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032A -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6032A
KR20210036032A KR1020190117931A KR20190117931A KR20210036032A KR 20210036032 A KR20210036032 A KR 20210036032A KR 1020190117931 A KR1020190117931 A KR 1020190117931A KR 20190117931 A KR20190117931 A KR 20190117931A KR 20210036032 A KR20210036032 A KR 20210036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vering shelf
plate
bracket
install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181B1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1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1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4Rea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커버링 쉘프와, 상기 커버링 쉘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링크 및 후방연동링크와 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 및 전방연동링크와, 상기 후방연동링크와 상기 전방연동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링 쉘프가 올라가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확장부를 걸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연결링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커버링 쉘프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Extensible Lift-up Covering Shelf}
본 발명은 커버링 쉘프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전방으로 확장가능한 커버링 쉘프와, 상기 커버링 쉘프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확장된 상기 커버링 쉘프가 걸쳐질 수 있도록 이동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상기 커버링 쉘프 상부의 적재공간을 늘릴 수 있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에 관한 것이다.
해치백형 자동차의 경우 별도의 트렁크 룸을 구비하지 않고 리어 부분을 화물 적재공간으로 활용하고, 이를 위해 화물 적재공간 부분의 상측에 커버링 쉘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링 쉘프는 일반적으로 전방에 힌지부가 설치되어, 러기지 사이드 트림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커버링 쉘프를 들어 올리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커버링 쉘프가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링 쉘프 위에 물건을 적재하면, 상기 커버링 쉘프를 들어 올릴 때마다 상기 물건이 차량 전측으로 쏟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링 쉘프는 일반적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링 쉘프 상부에 적재할 공간이 추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더라도 상기 커버링 쉘프를 확장시킬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링 쉘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1415호'에 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1415호'의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는 완충바와 연결바를 통해 수평하게 승강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간판에서 미끄럼 운동되어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의 공보에 따른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상기 다리를 펴서 확장된 상기 상판을 지지해줘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141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링 쉘프가 내려지거나 올려질 때 수평을 유지하고, 상기 커버링 쉘프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고, 확장된 상기 커버링 쉘프가 걸쳐질 수 있는 거치대가 상기 커버링 쉘프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확장 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링 쉘프와, 상기 커버링 쉘프의 양측에 설치되는 후방브라켓과,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판과, 일단은 상기 후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링크와 후방연동링크와,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방브라켓과,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판과, 일단은 상기 전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링크와 전방연동링크와, 상기 거치대가 상기 커버링 쉘프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상기 확장부가 걸쳐질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후방연동링크와 상기 전방연동링크를 연결하는 전후연결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연결링크는 상기 전방연동링크가 상기 후방연동링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후방연동링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링크의 타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후방판의 전방은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링 쉘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도중에 최대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판에는 상기 후방연동링크가 후방으로 일정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차량의 폭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전방판은 상기 후방판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 상기 전방브라켓, 상기 전방연동링크 및 상기 전방링크는 상기 후방브라켓, 상기 후방링크 및 상기 후방연동링크보다 안쪽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전후연결링크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확장부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링 쉘프가 내려져 있을 때, 상기 커버링 쉘프의 전방은 차량용 백시트의 후방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커버링 쉘프가 수평을 유지한 채 오르내릴 수 있으므로, 커버링 쉘프의 상부에 적재된 물건이 쏟아지지 않고, 커버링 쉘프를 탈거하지 않고도 커버링 쉘프 하부에 높이가 높은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커버링 쉘프가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 힌지결합되어, 차량의 전방으로 펼쳐질 수 있는 확장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커버링 쉘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커버링 쉘프에 대해 회전가능한 후방연동링크와 거치대에 대해 회전가능한 전방연동링크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링 쉘프가 올라가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커버링 쉘프의 확장부를 걸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연결링크로 인해, 사용자가 커버링 쉘프를 들어올리기만 해도 커버링 쉘프의 확장을 위한 위치에 거치대가 배치되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커버링 쉘프에 대해 회전가능한 후방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링크가 회전되는 도중에 최대로 압축되는 탄성부재로 인해, 상기 커버링 쉘프는 상기 최대로 압축되는 구간을 넘어서면 탄성력에 의해 내려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어느 정도 올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커버링 쉘프에 대해 회전가능한 후방링크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링 쉘프가 최대로 올려졌을 때 최대로 인장되는 탄성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커버링 쉘프를 내리려고 할 때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가 내려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가 올려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가 내려져있을 때의 측면도(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본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의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됐을 때의 측면도(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본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를 올리는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측면도(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본 모습).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의 확장부가 펼쳐지는 도중일 때의 측면도(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본 모습).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의 확장부가 펼쳐졌을 때의 측면도(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를 바라본 모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의미하고, 좌우방향은 차량의 폭방향을 의미하고, 상하방향은 차량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한 커버링 쉘프는 커버링 쉘프(200)와, 거치대(160)와, 상부는 커버링 쉘프(200) 또는 거치대(160)의 양측에 설치되고 하부는 러기지 사이드 트림(300)에 설치되는 수평유지부(100)를 포함한다.
