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87B1 -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87B1
KR102127787B1 KR1020190143770A KR20190143770A KR102127787B1 KR 102127787 B1 KR102127787 B1 KR 102127787B1 KR 1020190143770 A KR1020190143770 A KR 1020190143770A KR 20190143770 A KR20190143770 A KR 20190143770A KR 102127787 B1 KR102127787 B1 KR 10212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frame
housing
pai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Priority to KR102019014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착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관통하게 천공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 지지부재, 상기 안착부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부, 바닥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를 각각 고정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BED HAVING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침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도시 내의 지가가 상승하고 있고, 이로 인해 좁은 면적에 많은 주택이나 빌딩이 건설되어 건물 내의 생활 공간이 협소해지고 있다.
특히,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학생이나 사회 초년생인 직장인의 경우에는 상당히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체적으로 학생이나 직장인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과 같이 좁은 면적으로 이루어진 방에서 숙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침대와 함께 옷장 등의 가구를 생활 공간 내에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7126호에는 종래의 "침대프레임"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가구 중에서도 침대는 상당히 넓은 공간을 차지하는 가구로서, 좁은 방에 설치할 경우 실제로 다른 가구를 함께 설치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좁은 면적의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에 비교적 크기가 큰 침대를 실내로 옮기고 설치하는데 공간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침대 내부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면서 복수 개의 하우징을 조립하는 것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착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관통하게 천공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 지지부재, 상기 안착부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부, 바닥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안착부를 수용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수납공간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를 각각 고정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 중 어느 하나를 일측부에 결합하고, 상기 리프트부와 결합된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1 안착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상기 제1 안착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1 안착 결합홀이 천공된 상기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상기 제2 안착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2 안착 결합홀이 천공된 상기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은 상기 제1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3 안착 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3 안착 프레임을 일직선으로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과 상기 제3 안착 프레임에 동시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지지바를 끼움 결합하게 복수 개의 오목한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일측벽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고, 상기 리프트부와 결합된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의 외측에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 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하우징 프레임과 상기 제1 하우징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상기 제1 하우징 결합 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1 하우징 결합홀이 천공된 상기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하우징 프레임과 상기 제2 하우징 프레임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홀이 천공된 상기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하우징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리스(mattress)를 안착하는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하여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공간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징부와 안착부를 조립하는 것으로 전체 침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 및 크기 변형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로 조립된 안착부에 보강 지지부재를 조립하여 내구성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징부와 안착부를 서로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립 및 분리를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와 안착부의 사이를 지지바가 지지하여 내구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지지부재를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안착부에 조립이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안착부의 일단부를 들어올려 하우징부의 수납공간을 개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을 B-B'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지지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지지부재를 안착부에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안착부에 결합된 보강 지지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서 리프트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하우징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안착부의 일단부를 들어올려 하우징부의 수납공간을 개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을 B-B' 절단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착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100), 상기 안착부(100)를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관통하게 천공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40),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140)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 지지부재(150), 상기 안착부(10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100)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 