301 제1체결공 310 보강연결부재 320 볼트구멍 325 지붕보강프레임 330 천막시트 400 와이어 410 롤링부 420 제1모서리 연결부재 500a 제2모서리 연결부재 500b 수직부 510 제2체결공 511 경사부 520 제1결속공 521 수평부 530 제1지붕 연결부재 600a 제2지붕 연결부재 600b 수평바 610 돌출바 620 경사바 630 수평바커버부재 640 고정핀 641 삽입홈 642 장공볼트 700 너트 710 나사 720

Claims (10)

  1.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서 상향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지붕구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들 사이와 수평프레임 및 경사프레임의 상면에 씌워지도록 사각변(四角변邊)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홈을 통해 양측 끝단변에 롤링부가 형성된 천막시트를 삽입시켜 벽면 및 지붕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 공지의 천막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상단부와 수평 및 경사프레임 끝단부가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절곡 연장되어 경사프레임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경사부가 연접되는 일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수평프레임 끝단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부가 형성되는 제1모서리 연결부재와;,
    상기 천막 구조물의 지붕 일측방에 설치되며, 수평프레임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일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돌출바가 설치된 수평바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바 양측으로 절곡 하향 연장되어 양측 경사프레임 끝단 내부에 삽입되는 경사바가 형성된 제1지붕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 내부에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경사부가 삽입될 때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부의 상단면이 소정의 길이로 더 연장 된 연장캡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프레임의 끝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1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경사부 양측으로 통공된 제1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양측으로 통공된 제2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모서리 연결부재의 수직부 양측으로 통공된 제2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의 수평바를 커버하며, 상기 제1지붕 연결부재의 양측면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도록 고정핀이 수직 연장되어 형성되며, 양측변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바커버부재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 내부에 삽입되도록 보강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바닥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양측으로 관통된 제3체결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바닥고정부재의 보강부 양측으로 관통된 제3결속공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의 양측 경사프레임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양측 경사프레임의 각각 끝단부에 수직단면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을 가진 양측 상단변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보강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강연결부재 내부로 끝단이 수용되어 결속되는 지붕보강프레임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막 구조물의 수직프레임과 수직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 일측면에 통공된 원형의 끼움홈 하부로 상기 끼움홈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연장된 단속홈이 형성된 결속부재에 있어 상기 결속부재의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양끝단이 몸체 외주보다 작은 체결원판이 형성되며, 상기 단속홈에 구속되어 상기 체결원판과 몸체 사이에 단차지게 구속홈이 연장되어 형성된 수평보강프레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부에 소정의 수직길이로 양측변에 절개된 천막연결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막 구조물.
KR1020090012647A 2009-02-17 2009-02-17 천막 구조물 KR10106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47A KR101065925B1 (ko) 2009-02-17 2009-02-17 천막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47A KR101065925B1 (ko) 2009-02-17 2009-02-17 천막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23A true KR20100093623A (ko) 2010-08-26
KR101065925B1 KR101065925B1 (ko) 2011-09-19

Family

ID=4275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47A KR101065925B1 (ko) 2009-02-17 2009-02-17 천막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9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919A (zh) * 2015-09-30 2015-12-09 南京际华三五二一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帐篷榀架
WO2016010201A1 (ko) * 2014-07-16 2016-01-21 안혜연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1650154B1 (ko) * 2015-05-27 2016-08-24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 하우스
KR102066660B1 (ko) * 2019-02-15 2020-01-15 손영길 프레임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19386A (zh) * 2012-04-13 2012-08-01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一种碳纤维帐篷支架
KR101453438B1 (ko) 2013-11-12 2014-10-22 심희준 텐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487Y1 (ko) * 1999-09-10 2000-02-15 주식회사대창그랜드 대형텐트에 적용된 연결형 조립식 프레임
JP2002138674A (ja) * 2000-11-01 2002-05-17 Marufuji Sheet Piling Co Ltd 建造物、文化財等の解体、保存修理、復元または築造工事用素屋根並びにそのフレー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201A1 (ko) * 2014-07-16 2016-01-21 안혜연 구조물용 고정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diy 조립식 구조물
KR101650154B1 (ko) * 2015-05-27 2016-08-24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 하우스
CN105133919A (zh) * 2015-09-30 2015-12-09 南京际华三五二一特种装备有限公司 一种可调节帐篷榀架
KR102066660B1 (ko) * 2019-02-15 2020-01-15 손영길 프레임의 호환성을 향상시킨 막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925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925B1 (ko) 천막 구조물
KR100933528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US20060283103A1 (en) Gazebo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92723B1 (ko) 공동주택 창문틀 고정구조
CA2556539A1 (en) Gazebos with integrated additional features
KR101215907B1 (ko) 방음벽 및 캐노피용 멀티 프로파일
KR101610669B1 (ko) 조립식 파라솔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KR101126646B1 (ko) 조립식 구조물
KR101133065B1 (ko) 조립식 구조물
US20040051093A1 (en) Extruded fence post and modular fence assembly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KR102126430B1 (ko) 조립식 텐트 프레임 착탈 설치용 장식 패널조립체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KR101610674B1 (ko) 조립식 파라솔의 방사형 살
KR100836123B1 (ko) 대나무 골재형 그늘막 구조
KR200200356Y1 (ko) 조립식 주택 구조물
KR102173162B1 (ko)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KR100674128B1 (ko) 조립식 텐트
KR102643608B1 (ko) 한옥의 모듈형 벽체구조
KR20100007879U (ko) 소형온실 제작법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