수평유지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200)에 설치되는 후방수평유지부, 거치대(160)에 설치되는 전방수평유지부와, 상기 후방수평유지부와 상기 전방수평유지부를 연결하는 전후연결링크(131)로 구성된다.
커버링 쉘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수평유지부와 연결되는 고정부(210)와, 고정부(210)의 전방에 힌지부(230)를 통해 힌지 결합되는 확장부(220)로 구성된다.
고정부(210)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확장부(220)는 고정부(210)와 유사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확장부(220)를 접었을 때 커버링 쉘프(200)에는 상하방향으로 단차가 생기지 않는다.
힌지부(230)는 경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230)는 기본적으로 고정부(2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부(210)의 좌우방향 길이에 따라 3개 이상의 힌지부(2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거치대(160)는 중앙에 사각형의 통공이 형성되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거치대(160)의 통공으로 인해 거치대(160)는 강도가 향상되고, 경량화될 수 있다.
거치대(160)의 좌우방향 폭은 고정부(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후술할 두 후방브라켓(111)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거치대(160)는 커버링 쉘프(200)를 완전히 내렸을 때 후방브라켓(111) 사이에 삽입되어,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거치대(160)는 커버링 쉘프(200)를 올리는 방향으로 수평유지부(100)를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 거치대(160)의 상면과 커버링 쉘프(200)의 고정부(210)의 하면이 같은 평면상에 놓이도록 형성된다.
또한, 거치대(160)는 커버링 쉘프(200)의 확장부(220)를 완전히 펼쳤을 때, 거치대(160)의 전면이 확장부(2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이거나, 확장부(22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수평유지부는 상기 커버링 쉘프(200)에 설치되는 후방브라켓(111)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3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판(114)과, 후방브라켓(111)과 후방판(114)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링크(112) 및 후방연동링크(11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수평유지부는 상기 거치대(160)에 설치되는 전방브라켓(121)과, 러기지 사이드 트림(30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판(124)과, 전방브라켓(121)과 전방판(124) 사이에 설치되는 전방연동링크(122)와 전방링크(12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수평유지부(100)에 대해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수평유지부(100)는 커버링 쉘프(200) 및 거치대(160)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8에는 두 수평유지부(100) 중 차량의 좌측에 설치되는 수평유지부(100)가 도시되어 있다.
후방브라켓(111)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브라켓(111)은 커버링 쉘프(200)의 하면에 고정된다.
후방브라켓(111)의 상부는 커버링 쉘프(200)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분을 통해 커버링 쉘프(200)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후방브라켓(111)의 전후방향 길이는 커버링 쉘프(200)의 하중이 후방브라켓(111)을 통해 분산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후방브라켓(111)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링크설치홈(111a,111b)이 형성된다.
후방브라켓(111)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링크설치홈(111a)은 후방브라켓(111)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1링크설치홈(111b)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후방판(11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판(114)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링크설치홈(114a,114c)이 형성된다.
후방판(11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링크설치홈(114a)은 후방판(114)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링크설치홈(114c)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두 제2링크설치홈(114a,114c) 사이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차는, 후방브라켓(111)의 두 제1링크설치홈(111a,111b) 사이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차와 동일 유사하다.
또한, 두 제2링크설치홈(114a,114c)의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탄성부재설치홈(114b)이 형성된다.
후방판(114)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2링크설치홈(114a)과 제2탄성부재설치홈(114b)의 사이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돌기(114d)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14d)는 제2링크설치홈(114a)보다 위쪽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링크(112) 및 후방연동링크(113)는 전체적으로 양 끝이 반원인 기다란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링크(112)의 일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브라켓설치홈(112a)이 형성된다.