바닥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안착부(100)를 수용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210)을 마련하고, 상기 수납공간(210)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를 각각 고정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하우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00)는 상부에 침대 매트리스를 안착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은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어느 하나를 일측부에 결합하고, 리프트부(300)와 결합된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돌기(120a)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안착 프레임(10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은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제1 안착 결합돌기(120a)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홀(130a)이 천공되고, 제1 안착 결합홀(130a)이 천공된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돌기(120b)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안착 프레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안착 프레임(100b)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제2 안착 결합돌기(120b)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홀(130b)이 천공되고, 제2 안착 결합홀(130b)이 천공된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안착 프레임(100c)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안착 프레임(100a)의 타측부에 제3 안착 프레임(100c)의 일측부를 결합하여 안착부(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제3 안착 프레임(100c)의 사이에 제2 안착 프레임(100b)을 복수 개로 결합하면 추가되는 제2 안착 프레임(100b)의 크기만큼 안착부(10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관통홀(140)은 안착부(100)를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관통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안착부(100)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 각각에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에 천공된 관통홀(140)은 일직선으로 상호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지지부재(150)는 복수 개이고, 안착부(100)에 형성된 관통홀(140)에 끼움 결합되어 안착부(10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보강 지지부재(150)는 목재, 금속재, 석재 및 수지재 등의 소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지지부재(150)는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 각각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에 보강 지지부재(150)를 결합한 상태로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지지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지지부재를 안착부에 결합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는 하나의 보강 지지부재(150)가 복수 개로 결합된 안착 프레임을 동시에 관통한 상태로 안착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보강 지지부재(150)는 제1 안착 프레임(100a), 제2 안착 프레임(100b) 및 제3 안착 프레임(100c)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 지지부재(150)의 일단은 제1 안착 프레임(100a)에 천공된 관통홀(140)에 위치하고 보강 지지부재(150)의 타단은 제3 안착 프레임(100c)에 천공된 관통홀(140)에 위치하여, 제1 안착 프레임(100a), 제2 안착 프레임(100b) 및 제3 안착 프레임(100c)을 모두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 개의 보강 지지부재(150)가 하나의 안착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보강 지지부재(150)가 안착부(10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결하게 안착부(100)에 삽입 결합되면, 복수 개의 안착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 안착부(100)의 내구성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안착부에 결합된 보강 지지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지지부재(150)는 안착부(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60)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160)는 관통홀(140)에 삽입되게 안착부(100)에 결합한 보강 지지부재(150)를 안착부(100)와 함께 관통한 상태로 안착부(100)에 체결되는 볼트부(161)와 볼트부(161)의 단부에 볼트 결합하는 너트부(163)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161)의 헤드(161a)는 장방형을 형성하고 안착부(100)는 안착부(100)의 상부에 볼트부(161)의 헤드(161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장방형으로 오목한 볼트홈(10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부(161)의 단부가 위치하는 안착부(100)의 하부에는 볼트부(161)의 단부에 너트부(163)를 볼트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한 설치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리프트부(300)는 하우징부(200)의 수납공간(210) 양측벽 내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상부에 안착부(100)가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부(300)는 상부에 안착된 안착부(100)를 리프트부(300)를 축으로 선회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부(300)는 안착부(100)의 타단부에 위치하여 안착부(100)의 타단부를 선회함에 따라 안착부(100)의 타단부의 반대측인 안착부(100)의 일단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안착부(100)가 하우징부(200)의 수납공간(210) 상측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리프트부(300)에 의해 안착부(100)의 타단부가 선회하는데 하우징부(20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200)는 안착부(100)의 타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여유공간(22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에서 리프트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한 쌍의 리프트부(300)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게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바(310)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양단의 상부에 각각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지지바(310)는 강도가 강한 금속 또는 수지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310)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상부에 고정 결합하는 안착부(100)의 하부에 결합하여 한 쌍의 리프트부(300)와 안착부(100)를 견고히 하여 내구성을 증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안착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안착부(100)는 하부에 복수 개의 오목한 끼움홈(170)을 형성할 수 있다.
끼움홈(170)은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상부에 안착부(100)를 결합할 시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 지지바(310)를 내부에 끼움 결합하게 할 수 있다.