제1브라켓설치홈(112a)은 후방브라켓(111)의 제1링크설치홈(111a)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후방링크(112)는 핀(미도시)에 의해 후방브라켓(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링크(112)의 타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판설치홈(112b)이 형성된다.
제1판설치홈(112b)은 후방판(114)의 제2링크설치홈(114a)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후방링크(112)는 핀에 의해 후방판(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링크(112)의 타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부가 형성된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는 커버링 쉘프(200)를 완전히 내렸을 때와, 커버링 쉘프(200)를 올리는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 후술할 탄성부재(140)의 스프링(142)이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돌출된다.
커버링 쉘프(200)를 완전히 내렸을 때 스프링(142)의 길이를 L1이라고 하고, 커버링 쉘프(200)를 올리는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시켰을 때 스프링(142)의 길이를 L2라고 하기로 한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가 후방링크(112)의 하부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수록 L1은 짧아지고 L2은 길어진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가 후방링크(112)의 상부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록 L1은 길어지고, L2는 짧아진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는 L1과 L2가 비슷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탄성부재설치홈(112c)이 형성된다.
후방연동링크(113)의 일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브라켓설치홈(113a)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설치홈(113a)은 후방브라켓(111)의 제1링크설치홈(111b)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후방연동링크(113)는 핀에 의해 후방브라켓(1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방연동링크(113)의 타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판설치홈(113b)이 형성된다.
제2판설치홈(113b)은 후방판(114)의 제2링크설치홈(114c)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후방연동링크(113)는 핀에 의해 후방판(1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브라켓설치홈(113a)에서 제2판설치홈(113b)까지의 거리는, 제1브라켓설치홈(112a)에서 제1판설치홈(112b)까지의 거리와 유사 동일하다.
이로 인해 후방링크(112)와, 후방연동링크(113)는 서로 평행하게 후방브라켓(111) 및 후방판(114)에 설치되고, 후방브라켓(111)은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오르내릴 수 있다.
후방연동링크(113)의 타단에는 후방연동링크(113)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가 형성된다.
후방연동링크(113)의 연장부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1연결링크설치홈(113c)이 형성된다.
후방링크(112) 및 후방연동링크(113)는 후방브라켓(111)보다는 좌쪽에 배치되고, 후방판(114)보다는 우측에 배치된다.
전방브라켓(121)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브라켓(121)은 거치대(160)의 하면에 고정된다.
전방브라켓(121)의 상부는 거치대(160)와 평행하게 절곡되어, 상기 절곡된 부분을 통해 거치대(160)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전방브라켓(121)의 전후방향 길이는 거치대(160)의 하중이 전방브라켓(121)을 통해 분산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전방브라켓(121)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링크설치홈(121a,121b)이 형성된다.
전방브라켓(121)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3링크설치홈(121a)은 전방브라켓(121)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3링크설치홈(121b)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즉, 전방브라켓(121)은 후방브라켓(111)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전방판(124)은 전체적으로 사각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방판(124)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4링크설치홈(124a,124b)이 형성된다.
전방판(12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4링크설치홈(124a)은 전방판(124)의 전방에 설치되는 제4링크설치홈(124b)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두 제4링크설치홈(124a,124b) 사이의 전후방향 및 상하“‡향으로의 위치 차는, 전방브라켓(121)의 두 제3링크설치홈(121a,121b) 사이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위치 차와 동일 유사하다.
전방판(124)은 러기지 사이드 트림(300)에서 우측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50) 상에 설치된다.
즉, 전방판(124)은 후방판(114)보다 우측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방수평유지부 및 거치대(160)는 상기 후방수평유지부보다 차량의 폭방향으로 안쪽에서 이동하게 되고,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전방연동링크(122) 및 전방링크(123)는 전체적으로 양 끝이 반원인 기다란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방연동링크(122)의 일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브라켓설치홈(122a)이 형성된다.
제3브라켓설치홈(122a)은 전방브라켓(121)의 제3링크설치홈(121a)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방연동링크(122)는 핀에 의해 전방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연동링크(122)의 타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3판설치홈(122c)이 형성된다.
제3판설치홈(122c)은 전방판(124)의 제4링크설치홈(124a)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방연동링크(122)는 핀에 의해 전방판(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연동링크(122)의 제3브라켓설치홈(122a)과 제3판설치홈(122c) 사이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2연결링크설치홈(122b)이 형성된다.
제2연결링크설치홈(122b)은 제3판설치홈(122c)에 가깝게 배치된다.
전방링크(123)의 일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4브라켓설치홈(123a)이 형성된다.
제4브라켓설치홈(123a)은 전방브라켓(121)의 제3링크설치홈(121b)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방링크(123)는 핀에 의해 전방브라켓(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전방링크(123)의 타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제4판설치홈(123b)이 형성된다.
제4판설치홈(123b)은 전방판(124)의 제4링크설치홈(124b)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방링크(123)는 핀에 의해 전방판(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3브라켓설치홈(122a)에서 제3판설치홈(122c)까지의 거리는, 제4브라켓설치홈(123a)에서 제4판설치홈(123b)까지의 거리와 유사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전방연동링크(122)와 전방링크(123)는 서로 평행하게 전방브라켓(121) 및 전방판(124)에 설치되고, 전방브라켓(121)은 항상 수평을 유지한 채로 오르내릴 수 있다.
전방연동링크(122) 및 전방링크(123)는 전방브라켓(121)보다는 좌측에 배치되고, 전방판(124)보다는 우측에 배치된다.
후방브라켓(111) 및 전방브라켓(121)에서 링크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링크와 연결되는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후방브라켓(111) 및 전방브라켓(121)을 경량화시킬 수 있다.
전후연결링크(131)는 전체적으로 양 끝이 반원인 기다란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후연결링크(131)의 일단에는 제1연동링크설치홈(131a)이 형성되고, 전후연결링크(131)의 타단에는 제2연동링크설치홈(131b)이 형성된다.
제1연동링크설치홈(131a)은 후방연동링크(113)의 제1연결링크설치홈(113c)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후연결링크(131)는 핀에 의해 후방연동링크(1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연동링크설치홈(131b)은 전방연동링크(122)의 제2연결링크설치홈(122b)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어, 전후연결링크(131)는 핀에 의해 전방연동링크(12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전후연결링크(131)에는 좌우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두 번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는 돌출부(150)의 좌우방향 길이와 유사동일하게 형성된다.
전후연결링크(131)의 절곡부는 돌출부(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후방연동링크(113)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후연결링크(131)의 절곡부로 인해 후방연동링크(113)와 전방연동링크(122)는 좌우방향의 거리차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후방링크(112)의 절곡부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후방판(114)과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스프링(142)과 스프링(142)의 양단에 설치되는 연결판(141)을 포함한다.
스프링(142)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판(141)의 중앙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홈이 형성된다.
연결판(141) 중 하나는 후방링크(112)의 제1탄성부재설치홈(112c)과 핀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후방판(114)의 제2탄성부재설치홈(114b)에 핀으로 연결된다.
즉, 탄성부재(140)는 후방링크(112) 및 후방판(1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판(141)과 후방판(114) 사이에는 와셔(145)를 설치하여, 스프링(142)을 후방판(114)에서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145)로 인해 탄성부재(140)가 회전할 때 스프링(142)과 후방판(114) 사이의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아 탄성부재(14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커버링 쉘프(200)의 작동방법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200)가 내려져 있을 때에는 커버링 쉘프(200)는 백시트(400) 후방에 배치된다. 커버링 쉘프(200)와 백시트(40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거치대(160)는 후방브라켓(111)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스프링(14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프링(142)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링크(112)는 커버링 쉘프(200)가 내려가는 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이 때 스프링(142)은 완전히 압축된 상태가 아니므로, 후방링크(112)가 커버링 쉘프(200)가 올라가는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커버링 쉘프(200)는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는 커버링 쉘프(200)의 자중과 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을 합한 힘보다 더 많은 힘을 줘야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사용자가 커버링 쉘프(200)를 올리기 시작하면, 커버링 쉘프(200) 하부에 설치된 후방브라켓(111)이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후방링크(112) 및 후방연동링크(1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후방링크(112)의 회전반경과 후방연동링크(113)의 회전반경은 동일하므로, 커버링 쉘프(200)는 후방링크(112) 및 후방연동링크(113)의 회전 궤도를 따라 수평을 유지한 채로 올려지게 된다.
후방연동링크(1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후연결링크(13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전방연동링크(122)도 전방으로 밀려나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연동링크(1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방브라켓(121)이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전방링크(123)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방연동링크(122)의 회전반경과 전방링크(123)의 회전반경은 동일하므로, 전방브라켓(121)에 연결되어 있는 거치대(160)는 전방연동링크(122) 및 전방링크(123)의 회전 궤도를 따라 수평을 유지한 채로 올려지게 된다.