한 쌍의 리프트부(300)를 안착부(100)에 결합할 시 지지바(310)에 의해 상호 결합된 리프트부(300)와 안착부(100)의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홈(170)의 내부에 지지바(31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의 하우징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200)은 복수 개의 하우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우징부(200)는 일측벽의 내부에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고, 리프트부(300)와 결합된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의 외측에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 돌기(220a)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하우징 프레임(200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200)는 제1 하우징 프레임(200a)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제1 하우징 결합돌기(220a)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홀(230a)이 천공되고, 제1 하우징 결합홀(230a)이 천공된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돌기(220b)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하우징 프레임(20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부(200)는 제2 하우징 프레임(200b)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제2 하우징 결합돌기(220b)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홀(230b)이 천공되고, 제2 하우징 결합홀(230b)이 천공된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하우징 프레임(200c)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하우징 프레임(200a)의 타측부에 제3 하우징 프레임(200c)의 일측부를 결합하여 하우징(2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하우징 프레임(200a)과 제3 하우징 프레임(200c)의 사이에 제2 하우징 프레임(200b)을 복수 개로 결합하면 하우징(200)의 크기를 추가되는 제2 하우징 프레임(200b)의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하우징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는 측벽부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와 결합하는 측벽부에 비해 높이의 길이가 짧을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하우징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는 측벽부는 수납공간(210)의 상측부에 수용되는 안착부(10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하우징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는 측벽부에 의해 하우징 내부 수납공간(210)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리스를 안착하는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하여 하우징부의 내부 공간을 수납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공간 활용 능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징부와 안착부를 조립하는 것으로 전체 침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설치 및 크기 변형을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로 조립된 안착부에 보강 지지부재를 조립하여 내구성을 증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하우징부와 안착부를 서로 결합돌기와 결합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조립 및 분리를 쉽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착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부와 안착부의 사이를 지지바가 지지하여 내구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 지지부재를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안착부에 조립이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안착부
100a: 제1 안착 프레임
100b: 제2 안착 프레임
100c: 제3 안착 프레임
120a: 제1 안착 결합돌기
120b: 제2 안착 결합돌기
130a: 제1 안착 결합홀
130b: 제2 안착 결합홀
140: 관통홀
150: 보강 지지부재
160: 체결부재
161: 볼트부
161a: 헤드
163: 너트부
170: 끼움홈
200: 하우징부
200a: 제1 하우징 프레임
200b: 제2 하우징 프레임
200c: 제3 하우징 프레임
210: 수납공간
220: 여유공간
220a: 제1 하우징 결합돌기
220b: 제2 하우징 결합돌기
230a: 제1 하우징 결합홀
230b: 제2 하우징 결합홀
300: 리프트부
310: 지지바

Claims (5)

  1.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안착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안착부(100);
    상기 안착부(100)를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관통하게 천공되되,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40);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140)에 끼움 결합되는 복수 개의 보강 지지부재(150);
    상기 안착부(100)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100)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리프트부(300); 및
    바닥에 지지되며, 내부에 상기 안착부(100)를 수용하고 상측으로 개구된 수납공간(210)을 마련하고, 상기 수납공간(210)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를 각각 고정하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하우징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형성된 하우징부(20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어느 하나를 일측부에 결합하고, 상기 리프트부(300)와 결합된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돌기(120a)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상기 제1 안착 결합돌기(120a)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안착 결합홀(130a)이 천공되고, 상기 제1 안착 결합홀(130a)이 천공된 상기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돌기(120b)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안착 프레임(100b)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100b)과 결합하는 일측부에 상기 제2 안착 결합돌기(120b)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안착 결합홀(130b)이 천공되고, 상기 제2 안착 결합홀(130b)이 천공된 상기 일측부의 반대측 타측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안착 프레임(100c)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140)은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100b)과 상기 제3 안착 프레임(100c)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결합된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과 상기 제2 안착 프레임(100b)과 상기 제3 안착 프레임(100c)을 일직선으로 연통하게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보강 지지부재(150)는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 상기 제2 안착 프레임(100b) 및 상기 제3 안착 프레임(100c)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 지지부재(150)의 일단은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에 천공된 상기 관통홀(140)에 위치하고 상기 보강 지지부재(150)의 타단은 상기 제3 안착 프레임(100c)에 천공된 상기 관통홀(140)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안착 프레임(100a), 상기 제2 안착 프레임(100b) 및 상기 제3 안착 프레임(100c)을 모두 연결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보강 지지부재(150)는 상기 안착부(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60)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되되,