즉,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리면 커버링 쉘프(200)는 시계방향으로 올라오게 되고, 거치대(160)는 이와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올라오게 된다.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리기 시작할 때, 백시트(400)와 접해있는 커버링 쉘프(200)는 후방쪽으로 올라가고, 커버링 쉘프(20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거치대(160)는 백시트(400)와 간격이 있는 상태에서 전방쪽으로 원을 그리며 올라가게 되므로, 커버링 쉘프(200) 및 거치대(160)와 백시트(400) 사이에는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42)이 최대로 압축되는 지점을 지나게 되면, 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링크(112)는 커버링 쉘프(200)가 올라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스프링(142)이 최대로 압축되는 지점 이후에는 사용자가 보다 수월하게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리다가 후방연동링크(113)가 걸림돌기(114d)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연결링크(131)에 의해 확장부(160)와 상기 전방수평유지부는, 상기 후방수평유지부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게 된다.
이 때, 후방연동링크(113)와 전방연동링크(122)의 상부는 서로 벌어진 상태가 된다. 즉, 후방링크(112)와 후방연동링크(113)는 후방으로 기울지고, 전방연동링크(122)와 전방링크(123)는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커버링 쉘프(200)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거치대(160) 또한 들어올릴 수 있고, 확장부(160)가 커버링 쉘프(200)의 확장부(220)가 펼쳐지게 될 장소에 거치대(160)가 위치하게 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스프링(142)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프링(142)이 압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방링크(112)는 커버링 쉘프(200)가 올라가는 방향(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또한, 이 때 스프링(142)은 완전히 압축된 상태가 아니므로, 후방링크(112)가 커버링 쉘프(200)가 내려가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커버링 쉘프(200)를 올리는 방향으로 수평유지부(100)를 끝까지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 쉘프(200)가 최고 높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버링 쉘프(200)를 내리려면 커버링 쉘프(200)를 일정구간 들어올려야한다.
이로 인해, 커버링 쉘프(200)를 끝까지 회전시켜 올린 상태에서는 커버링 쉘프(200)의 자중과 스프링(142)의 탄성복원력을 합한 힘보다 더 많은 힘을 줘야 커버링 쉘프(200)를 내릴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220)를 거치대(160) 쪽으로 펼치면 확장부(220)는 힌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220)를 완전히 펼치면 확장부(220)의 하면은 거치대(16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고정부(210)의 상부와 확장부(220)의 상부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커버링 쉘프(200)의 적재공간이 확장되게 된다.
커버링 쉘프(200)를 내릴 때는, 우선 확장부(220)를 고정부(210) 쪽으로 회전시켜 접은 다음, 후방링크(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커버링 쉘프(200)에 힘을 주면 커버링 쉘프(200)가 수평을 유지한 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커버링 쉘프(200)의 높이가 최대높이를 지나게 되면 커버링 쉘프(200)는 커버링 쉘프(200)의 자중에 의해 내려오게 된다.