    상기 체결부재(160)는,
    상기 관통홀(140)에 삽입되게 상기 안착부(100)에 결합한 상기 보강 지지부재(150)를 상기 안착부(100)와 함께 관통한 상태로 상기 안착부(100)에 체결되는 볼트부(161); 와
    상기 볼트부(161)의 단부에 볼트 결합하는 너트부(163); 로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161)의 헤드(161a)는 장방형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안착부(100)의 상부에 상기 볼트부(161)의 상기 헤드(161a)를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장방형으로 오목한 볼트홈(101)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부(161)의 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안착부(100)의 하부에는 볼트부(161)의 단부에 너트부(163)를 볼트 결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한 설치홈을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는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양단을 상호 연결하게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의 양단의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바(310)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100)는 상기 안착부(100)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지지바(310)를 끼움 결합하게 복수 개의 오목한 끼움홈(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일측벽의 내부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어느 하나를 결합하고, 상기 리프트부(300)와 결합된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의 외측에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 돌기(220a)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하우징 프레임(200a)과
    상기 제1 하우징 프레임(200a)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상기 제1 하우징 결합 돌기(220a)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1 하우징 결합홀(230a)이 천공되고, 상기 제1 하우징 결합홀(230a)이 천공된 상기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외측으로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돌기(220b)가 볼록하게 형성된 제2 하우징 프레임(200b)과
    상기 제2 하우징 프레임(200b)과 결합하는 일측벽에 상기 제2 하우징 결합돌기(220b)와 끼움 결합하는 복수 개의 제2 하우징 결합홀(230b)이 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 결합홀(230b)이 천공된 상기 일측벽의 반대측 타측벽에 상기 한 쌍의 리프트부(300) 중 다른 하나를 결합하는 제3 하우징 프레임(200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KR1020190143770A 2019-11-11 2019-11-11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KR10212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770A KR102127787B1 (ko) 2019-11-11 2019-11-11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770A KR102127787B1 (ko) 2019-11-11 2019-11-11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87B1 true KR102127787B1 (ko) 2020-06-29

Family

ID=7140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770A KR102127787B1 (ko) 2019-11-11 2019-11-11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351A (ko) 2020-12-17 2022-06-24 이선명 수직 개폐형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419A (ja) * 1996-11-05 1998-05-19 Maruhachi Mawata:Kk ベッド
KR20060053321A (ko) * 2004-11-13 2006-05-22 유영청 침대
KR20170000793U (ko) * 2016-08-22 2017-03-02 전진수 서랍을 포함하는 침대프레임
KR20170099731A (ko) * 2016-02-24 2017-09-01 정영웅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7419A (ja) * 1996-11-05 1998-05-19 Maruhachi Mawata:Kk ベッド
KR20060053321A (ko) * 2004-11-13 2006-05-22 유영청 침대
KR20170099731A (ko) * 2016-02-24 2017-09-01 정영웅 수납식 침대의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납식 침대
KR20170000793U (ko) * 2016-08-22 2017-03-02 전진수 서랍을 포함하는 침대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351A (ko) 2020-12-17 2022-06-24 이선명 수직 개폐형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5890A1 (en) Shear wall panel
KR102127787B1 (ko) 수납공간을 갖는 침대
KR20180055267A (ko) 캣타워 조립체
US3943671A (en) Building structure supported above ground by a cradle-like means
KR20170099729A (ko) 1인 설치가 가능한 수납식 침대의 회전 지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식 침대
CN212938961U (zh) 一种便于拆装的组合沙发侧向连接结构
US11805750B2 (en) Vent for livestock stall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CN207582664U (zh) 用于装配三维框架的组件
US10458113B2 (en) Building assembly structure
KR101359491B1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DE8018723U1 (de) Bausatz fuer sanitaerzellen
KR102157119B1 (ko) 캣타워용 폴대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840002844Y1 (ko) 조립식 주택의 조립 세트(Set)
US20170022697A1 (en) Modular deck system
KR102480059B1 (ko) 타일데크블럭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타일데크블럭 구조체
KR200493166Y1 (ko) 방묘문
WO2001029338A3 (en) Shear wall panel
KR100440394B1 (ko) 조립식 다실
KR100522555B1 (ko) 천정 코너 고정형 수납 가구
JP7364422B2 (ja) 床構成ユニット
JP6931795B2 (ja) 衛生ユニット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0134695Y1 (ko) 조립식 평상
KR200233881Y1 (ko) 호이스트카용 안전출입문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