스프링(142)의 최대 탄성복원력이 커버링 쉘프(200)의 자중보다 큰 경우는 최대로 압축되는 부근에서 커버링 쉘프(200)가 내려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때는 커버링 쉘프(200)에 아랫방향으로 힘을 주어 내리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수평유지부 111: 후방브라켓
111a: 제1링크설치홈 111b: 제1링크설치홈
112: 후방링크 112a: 제1브라켓설치홈
112b: 제1판설치홈 112c: 제1탄성부재설치홈
113: 후방연동링크 113a: 제2브라켓설치홈
113b: 제2판설치홈 113c: 제1연결링크설치홈
114: 후방판 114a: 제2링크설치홈
114b: 제2탄성부재설치홈 114c: 제2링크설치홈
114d: 걸림돌기 121: 전방브라켓
121a: 제3링크설치홈 121b: 제3링크설치홈
122: 전방연동링크 122a: 제3브라켓설치홈
122b: 제2연결링크설치홈 122c: 제3판설치홈
123: 전방링크 123a: 제4브라켓설치홈
123b: 제4판설치홈 124: 전방판
124a: 제4링크설치홈 124b: 제4링크설치홈
131: 전후연결링크 131a: 제1연동링크설치홈
131b: 제2연동링크설치홈 140: 탄성부재
141: 연결판 142: 스프링
145: 와셔 150: 돌출부
160: 거치대 200: 커버링 쉘프
210: 고정부 220: 확장부
230: 힌지부 300: 러기지 사이드 트림
400: 백시트

Claims (8)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커버링 쉘프;
    상기 커버링 쉘프의 양측에 설치되는 후방브라켓;
    차량의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판;
    일단은 상기 후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후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링크와 후방연동링크;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방브라켓;
    상기 러기지 사이드 트림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판;
    일단은 상기 전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전방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링크와 전방연동링크;
    상기 후방연동링크와 상기 전방연동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커버링 쉘프가 올라가면 상기 거치대는 상기 확장부를 걸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후연결링크;를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연결링크는 상기 전방연동링크가 상기 후방연동링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후방연동링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링크의 타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후방판의 전방은 탄성부재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링 쉘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도중에 최대로 압축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판에는 상기 후방연동링크가 후방으로 일정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전방판은 상기 후방판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상기 거치대, 상기 전방브라켓, 상기 전방연동링크 및 상기 전방링크는 상기 후방브라켓, 상기 후방링크 및 상기 후방연동링크보다 안쪽에서 이동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후연결링크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형태인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확장부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 쉘프가 내려져 있을 때,
    상기 커버링 쉘프의 전방은 차량용 백시트의 후방과 접하는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KR1020190117931A 2019-09-25 2019-09-25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KR102236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31A KR102236181B1 (ko) 2019-09-25 2019-09-25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931A KR102236181B1 (ko) 2019-09-25 2019-09-25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32A true KR20210036032A (ko) 2021-04-02
KR102236181B1 KR102236181B1 (ko) 2021-04-06

Family

ID=7546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931A KR102236181B1 (ko) 2019-09-25 2019-09-25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789A (zh) * 2022-01-25 2022-04-2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环境感知装置
CN114407789B (zh) * 2022-01-25 2024-05-3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环境感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450A (en) * 1995-03-13 1999-12-21 Selby Furniture Hardware Company Table lift apparatus
US20040187742A1 (en) * 2003-03-03 2004-09-30 Publio Eusebi Table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20070039277A (ko) * 2005-10-07 2007-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커버링 셀프
KR20120061680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KR101591415B1 (ko) 2015-01-07 2016-02-11 김강록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3450A (en) * 1995-03-13 1999-12-21 Selby Furniture Hardware Company Table lift apparatus
US20040187742A1 (en) * 2003-03-03 2004-09-30 Publio Eusebi Table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20070039277A (ko) * 2005-10-07 2007-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커버링 셀프
KR20120061680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식 러기지보드 시스템
KR101591415B1 (ko) 2015-01-07 2016-02-11 김강록 승용차량의 적재물 승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7789A (zh) * 2022-01-25 2022-04-2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环境感知装置
CN114407789B (zh) * 2022-01-25 2024-05-31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环境感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181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5899A (en) Cabin for trucks with trailer-fixtures
JP4152318B2 (ja) 自動車用座席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US5516016A (en) Container holder
US7246857B2 (en)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KR102236181B1 (ko) 확장가능한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KR102502296B1 (ko) 차량용 암레스트
JP4436450B2 (ja) 車両用のスロープ装置
KR101608213B1 (ko) 철도차량용 충격음 저감 간이 테이블 장치
JP2000264107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H023951Y2 (ko)
KR102502297B1 (ko) 차량용 암레스트
EP1134116B1 (en) Shelf for the back part of the backrest in a vehicle
JP3541053B2 (ja) ベッド兼用ソファー
KR102227510B1 (ko) 리프트업 커버링 쉘프
JP3240552B2 (ja) 自動車の後部座席用カップホルダー
JP4022448B2 (ja) 荷受台昇降装置の荷受台折れ曲がり防止装置
JP4382463B2 (ja) 折戸用の支持装置と折戸の吊り込み方法
KR100930694B1 (ko) 차량의 커버링 선반 구조
KR100448140B1 (ko) 차량의 리어 폴딩 시트용 러기지 바
JP4322862B2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を備えた車両
JP2003025901A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格納装置
KR100591377B1 (ko) 시트장치
JP3869372B2 (ja) 作業用車両の車体支持装置
JP2996352B2 (ja) 移動式ステ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